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감사의견과 회계법인의 특성을 이용한 기업부실예측연구

        김경철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Corporate Failures not only affect on shareholders, bond holders and management inside the corporate but also affect on the entire society through chain-reaction bankruptcy of related business, severe unemployment, extinction of accumulated technologies and knowledge. Therefor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prediction of corporate bankruptcy to avoid unfavorable situations. However, the main data source of corporate failure predictions such as financial ratios in accounting statements exhibits too many weaknesses to be used in the failure prediction mode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effectiveness of non-financial information such as audit opinion and accounting firm's size in the prediction of corporate failures. This study analyz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financial ratios between bankrupt firms and sound ones among 35 financial ratio variables.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9 financial ratio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cluding current liability ratio, net income/sales ratio, sales/non-operating expense ratio, return on assets, total asset growth, operating income growth, net income growth, cash flow/sales ratio, cash flow/total debt ratio. Then, logit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whether audit opinion and accounting firm’s size would be useful for predicting bankruptcies through establishing the corporate failure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financial ratio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First, from the results of logit analysis in 2 years before the failure, audit opinion and accounting firm’s size were found not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obability of failures, meaning that they could not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predicting corporate failures. Second, from the results of logit analysis in 1 year before the failure, audit opin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he probability of failures. It means that audit opinion plays a role as useful information on possibility of corporate failures. However, the coefficient of accounting firm’s size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To sum up, audit opinion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ly in 1 year before the corporate failure while accounting firm's size do not in neither 1 year nor 2 years before the corporate failure. Additionally, based on the sample of bankrupted firms and sound ones, this study drew the score, which analyzed prediction errors to predict corporate failures. These results also confirm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that only audit opinion can be useful in the prediction of corporate failures, but accounting firm's size can not be. This study argues that not only the financial measures but also non-financial measures such as audit opinion can be useful in the prediction of corporate failures. This implies that audit opinion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corporate failures to investors. Unfortunately, this study employed the pair sampling method, in which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were selected by the author. Therefore, the arbitrary decision may exist in the analysis. Also, insufficient amount of data can be another limitation in this study. 기업의 부실화는 내부적으로는 주주, 채권자 또는 경영자에게 영향을 미치며 외부적으로는 관련업계의 연쇄부도, 대량실업의 유발, 축적된 기술과 지식의 소멸 등 사회전반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크기 때문에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기업의 부실가능성을 예측하여 사전에 이를 회피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기업의 부실예측에 사용되어온 재무제표에 나타난 재무비율 자료는 부실예측모형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 단점들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무적 정보를 기초로 하여 비재무적 정보인 감사의견과 회계법인의 규모가 기업의 부실가능성을 예측하는 데에 추가적인 설명력을 가지는 지를 연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35개의 재무비율 변수 중 통계적으로 부실기업과 건전기업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재무비율을 선정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유동부채비율, 매출액순이익율, 매출액/영업외비용비율, 총자산영업이익율, 총자본증가율, 영업이익증가율, 순이익증가율, 현금흐름/매출액비율, 현금흐름/총부채비율등 9개의 재무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재무비율을 기초로 기업의 부실예측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감사의견과 회계법인의 규모라는 비계량정보가 부실예측에 유용한 정보인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로짓(Logit)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부실 2년 전의 로짓분석을 실시한 결과 감사의견과 회계법인의 규모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기업의 부실가능성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실 1년 전의 로짓분석결과는 감사의견이 부실여부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사의견이 기업의 부실가능성에 유용한 정보로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회계법인의 규모는 로짓분석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보면 감사의견은 부실 1년전에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회계법인의 규모는 부실 2년전과 부실 1년전 모두 기업의 부실가능성에 유용한 정보로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실 1년전 부실기업과 대응기업을 대상으로 기준 score를 도출하여 기업의 부실여부를 판별하는 예측오차를 추가적으로 분석한 결과 또한 감사의견만이 정보효과가 존재하며 회계법인의 규모는 정보효과가 없다는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기업의 부실예측모형 설정 시 재무적 성격의 재무비율뿐만 아니라 비재무적 성격의 감사의견도 부실예측에 유용한 정보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이는 기업의 부실을 예측하는 데에 감사의견이 추가적인 설명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투자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표본추출시 쌍대표본추출법을 이용함에 따라 저자의 판단에 의해 통제기업과 표본기업을 선정하였고, 여기에서 저자의 자의성이 내재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데이터의 한계로 인해 부실기업이면서도 표본기업에 포함시키지 못한 기업이 있을 수도 있다는 점도 연구의 한계점으로 남는다.

      • 초등학교 교실수업과정에서 ICT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요인 분석

        김경철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ICT use is different by the teachers' backgrounds and how teachers' personal dispositions affect ICT use in the elementary classroom teaching. To accomplish the purpo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ICT use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s? 1-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ICT use by gender? 1-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ICT use according to teaching career? 1-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ICT use according to a charge grade? 1-4.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ICT use according to ICT study and training time? 1-5.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ICT use according to ICT ability? 1-6.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ICT use according to a schoolmaster's interest in ICT? 2. How do teachers' personal dispositions affect ICT use in the elementary classroom teaching? 2-1. How do attitude about ICT affect ICT use in the in the elementary classroom teaching? 2-2. How do open mind toward change affect ICT use in the in the elementary classroom teaching? 2-3. How do effort of ability development affect ICT use in the in the elementary classroom teaching? 2-4. How do self-efficacy affect ICT use in the in the elementary classroom teaching? 2-5. How do philosophy of education affect ICT use in the in the elementary classroom teaching? 346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in D city responded on a questionnaire. Data from 303 teachers has been used for t-test, ANOVA and simple regression to test difference in ICT use among teachers' backgrounds and for multiple regression to test the effect of teachers' personal dispositions on ICT us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CT use by teachers' backgrounds. Male teachers showed higher levels of ICT use than the female teachers. Teachers in charge of higher grade showed higher levels of ICT use than teachers in charge of lower. The more teachers had ICT study and training time, the more teachers used ICT. The better teachers were ICT ability, the more teachers used ICT. The more schoolmasters were interested in ICT, the more teachers used ICT. Second, the teachers' open mind toward change were identified as a significant variable to predict ICT use in elementary classroom teaching. 본 연구는 교사의 배경 요인에 따라 ICT 활용도는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또 교사의 어떤 개인적 성향이 교실수업과정에서 교사의 ICT 활용도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알고자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초등교사의 배경 변인은 교수․학습 과정에서 ICT 활용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 성별에 따라 ICT 활용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2) 교육경력에 따라 ICT 활용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3) 담당학년에 따라 ICT 활용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4) ICT 관련 연수 이수 시간에 따른 ICT 활용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5) ICT 활용 능력에 따른 ICT 활용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6) 관리자의 ICT에 대한 관심도가 ICT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나. 초등교사의 개인적 성향은 교수․학습 과정에서 ICT 활용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 ICT에 대한 태도가 ICT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변화에 대한 개방성이 ICT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전문성 계발의 노력이 ICT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 교사의 자기 효능감이 ICT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5) 교사의 교육철학이 ICT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D광역시 소재 18개 초등학교 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303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Vannatta, Fordham(2004)의 TAS(Teacher Attribute Survey)와 Braak(2001)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연구자가 연구 목적에 맞게 개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 10.0을 사용하여 신뢰도를 측정한 후 기본적으로 빈도와 백분위를 산출하였으며, 교사의 배경 요인 분석에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ICT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개인적 성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ICT 활용도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었다. 여자교사보다는 남자교사가, 담당학년이 높을수록, ICT관련 연수를 많이 받을수록, ICT 활용 능력이 높을수록, 관리자가 ICT에 관심을 높게 가질수록 교실 수업에서 ICT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개인적 성향의 하위 영역 중에서는 변화에 대한 개방적인 마음이 ICT 활용도를 예언하는데 의미 있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 구속응력을 받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부의 전단 강도

        김경철 군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ructural behavior of dry joints in precast concrete modules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behavior of structures constructed with precast concrete modules is dependent on that of joints between the concrete modules. To accurately predict the structure response under the ultimate severe loading, knowledge of joint behavior is essential.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behavior of concrete module joints under various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configurations of shear key, and horizontal confining stress levels. The joint behavior, shear capacity, and crack patterns of dry joints in concrete module have been studied.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shear capacity of joints increased as shear key inclination increased. In addition, shear capacity of concrete module joint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confining stress levels. The results obtained in these tests have been compared with design formulae for assessing the load-carrying capacity of dry joints. The AASHTO design recommendations underestimated the shear strength of test specimens. In addition, a method to predict shear strength of dry joints in precast concrete modules was proposed. The strength predicted by using the proposed method had a reasonable agreement with experimental test result.

      • 휨을 받는 강섬유 보강 초고성능 콘크리트 보의 구조 거동

        김경철 군산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material properties and flexural performances of the steel fiber reinforced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UHPC) were investigated by experimental and analytical studies. The design strengths of the UHPC were 120, 150 and 180 MPa in compression, and are referred to as SC120f, SC150f, and SC180f, respectively. The volume fraction of the steel fiber() were 1.0% for the SC120f mixture and 1.5% for the SC150f and SC180f mixtures. As the amount of the steel fiber increased, compressive strength(), elastic modulus(), and tensile strength() increased in the material tests. Also, as the fiber reinforcing index() increased, the compressive strength, elastic modulus and tensile strength tended to increase. Based on the measured material properties of the UHPC, a prediction equation to predict the elastic modulus and tensile strength was proposed. The predicted values of the strength showed the proposed equation reasonable for experimental results. In order to assess the behavior of flexural members, nine beams of the SC120f, four beams of the SC150f, and nine beams SC180f were fabricated. The reinforcement ratio() of 2.0% or less was applied to the beams, and the flexural performances were invested by the experiments. At the test results for plain beams, due to the 1.0 and 1.5% steel fiber reinforcing, the crack controlling and ductility enhancing showed from the initial cracking to the ultimate loading stages. The ductility indices() of the SC120f series were 1.30 to 1.67 and these of the SC150f series were 1.63 to 2.45. The indices of the SC180f series were 1.27 to 2.61, consequently, as the design strength increases, the ductility index generally tended to increase. Test results for UHPC beams showed flexural tensile failures that the tensile failure occurred by yielding of the rebar, while the ultimate compressive strain was not reached at the maximum loading stage. Based on the measured material properties of the UHPC, material models of the SC120f, SC150f, and SC180f are proposed by using the modelling methods presented in the AFGC Design Standard (2013), JSCE Guide(2004), and SUPER Concrete Structural Design Guideline(2016). Also, a flexural strength prediction method was proposed by using the multi-layered section analysis method of the UHPC beams, and the predicted flexural strengths were compared with measured strengths. The predicted flexural strength is overestimated to compare with the measured strength with the reinforcement ratio() was less than 0.59%, and the predicted flexural strength was predicted rationally with the reinforcement ratio between 0.59 and 2.0%. From the analytical studies for with and without considering the tensile strength of the UHPC, it was shown that the tensile strength of the UHPC is a key parameter for flexural design and analysis of UHPC memb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variability of tensile strength of UHPC by the site conditions with concrete placing to estimate the tensile strength corresponding to design compressive strength suggested in the Super Concrete Structural Design Guidelines(2016). Most current design standards for the UHPC present the flexural strength prediction of the service limit state is about 80% of the ultimate limit state. Also, the flexural strength of UHPC can be predicted rationally by applying the material and member resistance factors suggested in the domestic Super Concrete Structural Design Guidelines(2016). The flexural strength of UHPC for a representative section was predicted by main design variables with tensile strength and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UHPC, yield strength of rebar, and reinforcement ratio. As the results of the analytical studies, the main variables affecting the predicted flexural strength are the tensile strength of UHPC, yield strength of rebar, and rebar ratio. Consequently, this study is valuable to the design for the flexural strength of the UHPC members and structures. 본 논문에서는 강섬유 보강 초고성능 콘크리트(UHPC,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의 재료특성 및 휨거동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UHPC의 설계압축강도는 120(SC120f), 150(SC150f) 및 180(SC180f) MPa이고, 강섬유 혼입량은 SC120f에서 단일 강섬유 1.0%, SC150f 및 SC180f는 하이브리드 강섬유 1.5%를 각각 적용하였다. 강섬유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본 실험 측정결과 및 기존연구결과의 압축강도, 탄성계수 및 인장강도는 증가한다. 또한, 섬유보강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압축강도, 탄성계수 및 인장강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UHPC의 측정된 재료특성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탄성계수 및 인장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제안식을 사용한 강도 예측값은 실험 측정값을 합리적으로 예측하고 있다. UHPC의 설계압축강도 120, 150 및 180 MPa에서 각각 9, 4 및 9개의 보를 제작하였다. 보 부재에 철근비 2.0% 이하를 적용하였고 실험을 통해 휨거동 특성을 파악하였다. 실험결과에서 휨 철근을 배근하지 않은 부재에 강섬유 혼입량 1.0 및 1.5%를 적용하여 초기균열하중 이후 극한하중단계까지 부재의 균열제어 및 큰 연성거동을 확보할 수 있었다. SC120f 시리즈 보의 연성지수는 1.30∼1.67이고 SC150f 시리즈 보의 연성지수는 1.63∼2.45로 측정되었다. SC180f 시리즈 보의 연성지수는 1.27∼2.61로서 설계압축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연성지수는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보 단면에 부착된 변형률 게이지를 바탕으로 휨거동 특성을 분석한 결과, 최대하중단계에서 극한압축변형률에 도달하지 못하였고, 철근의 항복변형률에 도달한 것으로 보아 인장파괴거동 특성을 나타낸다. UHPC의 재료특성 측정값을 바탕으로 AFGC 설계기준(2013), JSCE 지침(안)(2004) 및 SUPER Concrete 구조설계지침(2016)에서 제안하고 있는 재료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SC120f, SC150f 및 SC180f의 재료모델링 결과를 명확하게 제시하였다. UHPC 보의 적층 단면 해석기법을 이용한 휨강도 예측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측정 휨강도 대비 제안된 휨강도 예측기법을 이용한 예측 휨강도를 비교하였다. 철근비() 0.59% 이하에서 측정 휨강도에 대한 예측 휨강도는 과다평가 하였고, 철근비 0.59∼2.0%에서 예측 휨강도는 합리적인 수준으로 예측하였다. 해석변수를 UHPC의 인장강도 고려 및 인장강도 무시조건으로 해석을 수행한 결과, UHPC의 인장강도는 반드시 고려해야하는 주요 변수임을 나타내었다. 또한, SUPER Concrete 구조설계지침(2016)에서 제시하고 있는 각 설계기준압축강도에 따른 인장강도 규정값은 콘크리트 타설 시 현장 상황을 반영하여 인장강도의 변동성을 고려해야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설계기준의 사용한계상태에 대한 극한한계상태의 예측 휨강도는 대략 80% 수준의 휨강도를 예측한다. 국내의 SUPER Concrete 구조설계지침(2016)에서 제안하고 있는 재료 및 부재계수를 적용하여도 합리적인 수준으로 휨강도를 예측할 수 있다. 대표단면에 주요 설계변수를 인장강도, 탄성계수, 철근의 항복강도 및 철근비로 설정하여 휨강도를 예측하였다. 예측 휨강도의 영향을 주는 주요 해석변수는 인장강도, 철근의 항복강도 및 철근비로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UHPC의 실제 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한 휨강도 설계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고등학교 합창의 발성법에 관한 연구 : -마산, 창원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김경철 계명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An important purpose of choral education, part of music education, is to foster well-cultivated people. In youngsters' school days, the choral activity provides students with relaxation and emotional richness so that they can understand and take care each other. Choral activity in high school days is very important in preparing voice of students who are going through the breaking point. Their future depends on how they go through this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theoretical method of choral vocalization to students and to help them make correct and confident voice after mastering the vocalization so that they can sing easily. This study compared vocalization of vocal music with that of chorus and analyzed. It also revealed some characteristics unique to choral vocalization for students to access to it easily. Basic vocalization in chorus requires a correct posture that guarantees a basic voice. Students should make efforts through various exercise to correct posture to remove the uneasiness in practice and performance. Especially the conductor lead them to correct posture and singing. The best vocalization for the students in their breaking point is head voice. Nothing is more important to maintain breath to the end of phrasing through abdominal breathing. Choir members should open their ears, give attention to the voices of other members and make harmony in united tone color. High school students need very systematic vocalization. As they are not equipped theoretically, it is very important to make them aware of one by one at a time. The harmony between parts in a choir is a reactive element for the students in the breaking point. The balance between parts enables the upgrade of a choir and even sound without any part protruded. As for lyrics, choir members should pronounce word by word clearly and make unity of lyrics. High school students are going through critical period of breaking point. Most of them sing in a choir with little knowledge of music and chorus, so utter just acceptive voic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conductor. So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wanted to investigate how much the students comprehend of basic knowledge of choral vocalization. They knew a little better of vocalization than general students as they have experienced chorus in church or choir, but a system is not yet formulated to be a choir of high-grade. This study presented a simple theory to the students to make qualified high school choirs. This study might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advanced choirs. 합창교육은 음악교육의 일부분으로써 정서적으로 안정된 교양인을 양성하는 것이 중요한 목적이다. 청소년기의 학교생활에 있어 합창활동은 학생들 서로에 대한 이해와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느긋함과 정서적인 풍요로움을 제공하여 준다. 그 중에서 고등학교 합창은 변성기과정을 거치면서 성장해 가는 학생들의 소리의 틀을 마련할 수 잇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이 시기를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앞으로 그들의 미래가 좌우되기 때문이라고 말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합창에서 학생들에게 소리를 내는 이론적 방법을 제시하고 이들이 이러한 이론적인 발성의 방법을 터득하여 올바르고 자신감이 넘치는 소리를 낼 수 있도록 도와주어 편안한 마음으로 노래를 즐길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발성법에 대하여 일반적인 성악도가 배우는 발성법을 토대로 하여 합창발성과의 비교 분석을 하였고, 합창발성만이 가지는 몇 가지의 특징을 나타내어 손쉽게 학생들이 접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본적인 합창발성은 먼저 올바른 자세를 가져야 하며 그 속에서 발성의 기본이 이루어진다. 학생들은 연습시의 자세에 대한 불편함과 연주시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운동을 통해 자세교정을 위해 힘쓰고 특히 지휘자가 리드를 잘 해주어 바른자세로 노래를 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변성기의 학생들에게 발성은 두성 발성이 가장 좋은 발성법이며 항상 복식호흡을 통해서 호흡을 프레이징 끝까지 유지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합창단원들은 서로의 귀를 열고 옆 사람의 소리를 잘 들을 수 있어야 하며 통일된 하나의 음색으로 만들어 갈 수 있어야 한다. 고등학생의 발성은 매우 체계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학생들이 이론적 지식이 없기 때문에 시간을 가지고 이론부터 시작하여 하나씩 일깨워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변성기의 학생들에게 합창단의 성부의 조화는 합창을 하는데 있어 크게 작용하는 요소이다. 성부의 균형과 조화가 맞아야 합창단의 수준이 올라갈 수 있으며 특정한 파트가 튀어나오지 않고 균등하게 소리를 낼 수 있다. 또한 가사에 있어서도 합창단원은 가사 하나하나를 또박또박 발음하여 가사의 통일성을 주어야 한다. 고등학생들은 변성기 과정을 거치며 성장하고 있으므로 매우 중요한 시기를 보낸다고 할 수 있다. 그들은 현재 음악과 합창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을 너무도 모르는 상태에서 합창에 임하고 있으며 자신들이 속해 있는 합창단의 지휘자가 지시하는 대로 그저 그렇게 적당히 소리를 내는 것이 고작이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자는 설문을 통하여 학생들의 합창발성에 있어서 기초적인 지식에 대하여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평소 성가대나 합창단에서 합창활동을 해본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기에 발성에 대한 어느 정도의 인지도는 일반학생에 비해 높은 편이지만 높은 수준의 합창단이 되기에는 아직 이론적인 체계가 잡혀 있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학생들에게 간단한 이론을 제시하여 수준 높은 고등학교 합창단을 만들어 가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약간의 기여를 하고자 한다. 본 논문을 통하여 질적으로 성장하는 합창단이 많이 늘어나서 수준 높은 합창을 많이 감상할 수 있기를 바란다.

      • 인체 골수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적합성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 발굴 및 VEGF 방출속도 조절에 의한 혈관 형성 증가

        김경철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Cell therapy using mesenchymal stem cell is thought to be a promising tool to treat degenerative diseases and many other diseases required for tissue regeneration because of its differentiation ability into chondrocytes, osteoblasts, adipocytes, hepatocytes and neuronal cells. Although many scaffolds are under fabrication, FDA approved PEG and/or PCL based biodegradable scaffolds are the most promising materials because its degraded products are nontoxic to body. In this study, a few PEG:PCL copolymer scaffolds were tested for its biocompatibility to human bone marrow-derived messenchymal stem cells (hBMSC) and the methods to control the release of bioactive peptides in scaffolds are developed. Cells purified from human bone marrow were subjected to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to confirm if it is hBMSCs. Mesenchymal stem cell markers (collagen type I, fibronectin, CD54, integrin1β and Hu protein) were positive and hematopoietic stem cell markers (CD14, CD45) were negative. The cells could be differentiated into osteoblasts and adipocytes. Three kinds of PEG:PCL copolymers are fabricated and hBMSCs were cultured on the surface of it. Cultured on the surface of PEG:PCL(6:14), the growth of hBMSCs was faster than that of the others, morphology seemed normal and no cytotoxicity was found. Coating of VEGF containing PEG:PCL(6:14) with Matrigel slowed down the release of VEGF in vitro, promoted the angiogenesis when transplanted in BALB/c m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