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On the structure of fuzzy relations

        김태수 공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퍼지관계의 개념이 Zadeh에 의하여 처음 소개된 이후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연구 성과가 이루어져 왔다. 그 결과 Murali 는 한 집합 위에 퍼지 동치 관계를 정의하였고, Ovchinnkov는 합리적인 선택이론으로 부각되고 있는 Preference 퍼지관계의 구조를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를 사용하여 -correspondences 의 성질들을 다루었고, 또한 한 집합에서의 -relations를 특성화 하였다.

      • All-IP네트워크에서의 DDoS 공격 분석 및 역추적을 위한 분석 시스템 설계

        김태수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All-IP 네트워크 환경이 구축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트래픽이 송수신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공격이 급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능동적 대응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All-IP 네트워크 환경을 중심으로 DDoS 공격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공격 근원지 정보를 역추적(Traceback)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SPIE 및 Sinkhole 기반 라우터 기법의 장단점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안된 방식이므로 앞으로 널리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All-IP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역추적 방식이라 판단되며 기존의 SPIE 시스템보다 훨씬 간소화된 방식을 통해 전체 망을 관리/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토콜 구조 및 Manager 기반 시스템 구조를 활용하여 보다 개선된 역추적 시스템으로 발전이 가능한 핵심구조이며 무선 네트워크 및 VoIP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 환경에 적용 가능한 핵심 모듈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법을 이용한 경우 최소화된 Bloom filter 값으로 장기간 패킷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공격 발생 시 단위 네트워크 내 라우터에 대한 관리 구조를 제공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공격 탐지 및 제어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An advanced and proactive response mechanism against diverse attacks on All-IP network should be proposed for enhance its security and reliability on open network. In this study, we studied and proposed a new IP traceback mechanism on All-IP network environments based on existing SPIE and Sinkhole routing model when diverse DDoS attacks would be happen. The effects of proposed mechanism can be excellently evaluated compared with existing mechanism as it has adopted the strength of existing two mechanisms, SPIE and Sinkhole routing mechanism Additionally proposed mechanism extracts the common core mechanism from existing SPIE system. And it combines the Sinkhole mechanism with SPIE system model. Therefore, we can provide efficient IP traceback mechanisms on All-IP network environments. If anyone use the proposed mechanism on his/her own mechanism, more advanced mechanism such as secure wireless network or VoIP service system can be efficiently constructed because this mechanism provides simplified core module including management system. In this study, we can develop an advanced Bloom Filter mechanism just requiring optimized small size of memory for storing the hash value on each IP packets. And efficient network management and controlling mechanism can be provided on router group on several size of local networks.

      • 항공기 가스터빈엔진의 진동 스펙트럼 분석을 통한 진동감쇠 방안

        김태수 한국항공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진동이란 기준위치 주위에서 일어나는 주기적인 흔들림이다. 일반적으로 진동측정을 하는 목적은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를 구하거나 여러 기타 목적에 따라 유용하게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항공기나 엔진 시운전실에서 측정하는 진동은 안정성의 확보와 엔진의 유지 보수적인 측면에서 엔진의 상태진단의 판단 기준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기본적으로 항공기는 사고 발생시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판단의 근거로 제시되는 자료들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먼저 이루어 져야 하며, 자료의 모니터링시 유효한 자료 및 무효한 자료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정비사가 다음 어느 시점에 어떤 행동을 취하고 계획을 세울수 있게 한다. 항공기 엔진의 경우 가속도계로 진동을 측정하게 되고, 필터링되며 이를 모니터링 한다. 그리고, 현대 제트 엔진에서 발생하는 임발란스(Imbalance) 진동은 RPM의 증가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항공기에 사용하는 엔진 진동 모니터링(EVM) 시스템을 소개하고, 실제 측정된 진동 신호와 임발란스 진동을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해소 할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엔진 성능측정을 위한 시운전시 엔진의 회전에 따른 진동 및 신호의 유형을 분석 및 감시하며, 각 부분품이 진동에 미치는 특성 및 원인을 조기에 발견 할 수 있는 판단의 근거 자료로써 사용 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The airborne EVM(Engine Vibration Monitoring) system uses piezo-electric transducers(accelerometers) to sense engine vibration. The charge signal generated by the accelerometers is then wired through special low-noise cabling to the EVMU. The signal processing is provided by the EVMU, which extracts the relevant information from the total vibration signal provided by the accelerometers. The area of interest in airborne engine vibration monitoring is relatively limited and confined to the once-per-revolution vibration (out-of-balance) of the engine shaft(N1 and N2). The reason for this limited monitoring is that experience has shown that for all modern turbofan engines, the monitoring of these vibration components is sufficient as a criterion to determine the safety margin in order to avoid a catastrophic engine failure. In other words, all engine failure modes that could lead to a catastrophic engine failure will first of all lead to an increase in out-of-balance vibration. This primary goal of the this paper is to summarize the feasibility of detecting vibration abnormality on the commercial aircraft engine by means of the spectral analysis method. During the operation of turbofan engine, blade natural frequencies coupled with shaft torsional natural frequencies, which may then be measured. However, the problem is to determine whether how much vibration from an enigne is "normal" or it is real vibration. This can be determined through experience from operating a given engine type with spectral analysis. Through this study, the paper shows that the vibration estimation is an effective tool to obtain unbalance engine movement.

      • 고상-액상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위성부품 열제어장치에 관한 연구

        김태수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상-액상 상변화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을 이용한 위성부품 열제어장치를 설계 및 제작하였으며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며, 온도제어 성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목표한 설계온도에 부합하는 n-Hexadecane을 PCM으로 선정하였으며, 1차 시제품 EM-01을 설계/제작하여 밀봉시험과 가시화시험 그리고 고진공 열환경챔버 내에서 열성능 시험을 수행하였다. 열성능 시험을 통해 온도의 상승과 하강을 지연시키는 열제어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치해석을 통하여 실험에서는 직접 확인할 수 없었던 내부 PCM의 상변화를 예측하였다. EM-01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대안을 적용한 2차 시제품 EM-02를 설계/제작하였다. 2차 시제품은 Knife Edge Sealing을 이용하여 밀봉하였으며, 낮은 열전도도를 보완하기 위하여 내부에 전열휜을 설계하였다. 위성에서와 동일한 열제어 환경을 고려하기 위하여 발열부품과 방열판을 히트파이프로 연결하고 그 사이에 PCM 열제어 장치를 열적으로 병렬 배열하였다. 성능비교를 위하여 동일한 형상의 열적완충질량(TBM, Thermal Buffer Mass)도 제작하여, 주기적인 가열-냉각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EM-01의 문제점을 보완한 PCM의 열제어 자치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TBM 질량의 약 70%의 PCM 열제어 장치만으로도 성능을 대체 할 수 있었으며, 냉각기에도 잠열에 의하여 온도하강 속도를 지연시킴으로써 보온히터의 소모전력을 절감됨을 확인하였다

      • 가시설 흙막이 부재용 Flange-Web 보강강관의 구조적 성능 실험

        김태수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반을 굴착하기 위한 흙막이 가시설은 지반의 붕괴를 막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가시설 구조물이 지반 굴착 시에 방해요소가 되어 공기 지연과 공사비 상승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버팀보 및 중간말뚝의 설치 간격이 넓어지면 가시설의 방해를 받지 않고 공사를 진행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보재로 널리 쓰이는 H형강과 원형강관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F-W보강강관 구조체에 대한 구조적 성능을 분석하고 설계 시에 가시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F-W보강강관 구조체는 비등방성 형상인 H형강과 등방성 형상인 강관을 조합한 후, 원형강관 외부에 보강 부재를 결합시킨 것이다. 이 구조체가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및 띠장으로 활용될 시에 구조적 성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설계 현장 34개를 대상으로 구조 검토를 하였다 그 결과, 버팀보의 설치 간격이 5.0m인 경우 70%의 조사 현장에서 설계 축력 값이 1,000kN 이내로 발생하는 것을 구조 검토 결과 확인하였다. F-W보강강관 구조체의 성능을 실질적 관점에서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 실험 및 해석을 하였다. 구조성능 실험은 휨 및 압축 실험을 하였으며, 실험과 동일한 조건을 모사하여 구조 해석을 한 후 상호 비교 평가하였다. 휨 실험 결과, Web 보강재와 보강재 사이의 Flange에서 국부적인 변형이 먼저 발생하고 이차적으로 원형강관에서 변형이 발생하였다. 최대하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Flange는 재료의 강도와 단면적이 클수록 최대 하중이 커졌으며, Web 보강재는 재료의 강도보다는 단면적이 확대되었을 때 최대 하중이 높아졌다. 압축 성능 실험 결과, 원형강관에서 변형이 발생하여 Web 보강재 수량 증가에 따른 하중의 증가는 크지 않았고, Web 보강재 설치 수량보다는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이 더 많은 하중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Web 보강재를 2개 설치하는 것이 설계 하중 1,000kN의 하중에 가장 효율적인 구조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험과 해석 값을 비교 검토한 결과, 부재의 탄성 범위 내에서는 실험 및 해석 값의 하중-변위 곡선이 유사한 경향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F-W보강강관 흙막이 현장 3개소에 H형강, 원형강관을 적용하여 설계값을 비교하였다. H형강과 원형강관 버팀보 간격이 2.5m~3.0m인 경우와 F-W보강강관 버팀보의 간격이 4.5m~6.0m로 설치되었을 때 부재의 안전율이 거의 비슷하게 나타냈다. 부재의 안전율이 유사하다는 것은 F-W보강강관을 적용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며, 실험 결과 및 현장 적용성을 통해 F-W보강강관의 구조적 안전성 확인 및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 저온 대기압 DBD플라즈마를 이용한 고수 씨앗의 발아 및 생장성 연구

        김태수 광운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기압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생물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현재 플라즈마가 생체물질에 끼치는 영향이 많은 부분 진행된 것은 사실이나 아직 부족함이 있다. 또한 농업 분야에서의 플라즈마 응용 연구는 시작하는 단계로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광운대 PDP 연구센터에서 제작한 저온 대기압 DBD 플라즈마를 바탕으로 두 종류의 DBD 플라즈마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디밍 타입 DBD 플라즈마는 크기별로 각각 35mm와 90mm 지름의 DBD 플라즈마의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플라즈마의 전류, 전압 파형을 측정하고 OES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전자 온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자 온도가 약 0.7∼0.8eV, 샘플에 전달되는 초당 에너지가 mJ/s 단위로 나왔다. 또한 DBD 플라즈마를 직접 고수(Coriandum sativum) 씨앗에 적용해보았다. 고수 씨앗은 난발아 식물로 알려져 왔다. DBD 플라즈마 처리 후의 고수의 발아율을 측정해 보고 그 결과 질소 플라즈마에서의 발아율이 높게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발아 현상을 측정하기 위해 총 단백질 양을 측정해 보았고 플라즈마에서 총 단백질의 양이 증가함을 보았다. 마지막으로 플라즈마 처리 후의 고수 씨앗의 표면을 관측하여 변화를 살펴보았다. After the techniques for generating plasma at atmospheric pressure developed, application of plasma to biological field has been actively studied.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 of plasma on the biological materials in agricultural field.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the electr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non-thermal atmospheric pressure plasma and its effects on germination and growth of a vegetable plant, Coriandum sativum. Among the non-thermal atmospheric pressure plasma devices fabricated by Kwangwoon research team, DBD type plasma with micro-electrodes, was used in this study. In addition, we analyzed the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two dimming-type DBD plasma, which has 35 mm and 90 mm diameter. We measured source's voltage, current,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OES) spectrum, and electron temperature. We have investigated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coriander, a plant known to have low germination rate, after plasma treatment. As a result, germination rate was increased after N2 DBD plasma treatment. Total protein level in seeds was slightly elevated after plasma treatment. Seed surface structure analyzed by SEM was also modified after plasma treatment.

      • Analysis of the Chemisorbed Atomic Oxygen on Epitaxial Graphene Using 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 주사 터널링 현미경을 이용한 그래핀 위 화학적으로 흡착된 산소 원자의 특성 분석

        김태수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Chemical modification of graphene has been considered as an attractive approach for tuning the electrical property of it. Oxidation of graphene is one of the chemical modification studied for a long time, but detailed analysis of the oxidized graphene surface has never been achieved by now. For the high resolution analysis of the oxidized graphene, 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STM) was employed and epitaxial graphene was chosen because of its compatibility to ultrahigh vacuum condition. By cracking oxygen molecules during their deposition on graphene surface, chemisorption of atomic oxygen was achieved and identified by STM. The binding sites of atomic oxygen on epitaxial graphene were found to be dependent on the number of graphene layers due to the effect of stacking layer. In addition, substantial amount of oxygen atoms were not likely to be bound on graphene by epoxy bond, in contrast to previous belief. It was also found that adsorbed oxygen atoms could be either removed or hopped on the surface by injecting tunneling current at elevated bias using STM tip. The mechanism of this phenomena was concluded to be not related to local heating by tunneling current but resonant tunneling of the electron into the state present at +2.6 V. Detailed analysis using STM revealed that negative high bias more likely caused hopping due to the absence of such a state in negative range. Finally, scanning tunneling spectroscopy was tried on adsorbed oxygen atoms, and it was shown that oxygen on different binding sites seemed to have different density of state. 그래핀과 다른 원소의 반응을 통해 그래핀의 전기적 특성을 조절하는 것은 그래핀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작을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다. 이러한 반응들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산소와의 반응을 통한 그래핀의 산화 과정으로 특히 용액 상태에서 산화된 그래핀에 대한 연구는 수 년 전부터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나, 그래핀과 결합한 산소가 표면에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지에 대한 원자 수준에서의 연구는 지금까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왔다. 이는 원자 수준에서 표면을 분석하는 데 가장 적합한 도구인 주사 터널링 현미경이 용액 상태에서 산화된 시료를 분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인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일종의 모델 시스템으로서 초고진공 하에서 산소 원자와 반응시킨 그래핀 표면에 대한 연구가 최근 시도되기 시작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탄화실리콘(SiC) 을 초고진공 하에서 고온으로 가열하여 얻은 그래핀 표면을 산소 원자와 반응시킨 후 표면에 화학적으로 흡착된 산소 원자를 주사 터널링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산화된 그래핀 표면에서 그래핀 격자의 위치를 파악한 후 이로부터 산소 원자와 그래핀 사이의 결합을 이미지의 외삽 과정을 통해 추측하였다. 그 결과 대다수의 산소 원자가 에폭시 결합을 이루면서 그래핀 표면에 존재하리라는 이전까지의 예측과 달리 상당수의 산소가 다른 형태의 결합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주사 터널링 분광법을 통해 서로 다른 위치에 결합한 산소 원자의 상태 밀도(DOS) 를 분석한 결과 각각의 산소 원자를 결합 위치에 따라 분별할 수 있었다. 한편, 주사 터널링 현미경의 탐침을 이용하여 높은 전압과 높은 터널링 전류를 가함으로써 그래핀 위에 흡착된 산소 원자를 떼어낼 수 있었는데 산소 원자의 이탈이 일어나는 조건 분포로부터 산소 원자와 그래핀 사이 반결합 궤도함수와 관련되어 산소 원자와 그래핀 간 결합이 분리됨을 알 수 있었다. 결합이 분리되는 기작으로 예상할 수 있는 여러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전기장에 의한 에너지 및 터널링 전류에 의한 국소 가열 대신 반결합 궤도함수로 터널링되는 전자가 결합을 약화시켜 분리를 일으킨다는 가설이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 과정에서 터널링 전류의 흐름이 산소 원자의 이탈 대신 호핑(hopping) 을 일으키는 경우가 관찰되었고 이 현상은 표면에 가해진 전압이 음의 값일 때 보다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앞서 분석된 산소 원자의 이탈 과정과 비교를 통해 이러한 호핑 현상은 산소 원자와 그래핀 사이 결합 궤도함수에서 전자가 빠져나오는 과정과 연관되어 있으리라 예상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주사 터널링 현미경을 이용하여 그래핀 표면에 화학적으로 흡착된 산소 원자의 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래핀 표면 산소 원자의 결합 위치에 대한 본 실험 결과는 제일원리(DFT) 계산을 통해 검증될 수 있으리라 기대되며 유사한 실험을 용액 상에서 산화된 그래핀에 적용할 경우 산화된 그래핀을 소자로써 응용하는 데 필요한 물리적, 화학적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