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서비스 만족도와 '추천행동' : 서울시 대규모 사립대학을 대상으로

        권아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의 입학정원감소 문제는 현재 국내 대학이 당면한 가장 큰 과제이다. 정부와 대학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구조조정, 진학수요 다양화 등 여러 가지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학령인구 감소분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더욱이 고등교육의 국제화 흐름이 거세짐에 따라 연구자와 학생, 학문의 국가 간 경계가 흐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외국인 유학생 유치는 국내 대학의 위기 타개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열쇠가 되고 있다. 그러나 지난 10여 년간, 정부 및 대학이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만 집중한 결과, 유학생의 중도탈락률 증가, 반한감정 확대, 불법체류율 증가 등과 같은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었다. 따라서 유학생의 '질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였는데, '질 관리'를 측정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이 '대학서비스 만족도'이다. 또한 유학생의 높은 만족도는 타인 '추천행동'으로 이어지는데, 이를 통해 유학생 유치와 관리의 밀접한 연관성 및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외국인 유학생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며, 더욱이 유학생 '질 관리'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실증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서비스 만족도를 교육서비스, 행정서비스, 물리적 시설 서비스 3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것이 '추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또한 교육서비스를 교육/교수요인으로, 행정서비스를 교육/학생/직원 요인으로, 물리적 시설 서비스를 교육시설/편의시설/물리적 환경요인으로 구분하여 각 차원별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일부 연구를 통해 대학서비스 만족도 또는 대학생활 만족도의 추천행동에 대한 영향은 확인되었으나,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서비스 만족도와 추천행동에 대한 연구는 희박하다. 본 연구는 실증연구로서 서울시 대규모 대학(5개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검정하였다. 설문조사는 2016년 11월 21일부터 12월 2일까지 약 2주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기간 내 총 295부가 배포되었다. 그 중 불성실 응답을 제거하고 연구대상에서 벗어 난 표본을 제거한 결과 226부의 데이터를 실제분석에 사용할 수 있었다. 사용된 척도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분석과 변수별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도하였으며, 표본 집단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분석을 시도하였다. 추가로 배경변수 간 만족도 및 추천행동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서비스 만족도 3요인의 추천행동에 대한 차별적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행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서비스 만족도 3요인 중 '교육서비스'와 '물리적 시설 서비스'가 추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교육서비스 만족도'가 '추천행동'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가로 교육서비스, 행정서비스, 물리적 시설 서비스 만족도의 하위차원별 영향력을 살펴보면, '편의시설 요인'(물리적 시설), '교수요인'(교육 서비스), '교육요인'(교육 서비스)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행정서비스 만족도'와 통제변수(성별, 교육과정, 유학형태, 출신국가, 한국어 실력)는 '추천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대학이 외국인 유학생의 만족도 개선 및 유학생 유치를 위한 재학생의 추천행동을 이끌어내고자 할 때, 가장 본질인 '교육서비스'개선에 힘써야 할 것이다. 행정서비스 간소화 및 지원 서비스 개선은 조직의 시간과 비용 면에서 실천하기에 용이하나,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통해 '추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 대학은 유학생을 위한 강의 방식을 개선하거나, 성적 평가의 공정성을 확보하고, 교과과정을 확충하는 등의 교육차원에서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교수의 실력을 확보하고 유학생들과 교수의 면담 횟수를 늘이는 등, 교수요인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 역시 기울여야 할 것이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의 경우 물리적 시설, 특히 편의시설 이용 빈도가 내국인 학생들에 비해 높다. 따라서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다양한 편의시설들을 확충하여 만족도를 높이고, 이들의 추천행동을 통해 많은 수의 우수한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하는 데 힘써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정부와 대학은 일괄적인 유학생 정책을 펼치기 보다는, 유학생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징에 따라 차별적인 정책을 펼쳐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대학의 한정된 차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유학생의 '질 관리' 역시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ly, the reduced entrance quota in universities resulting from the reduction in school age population is the biggest challenge for universities in Korea. To solve this,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have provided various policy alternatives such as university restructuring and diversification demand for entering school, but are not enough to resolve the reduced portion in school age population. Moreover, with the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the cross-border boundary between researcher, student, and learning is being blurred. In this situation, attracting foreign students is a key to breaking the crisis in domestic universities and reinforcing their competitiveness. For the past ten years, however,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have concentrated on 'attracting' foreign students, As a result, social problems such as increase in foreign student wastage rate, expanded anti-Korean sentiment, and increase in illegal stay rate have emerged. Therefore, there was an increasing necessity of foreign students' 'quality management'and the representative thing that can measure this 'quality management' is 'university service satisfaction.' Also, foreign students' high satisfaction led to 'recommended behavior' for others. This allowed us to identify the close association between and the importance of foreign student attraction and management. Nevertheless,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foreign students, and moreover, there are no empirical studies to measure the degree of foreign students' 'quality management.'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s to classify foreign students'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service into three subfactors such as education service, administration service, and physical facility service and discuss the impact on 'recommended behavior.' It also subcategorizes education service into education/teaching factors, administration service into education/student/employee factors, and physical facility service into education facility/convenient facility/physical environment factors and identifies the impact by subfactor. Some studies confirmed that university service satisfaction or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had an impact on recommended behavior, but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foreign students' university service satisfaction and recommended behavior.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and conducted a survey of foreign students attending large universities (five schools) in Seoul. This survey was conducted for about two weeks from Nov. 21, 2016 to Dec. 2, 2016 and a total of 295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during this period. Among which, unfaithful responses and samples that were beyond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removed. As a result, finally 226 copies of questionnaire could be used for actual analysis.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used, this study conducted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by variable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ample group, conducted average analysis. Additionally, to look at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and recommended behavior between the background variables, this study conducted t-test and one-way-ANOVA an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Finally, to identify the differentiated impact of three university service satisfaction factors on recommended behavior in foreign students, this study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service' and 'physical facility service,' among three university service satisfaction facto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recommended behavior and in particular, 'education service satisfaction' has a strong impact on 'recommended behavior.' Additionally, to look at the impact of education service, administration service, and physical facility service satisfaction by subfactor, 'convenient facility factor'(physical facility) had the biggest impact, followed by 'teaching factor'(education service) and 'education factor'(education service) in order. On the other hand, 'administration service satisfaction' and control variables(gender, educational course, type of studying abroad, country of origin, and Korean skill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recommended behavior.'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irst, every university will have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 most essential 'education service' in order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foreign students and elicit the recommended behavior of enrolled students for the purpose of attracting more international students. The administration service simplification and support service improvement is easy to be practiced in terms of an organization's time and cost,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recommended behavior' in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Therefore, universities will have to exert efforts to improve the manner of lecturing for foreign students, secure fairness in score evaluation, and expand the curriculum at the educational level. Universities will also have to make policy efforts to improve teaching factor, for example securing teacher's ability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interview of foreign students with their professors. Second, foreign students are more likely to use physical facility, especially convenience facility than domestic students. Therefore, foreign students will have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by expanding various convenience facilities for foreign students and attract a lot of excellent foreign students through their recommended behavior. Finally,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should implement differentiated policies up to foreign students' soci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fore, universities can make the most efficient use of the available resources for foreign students and improve 'quality management' of foreign students effectively.

      • 파킨슨 동물모델에서 PAK의 활성화 상태 규명

        권아 충북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1823

        Purpose : Parkinson's disease is one of the neurodegenerative disease, showing impairment of voluntary movement induced by death of dopaminergic neurons in substantia nigra and striatum. PAK1 activity is closely related with cell survival or death. In this study, alteration of PAK1 activity was revealed using Parkinson's disease model rat.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K1 activity and survival of neurons were examined in the cultured dopaminergic neurons and the hemiparkinson rats, and voluntary behavior by expression of DN-PAK1. Materials and methods : First, in order to identify the correlation of 6-OHDA treatment with PAK1 activity in dopaminergic neurons, 6-OHDA was treated on the cultured dopaminergic neurons and then PAK1 activity was measured by immunocytochemistry staining. Second, rats were injected with 6-OHDA in striatum by microinfusion using stereotaxic surgery. And then, to identify the PAK1 activity, Western blotting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midbrain tissue lysates. Moreover, alteration of dopaminergic neuronal mass in substantia nigra was measured by immunostaining. Finally, lentiviruses which are expressing GFP or DN-PAK1 were injected and expressed in substantia nigra of rat midbrain, and then behavioral deficit examined. Results : PAK1 activity was decreased by 6-OHDA treatment, well known to induce cell death by producing reactive oxygen species, in the cultured Mesencephalic dopaminergic neurons and the rat midbrain tissue. Next, Dopaminergic neuronal death in Substantia nigra was induced by injection of 6-OHDA. Moreover, DN-PAK1 overexpressed rats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voluntary movement of contralateral side of the paw. Conclusion : Decreased PAK1 activity induces dopaminergic neuronal death. Therefore, it suggests that activity change of PAK1 may be an important regulatory mechanism in developing Parkinson's disease. 연구목적: 파킨슨병은 흑질 부위의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기능이 손상되면서 흑질과 선조체 내의 도파민성 신경세포가 사멸하여 수의적 운동 기능에 장애를 일으키는 신경변성질환 중 하나이다. 그리고 PAK1의 활성은 세포 생존 혹은 사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배양된 도파민성 신경세포와 실험동물을 이용한 파킨슨 모델에 있어서 PAK1의 활성화 상태를 규명하고, DN-PAK1의 발현에 의한 수의적 행동을 조사함으로써 PAK1의 활성과 도파민성 신경세포 사멸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먼저 도파민성 신경세포에서 6-OHDA처리와 PAK1 활성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배양된 도파민성 신경세포에 6-OHDA를 처리하고 PAK1의 활성 수준을 면역세포화학 염색법으로 확인하였다. 그 후, 뇌 정위 고정 장치(Stereotaxic)를 이용한 미세 주입법을 set-up하여 실험동물의 선조체 부위에 6-OHDA를 주입한 후 뇌를 적출하여 분쇄액을 얻어 Western blotting으로 PAK1의 활성 수준을 확인하고,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으로 흑질 부위의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양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GFP와 PAK1의 활성을 잃은 형태인 DN-PAK1을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를 제작한 후, 실험동물의 흑질 부위에 주입•발현하여 Cylinder test를 통해 행동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파킨슨병의 주요 증상인 도파민성 신경세포 사멸을 유도하기 위해 6-OHDA를 처리하면 PAK1의 활성이 감소하고, 그 이후에 도파민성 신경세포가 사멸함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실험동물의 흑질에 DN-PAK1을 발현하였을 때, 손상 반대측 앞다리의 수의적 운동이 확연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PAK1의 활성이 떨어지면 도파민성 신경세포가 손상됨을 보여줌으로써 파킨슨병이 유발되는 기작에 있어서 PAK1의 중요성을 제시한다.

      • PPAT그림검사에 나타난 우울 및 공격성향 아동의 반응 연구

        권아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23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sponses of depressive and aggressive children in the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PPAT) assessment using the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s (FEATS) and the content scales. Ninety six fourth-grade, aged XX-XX years) from four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Kyeongsangnam-do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the FEA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de pressive and aggressive, and normal children insevenout of 14 scales: Normal children showed higher scores in Implied Energy, Integration, Logic, Realism, Problem Solving, Line Quality, Person. Depressive and aggressive children showed similar scores in all 14 scales. In the content sca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depressive and aggressive, and normal children in five out of 13 scales. Especially, depressive children frequently wrote, for instance, named each itemize or inserted speech balloons in their drawings as shown in the ‘different forms’ scale. Those two groups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or used for persons, clothing, description of surrounding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t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FEATS and content scales, suggesting that the two scales of the PPAT assessment can differentiate depressive or aggressive from normal children. Keywords: children, depression, aggression, PPAT

      • 디지털 스크린의 구조적 형식을 통한 관념의 시각화 연구

        권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823

        본 연구자는 대상에 대한 본질과 구조적 형식에 관한 사유를 디지털 매체의 구조적 특징과 결합하는 창작 활동을 지속해오고 있다.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작성한 본 논문에서는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하는 종래의 미디어아트 개념에서 벗어나 언어와 이미지, 관념을 근간으로 하는 작품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조형언어로 전환되는 양상을 다루며, 내용과 형식이 관계하는 방법을 다학제적 관점을 바탕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창작활동에서 표현 수단으로 사용되어 왔던 디지털 미디어의 광의적 의미와 개인적 사념을 결합하여 관념적 의미체로써의 매체(medium)를 작품의 주요 내용으로 삼고 그 대상의 외연적 속성을 다시 재료로 삼는 메타-방법론을 취해왔다. 따라서 종래의 미디어아트 연구에서 선행되던 기술 기반의 도식에서 벗어나 작품의 내용과 형식이 관계하는 방식에 주목하고, 특히 관념적 대상이 시각 형식으로 조형화되는 과정에 대해 서술하고자 하였다. 우선 작품에서 주제로 다루고 있는 매체(media)란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매체에 대한 사회학적 관점 그리고 네트워크라는 공간까지도 매체로 바라보는 철학적·미학적 관점을 통해 매체의 개념이 어떻게 확장되어 왔는지 짚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개념이 관념과 함께 시각적으로 전환될 때 형식과 관계하는 양상을 디자인의 구조적 관점에서 짚어보며 기존 미디어아트의 도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 문법을 보이는 사례와 함께 작품을 기술하였다. 연구자의 작품은 미디어의 은폐성과 허구성을 이야기하기 위해 디지털 스크린과 거울을 결합하여 상이 역으로 반영되어 일어나는 착시구조를 이용한다. 본문에 포함된 작품은 2014년부터 2015년 그리고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두 시기로 분류된다. 초기작(2014~2015)은 디지털 스크린이 작품의 재료로 사용된 배경이 되는 기조 작업으로써 간략히 다루고자 하였고, 이후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작품 내용과 과정을 중점적으로 설명하였다. 더불어 연도별 작품에서 작품의 기술적 요소와 내용적 요소 같은 내적 요인 뿐 아니라 공간과 관람자의 관계 같은 외적 요인이 작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짚어보며 작품이 다양한 관점을 바탕으로 이루어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작품의 내용과 형식이 관계하는 방식을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며 창작의 과정에서 비시각적 관념과 시각적 형식이 관계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하였다. This research, which focuses on researcher's work, investigates how the communication method of works based on language, image, and idea is transformed into visual language in Media Art, away from the conventional genre based on technology. The works, dealt with in this paper, adopts Meta-methodology that combines the meaning of digital media with personal thoughts to make medium of ideological meaning by using digital media as the material again. Thus, this paper focuses on how the content and form of the work relate to each other, examining how the meaning of ‘media’ to relate to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First of all, to examine what ‘media’ means in researcher's work, this paper looks at how the concept of media has been extended through the philosophical and aesthetic view and even the sociological perspective. In addition, it describes the aspect how form and concept related each other when the idea is transformed visually in the structural perspective of design, describing the case works of showing a new visual grammar out of the existing Media Art. The main works uses the optical illusion structure in which the image is reflected in reverse by combining the digital screen and the mirror and it talks about the concealment and falsehood of the media. In the text, the work is divided into two periods from 2014 to 2015 and from 2017 to 2019. The early work (2014-2015) was a keynote work that shows why digital screen is used as material, but this paper more concentrates on the contents and process of the later work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works are made based on various viewpoints by examining the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 and viewers, as well as the internal factors such as technical and content elements of the works.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find a new methodology in which the non-visual concept and the visual form are related in the process of creation.

      • 고등학교『한국사』와『동아시아사』교과서의 고려·여진관계 서술 비교

        권아 고려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23

        본고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 『한국사』와 2009 개정 교육과정 『동아시아사』, 2015 개정 교육과정 『동아시아사』의 고려․여진관계를 각각 분석하고, 『동아시아사』와 『한국사』를 비교하여 『동아시아사』가 『한국사』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 지금까지『한국사』의 대외관계사는 항쟁사 위주의 서술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항쟁사 위주의 서술은 민족 구성원의 강인한 의지와 단결을 드러내는 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여진을 비롯한 북방민족을 ‘열등한’, ‘미개한’, ‘침입자’ 등으로 이미지화했다. 또한 침입과 저항을 주축으로 하는 일국사적 관점에서 서술하다보니, 대외관계사를 균형 잡힌 관점으로 바라보는데 한계가 있었다. 2009 개정 『한국사』의 고려․여진관계도 여전히 항쟁사 위주로 서술되어 있었다. 이것은 여진을 ‘침입자’로만 규정짓게 할 우려가 있다. 또한 고려는 여진을 비롯한 북방민족과는 적대적이었고, 한족과는 우호적이었다는 전반적인 서술 프레임을 아직까지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덧붙여 천재교육에서는 ‘고려의 여진에 대한 인식’을 수록하여, 학생들이 여진을 비롯한 북방민족에 대해 미개하다는 편견을 갖게 할 우려도 있다. 고려는 늘 송과 친선관계를 유지한 것은 아니었고, 거란과 여진의 연호를 사용한 적도 있었으며, 남송의 여진 협공 제의를 거절하여 남송과 단교한 적도 있었다. 고려와 송이 경제․문화 교류를 활발히 했다고 해서 정치적 교류도 늘 서로 우호적이었다는 오해를 갖게 해서는 안 된다. 고려와 여진의 교류사를 부각시킴으로써 송과 여진에 대한 편견을 없앨 수 있다. 『동아시아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갈수록 고려․여진관계를 국가와 국가 간의 일대일 관계로 한정시키지 않고, 주변 동아시아 국가와의 제(諸) 관계까지 두루 포괄하여 서술하려는 경향이 강해졌다. 2009 개정 교육과정 비상교육에서 금 건국 이전의 고려・여진관계가 누락되었는데, 이것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12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맥락적 이해를 돕기 위해 추가로 서술되었다. 또한 2009 개정 교육과정 비상교육에서 금 건국 이후의 고려․여진관계가 고려와 금의 일대일 관계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었는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고려와 송, 남송과의 관계까지 서술함으로써 당대 동아시아를 거시적으로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두 교과서를 비교한 결과 『동아시아사』는 『한국사』의 두 가지 문제점-항쟁사․일국사에 머무르는 대외관계 서술의 한계, 북방민족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비교적 잘 보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동아시아사』는 10~12세기 다원적 국제관계 속에서 고려․여진관계를 서술함으로써 ‘항쟁을 통한 민족의 자주성 수호’라는 프레임에서 벗어나 동아시아의 거시적인 관점에서 고려․여진관계를 고찰할 수 있게 하였다. 『한국사』에서는 고려․금 군신관계가 이자겸의 독단으로 체결된 것처럼 서술했지만, 『동아시아사』에서는 다원적 국제관계라는 틀에서 이를 바라보았다. 그리고 『한국사』에서는 금과 군신관계 체결 이후 고려와 송, 남송과의 관계를 거의 서술하지 않았는데, 『동아시아사』 모든 교과서에는 이것을 서술하였다. 따라서 『동아시아사』는 『한국사』의 일국사적 한계점까지 보완해 준다고 하겠다. 또한 다원적 국제관계라는 틀은 여진에 대한 편견-침입자, 물리쳐야 할 대상, 미개하다 등-을 없애는데 도움을 준다. 여진의 행동을 당시 동아시아 정세와 연관지어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동아시아사』에 서술된 여진의 독자적 문화와 제도에 대한 서술도 여진은 열등하다는 인식에서 벗어나는데 도움을 준다. 하지만 문제점도 발견되었다. 여전히 동화론적 서술이 남아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금성 『동아시아사』는 여진족이 중원 문화에 동화되었다고 서술하였다. 이것은 한족의 문화는 우수하고, 여진을 비롯한 북방민족의 문화는 열등하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므로 수정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동아시아사』는 『한국사』의 일국사로 포착되지 않는 부분을 보완하고 있으며, 항쟁사를 강조하면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들-배타적 민족주의, 다른 나라와 민족에 대한 편견과 우월의식-을 보완하고 있었다. 하지만 여전히 『동아시아사』에 남아 있는 동화론적 서술은 여진에 대한 편견을 불러 일으킬 수 있으므로 재고의 여지가 있다.

      • 온-오프라인 혼합형 <국어> 수업에 관한 미시문화기술지적 담화분석 연구 : 소집단 대화의 재맥락화 양상을 중심으로

        권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23

        This study examines how small-group dialogue takes place in the <Korean Language> class in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in relation to the context, and how small-group dialogue is recontextualized in online and offline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educational implications by examining the way in which knowledge is socially constructed. Accordingly, the interaction of participants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recontextualization of small group dialogue in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through the microethnographic discourse analysis methodology(Bloome et al., 2005), which combines the ethnographic approach and discourse analysis methodology. The complexity and socio-cultural meanings of behaviors occurring in the classroom were deeply interpreted. The research case is the <Korean Language>(B) subject class, which was conducted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due to COVID-19 at Y High School, a public general boys'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Participation observation was conducted for one semester in the first half of 2021, including the preliminary observation period, and data such as video and audio recordings, in-depth interview data with teachers and learners, class-related data, Kakao Talk chat room data, and online link pos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 online small group dialogue and a process in which this small group dialogue was recontextualized into an offline class were selected as a key event. Unlike majority of classes that have taken the typical flipped learning model to hybrid online and offline learning environment, this event was in the class designed as a process to promote online interactions. In this study, recontextualization was defined as the process of adjustment and reconstruction in which teachers and learners transform classroom discourse by transforming the context of the class. At this time, the micro-genre of class, such as small group dialogue, as a practice contextualized in the class context, adjusts, transforms, and reconstructs the context, and the cross-refer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contexts is regarded as micro-level recontextualization. And the recontextualization of this practice into a new genre practice as a process of the whole class was viewed as macro-level recontextualization. Small group dialogue is a contextualized practice in Korean language class, and the context the class wa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while learners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knowledge through dialogue. Learners diversified communication channels and independently constructed knowledge, established norms within a new context, and established a communication culture. The online small group dialogue was recontextualized from the foregrounded communication space ZOOM to the offline classroom through the backgrounded communication space. Learners constructed multiple identities through a genre practice of virtual press conferences, and adjusted and reconstructed the knowledge constructed in the process of small group dialogue through the knowledge constructed by other small groups of learners. Meaning constructed through recontextualized practice became a core source of knowledge, showing that learners have acquired a central status as the constituents of knowledge. The macro-level recontextualization process of small-group dialogue showed that small-group-based activities in Korean language classes are itself a process of constructing knowledge and a part of the process for constructing knowledge within the entire clas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mainly discussed im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ermes of blended learning and dialogue for learning. This study explores the direction to be pursu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educate students about language and how to learn through language in a learning environment that connects online and offline. 본고는 온-오프라인 혼합형 학습 환경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고등학교 1학년 <국어> 수업에서 소집단 대화가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를 수업 맥락과의 관계 속에서 고찰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에서 소집단 대화가 재맥락화되는 양상과 그 속에서 지식이 구성되는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교육적 시사점을 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문화기술지 접근과 담화분석 방법론을 접목한 미시문화기술지적 담화분석 방법론(Bloome et al., 2005)을 통해 국어 교실 안에서 소집단 대화가 재맥락화되는 양상을 중심으로 참여자들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교실에서 일어나는 행위의 복잡성과 사회‧문화적인 의미들을 해석하였다. 연구 사례는 서울시 소재 공립 일반계 남자 고등학교인 Y고등학교에서 COVID-19로 인해 혼합형 학습 환경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던 1학년 A반의 <국어>(B) 교과 수업이다. 참여 관찰은 예비 관찰 기간을 포함하여 2021학년 상반기 한 학기 동안 실시되었으며, 비디오‧오디오 자료, 교사와 학습자의 심층 면담 자료, 수업 관련 자료, 카카오톡 대화방 자료, 온라인 링크 게시물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핵심 사건으로는 온라인 수업 시간에 이루어진 온라인 소집단 대화 및 이 소집단 대화가 오프라인 수업으로 재맥락화되는 과정을 선정하였다. 이 사건은 전형적인 플립 러닝 모델을 취해 왔던 기존의 온-오프라인 혼합형 수업과는 달리 온라인에서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이를 오프라인 수업에서 지식을 구성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연결한 수업 속에서 포착한 것이었다. 본고는 재맥락화를 교사와 학습자가 수업의 맥락을 변형함으로써 교실 담화를 조정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소집단 대화의 재맥락화는 그 층위를 나누어 미시 수준 재맥락화와 거시 수준 재맥락화로 제시하였다. 미시 수준 재맥락화는 소집단 대화의 과정에서 수업 맥락이 상호 참조되고, 변형되고, 재구성되는 것을 말하며, 이 실천이 상황 맥락의 변형을 통해 다시 전체 수업 안에서 새로운 장르적 실천으로 재맥락화되는 것을 거시 수준 재맥락화로 개념화하였다. 소집단 대화는 국어 수업에 맥락화된 실천으로서, 참여자들은 수업 맥락을 참조하고, 변형하고, 재구성함으로써 대화를 통한 지식의 구성 과정에 역동적으로 참여하였다. 온라인 공간에서 학습자들은 소통의 채널을 다원화하고 디지털 도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창의성을 발휘하였다. 또한 새로운 맥락 안에서의 행위의 규준과 소통 문화를 능동적으로 구축하였으며, 교사의 조력이 제한된 상황에서도 지식을 구성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주체성과 능동성을 보였다. 이를 통해 수업 맥락을 변형하고 재구성하는 참여자의 주체성에 기반하여 온라인 상호작용 활동 중심의 국어과 혼합형 수업 모델이 적극적으로 논의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온라인 소집단 대화는 복수의 온라인 채널을 거쳐 이행하였으며, 오프라인 교실에서 장르적 실천으로 재맥락화되었다. 학습자들은 가상 기자 회견이라는 혼종적 장르를 실천함으로써 다중의 정체성을 형성하였다. 또한 소집단 대화를 통해 구성한 지식을 다른 소집단에서 구성한 지식을 통해 재구성하고 정교화하였다. 이는 학습자들이 구성한 지식이 전체 학습의 과정에서 가치 있는 기여를 할 수 있다는 믿음이 공유되는 과정이었다. 소집단 대화의 거시적 재맥락화는 소집단 기반 활동이 그 자체로 지식의 구성 과정이자 학습을 위한 실천의 부분이며, 언어는 이 과정을 연결하는 데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를 바탕으로 크게 온-오프라인 혼합형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 중심 국어교육에 관한 시사점과 학습을 위한 대화로서 소집단 대화 교육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고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 학습 환경에서 언어를 매개로, 언어에 대하여, 언어를 통해 학습하는 방법을 교육하기 위해 국어교육에서 지향해야 할 방향을 탐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Effects of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s on odontoblast differentiation

        권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1823

        Previous reports demonstrated that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s (HDACi) enhances osteoblast differentiation in vitro and new bone formation in vivo. However, it has not been elucidated whether HDACi regulate odontoblast differentiation. Nfic and Wnt/β-catenin signaling are involved in odontoblast differentiation and tooth root formation. Smurf1 is an E3 ubiquitin ligase that negatively regulates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bone form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DACi on odontoblast differentiation and to elucidate the regulatory roles of Wnt/β-catenin, Nfic and Smurf1 in HDACi-induced odontoblast differentiation. MDPC23 cell line derived from the mouse pulp cells was treated with SAHA and Trichostatin A. Odontoblast differentiation was evaluated by examining the expression levels of marker genes, including dentin sialophosphoprotein (Dspp), dentin matrix protein 1 (Dmp1) and Nestin using quantitative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es. Matrix mineralization was observed using Alizarin S Red staining.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biotinylation pull down assays and luciferase reporter assay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regulatory role of Nfic on Dspp transcription. To examine the effect of HDACi on the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Smurf1 gene,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was performed using antibodies to acetylated histone H3 (Ac-H3), methylated histone H3 (H3K4me) and RNA polymerase II. Wnt3a protein levels in conditioned medium obtained from MDPC23 cells were evaluated using ELISA kit. Transcriptional activity of β-catenin/Tcf/Lef complexes was determined by TOP/FOP-flash luciferase reporter assays. Knockdown of Nfic, Smurf1, Wnt3a or β-catenin was induced by transient transfection of small interfering RNA (siRNA) mixtures specific to each gene. HDACi enhanced odontoblast differentiation and matrix mineralization. HDACi increased expression levels of Nfic, and subsequently Nfic directly bound to Dspp promoter and upregulated Dspp transcription. Nfic silencing attenuated HDACi-induced odontoblast differentiation. Overexpression of Smurf1 in MDPC23 cells inhibited odontoblast differentiation, whereas Smurf1 knockdown enhanced odontoblast differentiation. HDACi treatment or overexpression of Nfic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levels of Smurf1 gene.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results demonstrated that increase in Nfic protein level via HDACi treatment or overexpression of Nfic significantly downregulated the levels of Ac-H3, H3K4me and RNA polymerase II associated with the promoter region or transcription start site of the mouse Smurf1 gene. Nfic knockdown attenuated HDACi-mediated downregulation of Smurf1 expression. Activation of Wnt/β-catenin signaling via Wnt3a treatment or β-catenin overexpression enhanced odontoblast differentiation and Nfic expression, whereas knockdown of Wnt3a or β-catenin suppressed odontoblast differentiation and Nfic expression. HDACi increased expression levels of Wnt3a mRNA and protein and enhanced TOP-flash reporter activity in MDPC23 cells. Blockade of Wnt/β-catenin signaling via silencing of Wnt3a suppressed HDACi-mediated odontoblast differentiation and Nfic expression. However, overexpression or knockdown of Nfic did not affect HDACi-mediated induction of Wnt/β-catenin signaling. These indicate that HDACi enhance odontoblast differentiation via activation of Wnt/β-catenin signaling in MDPC23 cells. In turn, increased Nfic protein upregulates odontoblast differentiation marker genes such as Dspp, while downregualting Smurf1, a negative regulator of odontoblast differenation

      • 현행 판소리 엇중모리 대목의 리듬 및 붙임새 유형

        권아 한국예술종합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23

        본고의 목적은 판소리 엇중모리 대목의 리듬 및 붙임새 특징을 창자의 소리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밝히는 것이었다. 단가 “사창화류”와 판소리 5바탕의 엇중모리 대목을 모두 실음 채보하여 그 리듬구조와 붙임새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단가 “사창화류”에서는 ?? 리듬 구조가 가장 많았고 대목 전체가 대마디대장단이었다. 둘째, 판소리 뒷풀이 이외의 대목은 네 곡을 살펴보았는데, 김연수의 곡에서는 2/? 리듬 구조가 가장 많았고, 김소희의 곡은 ?? 리듬 구조가 많았으며, 김연수의 곡과 비슷한 비중이었다. 김연수의 곡에서는 잉애걸이가 4장단, 엇붙임이 2장단으로 대마디대장단 외의 붙임새가 총 6장단 나타났고, 김소희의 곡은 대목 전체가 대마디대장단으로 이뤄져 있었다. 박초월의 곡에서는 ?? 리듬 구조가 가장 많았고, 엇붙임은 1장단이며 나머지는 모두 대마디대장단이었다. 최승희의 곡은 3/? 리듬 구조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잉애걸이가 2장단, 대마디대장단이 6장단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네 대목의 붙임새 유형 중 ?? 리듬 구조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잉애걸이, 엇붙임은 김연수의 “회동 성참판”대목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셋째, 판소리 뒷풀이에서는 다섯 곡을 살펴보았는데, 정권진의 적벽가에서는 2/? 리듬 구조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잉애걸이가 1장단, 대마디대장단이 9장단 나타났다. 박초월의 수궁가에서는 ?? 리듬 구조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대목 전체가 대마디대장단이었다. 박봉술의 흥보가에서는 2/? 리듬 구조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대목 전체가 대마디대장단이다. 오정숙의 심청가에서는 3/? 리듬 구조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잉애걸이가 5장단, 엇붙임이 3장단, 대마디대장단이 22장단 나타나, 본고에서 분석한 전체 엇중모리 대목들 중 잉애걸이와 엇붙임의 출현 횟수가 가장 높았다. 성우향의 춘향가에서는 ?? 리듬 구조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대목 전체가 대마디대장단이다. 종합하면 엇중모리 대목에서 나타난 붙임새는 2/? 리듬 구조, 3/? 리듬 구조, 4/♩. 리듬 구조, ?? 리듬 구조, ?? 리듬 구조, ♩.♩.? 리듬 구조, ?♩.♩.구조, 총 일곱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본고에서 분석한 엇중모리 곡들을 통틀어 가장 많이 나타난 붙임새는 ?? 리듬 구조였고, 잉애걸이, 엇붙임의 비중이 전체 대목 중에서 비교적 높았던 대목은 김연수의 춘향가 중 “회동성참판” 대목과 오정숙의 심청가 뒷풀이였다. 이는 정교한 붙임새를 잘 구사하기로 유명했던 정정렬의 제자였던 김연수가 대마디대장단이 대부분인 엇중모리에서도 다양한 붙임새를 적용하려고 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겠다. 결국 엇중모리에서는 이렇듯 다양한 리듬구조가 나타났고 엇중모리가 도드리와 같이 변화가 적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는 실제와는 어긋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엇중모리는 판소리의 다른 장단들과 마찬가지로 리듬을 적극적으로 변화시켜 쓰며, 비록 적은 비중이지만 대마디대장단 외에 엇붙임과 잉애걸이를 쓴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리듬을 분석하는 데 있어 고법보다는 소리가 기준이 되어야 함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의 연구결과가 엇중모리에 대한 이해를 돕고, 향후 연주나 창작에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말을 맺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