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D-ROM 활용이 초등 영어 듣기 및 흥미도 신장에 미치는 영향

        권민정 建國大學校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학습용 CD-ROM 활용이 초등학생의 영어 듣기와 흥미도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실험은 서울 광진구의 S 초등학교 4학년 2개반 72명을 대상으로 CD반, 교과서와 Tape반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2개 반의 동질성 확인을 위하여 사전 성취도 검사를 한 후, 2002년 5월 20일부터 7월 13일까지 주당 2시간씩 16주간 영어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사 결과는 t검증과 ANCOVA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D-ROM을 활용한 실험 집단과 교과서와 Tape를 활용한 통제 집단에 있어서 듣기 성취도의 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CD-ROM을 활용한 영어 학습지도는 교과서와 Tape를 활용한 영어 학습지도보다 듣기 실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5). 둘째, CD-ROM을 활용한 실험 집단과 교과서와 Tape를 활용한 통제 집단에 있어서 흥미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에 대해서 CD-ROM을 활용한 영어 학습지도는 교과서와 Tape를 활용한 영어 학습지도보다 영어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종합적으로 CD-ROM을 활용한 듣기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CD-ROM을 활용한 실험 집단이 교과서와 Tape를 활용한 통제 집단보다 듣기 성취도 및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 즉 흥미도, 관심도, 집중도, 이해도, 자신감에 있어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CD-ROM을 활용함으로써 그 동안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온 과밀학급의 문제, 학습자간의 개인차 문제, 원어민화자의 발화를 자료화하는 문제점 등이 상당히 극복될 수 있었다. 또한 어린이들은 초등학교 영어학습용 CD-ROM으로 영어를 학습하는 것을 상당히 선호하고 있으며 영어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하는 등 정의적인 측면에서도 상당히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컴퓨터를 학습 활동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적절한 코스웨어 개발과 체계적인 접근방식으로 개발된 CD-ROM 활용은 특히 초등영어 교육에서 아동들의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증진시켜 줄 수 있는 좋은 수업도구가 될 것이다. This study is to see how effective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bility in listening English will be with the result of CD-ROM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classes increased interest in English. The researchers carried out the experiment on 72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16 weeks to investigate the progress in English listening ability and the attitudes toward teaching and learning listening with Elementary School English 4.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plit into two groups: the CD group and the tape group. The two groups completed the following: (a) a pretest, administered for confirmation of homogeneity of the groups, (b) English instruction, conducted two hours every other weeks from May 20th to July 13th, 2002, (c) a post test, administered immediately after the instructions. Results were analyzed by T-test and ANCOVA.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1) After 16 weeks teaching listening with the CD-ROM Title, student's listening abilities were improved. In particular teaching about listening was more effective for experimental classes than control classes. 2) It showed that teaching listening with the CD-ROM Title increased student's motivation and interests in listening.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 use of it was interesting. Moreover, they preferred the experimental classes rather than control classes. Consequently, CD-ROM material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listening ability compared to textbook and tape material. The class where CD-ROM material was used had interest, concentration, comprehension, self-confidence, and participation's improvement and more positive response to listening education. Lack of equipment and appropriate materials for English education, lack of knowledge, and lack of teacher training, are identified as the main barriers encountered in the actual use of the CD-ROM in English education. These problems must be solved, in order to realize the value or CD-ROM and implement them successfully in English education in schools. There must be more investment in the equipment and particularly in appropriate materials for curricular 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Proper teacher training is also needed at workshop-based training courses, to provide teachers with sufficient methodological and technical knowledge.

      •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 듀이의 프래그머티즘 관점을 중심으로

        권민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도입된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을 탐구하면서 듀이의 프래그머티즘을 논의해보고 그 속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적 의미를 찾고자 수행되었다. 학생중심의 교육과정 실현을 위해 등장한 창의적 체험활동이 교과활동에 치중한 학교현장에서 형식적으로 운영되지 않고 보다 가치 있는 활동이 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 가지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기존의 창의적 재량활동, 특별활동과 창의적 체험활동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그 차이점과 도입 이유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둘째,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적 의미와 중요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듀이의 프래그머티즘을 탐구하였다. 셋째, 창의적 체험활동의 네 가지 영역인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의 의미와 목표를 찾고 듀이의 프래그머티즘을 통하여 찾을 수 있는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창의적 체험활동은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활동으로 유도하고자 마련된 교육과정이며 이는 기존의 창의적 재량활동, 특별활동과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기존 교과 외 활동과의 차이점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이론적 배경이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듀이의 프래그머티즘에 의하면 인간은 끊임없이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통해 성장하게 되며, 이런 인간의 삶에 필수적인 것이 교육이고 교육은 환경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마주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와준다. 이는 창의적 체험활동이 도입된 의미와 그 맥락을 같이한다. 이 연구에서 논의된 것처럼 듀이의 프래그머티즘을 중심으로 창의적 체험활동의 의미를 이해하고 계획, 실천해 나간다면 창의적 체험활동은 아동들의 성장에 중요한 교육과정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다. 핵심어: 창의적 체험활동, 듀이, 프래그머티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John Dewey's pragmatism. The elementary schools'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urriculum has been introduced in the 2009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the study the author's main focus is on focuses on finding out the meaning of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on the basis of some related ideas that Dewey construed in his pragmatism. The author works on three topics: First, she compares the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y, extracurricular activity with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nd also the differences with them and the reason why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was introduced in the 2009 curriculum. Second, she researched Dewey's pragmatism to analyze the educational meanings of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nd their importance. Third, she finds the meanings and objectives of autonomous activity, youth club activity, volunteering activity, abd career activity which are the four main areas of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nd analyzed the meanings which could be found through Dewey's pragmatism.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that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is a curriculum for bringing up creative humans who can practice caring and sharing. And also these points are differences with the former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y and extracurricular activity. But students and teachers do not find differences with them. The reason is because there is no background knowledge about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Dewey's pragmatism tells us that people can grow through interaction with environment. So education is necessary and when we have problems, we can solve them using education. This is main reasons why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is introduced in the 2009 curriculum. The author concludes that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urriculum should be very important to the students' growth if both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understand its foundational meaning when they plan and practice it. Key words: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Dewey, pragmatism

      •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권민정 울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개인적인 변인인 기질과 가장 중요한 환경요인의 하나인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먼저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기질, 어머니의 양육유형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또한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U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9곳과 유치원 1곳에 재원중인 만 3∼5세 유아 어머니 각각 216명으로 기질과 양육유형은 어머니가 평정하였으며 문제행동은 담임교사(34명)가 측정하였다.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유아의 기질은 Rusalov와 Trofimova(2007)가 제작한 STQ(Structure of Temperament Questionnaire)를 한국 유아에 맞게 번안하여 측정하였고, 어머니의 양육유형 측정은 한국아동패널에서 사용한 조복희, 이진숙, 이홍숙, 권희경(1999)의 양육스타일(The Parental Style Questionnaire, PSQ)척도로 측정하였다. 또한 유아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한 유아의 문제행동 측정은 이경옥, 박혜원(2017)의 한국 벅스 행동평가척도2(K-BBRS-2)로 측정하였다.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문제행동, 기질, 어머니의 양육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문제행동, 기질, 어머니의 양육유형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유형과 유아의 문제행동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유아의 기질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아의 연령에 따른 기질의 차이를 본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아의 기질 중 신경증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성별에 따른 기질의 차이를 본 결과, 유아의 기질 중 운동 템포, 감각적 추구는 남아가 여아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지적에너지와 신경증은 여아가 남아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의 문제행동은 유아의 기질 중 운동에너지, 운동 템포, 지적에너지, 유연성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충동성은 문제행동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문제행동 중 품행장애, 주의ㆍ충동성문제, 정서문제, 사회적 위축과 자신감문제는 온정적 양육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기질 중 운동에너지, 지적에너지, 유연성은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감각적 추구, 충동성, 신경증은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유아의 기질 중 운동에너지, 지적에너지는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제행동 전체는 유아의 기질 중 지적에너지, 어머니 양육유형의 온정적 양육에 의해 7%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문제행동 중 품행장애는 유아의 기질 중 지적에너지에 의해 4%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의ㆍ충동성문제 또한 지적에너지에 의해 7%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문제행동 중 정서문제는 어머니의 양육유형 중 온정적 양육에 의해 4%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문제행동 중 사회적 위축은 어머니의 온정적, 통제적 양육과 유아의 기질 중 지적에너지에 의해 6%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문제행동 중 신체문제는 유아의 기질 중 충동성에 의해 4%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문제행동 중 자신감문제는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에 의해 3%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문제행동 중 지적문제는 유아의 기질 중 지적에너지와 운동 템포에 의해 11%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개인변인인 기질과 중요한 환경변인인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것으로 의의가 있다. 전반적으로 문제행동의 하위요인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유아 기질의 하위요인과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달랐으며 어머니의 양육유형과 기질이 단독적으로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의 양육유형과 기질이 함께 작용하여 유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육유형 중 온정적 양육이 통제적 양육보다 문제행동의 하위요인과 상관을 보였으며 각 양육유형이 미치는 문제행동의 하위영역 또한 달랐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비대면 미용 실습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생의 인식비교

        권민정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업은 교수자가 어떻게 인식하느냐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 또한 중요하다.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생들 비대면 미용 실습수업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비교하여 앞으로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비대면 수업의 설계 및 운영 방안 마련을 위해 교수자와 학생의 인식을 비교하여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조사대상자는 총 374명으로 교수자 대상자는 총 200명으로 여성 147명, 남성 53명으로 강사 경력은 ‘1년 미만’ 56명, ‘1년 이상-5년 미만’ 53명, ‘5년 이상-10년 미만’ 50명, ‘10년 이상’ 40명 순으로 나타났다. 학생 대상자는 총 174명으로 성별은 여성 122명, 남성 52명으로 나타났고, 학교 형태는 4년제 대학교 100명, 2년제 대학교 74명 순으로 나타났다. 학년은 2학년이 101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4학년 54명, 3학년 18명, 1학년 1명(0.6%) 순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미용 실습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교수자가 선호하는 실습수업 방식은 ‘대면 실습수업’이 152명, ‘비대면 실습수업’ 48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비대면 실습수업의 내용 전달력은 ‘대면 강의보다 좋지 않다’가 140명, ‘대면 강의와 비슷하다’ 35명, ‘대면 강의보다 좋다’ 16명, ‘아직 모르겠다’ 9명 순으로 나타났다. Zoom 같은 실시간 라이브 매체 실습수업 도입에서는 ‘부분찬성’이 120명, ‘찬성’이 45명, ‘반대’가 35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비대면 실습수업 시 주로 사용하는 학습 매체는 ‘PC 또는 노트북’이 108명, ‘모바일 기기(스마트폰, 태블릿PC 등)’가 92명로 나타났다. 학생이 선호하는 실습수업 방식은 ‘대면 실습수업’이 128명, ‘비대면 실습수업’ 46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비대면 실습수업의 내용 전달력은 ‘대면 강의보다 좋지 않다’가 109명, ‘대면 강의와 비슷하다’ 38명, ‘대면 강의보다 좋다’ 20명, ‘아직 모르겠다’ 7명 순으로 나타났다. Zoom 같은 실시간 라이브 매체 수업 도입에서는 ‘부분 찬성’이 105명, ‘찬성’이 50명, ‘반대’가 19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비대면 수업 시 주로 사용하는 학습 매체는 ‘PC 또는 노트북’이 106명, ‘모바일 기기(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가 68명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미용 실습수업 인식에 대해 분석한 결과 교수자가 학생보다 실습수업의 필요성, 현재까지 진행된 비대면 실습수업의 인식, 비대면 실습수업의 원활함, 지원 시스템 개선의 필요성, 실습수업의 정보 부족, 실습기구 필요성, 모바일 기기 사용방법의 어려움, 수업자료와 제작 시간이 부족함, 실습수업 연수 부족함, 실습수업의 이해도 저하, 교감 및 공감대 형성의 어려움, 수준별 수업 진행의 어려움을 더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비대면 미용 실습수업 만족도에서 전반적인 비대면 미용 실습수업, 학습 분위기, 학생 집중력, 실습수업 장소, 인터넷 환경, 실습수업 방식, 실습 능력 향상, 이해도, 상호작용에서 학생의 만족도가 더 높았으며, 교수자는 장소 편리, 다음 학기 실습수업 희망 여부에서 만족도가 높게 확인되었다. 주요 변수의 기술 통계분석 결과 비대면 미용 실습수업 인식에서 ‘비대면 실습 활용성’이 M=3.57(±.664), ‘비대면 실습 어려움’이 M=3.54(±.748), 비대면 미용 실습수업 만족도에서 ‘편리성 만족도’ M=3.41(±.853), 비대면 미용 실습수업 인식의 ‘비대면 실습 교육 부족’ M=3.15(±.644), ‘학습 소통 만족도’ M=3.01(±.746)순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실습수업 만족도가 비대면 미용 실습수업 인식에서 비대면 실습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편리성 만족도’(β=.097, p=.028)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편리성 만족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비대면 실습수업 인식의 ‘비대면 실습 어려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소통 만족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비대면 실습수업 인식의 ‘비대면 실습교육 부족’ 인식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실습수업 만족도가 비대면 미용 실습수업 인식에서 비대면 실습 활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학습소통 만족도’(β=.345, p=.000), ‘편리성 만족도’(β=.344, p=.000)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소통 만족도’와 ‘편리성 만족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비대면 실습수업 인식의 ‘비대면 실습 활용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도시 어메니티 강화를 위한 뮤지엄 리노베이션 공간디자인 연구

        권민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entering the era in which the urban competitiveness becam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made a variety of efforts to improve the urban competitiveness. Within such trends, the concept of urban amenity emerged as the core factor to determine the urban competitiveness. Urban amenity means the comprehensive comfort in an urban environment, so the improvement of urban amenity means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citizen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times, the types of urban amenity have changed into convenienc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esthetical characteristics, cultural characteristics in order. In the era of cultural economy of the 21th century,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mong four types of urban amenity become emphasized for the effort to recover the identities of the standardized city. The culturally developed countries paid attention to museums which were one of the cultural indexes of the city in order to enhanc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urban amenity.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urban amenity imply the local pride from the local residents and the visiting frequencies of cultural events and facilities. Therefore, the museums in which the visiting frequencies and staying time are insufficient tend to lose their vitality, and their social roles and cultural values decrease. Thu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museum are related to drawing in viewers and making them stay longer. Museums which contribute to improving urban amenity required in the era of culture are the spaces of many viewers visiting and staying longer, as public cultural spaces for viewers to visit in their daily lives. In such context, the researcher conducted this study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museums providing a variety of experiences enhance the aspects of drawing in viewers and making them stay longer so they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urban amenity. Since the late 20thcentury, the famous museums and art galleries in culturally developed countries abroad started to renovate the spaces in order to expand these roles. In 1984, Museum of Modern Art(MoMA) in New York expanded its entire spaces through the renovation by Cesar Pelli as well as expanded atrium, restaurant, café, theater, auditorium, bookstore. After MoMa, the culturally developed counties abroad preceded renovation with the trends of improving exhibit spaces as well as expanding the domains of public services. The roles of museum become reinforced as the public cultural spaces in everyday life for urban citizens. The researcher conducted two basic studies for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regarding the features of space design of foreign museums for the improvement of urban amenity and the features of space renovation of foreign museums for the improvement museum experience. In addition, based on the studies for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on the purpose of suggesting a renovation model for museum space in ba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useum and museum experience, which is the representative index of urban amenity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o do this, the researcher preceded the discussions on museum experience for the improvement of urban amenity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reference review in chapter 2,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useum experience and space program was induced. The researcher also explored how museum experience affected on the improvement of urban amenity. In chapter 3, the researcher qualitatively described how the results of renovation affected the improvement of urban amenity by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renovation in the cases of the culturally developed countries abroad. And then, the percentage change of the space was quantitatively analyzed through the area analysis per space program of the blueprint before and after the renovation, and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per space program was apprehended. In Chapter 4, the researcher selected a target space and suggested the specific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urban amenity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renovation derived from the case analysis to the context of target space in order to conduct design model study. In this process, the researcher enlarged the minimal space to maintain the historical spatiality of the target space and to preserve the values of the architecture.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could find that museum renovation enhances museum experience to improve urban amenity. This study has its implications to suggest a rational design plan by deriving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in the orientation of museum renovation in order to grown into the culturally developed country. 도시 경쟁력이 곧 국가경쟁력인 시대가 됨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는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러한 흐름 속에 도시 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서 도시 어메니티의 개념이 중요하게 대두되었다. 도시 어메니티는 도시 환경의 종합적인 쾌적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시 어메니티의 향상은 곧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의미한다. 시대의 요구에 따라 도시 어메니티의 유형은 편리성, 환경성, 심미성, 문화성 순으로 변화되어 왔으며, 21세기 문화경제시대에는 획일화된 도시의 정체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도시 어메니티의 네 가지 유형 중 문화성을 강조하게 되었다. 해외문화선진국에서는 도시 어메니티의 문화성을 강화하기 위해 도시의 문화 지표 중 하나인 뮤지엄에 주목하였다. 도시 어메니티의 문화성은 지역민이 느끼는 지역에 대한 자부심과 문화행사 및 시설의 이용 빈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관람객의 방문빈도와 체류시간이 미비한 뮤지엄은 생명력을 상실하여 뮤지엄의 사회적 역할과 문화적 가치가 감소되므로 뮤지엄의 문화성은 사람을 모으는 집객성(集客性)과 오래 머물게 하는 체류성과 연관된다. 문화의 시대에 요구되는 도시 어메니티를 강화하는데 기여하는 뮤지엄은 관람객이 일상생활 속에서 방문할 수 있는 공공문화공간으로서, 많은 관람객이 방문하며 오래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뮤지엄은 공간의 집객성과 체류성을 높여 도시 어메니티의 문화성 강화에 기여한다는 전제하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20세기 후반부터 해외문화선진국의 유명 박물관 및 미술관에서는 그 역할 확장을 위해 공간을 리노베이션하기 시작하였다. 1984년 뉴욕 현대미술관(MoMA)은 리노베이션을 통해 전체 공간을 확장하였을 뿐만 아니라 아트리움, 레스토랑, 카페, 극장, 강당, 서점 등을 확장하였다. MoMA 이후 해외문화선진국에서는 전시 공간 개선과 함께 공공서비스 영역을 확장하는 추세로 리노베이션이 진행되고 있으며, 도시민을 위한 일상 속의 공공문화공간으로 뮤지엄의 역할이 강화되고 있다. 연구자는 학회 저널에서 도시 어메니티 강화를 위한 해외뮤지엄 공간디자인 특성에 대한 연구와 뮤지엄 체험 강화를 위한 해외뮤지엄 공간 리노베이션 특성에 관한 연구라는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학회 저널 연구를 토대로 도시 어메니티와 문화성의 대표적 지표인 뮤지엄와 뮤지엄 체험의 관계성에 기반하여 뮤지엄 공간 리노베이션 모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자는 이를 위해 제 Ⅱ장에서 국내·외 문헌 연구를 통해 도시 어메니티 강화를 위한 뮤지엄 체험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여, 뮤지엄 체험과 공간 프로그램과의 관계성을 도출하였으며, 뮤지엄 체험이 도시 어메니티 강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해외문화선진국들의 사례 분석을 통해 리노베이션 전후 도면의 공간 프로그램별 면적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공간의 증감률을 분석하고 그 정성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디자인 모형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대상지를 선정하여 사례 분석에서 도출한 공간 리노베이션 특성을 대상지의 맥락에 적용하여 도시 어메니티를 강화하는 구체적인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대상지의 역사적 장소성을 유지하고, 건축물의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 최소한의 공간을 증축하였다. 도시 어메니티의 관점의 뮤지엄에 관한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뮤지엄이 리노베이션을 통해 뮤지엄 체험을 증진시켜 도시 어메니티 강화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그리고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뮤지엄은 점차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는 현대 도시의 문화적 가치를 창출하여 문화 선진국으로 발돋움할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문화 선진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뮤지엄 리노베이션 방향을 정량적 분석을 토대로 정성적 특성을 도출하여 합리적인 디자인 방안을 제시한 것에 의의를 갖는다.

      •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감정노동의 대상에 따른 차별적 효과

        권민정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환자에 대한 감정노동과 의사 및 동료에 대한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탐색하고,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체 산업에서 서비스 산업이 확대되면서 감정노동과 감정노동자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현대사회의 임금-노동관계에서 감정노동이 모든 직무와 직업에서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감정노동에 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감정노동만을 측정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병원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이 발생하는 대상을 환자와 의사 및 동료로 구분하여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지지가 조절할 수 있는 지 확인하였다. 연구를 위해, 한국 내 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25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환자에 대한 감정노동 중 표면연기는 직무소진의 하위차원인 고갈에는 정(+)적 영향을 미쳤지만, 일로부터의 심리적 이탈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환자에 대한 감정노동 중 내면연기는 고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일로부터의 심리적 이탈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의사 및 동료에 대한 감정노동 중 표면연기는 직무소진의 하위차원인 고갈에는 정(+)적 영향을 미쳤지만, 일로부터의 심리적 이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의사 및 동료에 대한 감정노동 중 내면연기는 직무소진 하위차원인 고갈과 일로부터의 심리적 이탈 모두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환자에 대한 감정노동 중 표면연기가 고갈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는 고갈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일로부터의 심리적 이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환자에 대한 감정노동 중 내면연기가 고갈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는 고갈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일로부터의 심리적 이탈에는 영향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의사 및 동료에 대한 감정노동 중 표면연기가 고갈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는 고갈과 일로부터의 심리적 이탈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환자에 대한 감정노동 중 내면연기가 고갈에 미치는 영향에서 고갈은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일로부터의 심리적 이탈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감정노동의 하위차원인 표면연기와 내면연기가 직무소진의 하위차원인 고갈과 일로부터의 심리적 이탈에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확인할 수 있으며,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환자를 대하는 상황뿐만 아니라, 의사 및 동료를 대하는 상황에서도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from patients and from doctors or colleagues on job burnout in order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ith the expansion of the service industry across all fields of businesses, people’s interest in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workers has increased. A number of researchers believe that emotional labor is likely to occur in all jobs and professions in the modern society. However, most prior studies on emotional labor only deal with the emotional labor that takes place in the process of providing services to customers. On the other hand, this research will measur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job burnout by sorting the subjects of hospital nurses into patients, doctors and colleagues to confirm if social support has power to modulat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job burnout. Using quota sampling, data were derived for this analysis from a total of 225 nurses working in hospitals in Korea.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uring the process of providing emotional labor for patients, the surface ac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exhaustion, on a sub level of job burnout,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disengagement from work. During the emotional labor for patients, the deep acting did not influence exhaustion but had a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disengagement from work. Second, the surface acting during emotional labor towards doctors and colleagues had a positive effect on exhaustion, on a sub level of job burnout, but did not influence psychological disengagement from work. The deep acting during emotional labor towards doctors and colleagues had negative effects on both exhaustion, on a sub level of job burnout, and psychological disengagement from work. Third, the effect of surface acting on exhaustion during emotional labor for patients, social support had a negative impact on exhaustion, and did not influence psychological disengagement from work. In the effects of deep acting on exhaustion during emotional labor for patients, social support did not influence exhaustion and had nega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disengagement from work. Finally, the effect of surface acting on exhaustion during emotional labor towards doctors and colleagues, social support did not affect both exhaustion and psychological disengagement from work. While exhaustion did not influence the effects of deep acting on exhaustion from emotional labor for patients, it still had a negative impact on psychological disengagement from work.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effects of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which are the sub level of emotional labor, on the exhaustion and psychological disengagement from work, which are the lower level of job burnout. The emotional labor of nurses can be seen in not only during the process of treating patients, but also during the process of dealing with doctors and colleagues.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자기표현 증진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권민정 대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GAT)program, on assertiveness for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0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who were attending after-school programs in D community centers in D city. They randomly placed in two groups by each 10 women into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group took part in GAT program, focused on enhancing assertiveness, that consisted of 14 sessions : 60 minutes a session, once a week, and from August, 2007 to November, 2007. The inventory used to verify the effects of GAT program was the rating scale of assertiveness developed by Galassi and Delo(1974), adapted by Kyeong-ja Hong(1981), and then reorganized by Byeong-sik Jeon(2002) for children. To analyze the data used SPSS for windows 14.0 and to see the effects of GAT program in each groups have been calculated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n repeated measure variance analysis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AT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negative assertions, which has m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positively express themselves when the chance comes. Second, GAT program was effective in decreasing positive assertiveness which has m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negatively express themselves when there's the need for negative assertions. Third, GAT program was effective in decreasing self-denial which has m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properly not express themselves by twisting or evading situations given to them. As considering this study show that GAT program was positive effects on assertiveness for students elementary school and can be used as a helpful intervention for positive assertiveness establishment.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연구대상은 D광역시에 위치한 D복지관내 방과 후 프로그 램에 참여하는 아동 20명으로 실험집단 10명,통제집단 10명으로 나누었다.실험처치 는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자기표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2007년 8월부터 2007년 11월까지 주1회,60분씩 총14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연구도구는 Galassi와 Delo(1974)가 개발하고 홍경자(1981)가 번안하였으며 전병식(2002)이 아동용으로 재구 성한 자기표현척도를 사용하였다.자료분석은 SPSS for window 14.0을 사용하여 전 산통계처리 하였으며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처치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 집단별 사 전·사후 검사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반복측정변량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필요가 있을 때 분명 하게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적극적 자기표현을 향상시켰다. 둘째,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자신의 생각을 분명히 표현할 필요가 있으나 자신감이 없이 소극적인 태도로 표현하는 소극적 자기표현을 감소시켰다. 셋째,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주어진 상황을 그대로 받아들이거나 회피 하며 적절한 표현을 하지 못하는 자기거부를 감소시켰다. 즉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기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긍정 적 자기표현확립에 효과적인 중재방안으로 사료된다.

      • 고등학교 학습자의 중국어 학습동기 유발방안 연구 : 제7차 교육과정 중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권민정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습자들이 중국어 학습에 대해 흥미를 갖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현재 중국어 과목은 고등학교에서는 주당 3시간씩, 중학교에서는 주당 2시간씩 교육되고 있으며, 그 밖에도 재량활동이나 특기적성교육(방과 후 교육)을 통해 초·중·고 학습자가 중국어를 접하고 있다. 이처럼 중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많아짐에 따라 최근 중국어 교육에서도 학습동기 유발을 일으키기 쉬운 노래나 챈트(chant), 게임, 영화 등의 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학습방법들이 많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멀티학습이나 보조 자료의 활용이 수업진행에 도움이 될 수는 있지만, 교사나 환경의 영향을 비교적 많이 받는 편인 실제 교육현장에서 모든 중‧고등학교 학습자들에게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점도 많다. 이와 다르게 교과서는 보조 자료나 멀티학습에 비해 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으며 지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 사용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주된 도구로써 어떠한 보조 자료보다 활용도가 높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등학교 학습자의 중국어 학습동기 유발방안을 제 7차 교육과정 중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연구하게 되었다. Ⅱ장에서는 동기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Ⅲ장에서는 교과서 안에서의 동기유발 요소들을 첫째, 교과서의 삽화(그림, 사진), 둘째, 교과서의 전체적인 단원구성 형식, 셋째, 본문의 주제와 소재의 현실성 여부, 넷째, 본문 외의 중국 문화 소개란(중국 문화 소개 부분)으로 이렇게 총 네 부분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해보았다. Ⅳ장에서는 앞에서 살펴 본 내용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제작하여 실질적으로 학생들 이 느끼는 학습동기 유발 요인에 대해 표본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설문조사 결과 대다수의 학생들은 중국어를 외재적 동기(extrinsic motivation) 보다는 내재적 동기(interest motivation), 즉 타인이나 기타환경 요인보다는 자신의 의지에 따라 선택한 경우가 많았는데, 이것은 중국어를 제 2외국어로 선택한 학생들이 그만큼 일본어나 다른 외국어보다 중국어에 더 큰 관심과 흥미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교과서 내용 중 소재의 다양성 결여 및 진부한 구성, 어려운 본문 내용, 삽화의 현실성 미비 등이 학생들의 흥미를 떨어뜨리고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이 중국어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게 하기 위해서 교수-학습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교수법과 그와 연관되는 내용을 교과서에 충분히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그 방법으로는 교과서 구성 시 첫째, 소재 유형에 있어서 제 7차 교육과정에 명시된 초급학습의 언어 범위 내에서 그 소재를 학생 중심으로 다양하게 선정해야 한다. 둘째, 내용적인 면에서 학습자와 교사가 실제로 다룰 수 있고, 가르치고 배울 수 있는 자료를 포함한 실제적인 내용을 실어야 한다. 셋째, 게임을 통한 형성평가와 활동(역할극, 협동학습)을 제작해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연습을 적극적으로 학습 할 수 있는 활동 중심의 교과서를 구성해야 한다. 그 밖에 교과서의 내용을 담은 보조자료(동영상, 플래시)와 녹음 CD혹은 MP3파일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수업 시간 외에도 능동적인 학습에 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위의 기준을 토대로 Ⅴ장에서는 실제 교과서 모형을 한 과 분량으로 재구성하고 그에 따른 지도방법을 제시하였다. 소재는 학생들이 좋아하는 햄버거를 선정하였으며,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교과서 중간 중간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그림, 녹음테이프의 활용, 중국어 고유의 특성을 이용한 발음 유희나 쟨말놀이(绕口令)와 같은 것들을 삽입하여 학습자의 학습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가 앞으로 중국어 학습자들의 중국어에 대한 흥미와 학습의지를 고취시키고, 보다 능률적인 학습효과를 이끌어 내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바람이다. 该研究中,对如何使高中生带着兴趣地学习汉语,积极地参与课堂活动的方法,进行了探讨。 现在,在高中汉语课程一个星期3小时,在初中一个星期2小时,除此以外,通过课外辅导,小学,初中和高中都在进行学习汉语的学习。随着希望学习汉语的学生数量的增多,汉语教学的方法也开始多样化。比如,利用容易引发学生学习动机的简单的歌曲或者是说唱,游戏 电影等多媒体的教学方法。虽然利用多媒体教学或辅助活动也很重要,但它是暂时的活动,而且受环境制约很大,并不适用所有的初中和高中学生。和这点不同的是课本比多媒体和辅助资料所受环境的影响小,不仅可以持续的学习,而且作为在学校使用的基本学习工具比任何辅助资料都重要。所以,该论文中以引发高中生汉语学习动机的第七次教育课程的汉语教材为中心,进行了研究。 在第二章里,先考察了动机的理论背景;在第三章里,对引发学习动机的要素分为四个部分进行来比较和分析。第一,教材的插图;第二,教材整体的单元构成形式;第三,课文的主题和素材的现实性与否;第四,课文外的汉语文化介绍。 在第四章里,以前面考察的内容为背景设计了调查问卷,通过问卷标本调查对学生们实际上感觉到的引发学习动机的因素进行了考察。问卷调查结果,大多数学生觉得比起外在的动机来,内在的动机更重要。具体的说,自己的意志比他人或者其它环境因素对自己的影响更大。这说明把汉语作为第二外国语的学生对汉语很感兴趣。然而,教材内容中素材多样性的缺乏和陈腐的构成,以及难易度的不适当等使学生的学习兴趣下降。 所以,为了不使学生丧失学习汉语的兴趣,在教授学习的过程中始终保持积极的学习态度,有必要改良教材。 改良的方法,第一,素材的类型要符合7版教材所明示的初级学习者的语言范围的前提下,以学生为中心选定多样的素材类型。第二,内容上,要选定学生和教师实际操作性强,可教可学的切实可行的内容。第三,在学社评定和练习上,要选定能够调动学生积极性的游戏,以及角色的扮演 协作活动的制作等,使学生能够积极地进行听说读写的练习。除此以外,要提供辅助教材的录像, 动画和录音,使学生在课外业能够能动的学习。以以上标准为基础,在第五章里,以实际教材为模型,展示了一课的内容,以及指导方法。以学生喜欢的汉堡包为素材,为了使学生能够能动的学习,在教材中插入能诱发学生兴趣的插图, 录音,以及利用汉语发音特性编成的游戏和绕口令等。 最后,希望该研究能够诱发汉语学习者的学习兴趣,鼓舞学习汉语的信心,对有效率的学习汉语能够有所帮助。

      •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 분석 : 교재개선방향 중심으로

        권민정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의 분석·평가를 통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안을 제시하기 위함에 있다. 국립국제교육원에서 발행되는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는 총 8단계의 교재가 개발되었고 재외동포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신청하면 무상으로 제공되고 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국립국제교육원의 위탁을 받아 개발된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는 2002년부터 개발이 시작되었는데 교재의 개발목적과 교육과정·교수요목의 선정, 교제체제의 설계과정을 두 차례에 걸친 보고서에서 밝히고 있다. 이를 기초로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를 살펴보고 비교·분석할 것이다. 또한,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의 학습자는 재외동포와 아동이라는 두 가지 특성이 있다. 이 두 가지 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교재가 구성되었는지가 논의의 초점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2장에서는 재외동포 학습자 특성을 통하여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성격을 살펴보고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 개발의 목적과 원리를 알아본다. 3장에서는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를 5종의 기관교재, 한글학교 교재, 기타 아동용 한국어 교재와 함께 외적 구성, 내적 구성, 교수학습 상황으로 나누어 비교해 본다. 4장에서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문제점을 지적하고 3가지 방향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재외동포 한국어 교재 개선을 위한 재정적 지원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교재에서 차지하는 문화 영역을 확대하여야 한다. 셋째. 재외동포 학습자 특징을 고려하여 언어기능별 과제활동을 조직하여야 한다. 이 연구는 기존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의 교수학습 상황, 외적인 구성, 내적인 구성 등 전체적인 구성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안을 제시 향후 교재 개발에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problems and suggest an improvement scheme for existing Korean textbook for overseas Korean through analysis and evaluation. Korean textbook for overseas Korean which was developed i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consigned by 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started to develop from 2002, and its development purpose, selection of an outline program of instruction and educational procedure and design procedure of textbook structure were explained twice in reports. Based on this, I will compare and analyze Korean textbook for overseas Korean. Further, people who study Korean with Korean textbook for overseas Korean have two characteristics. One is overseas Korean and the other is children. I will focus if this textbook has been organized taking these two points fully into consideration. First, in chapter 2, I will review Korean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 through characteristics of overseas Korean learner, and look into purpose and principle of Korean textbook development for overseas Korean. In chapter 3, I will divide and compare Korean textbook for overseas Korean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external structure, internal structure and teaching and learning conditions with five different kinds of institutional textbook, Korean language school textbook and other Korean textbook for children. In chapter 4, I pointed out problems and suggested improvement plan in three direc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is research has its meaning on understanding through analysis and evaluation for overall structure such as teaching and learning conditions, external structure and internal structure and suggesting improvement plan based on this so that future direction of textbook development could b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