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기영과 임상수의 <하녀>(1960/2010)의 영화스타일 비교연구

        권상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화<하녀>의 원작(1960)과 리메이크작(2010)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어떻게 김기영과 임상수 감독이 자신의 스타일을 완성하고 구축했는지, 또한 이것이 어떤 형식으로 변주되었는지 고찰하고자 했다. 동명의 타이틀 ‘하녀’는 50년의 간극을 두고 만들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욕망과 계급의 문제가 작품의 화두가 된다. 이 주제는 김기영과 임상수 감독이 밝혔듯이 시대성을 바탕으로 작품 속에 표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화 <하녀>의 내러티브와 시각적 스타일 가운데 상징적 의미를 지니는 공간과 도구(소품), 카메라의 움직임에 나타난 영화적인 기호를 비교분석했다. 내러티브에서는 원작과 리메이크작 모두 남녀 간의 성을 매개로 하고 있으나 인물화는 크게 변화되었다. 특히 타이틀 롤인 ‘하녀’의 변화에 주목 할 만한데 원작에서는 그것이 중산층 가정을 파괴하는 가해자로 표현되어 있는데 반해 리메이크작에서는 물질만능주의로 대변되는 최상류층에 의해 죽음에 이르게 되는 피해자로 그려지고 있다는 점이다. 하녀를 중심으로 한 주변 인물들의 변화는 장르의 변화로 이어지는데 원작이 인물들에게 기괴함을 부여하여 스릴러 장르를 구축해나갔다면 리메이크작에서는 드라마 장르로 재창조되었다. 또한 내러티브를 통해 원작은 교훈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반면 리메이크작은 자본화로 대표되는 현대사회를 비판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다는 점에서도 큰 차이를 보였다. 시각적 스타일 중 공간은 원작과 리메이크작 모두 계급과 욕망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형상화시키며 고도의 상징성을 갖는다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다양한 도구에 상징성을 부여한 원작과 달리 리메이크작에서는 상징성을 가진 도구를 거의 배제했다. 카메라의 움직임에서 원작은 공포감에 대한 강조와 욕망에 대한 은유를 표현하고 있다면 리메이크 작에서는 계급의 차이를 보다 더 구체화시켜 표현하고 있었다. 분석결과 두 작품의 <하녀>는 같은 소재를 가지고 서로 다른 내러티브와 이미지를 창조해냄으로서 욕망과 계급이라는 문제에 근대와 현대라는 각기 다른 시대성을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김기영과 임상수 감독 고유의 독창적인 스타일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between original film <The Housemaid>(1960) and remake film <The Housemaid>(2010) on the style of directors over multiple phases of film work based on identifying critical change processes that explain the differences between Kim Ki Young and Im Sang Soo. In spite of an interval of fifty years, the Housemaid film, including the same title focuses on basic desire and class discrimination issues. These topics are well represented in their films based on trend of the tim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key film signals through space room, prop, and camera movement that include a symbolic meaning of the narratives and visual styles. Although, a narrative of both original film and remake film involves a sexual love between man and woman, the figure character has changed profoundly. I think that the housemaid character’s change is especially worthy of notice. The original film tends to create housemaid character in the perpetrator as a middle class family breakdown. Remake films’ housemaid character, on the other hand, is associated with the victim. In other words, the title role of remake film is described as a victim of the highest circle representing materialism. Also, housemaids’ surrounding actor’s psychological change is connected by genre transition. For example, the original film provides surrounding character with grotesqueness to build up thriller genre but, a remake film approach, recreates drama genre. Additionally, the original film gives moral lessons through narrative stories. This is in contrast to remake film, in which the core narrative of remake film is looking at that statement in a critical view as a capitalization of modern society. In the midst of visual styles, space or room has a lot in common including a high level of symbolism between original and remake film. For instance, space focuses on class distinction or basic desire as a specific visualization. Thus, the original film is likely to give important signals to diverse imagery tools by focusing director’ attention on implementing their message communication. Remake film, on the other hand, tends to exclude significant instrument. For instance, the original film during the camera shifting phases uses a metaphor to show the theme of fear, panic, and dirty desire. In contrast, remake film attends to the difference of class in camera-emphasizing point concretely. In conclusion, original film and remake film approaches contribute to create different types of narrative and image based on same matter, demonstrating that the representation of trend of the time manifests respectively through desire and class discrimination issues. These findings, therefore, help understand directors’ distinctive talent of both Kim’s and Im’s with a unique approach.

      • 언어반응촉진 전략을 사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자폐성장애 중학생의 구문능력과 어휘다양도에 미치는 효과

        권상희 창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의 언어능력 중 구문능력(문법형태소, 평균발화길이)과 어휘다양도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자폐성장애 중학생 2명에게 언어반응촉진 전략을 사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는 행동간 중다 간헐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behaviors)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및 일반화, 유지 단계로 진행하였다. 중재는 언어반응촉진전략(개방형질문, 요구하기, 확장하기, 대조하여 고쳐말하기, 시범보이며 요구하기, 시간지연)과 비전자적 AAC도구인 의사소통판, 구문스토리맵, 친숙하고 경험한 사진으로 구성되었으며, 목표기술은 주격조사, 목적격조사, 처소격조사 3가지의 문법형태소로 설정하였다. 3가지 목표기술의 자료는 매회기 평가지를 이용하여 수집하고, 학생이 개방형질문과 요구하기 단계에 대한 자발적 표현만을 분석하여 평균발화길이와 어휘다양도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학생 모두 중재 후 3가지 문법형태소인 주격조사, 목적격조사, 처소격조사 반응률이 높아졌고, 평균발화길이(MLU-m, MLU-w, MLU-c)가 향상되었다. 둘째, 두 학생 모두 중재 후 어휘다양도(NTW/NDW)가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언어반응촉진 전략을 사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자폐성장애 중학생의 구문능력과 어휘다양도에 효과적인 중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뉴미디어시대의 국내 음악대학 작곡전공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권상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modern society, the music consumption is generally enjoyed by streaming on mobile or PC. On the occasion of the new media age, the music industry has changed more rapidly. As different media and different contents have been developed, it is changing more rapidly and even professional musicians are expanding their activities and music styles. Nevertheless, are domestic colleges of music in the country taking account of such changes? This study began with such issues raised. The precedent study on the issue of the curriculum at colleges of music indicates that it mainly lacks in career or job guidance. In other words, the curriculum, which is biased only in the subject majored in music, makes it difficult to enter society. However, the students’field adaptability and practical skills are not improved through some career and job subjects. Thus, the curriculum at colleges of music needs to be improved to ensure that they can have the skills and commitment necessary to advance into the field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concerned about their career path and advancement to society. In order to draw up measures to improve the curriculum majored in composition at colleges of music according to such needs, it was analyzed for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curriculum for composition major at domestic college of music and the method of operation at foreign colleges of the music curriculum. In addition, further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ongoing issues and improvement measures at colleges of music recognized by those specialists at the music industrial field along with students at colleges of music, while analyzing particularly on what knowledge and skills or commitment are required at the field. As a result, the findings support that the music theory area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f the curriculum majored in composition at domestic college of music, and it clearly showed that the curriculum relating to music technology or job career required by students and the field were insufficient. In the analysis of overseas cases, the curriculum at colleges of music showed many subjects relating to the theory of music, but it consisted mainly of music theory needed for creative activities, and various programs were operating to experience collaboration, internships and mentoring with companies through different activities other than the curriculum. In particular, it was designed to freely utilize electronic music research centers or hub centers in providing education on music technology, while supporting students to experience various creative activities through collaboration or convergence projects with other majors. The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 with students, professors and field specialists shows that the ongoing problems of the curriculum majored in composition at college of music is mainly with the theory that has a gap from the field as shown in the analysis result of the curriculum and that it is a kind of practical education course almost far from the development of the job practical ability. In order to resolve such problems, it is clear to beef up the practice on the music technology substantially using at the field while expanding the opportunity of the job experience and career by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field, so it is much more requested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on a large scale since the current curriculum is mainly with the theor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uggestion is made for the improvement measures on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majored in composition at domestic colleges of music and its operation method: First, the curriculum majored in composition at college of music should be reorganized on a large scale based on a careful analysis on the job ability at the field.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ield-based course that is linked to a field. At the university level, efforts should be made to expand the opportunities for practice while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diversity of music advances. Thir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with other majors. The process for connection with different majors should be operated so that they will be competent persons required in the age of convergence. It is hoped that the outcome of the study will serve as a motive for enhancement of the curriculum majored in composition at college of music to meet the social requirements. 현대사회에서 음악 소비는 모바일 또는 PC에서 스트리밍으로 즐기는 것이 보편적이다. 뉴미디어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음악 산업은 더욱 급변하게 되었다. 다양한 매체의 발달과 콘텐츠 개발 방식에 따라 변화 속도는 점차 빨라지고 있으며, 전문 음악가들도 음악을 표현하는 방식과 활동 영역을 점차 넓혀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음악대학이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고 있는가?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제기로 시작되었다. 음악대학의 교육과정의 문제점에 관한 선행연구를 보면 주로 진로나 취업지도가 미흡하다는 내용이 많다. 음악 전공과목에만 치우쳐져 있는 교육과정 때문에 사회진출에 어려움이 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몇 개의 진로, 취업 교과목을 통해 학생들의 현장 적응력과 실무능력이 향상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진로나 사회진출에 대한 고민과 동시에 현장 진출 시 필요한 기술과 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음악대학의 교육과정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음악대학 작곡 전공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국내 음악대학 작곡 전공 교육과정의 운영 현황과 국외 음악대학의 교육과정 운영방식을 분석했다. 또한, 음악대학의 학생들과 음악 산업 현장에 진출해 있는 현장 전문가들이 인식하고 있는 현재 음악대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특히 산업현장에서 요구하고 있는 지식이나 기술, 태도는 무엇인지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통해 분석해보았다. 분석결과 국내대학의 작곡 전공 교육과정은 음악이론 영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과 현장에서 요구하는 뮤직테크놀로지 관련 교과목이나 진로직업과 관련된 교육과정이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외 사례분석 결과에서도 마찬가지로 음악대학의 교육과정은 음악이론에 해당하는 교과목이 많았으나, 주로 창작 활동에 필요한 음악이론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교과과정 외에 여러 활동을 통해 기업과의 협업, 인턴십, 멘토링을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었다. 특히 뮤직테크놀로지 교육을 함에도 전자음악 연구센터나 허브센터 등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되어있었고 타 전공과의 협업이나 융합 프로젝트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창작 활동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었다. 학생, 교수,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 결과 도출된 것은 현재 음악대학 작곡전공 교육과정의 문제점은 교육과정 분석결과와 마찬가지로 현장과 괴리되어 있는 이론 중심의 교육과정과 실무능력 개발과 관련성이 낮은 실기과정이라는 것이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활용하고 있는 실질적인 뮤직테크놀로지에 대한 실습 강화와 현장과의 연계를 강화하여 진로 및 직업체험의 기회를 확대, 이론 위주의 교육과정에 대한 대대적인 개편 등의 요구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국내 음악대학 작곡전공 교육과정의 내용과 운영방식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음악대학의 교육과정 개편을 위하여 현장에서의 직무능력에 대해 면밀한 분석을 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개편해야 한다. 둘째, 현장과 연계된 현장실습 위주의 과정 개설이 필요하다. 음악 진출 분야의 다양성에 대한 정보제공과 함께 실습 기회를 확대할 수 있도록 대학 차원에서 노력해야 한다. 셋 째, 타전공, 타 학문과의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 융합의 시대에 필요한 인재가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전공과의 연계 과정이 운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결과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음악대학 작곡전공 교육과정 개선의 단초가 되기를 기대한다.

      • 동충하초의 건분 및 물추출물이 흰쥐의 지방대사, 항산화 및 면역능에 미치는 영향

        권상희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dried powders and water extracts of Paecilomyces tenuipes(P.tenuipes) and Cordyceps militaris(C.Nilitaris) on lipid metabolism,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tive capacity and immune status in rats. Forty-nine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ting 195 ± 21g were grouped into seven according to body weight. Rats were raised for four weeks with diet containing either 4%, 2%(w/w) of dried P.tenuipes powders(TP-4, TP-2), 2%, 1% of dried C.militaris powders(MP-2, MP-1), or water extracts from equal amounts of each 4% P.tenuipes and C.militaris powder(TE-4, ME-4). Food intake, weight grain, food efficiency ratio of all groups except dried C.militaris powder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control group. Lipid metabolism in genera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the groups. However, both dried P.tenuipes and C.militaris powder lowered plasma cholesterol level slightly and seemed to have hypocholesterolemic effect. And water extract groups showed tendency of higher plasma HDL-cholesterol and lower liver cholesterol levels than control. Plasma and liver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S) concentrations of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lower than control groups. Red blood cell(RBC) and liver superoxide dismutase(SOD) activ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the groups. Liver xanthine oxidase(XOD) activities of all groups except MP-2 group were tended to be lower than control group. Plasma total antioxidant status(TAS) of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tended to be higher control group.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induced by mitogens, concanavalin A and lipopolysaccharide, were increased in TP-2 and MP-2 groups. The TP-4 group showed increased CD8 T cells and G/M ratio, suggesting activated cytotoxic T cell activity for the anti-cancer effects in vivo. Increase of G/M ratio but not of MHC class Ⅱ in TP-2 and MP-2 groups indicated the possible acute inflammatory reacion by the ingested substances in gastrointestinal tract. Considering homeostasis of experimental animals, ME-4 group could be most desirable condition among entire groups, because ME-4 group showed enhanced cellular immunity without vigorous changes of immune parameters in brief periods. In conclusion, both P.tenuipes and C.militaris stimulated antioxidant capacity and immune status in rats. Among groups, water extract of C.militaris was most effective in both capacities, though dried powder of P.tenuipes at 2% dietary level was more effective in antioxidant activity, as various results by different strains were observed. 본 연구는 품종이 다른 동충하초인 Paecilomyces tenuipes와 Cordyceps militaris의 건분 및 물추출물이 흰쥐의 체내 지방 대사와 항산화 및 면역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평균체중이 195± 21g인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 49마리를 7군으로 나누어, 건분군들의 경우 P.tenuipes 건분은 식이의 4%. 2% 수준으로 첨가하고 (TP-4, TP-2), C.Nilitaris 건분은 식이의 2%, 1%를 첨가하였으며 (MP-2, MP-1), 물추출물군들은 식이 내 4% 건분 식이와 동량의 P.tenuipes와 C.Nilitaris 건분으로부터 물추출물을 얻어 이를 식이에 첨가 (TE-4, ME-4)하여 4주간 사육하였다. 지방대사를 알아보기 위하여 혈장, 간, 변의 총지반,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함량을 축정하였고, 혈장과 가느이 지질산화물(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dstance, TBARS) 농도와 적혈구 간의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 간에서의 xanthine oxidase(XOD) 활성, 혈장에서 total antioidant satus(TAS)를 측정하여 형산화능을 살펴보았으며, 면역능을 알아보기 위해 비장세포의 세포증식 능력과 마초혈액 면역세포 분포를 측정하였다. 하루 평균 식이섭취량, 실험기간 동안의 체중증가량 및 식이효율은 C.Nilitaris 건분군들을 제외한 나머지 군들은 대조군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C.Nilitaris 건분들의 경우 하루 평균 식이섭취량, 실험기간 동안의 체중증가량 및 식이 효율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C.Nilitaris 건분의 식이 내 함량이 높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은 P.tenuipes와 C.Nilitaris의 건분 및 물추출군 모두 뚜렷하지 않았으나, P.tenuipes와 C.Nilitaris 건분군들의 혈장 내 콜레스테롤 수준이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내어 P.tenuipes와 C.Nilitaris 건분의 hypocholesterolemic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또한 C.Nilitaris 건분군들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혈장 및 간 중성지방의 농도 뿐만아니라 변 중성지방 배설량도 낮은 경향을 나타내어, 적은 양의 식이를 섭취하여 열량섭취가 부족하였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지방대사 규모 자체가 작아진 것으로 생각된다. 두 가지 물추출물군들의 경우에는 모두 대조군에 비해 혈장 내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높은 경향을, 간의 콜레스테롤 농도는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장과 간의 TBARS 수준은 모든 실험군이 대조군보자 낮거나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적혈구와 간에서의 SOD 할성은 모든 군이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간에서의 XOD 활성은 MP-2군을 제외한 나머지군들 모두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혈장의 TAS는 유의적인 차인 나지 않았으나 모든 실험군들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동충하초의 건분군들과 물추출물군들은 모두 대조군보다 항산화능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 ME-4군이 가장 효과가 컸다. Mitogen에 의한 비장세포 중식정도를 알아보았는데, ConA와 LPS를 첨가하여 MTT 방식으로 측정한 결과, TP-2군과 MP-2군에서 20㎍/ml 농도의 mitogen에 대한 T 임파구 및 B 임파구의 증식능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됨을 볼 수 있었다. 말초혈액의 면역세포 분포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각 실험군에서의 면역 효과가 달리 나타났다. 즉, TP-4군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해 helper T cell(CD4)는 유사하지만 cvtotoxic T cell(CD8)이 유의적으로 증가해 세포성 면역이 증강하였고, 또한 MHC class Ⅱ의 발현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APC 역할을 하는 G/M와 B cell이 증가하지 않아 단위 세포의 항원 제시 능력이 증가했을 가능성이 있기에, 정상 쥐일 경우 높은 수준의 P.tenuipes 건분 성분은 특이성 면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더불어 항암 효과를 기대하게 하였다. 이와는 다르게 TP-2군과 MP-2군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시 MHC class Ⅱ는 유사하지만 G/M가 높아져 향균 면역증강 효과를 기대하게 하나, 임파구 subplpulation 활성 억제가 나타나므로 정확한 판단은 하기 어려웠다. ME-4군의 겨우는 대조군과 비교해 helper/cytotoxic T cell ratio가 증가하였고 MHC class Ⅱ는 높은 경향을, G/M와 IgG₁은 낮은 경향을 띄어 본 실험에 사용한 동충하초 시료 중 C.Nilitaris 물추출물이 정상인을 위한 식품으로 개발하는데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실험에 따르면, 품좀이 다른 동충하초 P.tenuipes와 C.Nilitaris 모두 항산화능과 면역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나 제조방법을 달리한 동충하초 시료의 효과가 품종과 식이내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즉 C.Nilitaris의 경우 물추출물군(ME-4군)은 항산화 및 면역능을 가장 효과적으로 향상시켰으나, P.tenuipes의 경우에는 건분을 2% 수준으로 첨가한 군(TP-2)의 항산화능이, C.Nilitaris 물추출물군에는 못 미치나, 대조군에 비해 다소 증가됨을 볼 수 있었다.

      • RME관점에서 CMP와 한국 교과서 비교 : 중학교 정수와 유리수 단원에서

        권상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how to improve and use Korean middle school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through the lens of RME. Math class based on storytelling and problem solving in common would start from the realistic contexts from which mathematics should be reinvented by mathematization process in RME. For the reason this study is conducted for comparative analysing Korean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and CMP textbooks used in US based on problem solving. This research problems is as follows : 1. H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extbooks in terms of structure be described? 2. H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extbooks in terms of content be described? To answer this first research problem, I have analyzed and compared titles of units and organization of units and system of one unit on the entire textbook first, then learning objectives and organization of subsections on integers and rational numbers unit. To answer this second research problem, I have analyzed and compared description method of mathematical content, type of context for the introduction, generalization process focusing on integers and rational numbers uni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CMP textbook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MP textbook provides students with more opportunities for informal thinking, building their own strategies. On the other hand, Korean text consists of a sequence of mathematical knowledge and Korean textbook emphasizes mastery of calculations, understanding the formal the principles and algorithms are presented. Second, CMP textbook leads students to think by connecting mathematical concepts, knowledge and the real word phenomenon. In addition, CMP textbook presents various situations, models, patters, and provides students with opportunities for comparing each other, finding common aspects, making more general rules or strategies, doing generalization. On the other hand, Korean textbook presents simple context, single example and presents pre-generalized principles or algorithms. This study reaches the follows: Korean textbooks should use stories containing more conflict situations to be solved by using informal mathematical knowledge, and must present problems of a common story for each subsection. Second, teachers should present more examples, advise student to find common aspects, forecast generalization result. Third, teachers should advise student to justify learned knowledge by using their routine terms or making stories.

      • 의료미용 실무교육 실태 및 교육 만족도가 현장 활용성에 미치는 영향

        권상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의료미용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20-50대까지 현장 실무자 300명을 대상으로 의료미용 실무교육 실태 및 교육 만족도가 현장 활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을 시행하였다. 교육 실태는 의료미용 교육 실태와, 현장실무 교육 실태로 나누었고 의료미용 실무교육 만족도의 하위요인은 피부 실무교육, 시술 전 후 처치교육, 고객 상담 서비스 교육, 위생 관리 교육으로 구성하였다. 현장 활용성은 기술적 측면, 지식적 측면, 고객 서비스 측면으로 구성하여 직무 만족도와 재교육 요구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였다. 의료미용 실무교육 실태 중 교육을 받은 이유는 자기계발이 가장 많았고, 의료미용 교육을 받고 성취한 것은 자기계발을 통해 승진하였다가 가장 많았다. 교육 만족도는 피부 실무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재교육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왔다. 이는 비교적 낮은 비중의 피부 실무교육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조화롭게 재구성하여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의료미용 교육의 현장 활용성은 하위 요인 모두 정(+)의 영향을 미쳐 직무 만족도와 재교육 요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 활용성이 높을 경우 직무 만족도가 높아지고 재교육 요구도도 높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의료미용 교육 실태는 교육 만족도가 비교적 낮았고, 때문에 현장 활용성의 활성화와 직무 만족도의 증대를 위한 재교육의 요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에서도 실무 교육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연단위로 계획을 세워 한달에 1-2회씩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과정을 도입해 질 높은 수준의 의료미용인을 양성 할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surveyed 300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50s among field practitioners who had received medical beauty training. Sub-factors of medical beauty practical training satisfaction were divided into skin practical training, pre-treatment training, customer counseling service training, and hygiene management training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n-site utilization, job satisfaction, and re-education needs.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edical beauty education, women were the largest in gender, people in their 30s, and people majoring in skin were the most. I graduated from college the most in my final education. The motivations for medical beauty education were self-development and obtaining certificates, followed by "self-development and promotion" and "acquiring certificates."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receiving education was "acquiring new knowledge" the highest, and the goal I wanted to achieve through education was "upgrading skin major knowledge." The reason why I think education is necessary in educational conditions is that "identifying recent trends" was the most common. In modern society, unlike before, the goal is not to get a job, but to develop through self-development. Skin practical education, a subfactor of medical beauty practical educ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education status, was the lowest with 3.68 points, and the demand for re-education according to the education status was 4.14 points, the highest. This is believed to be a need to activate a re-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working-level education of the skin, which is relatively low, so that it can be harmonized. The effect of medical beauty practical training satisfaction on field utilization is all positive, and it can be seen that field utilization increases when education satisfaction is high. The effect of field usability on job satisfaction has been confirmed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field usability, technical and service aspects have a posi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p<).000), all of which had a positive effect, showed that high field utilization increased job satisfaction. The effect of on-site usability on retraining needs is all positive (+) (p<.000). It could be seen that high on-site utilization would increase the demand for re-training.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re-education needs(p<).000) It can be interpreted that all have a positive effect and that the demand for retraining increases if the job satisfaction is high. With the recent revitalization of the medical beauty industry, medical accidents are increasing due to lack of systematic training, which supports the lower awareness of pre- and post-treatment education after skin practical training. Such research is considered necessary continuously in the future because there is a lack of prior research in the face of the growing medical beauty market. In this study, the effect of medical beauty practical training and training satisfaction on field utilization was found to be relatively low, requiring re-training to activate field utilization and increase job satisfaction. Among the sub-factors of practical training satisfaction, skin practical training, pre-treatment training, customer counseling service training, and hygiene management education should be raised to provide field-utilized training, which can also increase job satisfaction. In the field of practice, there is a lack of knowledge required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on-site practical demand, and even if they were educated at school, it is difficult to become a high-quality professional workforce from field practition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 curriculum like a school or academy, rather than end with practical training, to introduce a systematic and effective curriculum once or twice a month to foster high-quality medical beauty staf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