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계학습을 이용한 AF궤도회로 신뢰도 향상을 위한 연구

        김영중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레일을 전기회로의 일부로 사용하는 궤도회로는 열차가 위치하는 궤도회로를 점유할 때 차축 이 해당 궤도회로를 단락시켜 선로의 열차 유무를 검지한다. 궤도회로가 제공하는 정보는 신호기, 선로전환기, 연동장치와 같은 신호기기를 직간접적으로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궤도회로 중 가청주파수를 이용하는 궤도회로를 Audio Frequency Track Circuit(AF궤도회로)라고 한다. AF궤도회로는 차상신호용으로 사용되며 열차의 운행 및 제어정보를 코드화하여 현장설비간 유도무선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한다. 이를 통해 운행 중인 열차는 전방열차와의 운행간격, 해당열차의 지시속도 등을 차상에 전달받을 수 있으며, 제동장치에 직접 연결하여 신호를 무시하고 진입하는 열차를 자동으로 감속하거나 정지하게 하므로 열차 안전운행을 확보할 수 있다. 전기철도에서는 Switching Mode Power System(SMPS)을 이용하여 대규모 전력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SMPS는 고조파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고조파는 열차와 부급전선을 통해 변전소로 귀선되다. 귀선전류는 AF궤도회로 설비 중 미니본드를 거쳐 귀선된다. 이때 발생된 고조파들은 궤도회로 시스템에 간섭을 일으켜 열차검지를 불능인 계전기 부정여자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은 고조파 영향으로 인한 궤도회로 계전기 부정여자 방지를 위해 기존 Frequency Shift Keying(FSK)방식 수신모듈의 Micro Controller Unit(MCU) 알고리즘을 수정하여 고조파에 의한 부정여자 발생을 방지하고자 한다. 이 알고리즘은 열차감지를 못하게 하는 노이즈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여도 열차검지를 가능하게 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알고리즘의 학습은 기계학습방식 중 Multi-Layer Perceptron(MLP), Convolution Neural Network(CNN), Support Vector Machine(SVM), Auto Encoder를 이용하여 학습한다. 각각의 방식을 비교분석하였고 MLP, CNN, SVM가 성능이 좋게 나왔고 그중 속도가 가장 빠른 SVM을 가지고 실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제 실험에서 궤도회로 부정여자가 발생하였을 때 SVM모델은 정상적인 낙하로 성능 좋게 잘 분류한다. 따라서, 기계학습방식을 적용한 제안한 시스템은 종래 시스템 대비 우수한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 호텔從事員의 職務滿足에 관한 實證 硏究

        김영중 전주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Today's enterprises have faced the social, economic and technical environment. They have seen and experienced radical changes in the business paterns and extreme competitions in sales promotion to the extent. The patterns and competitions could not be compared with those in the past. These days, recognizing about the importance of Hospitality Industry is higer. Hotel management also has been developed as a root industry of Hospitality Industry and played on importanting role of multifunctional in economy, society and culture. In the 21st century, service industry, hotel industry particularly will been its golden age. Therefore, hotels must maximize management profiency by introducing the reasonable and scientific systems. The hotel industry takes for granted that they can meet the final business goal by way of the effective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However, the papers concentrated on the hotel employee's satisfaction have not properly come out in Korea. While the paters from abroad are not limited to the domains related only to the human resources, most of them are not dealing with the comprehensive matters which can cover the corelationship out of the job satisfaction. This study was focused on some problem to achive the hotel's business objectives as well as to satisfy the employe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factors for the hotel employee's Job satisfaction. In collection the data required for this study, I used both document analysis method and questionaire analysis method. For the anslysis of materials We had collected,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Was used. Here are the lists of analysis used in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study for the variables of population and general.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T-Test, ANOVA,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the test different with variables of population and general. The effeective study is necessary to improve personnel management through the Employee's Job Satisfaction. It is urgent to develop a practical evaluation method for the hotel management effectiveness and to do studies of different sectors of the personnel management business.

      • Approximate Design Methods for Nonlinear Robust Control and Their Applications to Mobile Robot

        김영중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presents three main themes for closed-loop optimal and robust control of nonlinear systems. The first is the composite control for the singularly perturbed nonlinear systems with respect to quadratic performance criteria via successive Galerkin approximation (SGA). The second is the parallel control for weakly coupled nonlinear systems via the SGA method. The last is the Daubechies orthogonal wavelet based Galerkin formulations for solving the first order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named Generalized-Hamilton-Jacobi-Bellman (GHJB, which is related to optimal control problems) and Generalized-Hamilton-Jacobi-Isaac (GHJI, which is related to robust H∞ control problems) equations. The one of the main contributions of the dissertation is to reduce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when the SGA method is applied to the high order systems. The other is to show that wavelet Galerkin approximation can be used to find solutions to the GHJB and GHJI equations, and the resulting control laws are stable and converge to the optimal and robust H∞ control laws. In order to verify effectiveness, the proposed SGA algorithms are simulated on several numerical examples, and the performance of proposed controllers using the wavelet Galerkin method is evaluated with the kinematic models of an underwater vehicle and a nonholonomic mobile robot. Moreover, a real-time implementation of the posture control strategy is developed for a mobile robot named Pioneer 2-AT, and comparative tests are executed. The effectiveness and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robust control law using the wavelet Galerkin method is demonstrated experimentally. The proposed algorithms are the novel practical methods that provide arbitrarily close uniform approximations to the optimal and robust control, while simultaneously guaranteeing closed-loop asymptotic stability and robustness.

      • Analysis of elimination and substitution reaction during the amination of poly(vinylchloride) with ethylenediamine

        김영중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포장재, 파이프, 장난감, 의료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PVC는 전 세계적으로 세 번째로 가장 많이 쓰이는 범용 플라스틱으로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고 있어 폐기처리 시에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이 생성되어 많은 논란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오랜 시간에 걸쳐 재활용과 관능화를 위한 연구가 시도되어 왔다. 반응성이 강한 에틸렌디아민(EDA)을 이용해 PVC의 아민화해 새로운 물질을 합성하거나, 촉매로 사용되는 연구들이 발표되어왔다. 또한 염기를 사용한 Cl원소의 제거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들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선행연구들에서는 PVC와 에틸렌디아민 간에 구체적인 실험온도 및 수율을 명시되어있지 않다. 또한 치환반응이 일어남에 따라 필수적으로 진행되는 제거반응에 대한 언급을 찾을 수 없다. 높은 아민화율은 메틸기, 알킬기의 도입을 통해 4차 암모늄을 가지는 이온교환막으로 사용이 될 수 있으며 높은 탈염화율은 PVC의 폐기에 뒤따르는 환경적인 논란을 해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PVC를 99% EDA, 80% EDA 수용액과 PVC의 THF용액과 99% EDA 용액을 사용해 상온에서 85 ℃ (THF 용액의 경우 65 ℃) 에 따른 반응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상온, 50 ℃, 75 ℃에서 PVC 멤브레인을 99% EDA, 80% EDA 수용액과 반응시켰다. 용액의 농도와 온도에 따른 구체적인 아민화 반응과 제거 반응의 수율을 도출하였다. FTIR과 SEM 분석을 통해 반응의 유무를 확인하였고 UV-visible spectroscopy를 사용해 온도에 따른 제거반응의 효율을 확인하였다. 또한 XPS 분석을 이용해 원소의 함량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아민화율, 제거반응율 및 Cl의 최종 제거율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최대 17.5%의 아민화 반응과 98%의 Cl원소 제거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민화 반응물은 전구체로 사용되어 이온교환체의 합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98%의 Cl원소 제거율은 PVC의 폐기처리에 뒤따르는 환경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은행산업의 효율적인 자산관리 : 가계대출을 중심으로

        김영중 한밭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1980년대의 세계적인 금융자유화와 개방화의 영향으로 우리정부도 금융규제환화와 자유화정책을 시행하게 된다. 1990년대부터 본격화된 금리자율화로 은행들은 금리위험에 노출되었으며, 금융시장의 개방과 외환 자유화는 금용기관들을 전통적인 은행위험인 신용위협외에도 시장위험, 환율위험 등 새로운 위험에 노출시키게 되였다. 또한 1957년 외환위기와 IMF 구제금융은 국내 금융기관의 경영과 자산관리 방식을 획기적으로 변모시켰다. 은행들은 리스크 관리와 BIS 자기자본비율을 맞추기 위해 자산중에 가계대출 비중을 높였다. 가계대출의 수익성은 기업대출보다 크고 고정이하 여신비율은 현저히 낮다. 정부는 경기활성화를 위한 저금리정책과 부동산 매매규제를 완화하였으며, 가계는 저금리와 높아진 담보대출비율등으로 주택구입이 쉬워졌다. 따라서 가계대출을 급속히 증대되였고, 일부 지역의 부동산가격은 폭등하였다. 정부는 부동산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은행 가계대출 억제정책을 추진하게 된다. 급속히 증가한 가계대출과 급격한 일련의 가계대출억제정책들은 가계의 부실과 신용불량자의 급증을 초래하게 된다. 이제는 가계대출이 금융기관의 건전성을 위협하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IMP사태, 은행파산과 합병, 가계대출의 확대와 가계파산 등 변동성과 블확실성이 증대된 금융시장의 변화와 국내은행의 자산관리의 변천, 현황 등을 분석하고 은행에서 선택할 수 있는 효율적인 자산관리는 어떤 것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제 2장에서는 우리 나라 은행자산관리의 실태파악을 위한 이론적 근거와 은행의 자산관리 인식변화, 그리고 은행자산관리의 변천과 자산부채 종합판리, BIS 자기자본규제, 위험요소와 종류 등을 살펴보았다. 금융기관 구조조정 이후 달라진 은행의 대형화와 겸업화, 리스크관리 시스템 구축현황파 위험종류별 관리방법들을 정리하였다. 제 3장에서는 은행들의 소매금융 전략과 가계부채의 급속한 증가원인을 금융기관가계정부부문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가계대출의 연체현황과 신용불량자의 급증이 어디에 기인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가계대출의 위험도를 자산가격의 변동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제 4장에서는 은행의 자산포트폴리오 변화와 은행자산중 가계대출의 비율은 과도한 것인지 분석하고,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은 위험한 상황인지 선진국과 비교하였다. 또한 기업대출이 은행수익에 미치는 영향들을 분석하고 은행에서 선택할 수 있는 효율적인 자산관리는 어떤 것인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현행금리체계하에서 은행들은 자산의 수익성을 높이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가계대출을 증대시킬 수 밖에 없었다. 가계대출이 수익성은 높고 위험은 적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계대출에 여신이 편중되어 초래되는 금융위기틀 예방하기 위해서는 은행은 자산가격의 하락이나 금리상승 둥에 대비하여 담보에만 의존하지 말고, 개인의 신용에 대한 데이터틀 축적하여 신용평가기법을 개발하고 활용해야 할 것이다. 정부는 은행들이 위험이 제대로 반영된 금리체계로 운영하고 있는지 감독하고, 은행들이 위험을 분산하고 장기상환대출을 할 수 있도록 장기금융시장과 유동화시장을 활성화시키는 노력을 하여야 한다. The financial system in Korea has been undergoing a dramatic change, especially since the financial crisis.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strategies of the efficient asset management in Korean banking industry since financial crisis in 1997-98. For this purpose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ies and practices about asset management, the key issues in financial sector restructuring and liberalization, the major progress in the quality of risk and profit management, and also the strategies of asset management and policy implications. The world economy was turning to globalization and liberalization since 1980s. Outside and inside Pressures led the country to liberalize financial markets. The effect of liberalization in financial institutions did not strengthen competitiveness but weakened balance sheets by over-competition, risk enlargement and the complexity of risk management. The financial liberalization without adequate constraints increases credit risk, interest risk and exchange rate risk, and likely to bring about systemic financial crisis. Korean government had utiliged the policies of credit rationing, low interest rate and special credit rationing to influence the allocation of resources. Superrisory practices permitted excessive lending to a small number of clients-the chaebols. The banking industry had relied more on those implicit guarantees and borrowers' reputation than on analysis of risk and return and on careful superwision of its clients. But there has been major progress in the quality of management, credit analysis and risk management, and banking culture after financial crisis. Recently major improvement has been made in asset classification rules and the governance structure of financial institutions, and banks' BIS capital ratio. On the corporate side, there has been pressure of reduction in debt to equity levels, and banka made more critical assessments about the risk inherent in corporate finance and independent financing decisions. Accelerating corporate debt and financial restructuring, debt reductions in the required magnitude would seriously affect the banking sector's own capital adequacy. Por the purpose of improving profitability and decreasing asset risk, banks have been increasing loans to household and decreasing loans to firms. Further steps are needed to promote the oornpeiitiveness of financial industry. Banks should develop the asset and liability magement which deals with the efficient management of sources and uses of bank funds concetrating on profitability, liquidity, risk factors in a volatile economic environment.

      • 시민단체와 국회의원 보좌진의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조사

        김영중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A Study on the environmental understanding and policy development of assemblyman assistants and NGOs Young - Jung KimDept. of Environmental Health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Yonsei University(Directed by Professor Dong Chun Shin, M.D.,Ph.D)After researching of the understanding about the environment of two groups, assistant member of Assemblyman and general citizen group, this research have hold that the differences and common opinion of two groups, and decided the prioritized policy of environment policies and directions of trial and error. These two groups are 120 assistant members of 240 assemblymen( Uri-party, Great National Party, etc) and 120 citizen group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Green Korea United, etc), and the research was progressed by structured survey papers and the specific question of environment issues made by prior research which taken as source from environment experts and present environment policies.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s followingsFirst, the citizen group has high recognition of harmfulness of general environment issues and the concern of environment issues in usual time than the assistant members of assemblymen.Second, after researching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 pollution as related sectors, the recognition of seriousness of environment pollutions was very familiar withen two groups.Third, assistant members of assemblymen responded that the most needed section for improvement was an atmosphere, while the citizen group responses was nature surroundings and an ecosystem. Fourth, at the section about the increase of costs for environment preservation, the citizen group responded more positive answers than assistant group of assemblymen. it was regarded that costs have been considered as national costs not personal costs.Fifth, through the result of environmental pollution sec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al management of pollution substance, the citizen group responded more negatively, so it was considered that generally the citizen group have not trust national policy. Sixth, the citizen group responded the public health approach was more emergent at the environmental policy.Seventh, at the most emergent policy public health question, assistant group''s thought was the adoption of assessment of health harmfulness index, while the citizen group''s choice was the adoption of institution and management standard of environment.Generally the two groups have differences of the recognition of environment issues. As researching these difference of specific section, the problems of communication between two groups could be solved, and the citizen group''s opinion could be publicized and educated.It is desirable that various kinds of social class and citizen group''s opinions could be reflected as main measurements of environment problem managements and policies of government. 국문요약본 연구에서는 환경부의 정책에 대하여 입법부의 기능을 보좌하는 국회의원 보좌진과 일반 시민단체의 환경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두 집단간 의 의견을 파악하고 환경정책에서 우선적으로 시행하여야 할 환경정책을 제시하기 위하여 두 집단간을 대상으로 환경정책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 것이다. 조사대상을 국회의원 보좌진(열린우리당,한나라당) 120명과 시민단체(경실련,한국노총,민주노총,여성단체연합,녹색연합 등) 120명을 대상으로 2004년 11월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항목은 환경부의 정책과제와 환경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것들 중에서 주요문제로 판단되는 내용들 가운데 선정하였다.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시민단체와 국회의원 보좌진의 전반적인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시민단체가 정책을 집행하는 국회의원 보좌진에 비해 평소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의 경우도 관심도가 높고 전반적인 환경문제의 위해성을 크게 인식하고 있었다. 2. 환경오염 현상의 분야별 심각성에 대해 국회의원 보좌진과 시민단체간의 인식하는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농약 등에 의한) 토양 분야, 자연환경 및 생태계 분야, 산업폐기물 관리 분야, 환경문제 전반 분야에서는 매우 큰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3. 환경문제 중 최우선으로 개선해야 할 분야를 국회의원 보좌진의 경우 대기분야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고 있었으며, 이는 환경오염 관련 평가 분야에서의 심각성이 ‘매우 심각하다’라고 답한 대기 분야라고 답한 것과 일치하였다. 시민단체의 경우 환경문제 중 최우선으로 개선해야 할 분야를 자연환경 및 생태계 분야로 인식하고 있어서 집단(국회의원 보좌진과 시민단체)별로 환경문제 중 최우선으로 개선해야할 분야에 대한 인식에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4. 환경보전을 위한 비용 부담 동의 정도를 묻는 항목에서는 시민단체가 국회의원 보좌진의 경우보다 대체로 궁정적인 대답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비용 지불의 의사를 개인적인 비용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비용으로 생각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되어진다. 5. 환경오염관련 지표에 대한 신뢰도를 묻는 항목에서는 국회의원 보좌진의 경우 ‘보통이다’라고 가장 많이 응답한 반면, 시민단체는 ‘별로 신뢰하지 않는다’라고 응답하여, 두 집단간의 견해의 차이가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정부에서 오염물질 최대허용량을 정해 관리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효과도를 묻는 항목에서는 국회의원 보좌진은 ‘어느 정도 효과적이다’라고 가장 많이 응답한 반면, 시민단체는 ‘별로 효과적이지 않다’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위에 있는 두 문항으로 보면 국회에서 시행하고 있는 정책에 대해 정책집행자의 한 사람인 국회의원 보좌진의 경우 대체로 신뢰하는데 비해 그 반대로 시민단체의 경우에는 정책에 대해 신뢰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6. 환경정책결정의 학문적인 배경에 있어서 보건학적 접근이 얼마나 필요하다고 생각하느냐 하는 질문에서는 국회의원 보좌진의 경우보다 시민단체에서 ‘시급한 사안이다’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7. 환경정책 중 현재 가장 시급한 정책에 대해 분석한 결과 먼저 시행할 정책에 대해 국회의원 보좌진의 경우 환경오염으로 인한 인체 영향을 확률적으로 평가하여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방법론인 ‘위해성 평가’를 환경정책 전반에 도입하고자 하는 ‘건강위해성 평가 도입’을 하자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시민단체의 경우에는 환경보건정책을 위한 제도법률제정 방안과 건강에 입각한 환경기준을 선정하는 정책인 ‘제도 및 관리 기준’ 정책의 진행이 가장 시급한 과제로 제시 하였다. 8. 환경정책 중 건강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살펴본 결과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은 소음분야, 대기분야와 환경문제 전반의 심각도를 크게 인식 할수록 환경정책이 보건학적 접근 필요성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보건정책의 단계별, 연차별 추진계획에서는 일반국민의 건강에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환경오염물질들을 파악하고, 이로 인한 인체 영향을 평가하며, 다양한 환경문제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시키기 위한 환경보건 및 위해관리 제도를 확립하기 위해서 국내 환경보건정책 사업의 장기비전을 제시하고, 주요 사업 및 미래지향적인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핵심어 : 환경정책 인식도국회의원보좌진시민단체

      • 관광이벤트 자원봉사자 관리·지원에 관한 연구

        김영중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관광이벤트자원봉사자는 관광이벤트운영과 성공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개최성과에 크게 작용할 수 있는 요인이 된다. 특히 이벤트가 일회성으로 또는 한시적으로 개최된다는 특징 때문에 자원봉사자와 일시적으로 고용되는 인력에 대한 관리와 지원이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관광이벤트 자원봉사자의 전문화와 체계화를 시켜서 관광이벤트 개최시 효율적인 자원봉사자의 활용을 위해서 관광이벤트 자원봉사자의 관리체계와 지원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004년 8월 24일부터 10월 14일까지 약 50일간에 걸쳐 조사를 하였고, 총 182명의 조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실증연구의 설문지는 크게 6개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자원봉사 활동에 참가하게 된 동기에 관한 문항으로 12개의 문항이며, 둘째, 자원봉사자 교육에 관한 내용으로 4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셋째, 자원봉사활동 조직, 기관과의 관계에 관한 문항은 1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넷째,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의 인식과 만족에 관한 문항으로 12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자원봉사활동 후 관리에 관한 문항은 총 3개의 문항이며, 마지막으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6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팅(date coding) 과정을 거쳐, 사회과학조사 분석 패키지인 SPSS 10.0 for Window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기술통계를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사용하였으며, 요인들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크론바 알파(cronborch's alpha)를 사용하였다. 자원봉사자의 참여동기를 분석하기 위하여 t-test,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고,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의 인식과 만족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을 적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자원봉사 관리/지원체계가 평가/사후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관광이벤트 자원봉사자는 모집/선발과 교육/훈련, 보상/인정에서는 차이가 있게 나타났으며, 배치에 있어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관광자원봉사자 참여동기에서는 대부분 대학교 여학생이 대부분으로 능력개발과 흥미, 경력인정이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원봉사자 프로그램의 인식과 만족에 있어서는 업무에 대한 인식과 만족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보상/인정에 대한 인식과 만족정도는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정된 자료를 가지고 분석하였기에 자원봉사자 관리/지원에 관한 중요속성을 대표 할 수 없는 부분이 한계점이며, 조사대상이 대부분 여성과 대학생으로 구성되어 조사대상자가 한정되어 분석이 일괄적이지 못한 점이 한계점으로 남는다. 마지막으로 설문대상이 대부분 하나의 지역축제에 국한되어 있어 전반적인 자원봉사자를 대표할 수 없다는 것이 한계점으로 남는다. 향후 보다 체계적이고 신뢰성 있는 조사기법을 통하여 관광이벤트 자원봉사자에 대한 관리/지원체계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ishes to do it so that may do tourism event volunteer worker's specialization and systematization and construct tourism event volunteer worker's administration system and supporting system for efficient volunteer worker's practical use at tourism event holding. Examined during about 50 days from August 24, 2004 to October 14 to achieve purpose of this study, and chose total 182 investigation subject persons. Questionnaire of supporting research was consisted of greatly 6 part. First, it is 12 question about siblings which is taken part in volunteerism activity. Second, composed by 4 question to contents on volunteer worker education. Third, question about relation with volunteerism activity organization, institution was consisted of 10 questions. Fourth, composed by 12 questions by question about realization and satisfaction of volunteerism activity program, and question about administration is total 3 questions after volunteerism activity, and general characteristic of investigation subject person was consisted of 6 questions finally. Enforced t-test, ANOVA to analyze volunteer worker's participation motive, and appli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tc.. to search realization of volunteerism activity program and satisfaction's effect relation. Was proved that actual proof analysis wave and volunteerism administration/supporting system affect in estimation/A/S. Second, tourism event volunteer worker appeared as there is difference in recruitment/staffing and education/training, compensation/recognition, and difference did not appear in arrangement. Third, most university girl student appeared man-power development and interest, career human nature to bulk to bulk for tourism volunteer worker participation motive. Fourth, realization about business in realization of volunteer worker program and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appeared generally high, and realization about compensation/recognition and satisfaction degree appeared l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