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욕구 충족이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충성도, 플로우와 브랜드 매력성 및 브랜드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형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ppearance of the Internet that is not restricted by time and space has allowed business sector to take advantage of diverse strategies to secure new marketing routes, extend existing market, find a new one and provide customers with better services. Marketers should grasp the psychology of online customers, stay in touch with them and manage them successfully to stir up their loyalty to their products and brands. And what matters here is not what web sites customers keep logging on to but what needs spurred them to do it. To approach this issue, online communities built by customers are very important. Specifically, brand communities are being widespread ow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their importance is being accentuated in that they contribute to creating consumer culture and exert a firsthand impact on businesses(Myung Su Kang 2001). Brand communities reflect consumer activities in detail, thanks to the new communication features of the Internet(Moonkyu Lee 2004), and they have a strong impact on brand assets such as brand loyalty or brand awareness(Aaker 1991). Despite such an significance of online brand communities, there haven't been enough efforts to make an experimental analysis of what needs make consumers log on to a specific online brand community and how it affected brand. Companies make little attempts to set up or manage an online brand community in an efficient manner. Instead, they just try to prevent the spread of negative word of mou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n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flow and online brand community loyalty of consumers to find out how and in which process their satisfied needs for online brand community affected their brand identification, brand loyalty and brand attractiveness. After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selected,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12.0 and AMOS 5.0 program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ere tested, and the fitness of the model turned out to be goo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atisfied needs of the consumers investigated for online brand community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flow and brand community loyalty. Consumers usually log on to particular brand community sites to build a social relationship with others, to share their matters of concern or to economically benefit from those sites. If such needs of them are satisfied, they are bound to keep visiting them and to be committed to them, and then positive words of mouth are circulated through them about those sites. Thus, their site loyalty gets strong. Second, their loyalty to specific online brand community sites exercised a positive influence on brand attractiveness. A sustained contact with them caused them to find their brands attractive and to feel friendly about them. Third, the hypothesis that flow might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attractiveness was rejected. Fourth, brand attractiveness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brand identification. Brand identification is a very strong conception that one views the success of a brand as his or her own success by building close ties between the brand and his or her own self. This finding of the study might help companies to create a powerful brand. Give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of the study, it seemed necessary to make more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online brand community on brand loyalty. Therefore, an additional study was conducted by adding the brand loyalty variable. The fitness of the additional model appeared to be good, too. As a result of making the additional research, flow and online brand community loyalt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timulating brand identification, and brand identification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brand loyalty. As a consequence, brand loyalty could be said to be improved through online brand communit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ould be described as below: First, earlier studies on online community or brand community had mainly focused on identifying the web characteristics of particular online communities or their community characteristics such as a sense of community. But the focus of the study was placed on consumer needs for accessing an online community, which made it possible to give mor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efficient customer management of members-only online communities. Second, existing studies on brand community had mostly attempted to explore what variables would affect brand community loyalty or brand community attitude by selecting one of them as a dependent variable. A lot of studies had taken a qualitative approach only, but this study covered not only brand community but brand attitude. In other words, brand community loyalty wasn't the only one to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roles of brand community, and how brand attractiveness and brand identification could be connected to brand loyalty was studied. Third, the effort to see for what members of specific brand communities accessed the brand communities made it possible for businesses to get a more precise understanding of them. And it's found that vitalizing a brand community could serve to elicit greater brand loyalty from customers. This finding could enable marketers to accurately grasp the needs of consumers to come up with more efficient strategies to solidify the brand loyalty of customers. Finally, there were some limits to this study. A variety of brand communities set up by companies weren't covered, and multiple brand communities that dealt with diverse products weren't handled, either. In the future, more extensive research efforts should be made by covering more diverse brands and communities. 시공간적인 제약을 초월하는 인터넷의 등장은 기업에게 새로운 마케팅 경로의 확보, 시장의 확대 및 새로운 시장의 발견, 고객 서비스 향상 등 다양한 전략의 기반이 되었다. 따라서 마케터들은 온라인상에서 고객의 심리를 파악하고 이들과의 꾸준한 접촉과 관리를 통해 자사 제품 및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를 이끌어 내야하며, 이는 곧 소비자가 어떠한 사이트에 지속적으로 접속하는가 하는 문제를 넘어서 소비자는 어떠한 욕구를 가지고 사이트에 접속하는가 하는 문제가 중요해진 것이다. 이러한 문제 중심에 고객이 결성한 온라인 커뮤니티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 중 브랜드 커뮤니티는 인터넷의 발달로 더욱 활성화 되어 소비자의 소비문화를 구축하고 기업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등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강명수 2001). 제품이나 브랜드에 대한 커뮤니티 활성화의 결과인 브랜드 커뮤니티는 온라인이라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특성으로 인해 브랜드를 중심으로 한 소비자의 활동을 자세히 반영하고 있으며(이문규, 김태형, 김현경 2004), 이러한 이유로 브랜드 커뮤니티는 브랜드 충성도, 브랜드 인지도 등과 같은 브랜드 자산에 강력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Aaker 1991). 이러한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소비자가 어떠한 욕구를 가지고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에 접속하며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가 브랜드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실증분석은 미미하며 기업에 있어서도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구축 및 관리 실태가 부정적 구전의 관리 정도에 그치는 등 마케팅 도구로써의 적극적 활용이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의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욕구 충족이 브랜드 매력성이나 동일시, 브랜드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플로우와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충성도를 통해 실증분석 하고 이를 이론적으로 검토함으로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가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과정을 밝혀내는 데 있다. 이에 따라 연구 모형과 가설을 설정한 후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본 연구의 가설들을 검증해 보았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를 이용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여기서 얻어진 설문 258부를 SPSSWIN 12.0과 AMOS 5.0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 설문항목들에 대한 타당성분석, 신뢰도 분석을 하였으며, 모형의 분석 결과 본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욕구 충족은 플로우와 브랜드 커뮤니티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소비자는 사회적 관계를 맺거나 관심사를 공유하기 위해서, 혹은 브랜드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경제적 효익을 누리기 위해서 해당 브랜드 커뮤니티 사이트에 접속하며 이러한 소비자의 욕구가 충족되면 지속적인 방문과 몰입을 이끌어 내 해당 사이트에 대해 긍정적인 구전을 하는 등 사이트 충성도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사이트 충성도는 브랜드 매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기업에게 브랜드 커뮤니티 사이트에 지속적인 접속을 유도함으로 이것이 브랜드에 대해 매력적으로 느끼고 호감을 갖게 되는 등의 브랜드 매력성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전략적인 시사점을 전한다. 셋째, 플로우가 브랜드 매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 되었다. 넷째, 브랜드 매력성은 브랜드 동일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브랜드 동일시란 브랜드와 자아와의 친밀한 관계를 통해 해당 브랜드의 성공을 나의 성공으로 인식하는 매우 강력한 개념으로 위와 같은 결과는 기업에게 보다 강력한 브랜드 확립을 위한 전략적 기반을 제공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검토한 결과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필요성을 느꼈으며 이에 따라 브랜드 충성도 변수를 삽입한 추가연구를 실시하였다. 추가모형의 적합도 역시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 연구 결과 플로우와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충성도가 브랜드 동일시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브랜드 동일시는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를 통해 브랜드 충성도를 재고할 수 있음을 검증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온라인 커뮤니티나 브랜드 커뮤니티 연구는 주로 해당 커뮤니티의 웹 특성이나 공동체 의식과 같은 커뮤니티 특성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본 논문에서는 커뮤니티 회원의 커뮤니티 이용욕구를 중심으로 고찰함으로써 회원으로 대변되는 고객관계 관리에 보다 가까운 해석을 시도할 수 있었다. 둘째, 기존의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에 대한 연구는 해당 브랜드 커뮤니티의 충성도나 브랜드 커뮤니티 태도를 종속변수로 놓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고찰하는 연구가 중심이었으며 많은 연구가 질적 연구에 그쳤으나 본 연구는 브랜드 커뮤니티를 브랜드 태도에까지 확장시켰으며 이를 실증적으로 연구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다시 말해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역할을 브랜드 커뮤니티 충성도 재고에서 그친 것이 아니라 브랜드 매력성과 브랜드 동일시 개념을 통해 실제 브랜드 충성도까지 연결되는 과정적인 절차를 밝힌데 그 의의가 있다. 셋째,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회원들이 어떠한 욕구를 가지고 브랜드 커뮤니티를 이용하는지 살펴봄으로써 기업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브랜드 커뮤니티를 파악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했으며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킴으로 이것이 브랜드 충성도에 이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는 마케터들에게 소비자의 욕구를 보다 자세히 파악,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를 통한 브랜드 충성도 재고라는 보다 현실적인 접근방법을 제시하여 보다 효과적인 전략수립을 위한 근거를 제공하였다고 볼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은 기업이 구축한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등과 같은 보다 다양한 브랜드 커뮤니티를 포괄하지 못했으며 다양한 제품의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를 포괄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브랜드와 다양한 종류의 커뮤니티를 포괄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여중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성숙도간의 관계분석

        김형숙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여중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성숙도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여중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여중생이 지각하는 진로성숙도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여중생의 진로장벽은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천에 위치한 3곳의 여자중학교에서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1학년 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522부의 설문지가 연구 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과 LSD(least significant difference)검정,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해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여중생의 성적,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는 사람,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만족도에 따른 진로장벽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여중생의 성적,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는 사람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여중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성숙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 중 진로 및 직업정보의 부족이 가장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진로성숙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개인특성 중에서 학업 성적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진로장벽이 자신감 부족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진로선택에 있어서 아버지의 영향에 따라 직업세계와 진로탐색의 정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셋째, 자유학기제에 참여하는 것은 진로장벽을 낮추는데 의미 있는 경험임이 확인되었고, 이는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각된 진로장벽의 요인에 따른 교육적 노력과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maturity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 free semester system. The issue area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what are the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in the statistics of career barriers recognized by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Secondly, what are the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in the statistics of career maturity recognized by the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Thirdly, how do the career barriers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mpact their career maturity?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a total of 522 questionnaire of data was used, based on the surveys carried out on female seventh grade students from three different school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The data collected has been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OVA analysis, the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test,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test scores, persons impacting their career choice, and satisfaction level of th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in the free semester system varied according to their career barriers. Secondly, th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free semester systems had different levels of career maturity based on their test scores and persons impacting their career choice. Thirdly, there was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level of career maturity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free semester system and the lack of career information has been proven to be the biggest factor on negative influence on career maturity.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made based on the results above. Firstly, results show that career barriers which are the biggest determining factor of test scores, are caused by lack of self-confidence. Secondly, the exploration of career choices has been proven to expand depending on the influence of the father figure. Thirdly, the free semester system has been proven to be a meaningful experience that lowers career barriers and shows that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al support and intervention to address the career barriers to develop career maturity.

      • 액션러닝코치의 역량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김형숙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competency model of Action Learning Coach. The first step was to develop the draft competency model of learning coach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However,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in using this model in the field. This study tried to develop a new competency model. Secondly, a competency model was derived by FGI(Focus Group Interview) with seven learning coaches who have coached over twenty action learning teams. Then, 6 the behavior descriptions was derived from six learning coaches by BEI(Behavioral Event Interview). Finally, this study provided the learning coach with the result of FGI(Focus Group Interview) and BEI(Behavioral Event Interview) and then let them to access the importance of the competencies, to propose their ideas about the competencies and behavior descriptions. This study developed a tool for measuring the competencies of learning coaches by FGI(Focus Group Interview), BEI(Behavioral Event Interview), and reviewing behavior descriptions. The third step was to do pilot test with fifteen learning coache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and to modify the tool developed in second step. The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ompetency scale were conducted by a factor analysis. For a factor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sixty learning coaches who are member of Korea Action Learning Association and have experiences over fifty hours in action learning coaching. Additionally, the same survey was done with 530 participants (176 in 2008 and 354 in 2009) in a company which has over 100 action learning coaches. This study analyzed Cronbach's alpha with behavioral descriptions among 3 competency clusters. The Final step was to analyze and compare the competencies of the learning coaches of the teams in prize with those of others by Crosstabul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p<.05) between the two groups. Therefore,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competency model of learning coach has meaningful validity and reliability statistically. In summary, this study identified three competency clusters-accelerating communication, team dynamics, and supporting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nine competencies-listening, questioning, motivating, observing, managing conflict, supporting problem-solving and coordinating meeting, encouraging participation, promoting reflections and feedback, and thirty-one behavioral descriptions.

      • 심층신경망 및 센서네트워크 맵을 이용한 광역상수도 실시간 이상감지

        김형숙 수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deep neural network(DNN)-based pressure and residual chlorine prediction model were developed for multi-regional water supply networks capable of real-time detection of pipe burst and water quality problems using less than one month short-term data. A new sensor network map was proposed for the construction of a real-time anomaly monitoring system, and the sensor network map was used for spatial division to build a deep learning model for accident detection. A sensor network map is defined as a sensor-based hierarchy diagram, which is expressed using a hydraulically divided area. A hydraulically independent area can be determined using known value information (e.g., the known flow, pressure, and total head) and connectivity in a complex water supply system. In addition, based on the proposed deep neural network (DNN)-based pressure and residual chlorine prediction model, a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deep learning hyperparameters suitable for the proposed model.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number of hidden layers related to the structure of the deep learning network, the number of neurons in each hidden layer, the type of activation function, and the period of training data as hyperparameters. In addition, the accident detection performance and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odel were evaluated by applying the generalized model construction method by applying the set hyperparameter values to actual pipe burst accidents and water quality abnormal data that occurred in other regions. The originality of the anomaly detection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other preceding studies, the proposed technique has the advantage of being immediately applicable and verifiable to the currently operating multi-regional waterworks system. In other words, whil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predicting the flow rate and pressure value through a pipe network analysis model or single measurement, this study learns the pressure value based on a lot of actual past measurement and operation data in the sensor network map. Second, this study has the advantage of proposing a deep learning model capable of real-time detection of pipe damage and water quality accidents using short-term data of less than one month. Existing studies required frequent calibration of the pipe network analysis results, which required a lot of time and effort in accordance with the need for a highly accurate pipe network analysis model, and contained problems such as generating false alarms even with normal fluctuations in new or additional demand. The methodology proposed in this study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sider the frequent boundary condition changes of the water pipe network by designing a deep learning model that considers the prediction by the mutual influence of the measurement period. Finally, this study performed a detailed sensitivity analysis of hyperparameters in the leak and water accident recognition model, which was not intensively covered in other studie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optimal model update period was proposed by reflecting frequent changes in the water supply system and considering the training period of the model for real-time operation as one of the hyperparameters.

      • 동화구연식 정보그림책 읽어주기가 유아의 이해력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김형숙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동화구연식으로 정보그림책을 유아들에게 읽어주어 이들의 정보그림책에 대한 이해력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G시에 있는 사립 O유치원 유아 38명으로 실험집단 19명과 비교집단 19명이었다. 이해력 검사는 Morrow(1985)가 제시한 이해도 검사 방법을 기초로 하여 이를 박영란(2000)이 제시한 이야기 구조에 관한 질문과 이야기 추론에 관한 것으로 두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언어표현력 검사는 장영애(1981)가 4-6세 유아의 수준에 맞게 제작한 것을 현대적 내용으로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은 정보그림책 8권을 8주 16회에 걸쳐 동화구연식으로 읽어주는 것을 경험하였다. 비교집단은 정보그림책을 그대로 읽어주는 것을 경험하였다. 자료 분석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의 평균분포 및 이해력에 통계적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검사에 대해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고, 언어표현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구연식 정보그림책 읽기를 경험한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비교집단 간에 유아의 이해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동화구연식 정보그림책 읽기가 유아의 이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이해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동화구연식 정보그림책 읽기를 경험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유아의 언어표현력의 하위요인인 내용의 일치, 문장의 수, 문장의 길이, 내용의 연계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동화구연식 정보그림책 읽기가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언어표현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보그림책이 유아의 이해에 어려움이 있을지라도 그 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동화구연식 정보그림책 읽어주기는 유아의 이해력과 언어표현력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었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young children reading-aloud with a story telling style of information picture books to increase their comprehension and linguistic expression ability. The study was carried out by randomly selecting 38 5-year-old children from 'O' kindergarten in 'G' city. 19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9 children were a comparative group. The reading-aloud with a story telling style of information picture books were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plain reading-aloud of information picture books were provided to the comparative group. To test young children's comprehension, Morrow's(1985) and Park's(2000) story structure and inference scale were used. Jang's(1981) language expression test was used to test young children's linguistic expression ability.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 two groups in comprehension and linguistic expression ability, ANCOVA and MANCOVA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s in the reading-aloud with a story telling style of information picture books enhance young children's comprehension. Second, the experiences in the reading-aloud with a story telling style of information picture books enhance young children's linguistic expression ability. An information book which is supposed to be difficult for young children to understand, can be experienced in a more meaningful and an easy way for the children, if it is reading-aloud with a story telling fashion.

      •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정보교육인식 및 개선방안 : 서울시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김형숙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4년 교육부에서 발표한 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 방안을 보면 2015년부터 단계적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을 도입하려고 하고 있다. 초등학교에서는 2017년부터 소프트웨어를 필수로 교육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학교에 도입하는 것조차 모르는 교사들이 더 많다. 이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태를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선행 연구 논문들을 참고하여 이론적 배경을 규명하였고, 설문 조사 연구로 서울시에 있는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133부를 회수, 정보 교육에 대한 실태와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와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의 컴퓨터교실의 개수와 성능, 유지 보수는 교육청별, 학교급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소프트웨어 교육을 도입하며 정보 교육을 강화하게 되면 기본적인 컴퓨터 환경에 대한 지원으로 학교마다 컴퓨터실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해야 한다. 둘째, 정보 교육이 필요함을 교사들도 알고 있었으나 교육과정과 교재의 부족으로 어려움이 있었다. 국가 차원에서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따른 교육과정과 교재를 개발하여 각 학교에 보급하여야 한다. 셋째, 정보 교육의 시수 부족으로 일관되고 체계적인 수업이 어렵고 정규 교과를 돕는 도구 교과로 전락하고 있었다. 정보 교육 시간을 늘려 보다 내실 있는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교사들은 기본적인 사무 프로그램을 다루는 데는 익숙하였으나 그 외의 다른 프로그램은 모르는 게 많았다. 연수 참여와 자기 개발로 컴퓨터 활용 능력을 키워 학생들에게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교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소프트웨어 교육이 도입되며 교사들은 정규 교사가 가르쳐야 한다고 인식했고 자신의 능력을 키우기 위해 연수를 희망했다. 교사들이 소프트웨어를 학생들에게 교수하기 어려움을 느끼지 않도록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보급하여 교사들이 좀 더 쉽게 학생들에게 가르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멀티미디어 자료 등을 개발, 보급하여 학생들도 쉽게 소프트웨어 교육에 다가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구글어스 KML을 활용한 '최적입지 선정' 학습모듈의 개발과 학습모듈의 문제유형에 따른 문제해결 과정의 차이에 관한 연구

        김형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구글어스 KML을 활용한 교수-학습 모듈을 개발하고 현장 적용을 통하여 효과를 알아본다. 또한 문제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문제해결 과정의 차이를 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지리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교수-학습 모듈을 제시하고,문제 유형에 따른 문제해결 과정의 차이를 분석하여 학습자의 고차원적인 공간적 사고 경험을 유도하는 문제 유형 를 제안한다. 본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글어스 KML을 활용한 교수-학습모듈 개발을 하였고, 2009년 7월 9일부터 7월 17일까지 6학교 6반에 개발된 교수-학습 모듈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수업을 관찰하고, 수업이 끝난 후 교사 인터뷰를 통하여 개발된 것에 대한 의견을 들었다. 또한 구글어스 KML을 활용하여 문제구조유형에 따른 문제해결과정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2009년 9월 고등학교 1학년 학생 3명을 대상으로 발성적 사고법을 통하여 예비조사를 하였다. 예비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워크시트를 학습자 수준에 맞게 수정하였으며, 본 실험은10월 17일, 18일 2일 동안 문제 유형별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6명씩 총 12명을 대상으로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문제 유형은 구조화된 문제와 덜 구조화된 문제 두 가지 유형이며, 학생들의 문제 해결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발성 사고법 이용하여 문제해결 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글어스 KML을 활용하여 개발된 교수-학습 모듈을 현장에 적용한 결과 교사와 학생들 모두 교수-학습 모듈을 손쉽게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학생들이 기존의 수업보다 학습에 흥미를 느끼고 적극적임을 발견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교사들은 본 연구자가 개발한 학습 모듈을 사용할 의향이 있으며, 고등학교 1학년 지리정보단원에 활용하면 좋을 것 같다고 하였다. 둘째, 문제 유형에 따른 문제해결 과정을 분석한 결과 덜 구조화된 문제를 해결한 학습자에서 문제 해결 판단을 만들고 과정을 평가하는 평가 빈도가 많이 나타났다. 이는 덜 구조화된 문제해결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문제 해결책에 대한 판단하고 그 판단에 대해 정당화를 하는 것으로, 이는 구조화된 문제를 해결한 학생들과 달리 덜 구조화된 문제를 해결한 학생들은 인지적 조절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덜 구조화된 문제해결에서는 다양한 해답을 나왔고, 해답을 선택한 이유도 다양했으면 이때 학습자의 개인적 견해가 표현되었다. 셋째, 문제 유형에 따른 문제해결 과정 중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사고를 분석한 결과 덜 구조화된 문제에서 더욱 다양한 공간적 사고가 나타났다. 즉 덜 구조화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는 구글어스 에서 제시된 지리데이터를 분석하고 비교하는 등을 통하여 공간적 사고를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문제 유형에 따라 공간적 사고의 질적 차이는 나타났지만, 구글어스 KML을 활용한 교수-학습 모듈은 학습자에게 공간적 사고를 촉진하는 것을 나타났다.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can be classified into two kinds. The first one is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teaching-learning module on the site. In such a case, the module has been developed to make it possible to learn the 'most appropriate location' by using KML of the Google-Earth. The second one is to develop two types of the learning module related to the 'selection of the most appropriate location,' which include the well-structured type and the less-structured type. After developing each typ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ch type on the learner's problem-solving process. The teaching-learning module has been developed by utilizing KML of the Google -Earth. Such a module has been actualized to becom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each class with the topic of the 'selection for the most appropriate location.' It has been developed to provide teachers and students with more convenience for their usage. The geological data consisting of KML has been developed by using the real geological data. In order to carry out the task of the 'selection for the most appropriate location,' a worksheet has also been developed and suggested. After applying it to six schools/classes, it has been found that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have used the teaching-learning module developed easily. It seems that the students are getting interested in the learning process. Also, two patterns, which are the well-structured pattern and the less-structured pattern,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the teaching-learning module which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first research,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problem pattern on the learner's problem-solving process. The well-structured problem pattern provides enough data together with the consecutive problem-solving process, which are required to solve the potential problem, while the less-structured problem pattern shows no single answer, allowing the personal opinion to be included in the interpretation process for problems. As a research method to investigate the problem-solving process, the think aloud method has been used to solve the problem with a different pattern. The target group consists of 12 Year 10 students studying at a high school in Seoul. The students have been divided into two groups made of 6 students respectively, in order to solve each problem. The research results have been analyzed by using the restructured problem-solving coding system suggested by Montaque and Applegate(1993) and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spatial way of thinking suggested by Gersmehl(2006). As a result, there seem to be various procedures of settlement including the expression of one's personal belief and the selection of a solution, for the students who have solved the less-structured problems. Those students who have solved the less-structured problem seem to experience the high-level spatial way of thinking with diversity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geological data of KML spread through the Google-Earth, compared to those who have solved the structure problems. However, the number of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study is low, causing a limit to th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