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졸업앨범 작품분석 Analysis of Graduation Album works - 김정은의 자작곡 ‘찬바람’, ‘Favorite Moon’, ‘PIT A PAT’을 중심으로 -

        김정은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논문은 김정은의 자작곡 ‘찬바람’, ‘Favorite Moon’, ‘PIT A PAT’ 총 세 작품의 음악적 특징들을 분석하며 작품의 배경 및 소개, 작품의 형식, 가사 분석, 화성과 선율의 분석, 악기 구성과 특징을 작곡자의 의도와 함께 서술하여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서론, 본론, 결론으로 구분되며 본론을 1절에서 3절로 나누어 각 작품에 대한 분석을 서술한다. 본론에서의 작품분석 방식은 작품 소개, 작품 형식, 가사 분석, 화성과 선율의 분석, 악기 구성과 특징으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3곡의 작품은 각기 다른 장르적 특성들이 존재 하나, 분석의 순서와 방법은 동일하게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 서술된 작품들이 상기한 바와 같이 분석된 내용을 통해 작곡자가 작품을 통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와 각 작품이 지닌 음악적 특성에 대해 고찰해보기를 기대한다.

      • 북한 속도전청년돌격대의 등장과 역할에 대한 연구

        조주애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74

        본 연구는 북한의 속도전청년돌격대의 등장 배경, 조직, 역할 그리고 성과 등 속도전청년돌격대의 정책적 특성과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논문을 통해 속도전청년돌격대의 형성과 변천과정 그리고 현재 김정은 정권의 속도전청년돌격대 위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속도전청년돌격대가 등장한 배경에는 등장 당시의 북한 국내 정치 현황과 청년정책이 영향을 미쳤다. 북한에서는 매 시기 청년정책을 중요시해왔으며, 후계체제가 확립되는 과정이나 체제 위기가 가중되는 시기에는 특히 청년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었다. 북한은 정권과 체제 유지 그리고 권력승계를 위해 청년중시정책과 함께 청년에게 경제건설과 국방 등 중요한 역할을 부여해왔다. 1970년대 중반부터 김정일 위원장은 속도전 등 북한의 발전전략 지도를 통해 권력 후계자로서의 대중적 위상을 확고히 다져 나갔다. 먼저 청년운동의 관례인 ‘돌격대’와 김정일 위원장이 창조한 대중운동 방식인 ‘속도전’의 결합인 ‘속도전청년돌격대’운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속도전청년돌격대는 1974년 3월말 사회주의로동청년동맹(현 사회주의애국청년동맹) 전원회의에서 김정일 위원장이 지시한 속도전운동에 청년들이 앞장설 것을 결의함에 따라 1975년 2월 16일에 조직되었으며, 1975년 5월 16일 김정일 위원장의 지시에 따라 ‘4.25돌격대’가 ‘속도전청년돌격대’로 개칭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속도전청년돌격대는 군대와 같은 조직과 체계에 따라 청년들을 물길공사, 살림집 공사, 도로건설, 기념관 건설과 같은 일에 상시적으로 동원했다. 속도전청년돌격대는 창설 이후 지금까지 묘향산 국제친선전람관, 백두산영웅청년발전소, 청년영웅도로, 태천청년발전소, 미래과학자거리와 여명거리 등 근 350여개의 주요 시설·건축물을 건설했다. 특히 북한은 현대적으로 개발된 거리와 건물들을 ‘위대한 김정은 시대의 상징’, ‘만리마 시대의 자랑찬 창조물’이라고 선전하며 세상에 자랑하고 있다. 속도전청년돌격대는 돌격대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체계적인 집단이라 국가 주요 건설 현장에 앞장서 활발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단순히 돌격대의 역할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북한의 청년들을 후계 계승자로 사상교양하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과거 김정일 시대의 속도전청년돌격대의 비해 현재 김정은 시대의 속도전청년돌격대의 위상은 낮아졌으나 북한은 여전히 노동력 확보 차원에서 속도전청년돌격대를 조직해 건설 현장에 투입하고 있으며 삼지연시꾸리기 3단계 공사와 평양시 5만 세대 살림집 건설 등 북한의 주요 시설물에 투입돼 돌격대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주제어: 속도전청년돌격대, 청년동맹, 김일성-김정일주의청년동맹, 사회주의애국청년동맹, 김정은시대 청년정책

      • 배경으로 살펴본 먼로독트린

        김정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1823년 12월 2일 미국 대통령 먼로는 의회에서 연례교서를 발표했다. 이중 외교문제에 대해 언급한 내용은 이후 먼로독트린으로 명명되었다. 먼로독트린은 당시 아메리카 대륙으로 세력을 확장하고자 하는 유럽 세력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표명한 외교원칙이었다. 이러한 먼로독트린은 미국이 건국 초기부터 외교의 방향으로 추구해왔던 고립ㆍ중립주의(isolationism-neutralism) 정책의 완결판이며 19세기 미국 외교의 방향을 제시한 중대한 선언이라 평가받는다. 그동안 먼로독트린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각도에서 시도되었다. 퍼킨스(Dexter Perkins), 윌리엄스(William Appleman Williams), 메이(Earnest R. May), 아몬(Harry Ammon) 등 많은 학자들이 연구하였으나 각각의 연구는 일정한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본고는 먼로독트린에 대한 기존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시도에서 출발하였다. 먼저 먼로독트린을 논의하기에 앞서 초기 미국의 고립ㆍ중립주의 외교가 이상주의 외교라고 논의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건국 된지 얼마 안 된 신생국 미국은 국제무대에서 약소국이었으며 국내에서도 유럽 이민자들로 구성된 연방 국가였기에, 지역적인 대립을 피하면서 동시에 유럽세력이 아메리카 대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하기 위한 현실적인 대안으로 고립ㆍ중립주의를 채택하였다.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먼로독트린을 고립ㆍ중립주의 외교원칙의 완성판으로 보았던 기존의 관점을 재고해 보아야 한다. 먼로독트린에 대한 검토는 먼저 발표될 당시 미국의 국내외적인 정치 상황을 살펴보는 것에서 시작하였다. 국내적으로 미국은 경제적ㆍ영토적 팽창의 시기였다. 경제적으로 다른 국가와의 교역이 확대되었으며 산업이 급격하게 발전하였다. 이러한 급격한 경제적 팽창으로 미국은 1819년 경제공황에 처하게 되었다. 1803년 루이지애나 매입을 시작으로 하여 1819년에는 플로리다를 획득하는 등 먼로행정부는 미국 서부팽창시기의 한 가운데 있었다. 하지만 영토적 팽창은 새롭게 편입되는 주가 노예주인가 자유주가 될 것인가를 두고 지역적인 대립을 불러왔다. 결국 미주리 대타협(Missouri Compromise)으로 연방의 해체 상황은 피했지만 여전히 지역적인 대립은 존재했다. 이러한 지역적인 대립 양상은 다가올 1824년 대통령 선거에서 후보들 간의 경쟁으로 더욱 극대화되었다. 각 지역 후보자들은 자신이 대표하는 지역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해 노력했다. 미국 내부에서 당파와 파벌이 형성되었고 미국은 분열되고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정책지도자들은 미국의 영토적ㆍ경제적 팽창에서 만큼은 일치된 의견을 보였다. 당시 국제적인 정치 상황은 국내 문제 만큼 복잡했다. 유럽의 문제에는 초연하고자했던 미국이었지만 유럽의 정치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을 수 없었다. 러시아는 계속 남하하면서 국경문제를 일으키고 있었고 스페인이 혁명에 휩싸이게 되면서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은 독립을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유럽세력은 신성동맹(Holy Alliance)을 결성하여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독립을 저지하고자 했다. 이상적ㆍ경제적ㆍ영토적인 이유로 미국은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독립을 인정해주어야 한다고 판단했고 결국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독립을 인정해 주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1823년 여름, 영국이 미국에게 동맹을 제안해 왔다. 이는 미국 외교의 방향을 결정지을 의미 있는 사건이었다. 팽창을 원하는 대부분의 정책결정자들은 미국이 기존의 고립ㆍ중립주의 외교원칙을 깨고 영국과 손을 잡을 경우, 국제무대에서 발돋움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국무장관이었던 존 퀀시 아담스(John Quincy Adams)는 영국의 제안에 반대의 입장을 보였다. 아담스는 영국이 미국에게 접근한 것은 미국과 손을 잡고 라틴아메리카를 공동 방위한다는 명분으로 미국의 라틴아메리카 진출을 막으려는 속셈이라고 다른 정책지도자들을 설득했다. 결국 아담스의 의견은 다른 정책결정자들에 의해서 받아들여졌다. 영미동맹은 분명 미국에게 큰 매력으로 작용했지만 영국을 쉽게 믿을 수 없다는 아담스의 의견은 설득력이 있었다. 이는 팽창이 중요한 시점에서 쿠바와 텍사스를 미국 영토에 편입하는 것은 각료들 모두에게 중요한 사안이었고, 영국과 동맹을 맺을 경우 이로 인해 쿠바와 텍사스 지역으로의 팽창을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지 모른다는 아담스의 주장에 다른 정책결정자들이 동의한 것이라고 보여 진다. 아담스는 라틴아메리카 문제는 다른 유럽 국가들이 관여되어 있기에 이 문제에 대한 원칙적이고 기본적인 미국의 입장을 천명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그는 영국과 동맹을 맺지 않고 홀로 행동하는 것이 라틴아메리카의 신생 독립국에 대한 영국 및 유럽 국가들의 영향력 확대를 막고 그 지역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는 길이라고 설득했다. 아담스는 당시 미국이 처한 국내외적인 상황 속에서 고립ㆍ중립주의의 외교원칙을 깨뜨리지 않으면서 실제적인 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방안을 강구하였다. 미국은 경제적 팽창과 영토적 팽창이라는 목표를 추구하며 유럽에 의해 주도되는 국제상황에 얽혀 들어가지 않을 그런 외교정책이 필요했다. 이에 미국은 표면적으로 고립ㆍ중립주의라는 이상적이고 도덕적인 외교원칙을 지속하면서 내부적으로는 아메리카 대륙으로의 팽창을 도모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 실리적인 외교정책을 마련하였다. 이렇게 탄생한 것이 먼로독트린이다. American president James Monroe declared a annual message to Congress on December 2nd in 1823. This specific message about the diplomatic relations was named as Monroe Doctrine from that time on. With the Monroe Doctrine America informed the European's nation's that they could no longer expand their power into the Western Hemisphere. This was the completion of isolationism-neutralism being pursued as a principle diplomatic policy from the beginning of the nation, and this is appraised as the most important declaration on American diplomatic policy. The Monroe Doctrine was interpreted by the various view points. Although Dexter Perkins, William Appleman Williams, Earnest R May, Harry Ammon studied about the Monroe Doctrine, each of the study has certain limitations. This study tries to give a new light on the nature and background of the Monroe Doctrine, overcoming the shortage of the previous. Before I discuss of the Monroe Doctrine, I briefly want to explain the principle of America's early diplomacy policy, which can be summarized as Isolationism-Neutralism. New-born America was weak internationally and consisted of the immigrant people from European; therefore, they had to choose Isolationism-neutralism as a practical counterproposal to avoid the influence of European power into America. Examination about the Monroe Doctrine needs to include the international and territorial problems at that time. America was going through the period of economic and territorial expansion. America confronted an economic panic in 1819. Starting with the purchase of Louisiana in 1803, again Florida in 1819, Monroe Administration was in the middle of western expansion period. However, this territorial expansion brought a national confliction over slavery and freedom for the newly absorbed territories. Eventually, although the United States could avoid a confrontation through the Missouri compromise, there still existed a national conflict between them. Such conflict reappeared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Each candidate tried to speak for their own home town's benefit. America was divided by various political and regional sections. However, most of political leaders called for expanding territories. International political situation was similar to that of national situation. America had to be susceptible to political change in Europe. Russia caused boundary dispute as she was going down southward. Latin American countries announced their independence from Spain. Thus, European countries organized the Holy Alliance in order to stop Latin American countries from their independence. However, the United states was willing to give approval of the independence of Latin American countries. Summer in 1823, England offered the United States an alliance to block the influence of the Holy Alliance in the Western Hemisphere. Some politicians agreed to accept this proposal, thinking that it might be a good opportunity to keep America's interest. But, secretary of state John Quincy Adams, opposed to this proposal. He persuaded other politicians not to be deceived by England's strategy, which was to prevent America from reaching out to the Latin American countries. After all, his suggestion was accepted by other politicians. Although the alliance between England and America was attractive, Adam's argument that they couldn't trust the English was more persuasive. Since annexing Cuba and Texas was an important matter to all the Cabinet members, Adam's opinion that they had to give up Cuba and Texas if they had assent to the alliance with England was quite appealing. Adams persuaded other politicians that traditional policy of isolation and neutrality could Latin America. With the Monroe Doctrine, the United States was able to complete the traditional foreign policy of isolationism-neutralism, and to expand into the inner America continent.

      •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조직몰입에 관한 비교 연구 : 인천광역시 개인시설 및 법인시설 비교를 중심으로

        김정은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요 약】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조직몰입에 관한 비교 연구 - 인천광역시 개인시설 및 법인시설 비교를 중심으로 -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김정은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의 운영주체가 개인인 경우와 법인인 경우에 있어 종사자에 대한 조직몰입의 차이를 비교하고 총체적품질관리(TQM)구성요소가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통하여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조직몰입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궁극적으로 노인들에게 양질의 서비스의 제공하게 하여 노인요양시설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사대상은 2011년 1월 현재 인천광역시에 등록되어 운영되고 있는 노인요양시설 중 운영주체가 법인인 시설 10개소와 개인인 시설15개소의 종사자 각각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은 각 시설의 직원 중 사회복지사와 요양보호사가 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는 신뢰도 분석을 통해 설문조사에서 사용된 척도의 문항 간 내적합치도인 Cronbach's alpha값을 통해 신뢰도를 검증 하였으며,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설의 운영주체(법인, 개인)에 따라 조직몰입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지속몰입에 있어 차이가 있었다. 시설운영주체가 법인과 개인인 경우에 따른 종사자의 조직몰입 인식 차이를 구분해 보았을 때, 지속몰입 영역에 대해서 99% 신뢰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법인시설(M:3.09) 종사자가 개인시설(M: 2.83)에 종사자에 비해 지속 몰입 인식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시설 및 법인시설 구분 없이 전체적으로 TQM구성요소에 따른 영향요인을 전체대상자를 대상으로 조사했을 때 리더십, 교육훈련, 종사자의 참여가 정서몰입에 영향을 미치며, 종사자의 참여는 지속몰입과 규범몰입에도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시설운영주체에 따른 TQM구성요소에 따른 영향요인은 개인시설의 경우 종사자의 참여만이 정서, 지속, 규범몰입에 영향을 주었으며 법인시설의 경우 리더십은 정서, 지속몰입에 고객중심성은 규범몰입에, 종사자의 참여는 정서 및 규범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설 간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인 대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노인요양시설에서 조직몰입을 유도하여 경영성과를 창출하고 조직 운영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TQM 구성요소 중 종사자들의 참여와 활동이 가장 중요하다. 기관의 활동에 참여하고 기관의 의사결정과정에 참여를 통해 조직몰입을 방안을 시설들이 강구해야 한다.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나듯이 종사자의 참여는 개인 및 법인시설 모두 조직몰입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종사자들이 시설의 한 주체로서 기관의 활동과 운영에 참여할 때 조직몰입을 통하여 조직의 성과를 높이는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각 기관에서는 종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개선 및 혁신 아이디어를 받아들여 일터에서 시행되는 모습을 보여줄 때 조직몰입을 통하여 가족처럼 근무하게 된다. 둘째,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조직몰입을 위해 기관장의 리더십을 신장하고 적극적인 교육훈련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전체 시설 종사자의 경우 TQM 구성요소 중 리더십과 교육훈련이 정서몰입에 영향을 미치며 종사자의 참여는 정서, 지속, 규범몰입에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이는 기관장이 리더십을 발휘할 때와 교육훈련을 통한 기술의 다양성이 많을수록 조직 구성원간의 공감대를 형성하며 공동체 의식을 통해 몰입의 단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기술의 다양성을 확보를 위해 전문직의 교육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지원해주고 자신의 과업에 대한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격려 및 지원하는 교육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조직원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관리자를 통한 ‘조직의 관리적 지원’이 필수적이라는 사실이다. ‘조직의 관리적 지원’이라는 것은 조직원에대한 조직의 배려와 이해, 관심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직몰입 향상을 위해 중요한 것은 리더의 역할임을 인식하여야 하겠다. 본 연구에서 나타나듯이 법인시설 종사자의 TQM 구성요인 중 리더십 영역이 정서와 지속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는데, 시설장이 세운 명확한 서비스의 질(품질)의 목표를 가지고 있고, 직원에게 조직의 비전, 목표, 가치 등을 전달하려는 노력과 시설의 문제해결을 위해 장∙단기목표를 가지고 있는 시설장의 리더십 등이 종사자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인운영시설 종사자의 지속적 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노인요양시설 종사자 인건비가이드 라인이 마련되어야 한다. 법인운영시설의 경우 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 전에 정부에서 정해준 인건비 기준에 의해 임금이 지급되어 제도 시행으로 인건비 기준이 없어졌어도 기존의 체제를 유지하여 인건비를 지급하고 있으나 개인운영시설의 경우 별도의 기준이 없어 시설의 재정 상태에 따라 인건비가 지급되고 재정축소를 위해 정규직보다는 비정규직이나 일용직을 채용하여 고용의 불안정을 조장해 지속몰입이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근로조건과 인건비가이드라인 등을 정부가 정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TQM 구성요소 중 노인요양시설에서는 종사자의 참여를 높이고 기관장이 리더십을 발휘하며 지속적인 교육훈련을 통하여 전문성을 높이는 등 조직문화를 개선해 나갈 때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조직몰입을 통하여 바람직한 조직문화와 효과적인 운영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Association between plasma homocysteine levels and psoriasis : a meta-analysis

        김정은 Soonchunhyang University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Background Psoriasis is a multifactorial diseas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for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diseases. Elevated levels of homocysteine (Hcy) are a marker of cardiovascular risk. Several studies have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psoriasis and Hcy levels; however, the results remain inconclusive. Here,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meta-analysis to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soriasis and Hcy were performed. Methods Five scientific databases (MEDLINE, EMBASE, Cochrane Library, SCOPUS, and Web of Science) were searched to identify relevant studies. A review of 307 publications identified 16 studies that directly assessed plasma levels of Hcy in psoriasis patients. Results A total of 16 studies including 2,091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Hcy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soriasis patients relative to healthy controls (WMD 3.30, 95% CI 1.58–5.02, I2 = 82.1%; reference ranges for plasma Hcy level: 5–12 µmol/L). Subgroup analyses revealed significantly higher Hcy levels in patients with higher mean psoriasis area severity index (PASI) scores (WMD 2.86, 95% CI 0.74–4.99, I2 = 85.9%). Conclusion Psoriasis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Hcy levels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with higher levels seen in patients with more severe psoriasis. These data suggest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Hcy levels and psoriasis severity. Therefore, Hcy levels may represent an independent prognostic risk factor for severe psoriasis.

      • 중소병원 간호사의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정은 남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중소병원 간호사의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정은 지도교수 : 이은선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표준주의지침 인지도, 감염관리 조직문화 및 감염노출 방어환경이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광역시 소재 중소병원 재직 중인 경력 3개월 이상 된 간호사로 연구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202명이다. 자료수집은 2020년 6월 1일부터 2020년 7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도구로 표준주의지침 인지도는 2007년 개정된 미국 CDC의 표준주의지침(Siegal et al. 2007)을 정선영(2008)이 번안한 내용을 홍선영, 권영숙 및 박희옥(2012)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감염관리 조직문화는 박현희(2013)의 환자안전문화 측정 도구를 문정은(2015)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감염노출 방어환경은 한은옥(2009)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안진선, 김연하 및 김민주(2015)가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표준주의지침 수행도는 2007년 개정된 미국 CDC의 표준주의지침을 정선영(2008)이 번안한 내용을 홍선영 등(2012)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표준주의지침 인지도는 평균 4.51±0.42점, 감염관리 조직문화는 평균 5.95±0.89점, 감염노출 방어환경은 평균 4.05±0.61점, 표준주의지침 수행도는 평균 4.53±0.43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표준주의지침 인지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근무경력(F=3.27, p=.015), 근무부서(F=10.45, p=.00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조직문화의 차이는 근무경력(F=12.72, p=.005), 근무부서(F=14.67, 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감염노출 방어환경의 차이는 연령(F=3.25, p=.023), 근무경력(F=13.64, p=.003). 근무부서(F=13.85, p=.008), 감염관리전담간호사 배치여부(t=4.05, p=.044), 표준주의지침 매뉴얼 구비여부(t=4.22, p=.04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의 차이는 근무경력(F=9.67, p=.022). 근무부서(F=3.71, p=.00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대상자의 표준주의지침 수행도는 표준주의지침 인지도(r=.76, p<.001), 감염관리 조직문화(r=.71, p<.001), 감염노출 방어환경(r=.63,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표준주의지침 인지도(β=.63, p<.001), 감염관리 조직문화(β=.23, p<.001)이었으며, 이들 변수에 의한 표준주의지침 수행도 설명력은 65.6%이었다(F=54.36, p<.001). 본 연구 결과 표준주의지침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도, 감염관리 조직문화가 표준주의지침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병원마다 반복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표준주의지침 수행의 중요함을 인식시켜야하며, 긍정적인 감염관리 조직문화의 조성을 위한 끊임없는 내부에서의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주요용어 : 간호사, 표준주의, 수행, 조직문화, 방어환경

      • 결혼이주여성의 온라인 생활문화 쓰기 수업 사례연구

        김정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Case Study of Online Writing Class about Life Culture for Female Immigrants through Marriage Kim, Jeong Eun Major in Multicultur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real-time online writing class for female immigrants through marriage to examine the online class from the viewpoint of the learner group, the effect of real-time online culture writing class, and their understanding of culture demonstrated through the clas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real-time online writing courses for female immigrants through marriage. To this end, 11 female immigrants through marriage who were taking a Korean course for beginners at **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located in Gyeonggi-do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fter 14 sessions of the course,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e participant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real-time online courses for female immigrants through marriage,"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immigrants through marriage demonstrated from real-time online writing courses," and "the understanding of culture through real-time online writing courses using culture" into sub-categories. After examining "the patterns of the female immigrants through marriage demonstrated from the real-time online clas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ble to attend the courses consistently due to the autonomy of the space and the free time. Second, the female immigrants through marriage showed high interest in the online class as they were able to learn Korean while taking care of their children. Third, due to COVID-19, those with unvaccinated children or who were in the postpartum period after having a baby found the online course safer. However, the research subjects had difficulties answering questions in Korean during the class. The beginners felt pressure for answering questions. Lastly, the comfort of staying at home rather made it difficult for them to concentrate and participate in the class. After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real-time online culture writing courses for female immigrants through marriage and offline writing cours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offline courses were more efficient and better participated as the students were able to respond quickly and exchange feedback in a flexible way. Second, the students were able to better concentrate while writing within a limited time in the real-time online class compared to offline courses. Third, the students were given similar levels of help in selecting vocabulary suitable for the context and correcting grammatical errors in both offline and real-time online classes. In addition, culture writing courses were well received by the students in terms of learning and cultural understanding aspect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real-time online writing class was optimal for independent learners when it comes to their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writing courses. As for "the understanding of culture through real-time online culture writing courses in the female immigrants through marriag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real-time online courses attracted more interest and response for allowing students to expand various knowledge backgrounds in class. Second, no clear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ttitudes and understanding of Korean life through culture in both offline and online classes. Cultural understanding through writing on various cultural characteristics received a positive response. Third, the offline class was more effective in giving a more realistic feeling as students can experience culture in pers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providing reference data for writing class that help understand Korean culture by revealing that real-time online culture writing class for beginner-level female immigrants through marriage can achieve both academic effect and cultural understanding. Follow-up research is expected to conduct a case study on writing courses for broader learning levels where various tools are used and the advantages of real-time online courses are integrated. Keywords: Real-time online class, writing class, female immigrants through marriage, life culture, writing 국문 초록 결혼이주여성의 온라인 생활문화 쓰기 수업 사례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다문화교육전공 김정은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시간 온라인 쓰기 수업 사례 연구를 통해 결혼이주여성의 관점에서 실시간 온라인 수업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이중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진행된 문화 글쓰기 수업을 통한 효과는 무엇이며, 문화를 활용한 쓰기 수업을 통해 결혼이주여성에게 나타나는 문화 이해 반응이 어떠한지 살펴봄으로써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실시간 온라인 쓰기 수업의 활용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기도 **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한국어 수업을 받는 초급반 결혼이주여성 11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14차시 수업 종료 후 심층 면담 중 반구조화된 질문지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결혼이주여성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특성’, ‘결혼이주여성의 실시간 온라인 쓰기 수업을 통해 나타나는 특성’, ‘문화를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쓰기 수업을 통해 본 문화 이해’에 대해 각각의 하위 범주를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나타나는 양상은 어떠한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공간의 자율성과 시간적 여유로 꾸준히 수업을 참여하며 학습할 수 있었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특성상 육아를 병행하며 수업을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상당한 호응을 나타냈다. 셋째, COVID-19로부터 안전하며, 특히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영유아 자녀들 둔 결혼이주여성이나 출산 후 산후조리 중인 결혼이주여성은 코로나에 대한 불안감에서 안전하다는 생각을 더 많이 하였다. 다만 질문에 대한 한국어 소통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초급반이기 때문에 질문에 대한 부담감이 컸다. 그리고 집이라는 공간의 장점은 편안함과 동시에 집중력에 대한 한계로 수업을 참여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느꼈다. ‘결혼이주여성의 실시간 온라인 쓰기 수업에서 진행된 문화 글쓰기 수업의 특성은 오프라인 쓰기 수업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쓰기 수업의 참여도와 효율적인 측면에서는 첫째, 오프라인 쓰기 수업이 빠른 대처와 유연한 피드백 가능해서 더 효율적이었다. 둘째, 제한된 시간 안에 쓰기 능력 수행 측면에서는 오프라인 수업보다 실시간 온라인 수업이 더 집중력 발휘가 높았다. 셋째, 맥락에 맞는 어휘 선택과 맞춤법 도움은 오프라인과 실시간 온라인 수업 모두 비슷하였다. 또한, 문화를 통해 쓰기 수업은 학습적인 측면과 다양한 문화 이해를 충족할 수 있는 부분에 좋은 호응을 나타냈다. 넷째, 친구 관계와 쓰기 수업 연관성 측면에서는 실시간 온라인 쓰기가 자립적 학습자에게 최적이었다. ‘문화를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쓰기 수업을 통해 결혼이주여성에게 나타나는 문화 이해 반응’에 대한 결과적 측면으로 첫째, 수업 내 다양한 지식 배경을 확장할 수 있는 도구 활용이 가능한 실시간 온라인 쓰기 수업이 더 많은 관심과 호응이 더 높았다. 둘째, 문화를 통한 한국 생활 태도와 이해는 오프라인 수업과 온라인 수업 모두 뚜렷한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양한 문화적 특성을 글쓰기를 통한 문화 이해는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셋째, 문화 수업에 대한 현장감은 오프라인 수업이 실시간 온라인 수업보다 직접적인 체험이 가능해, 현장감 측면에서는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초급 수준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시간 온라인 문화 활용 글쓰기 수업은 학습적인 효과와 문화 이해를 동시에 충족해 줄 수 있어, 한국 문화 이해 쓰기 수업에 참고 자료로 활용하는데 연구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의 수준별 대상의 폭을 넓히고, 다양한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사용과 실시간 온라인 수업이 가질 수 있는 장점이 반영된 쓰기 수업 사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핵심어: 실시간 온라인 수업, 쓰기 수업, 결혼이주여성, 생활문화, 쓰기

      • SAS Macro 시뮬레이션을 통한 Multiple Comparison의 검정력 측정

        김정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다중비교(Multiple comparison)란 다수의 집단들이 통계적으로 모두 동일한 특성을 가지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두 집단씩 짝을 지어 통계적인 검정을 실시하여 어느 집단끼리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 방법이다. 하지만 모든 가능한 짝에 대해 일정한 유의수준(예, 0.05)하에서 통계적인 검정을 실시하게 되면 전반적인 유의수준(overall level of significance)은 우리가 실제로 원하는 유의수준 0.05를 훨씬 초과하게 된다. 따라서 각 짝진 비교에서 얻어지는 관찰된 유의수준(observed level of significance, 즉, p-value)들을 보정(adjust)해 주어야 하는데 이것이 바로 다중비교 내용의 핵심이다. 분산분석(ANOVA)의 경우 다중비교 방법론이 많이 적용되고 있지만, r×c 분할표로 나타나는 범주형 자료의 경우, 전체 rc개 칸들을 대상으로 한 다중비교 방법은 아직 널리 사용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는 연구자들이 이 다중비교 방법을 알지 못하거나 이 방법의 유용성을 아직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데에도 일부 기인하겠지만, 또 한편으로는 범주형 자료의 경우 SAS나 SPSS 등과 같은 기존의 통계 분석용 프로그램들이 다중비교 방법을 손쉽게 설명되어 있지 않은 데에도 그 원인 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AS에서의 다중비교를 실시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이런 다양한 Multiple comparison Procedures(MCP)들을 SAS의 MULTTEST procedure를 사용한 macro 시뮬레이션을 통해 다양하게 조건을 변화시키며 검정들 사이의 Empirical Type Ⅰerror와 Empirical Power를 측정해보고자 한다. The MULTTEST procedure addresses the multiple testing problem. This problem arises when you perform many hypothesis tests on the same data set. Carrying out multiple tests is often reasonable because of the cost of obtaining data, the discovery of new aspects of the data, and the many alternative statistical methods. However, a negative feature of multiple testing is the greatly increased probability of declaring false significances. For example, suppose you carry out 10 hypothesis tests at the 5% level, and you assume that the distributions of the p-values from these tests are uniform and independent. Then, the probability of declaring a particular test significant under its null hypothesis is 0.05, but the probability of declaring at least 1 of the 10 tests significant is 0.401. If you perform 20 hypothesis tests, the latter probability increases to 0.642. These high chances illustrate the danger in multiple testing. PROC MULTTEST approaches the multiple testing problem by adjusting the p-values from a family of hypothesis tests. An adjusted p-value is defined as the smallest significance level for which the given hypothesis would be rejected, when the entire family of tests is considered. The decision rule is to reject the null hypothesis when the adjusted p-value is less then. So I want to introduce how to carry on multiple comparison through SAS in this study. Also, I want to measure Empritical TypeⅠerror and Empritical Power among theories resulted from Multiple comparison Procedures(MCP) through macro simulation using MULTTEST procedure of SAS on various conditions.

      • 교사 디지털 리터러시가 직무 만족과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정은 아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원격수업 운영 기간이 길어지고, 앞으로 쌍방향 온라인 수업이 확대될 시대상에 맞춰 교사 디지털 리터러시가 직무 만족과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디지털 리터러시와 직무 스트레스와의 상관은 존재하지 않았으나 직무 만족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교사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성별은 교사 디지털 리터러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연령, 경력 변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변인은 직무 스트레스에는 영향이 없었고, 연령 변인만이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사 디지털 리터러시가 직무 스트레스와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교사 디지털 리터러시 하위요인 중 기본업무활용능력은 직무 스트레스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교사 디지털 리터러시가 성별, 연령, 경력 변인 통제 하에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 디지털 리터러시의 하위요인 중 교육학지식활용능력만이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상황에 맞도록 더욱 정확한 교사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 도구를 개발하여야 한다. 둘째, 교사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의 설득력을 획득하기 위해 다양한 지역의 교사를 대상으로 추가적으로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 대상자의 주관이 들어가지 않고 환경적 요인에 구애받지 않는 측정도구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발달장애 고등학생 학부모의 자녀의 중등이후교육에 대한 인식 및 프로그램 요구

        김정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apid change and development of society have made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se intellectual performance and adaptative behaviors are severely limited difficult to adapt to the society only by school-aged education. Though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quire continuing education opportunities after high school, most of the them in Korea have no further learning opportunitie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the discussion on educational opportunity for the disabled has focused on school-aged education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or special education for preschool age. It is now necessary to discuss post-secondary education for adults who have graduated from high school. In this study, post-secondary education refers to the educational programs required for adulthood, which are available after secondary education, and suited to the age at which you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graduate from high schools(e.g. higher education, university education, adult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post-secondary education opportunities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parents regarding post-secondary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who are in the second or third grades at special high schools or the special classes in general high school. This questionnaire survey examined the perceptions and the needs of the parents regarding post-secondary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tending high school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city). As of October 2018, a total of 38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80 parent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44 special school and the special classes in 95 general high schools and the 238 questionnaire responses collected were used in statistical analysi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in three stages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frequency analysis,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he chi-square test, and the t-test according to the study question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on the parents' perceptions of the post-secondary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preferred career of their children after high school was 'Being enrolled in vocation-related program of vocational training center' and the least preferred one was 'Entering a general department of general university'. Regarding the reason for the post-secondary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after graduating high school,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omfort and satisfaction of their children who have difficulties in getting job immediately after graduating high school' and 'For required academic degree or certific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erning the difficulties in determining post-secondary education, 'Lack of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appropriate for child's educational level' showed the highest score and 'Absence of willingness of child to participate in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showed the lowest score. Secondly, concerning the parents' needs for post-secondary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preferred teachers we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or those certificated as special education teacher, followed by vocational rehabilitation instructor or vocation-related specialist, lifelong educator, social worker, professor specialized in special educa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appropriate education period where special school parents preferred 'over four years' while special classes parents preferred 'under 2-3 years'. All the parents wanted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to be the administration host of post-secondary education. Concerning the most needed additional support for post-secondary education, special school parents answered 'support for attendance' while special classes parents answered 'economic support' and 'support for counseling'. The most preferred environment by parents for the post-secondary education was local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followed by vocation training center, college, and university. The most preferred contents w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technical learning skill was least preferred. All the domains of contents showed mean of over 4.00, indicating that the parent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pect various contents. This is the first study to investigate the parents' perceptions and needs on post-secondary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to practitioners related to post-secondary education (such as special education teacher, lifelong educator,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instructor) by providing them with fundamental data needed to implement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and develop the contents. 오늘날 시대가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발전함에 따라 지적기능과 적응행동이 현저하게 제한되어 있는 발달장애인이 학령기만의 교육으로 이 시대에 적응하여 살아가기는 매우 어렵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발달장애인들은 고등학교 졸업 이후 성인생활 적응에 필요한 고등교육, 성인교육, 평생교육과 같은 중등이후교육(post-secondary education)을 체계적으로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제한되어 있다. 지금까지는 우리나라 특수교육 분야에서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 기회에 대한 논의가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의 학령기 또는 학령전기의 유아특수교육 대상 아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면, 이제는 고등학교를 졸업한 성인기 장애인에게까지 중등이후교육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특수학교 고등학교 과정 및 일반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고등학교 2학년 또는 3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의 중등이후교육에 대한 인식 및 프로그램 요구를 조사하여 발달장애 학생의 중등이후교육 기회를 확대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및 수도권(경기 및 인천) 지역에 소재한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의 중등이후교육에 대한 인식 및 프로그램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질문지 연구를 실시하였다. 2018년 10월 기준 서울 및 수도권 지역 특수학교 44개교, 특수학급이 설치된 일반 고등학교 95개교의 발달장애 고등학생 학부모에게 총 380부의 질문지를 배부하였고, 최종적으로 수합된 238부의 질문지가 통계처리에 활용되었다.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질문지로 3단계에 걸쳐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 처리 및 분석은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카이제곱검정,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자녀의 중등이후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을 알아본 결과, 발달장애 자녀의 고등학교 졸업 직후 희망 진로는 직업훈련기관의 직업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45.5%)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대학의 일반학과에 진학(2.5%)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녀에게 고등학교 졸업 직후 중등이후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고등학교 졸업 직후 바로 취업하기 어려운 자녀에게 심리·정서적 안정과 만족을 주기 때문에(특수학교 학부모 집단 M=4.39, 특수학급 학부모 집단 M=4.17)와 학위 또는 수료증 취득이 필요하기 때문에(특수학교 학부모 집단 M=2.38, 특수학급 학부모 집단 M=2.97)에서 발달장애 학생이 재학 중인 학교유형(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 결정 시 어려운 점은 교육적 수준에 알맞은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 부족(M=4.47)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자녀의 참여 의지 부족(M=2.56)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양한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발달장애 학생 본인을 대상으로 중등이후교육에 대한 인식 및 지원요구를 조사해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했다. 둘째, 자녀의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 요구를 알아본 결과, 자녀의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에 적합한 운영 주체는 국가·지자체(93.7%)가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부모가 선호하는 자녀의 중등이후교육 실시 장소는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 직업훈련기관, 전문대학, 4년제 대학교 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에 적합한 교육 강사는 특수교사 혹은 특수교사 자격증 소지자가 가장 높게 나타나 발달장애 학생의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 담당인력의 발달장애인에 대한 전문적 지식 및 이해여부가 중요시되고 있음을 나타냈다. 자녀가 재학 중인 학교유형에 따른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수학교 학부모 집단은 ‘4년 이상’을 가장 선호하고, 특수학급 학부모 집단은 ‘2-3년 미만’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이 적어도 2년 이상 운영될 필요가 있으며, 특수학교 학부모 집단은 자녀가 오랜 기간 동안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부모가 원하는 자녀의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 내용은 대인관계기술 영역(M=4.46)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능적 학업기술 영역(M=4.03)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녀의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 참여 시 희망하는 추가적 지원에서 특수학교 학부모 집단은 통학 지원을, 특수학급 학부모 집단은 경제적 지원과 상담 지원을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보아 발달장애 학생의 학부모는 자녀에게 중등이후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발달장애 학생의 교육적 수준에 알맞은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하며,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중등이후교육 기관도 사실상 미흡한 실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다양한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중등이후교육 지원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의 중등이후교육에 대한 인식 및 프로그램 요구를 조사한 최초의 연구이며, 이는 발달장애 학생의 중등이후교육 활성화에 관심을 환기시키며,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나 후속 연구의 촉진제로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