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뉴 시니어(new-senior) 세대의 영화 예매 활성화를 위한 모바일 영화 예매 어플리케이션 제안

        권민정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뉴 시니어 세대에게는 영화가 중요한 문화생활로 자리잡은지 오래이다. 소통의 매개체로 생각하는 영화관람이 그들에게는 삶의 일부이며, 실제로 시니어의 전체 인구 중 절반에 가까운 인구가 영화를 즐기기 때문이다. 뉴 시니어를 포함한 정보 소외 계층의 웹 접근성은 날로 발전중이나,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은 뉴 시니어 전체의 절반정도의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 국내에서 진행된 뉴 시니어 연구들을 살펴보면, 뉴 시니어들은 높은 지적 욕구와 활동적 생활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주변인과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폭넓은 사회적 관계를 만들어 나가는 계층이다. 하지만 뉴 시니어들을 위하여 그들이 가지고 있는 관심과 그들만이 원하는 니즈를 효과적으로 반영한 예매서비스가 없고, 그와 관련한 연구가 없어 실제로 예매서비스를 사용하지 못하거나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뉴 시니어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그들의 니즈를 반영한 모바일 영화 예매 어플리케이션을 디자인하여 과거보다 활발히 어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예매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심리적인 만족도를 높이며 예매완료를 유도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문헌조사를 통해 뉴 시니어 세대의 본질을 이해하며 뉴 시니어를 위한 선행 연구 및 다양한 서비스 사례를 알아보았다. 이후 영화 어플리케이션 사례를 통하여 뉴 시니어 계층의 모바일 영화 예매를 위한 활성화 방안을 고찰해보았다. 조사에 따르면 기존의 영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하기에 다소 어려운 수준으로 콘텐츠를 구성하고 있었으며, 뉴 시니어 영화관람객과 소통할 수 있는 점 또한 많지 않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전체 연령에게 치중되어진 기존의 애플리케이션은 영화 정보 및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복합적인 설계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설계구조는 뉴 시니어 계층을 위한 서비스로는 부족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뉴 시니어 영화관람객에 대한 본격적인 사용자 조사를 진행하였다. 사용자 조사는 일차적으로 사전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오늘날 영화관람객의 유형 및 특성을 대략적으로 파악하였다. 이차적으로 일반 관람객들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심층 인터뷰를 통해 얻은 질적 데이터는 시퀀스 모델(Sequence Model)과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을 통해 분석하고 뉴 시니어 영화관람객이 영화 예매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요구사항을 파악하였다. 사용자 모델링(Modeling)단계에서는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여 퍼소나를 도출하였고, 이후 요구사항을 정의하였다. 도출된 퍼소나의 요구사항에 따라 영화 예매 시스템에 대하여 부담 없이 사용 가능하고, 이를 위한 가이드기능을 포함한 ‘친절한 마이 무비’ 어플리케이션을 디자인하여 제안하였다. 대화식 방식을 활용한 ‘가이드’기능 탑재 앱으로 복잡한 예매 방법과 정보 습득, 공유 방식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전체 연령을 위한 설계의 맥락인 기능들의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뉴 시니어들은 정작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대한 해결로 단순한 기능, 거부감이 없는 자연스러운 인터랙션, 검색엔진 및 가이드기능만을 포함하여 프로토타이핑하였다. 본 연구는 조작의 두려움으로 스마트기기의 사용을 꺼려하는 뉴시니어 영화 관람객들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모바일 영화 예매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영화 어플리케이션과 가까워 질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화에 대한 관심은 높으나 빠른 시일내에 기기와는 친해질 수 없는 뉴 시니어 세대를 대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시킨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사용자 경험을 토대로 설계된 디자인이 나날이 스마트해질 미래를 향한 지금 뉴 시니어 계층과 커뮤니케이션의 증대를 위한 밑거름으로 작용할 수 있길 기대하며, 더 나아가서 뉴 시니어 특화 서비스 및 컨텐츠를 기획하는 분야의 학문적 기반이 되길 기대한다. Movies are very significant civilized life for new-senior generation. Because watching movies which are media of communication is a part of living life for them. Actually, a about half of whole seniors enjoy the movies. According to a recent survey, web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minority group including new-seniors is increasing. However new-seniors who can use web information is about a half of whole seniors. According to recent researches related on new-seniors, a generation of new-seniors who have high intellectual desires and active lifestyle is a social stratum from connections with the other people. However reservation service to reflect interests and needs of new-seniors is nonexistent. Furthermore, new-seniors, actually, have circumstance which they go through difficulty with regard to use of reservation service because of a lack of researches related for them. Therefore, in this paper, purpose of this study(research) is increasing accessibility of reservation service(application) by designing movie reservation service(application) to reflect their needs according to new-seniors oriented survey. Also, this study has another goal which proposes the way for sold-out online reservation to enhance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reduce pressure about reservation using online service(application). Before continuing this study, it confirm pilot study and various service cases for new-seniors to understand their substance according to a literature search. And the way to enhance rate of mobile movie reservation for new-seniors is considered from movie application cases. According to searching cases, conventional movie reservation application consists of contents with difficult level for using it. Contents to communicate with moviegoers is insufficient(not enough). Conventional movie reservation applications are made for whole age group so these have complicated forms with massive movie information and various service. These complicated forms are not adapted to new-seniors. Based on these surveys, user research about new-seniors moviegoers proceeds. Firstly, user research proceeds by doing advance poll and it is to understand type and property of present moviegoers. Secondly, depth interview for normal moviegoers proceeds. Qualitative data obtained from depth interview is analyzed by sequence model and affinity diagram. Also to understand needs and difficulty in movie reservation service for new-seniors moviegoers is conducted. In user modeling step, ‘Persona’ is drew by analyzing user behavior pattern. After that, needs are defined. According to needs of ‘Persona‘, ‘Friendly My Movie’ application with guide function and without burdens is designed for new-seniors. Proposed movie reservation application is designed by adding ‘guide‘ function including interactive method to effectively use complicated reservation way, acquisition of information and sharing information. New-seniors have problem which they can’t use necessary function because of complex composition of functions. To solve this problem, prototype of mobile movie reservation application including interaction function, search engine and guide function with interactive method is designed. This study proposed method to enhance of application accessibility and reduce difficulty in mobile movie reservation for new-seniors moviegoers who avoid to use smart devices. Practically, to revitalize mobile movie reservation application for new-seniors who is not good at handling smart devices is not easy thing. Therefore, in this study, proposed movie reservation application design based on user experience is expected to be a foundation to increase communication with new-seniors. Also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cademic basis in new-seniors specialized service and contents project.

      • 전통주 주박 추출물 및 주박으로부터 분리한 naringenin에 의한 항암 활성 및 작용 기전 연구

        권민정 안동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present study, we prepared ethanol extracts and their subsequent organic solvent fractions from lees of Ehwa Makgeolli containing oriental herbs, one of commercialized Korean traditional rice wines. We investigated five solvent fractions of lees extracts from Ehwa Makgeolli on HCT116 cell viabilities. Among the organic solvent fractions, the hexane fraction and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lees extracts significantly reduced cell viability and these two fractions decreased cell viability in a dose dependent manner. And also, they induced expression of pro-apoptotic NAG-1 and ATF-3 genes. Especially, PARP cleavage was detected by the treatment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and the PARP cleavage was recovered by transfection of NAG-1 small interfering RN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AG-1 is one of the genes responsible for apoptosis by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lees extracts. And also, we isolated and identified eleven different kinds of pure compounds from lees of Korean rice wines and investigated their effects on cell viability and gene expression changes in human colorectal HCT116 cells. Among the treated pure compounds, p-coumaric acid (CO), hesperetin (HT), and naringenin (NE) dramatically inhibited cell viability. In addition, HT and NE reduced cell viabilities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ey dramatical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pro-apoptotic genes such as ATF3, NAG-1, DDIT3, p21 and p53. And, HT increased NAG-1 gene and protein expression in a time dependent manner, whereas NE showed the highest expression of NAG-1 at 12 hr after NE treatment. Overall, our findings may help to understand the molecular mechanisms of anti-proliferative and pro-apoptotic activities mediated by lees of Korean traditional wines.

      • 경력간호사의 초보간호사 시절 이직의도 경험과 이직의도 극복 경험

        권민정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xperienced nurses' turnover intention as a novice nurse and their overcoming of the turnover intention. Method: This exploratory study attempts to confirm experienced nurses' turnover intention as a novice nurse and their overcoming it.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Oct. 16 to Dec. 17, 2020 by sampling the nurses with 4~6 years career working for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Gyeongsangnam-do.Those 10 nurses who had agreed voluntarily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had met the criteria for the sample nurses were selected. In order to measure subjects' turnover intention, the Turnover Intention Scale (Park Hyun Sook, 2002; Lawler, 1983) was used. The data collected thus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WIN 21.0 program for real numbers, percentages, Cronbach's Alpha, means, SDs and other descriptive statistics. The data about subjects' overcoming of their turnover intention were used for the contents analysis. Results: The data about subjects' turnover intention as a novice nurse and their overcoming of it were analyzed to extract 73 meaningful statements. From such 73 statements, a total of 9 themes and 26 sub-themes were extracted. 4 themes and 11 sub-themes were about subjects' turnover intention as a novice nurse. The extracted 4 themes were 'role burden', 'fear of role performance', 'complaint about the unstable working environment' and 'wanting to turnover'. On the other hand, 5 themes and 15 sub-themes were about subjects' experience of overcoming their turnover intention. The extracted 5 themes were 'understanding of the nursing scenes', 'experiencing of the supporting system', 'satisfaction with the job', 'growing into a proficient' and 'overcoming and growing'.

      • CD-ROM 활용이 초등 영어 듣기 및 흥미도 신장에 미치는 영향

        권민정 建國大學校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학습용 CD-ROM 활용이 초등학생의 영어 듣기와 흥미도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실험은 서울 광진구의 S 초등학교 4학년 2개반 72명을 대상으로 CD반, 교과서와 Tape반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2개 반의 동질성 확인을 위하여 사전 성취도 검사를 한 후, 2002년 5월 20일부터 7월 13일까지 주당 2시간씩 16주간 영어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사 결과는 t검증과 ANCOVA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D-ROM을 활용한 실험 집단과 교과서와 Tape를 활용한 통제 집단에 있어서 듣기 성취도의 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CD-ROM을 활용한 영어 학습지도는 교과서와 Tape를 활용한 영어 학습지도보다 듣기 실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5). 둘째, CD-ROM을 활용한 실험 집단과 교과서와 Tape를 활용한 통제 집단에 있어서 흥미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에 대해서 CD-ROM을 활용한 영어 학습지도는 교과서와 Tape를 활용한 영어 학습지도보다 영어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종합적으로 CD-ROM을 활용한 듣기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CD-ROM을 활용한 실험 집단이 교과서와 Tape를 활용한 통제 집단보다 듣기 성취도 및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 즉 흥미도, 관심도, 집중도, 이해도, 자신감에 있어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CD-ROM을 활용함으로써 그 동안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온 과밀학급의 문제, 학습자간의 개인차 문제, 원어민화자의 발화를 자료화하는 문제점 등이 상당히 극복될 수 있었다. 또한 어린이들은 초등학교 영어학습용 CD-ROM으로 영어를 학습하는 것을 상당히 선호하고 있으며 영어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하는 등 정의적인 측면에서도 상당히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컴퓨터를 학습 활동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적절한 코스웨어 개발과 체계적인 접근방식으로 개발된 CD-ROM 활용은 특히 초등영어 교육에서 아동들의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증진시켜 줄 수 있는 좋은 수업도구가 될 것이다. This study is to see how effective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bility in listening English will be with the result of CD-ROM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classes increased interest in English. The researchers carried out the experiment on 72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16 weeks to investigate the progress in English listening ability and the attitudes toward teaching and learning listening with Elementary School English 4.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plit into two groups: the CD group and the tape group. The two groups completed the following: (a) a pretest, administered for confirmation of homogeneity of the groups, (b) English instruction, conducted two hours every other weeks from May 20th to July 13th, 2002, (c) a post test, administered immediately after the instructions. Results were analyzed by T-test and ANCOVA.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1) After 16 weeks teaching listening with the CD-ROM Title, student's listening abilities were improved. In particular teaching about listening was more effective for experimental classes than control classes. 2) It showed that teaching listening with the CD-ROM Title increased student's motivation and interests in listening.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 use of it was interesting. Moreover, they preferred the experimental classes rather than control classes. Consequently, CD-ROM material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listening ability compared to textbook and tape material. The class where CD-ROM material was used had interest, concentration, comprehension, self-confidence, and participation's improvement and more positive response to listening education. Lack of equipment and appropriate materials for English education, lack of knowledge, and lack of teacher training, are identified as the main barriers encountered in the actual use of the CD-ROM in English education. These problems must be solved, in order to realize the value or CD-ROM and implement them successfully in English education in schools. There must be more investment in the equipment and particularly in appropriate materials for curricular 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Proper teacher training is also needed at workshop-based training courses, to provide teachers with sufficient methodological and technical knowledge.

      • 생활체육 참여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우울감에 대한 연구

        권민정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 A Study on Daily Living Physical Performance and Depression of the Old People Participated in Sport for All Program Kwon Minjung Department of Sports Coaching Graduate School of Industry,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Park Taeseop This study conducted aerobic exercise and band exercise targeting aged females who were participating in sports-for-all programs in order to analyze the participants’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hanges. What the study would find out will be used as basic references to define relations of sports activities with life quality. The study provided these aged females at the age of 65 and older who were joining a senior health promotion program of a general welfare center located in Y City with descriptions on its research purposes and procedures. Of the 60 aged females who ha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57 who have been joining the exercise as often as 80% or more of the total anticipated number of participation were selected as the final participants and, the study carried out a survey on depression, Senior Fitness Test (SFT), Physical Function Test, Korean Health Status (Fragility) Evaluation ,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and Senior Fitness Test (SFT) targeting those final participant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 of 2014 to February 28 of 2015 and as for the samples, the study processed them via a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WIN 20.0 Program. Scheff-test was used for a post-hoc test.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below. Based on the exercise groups and age, the study made comparisons on differences and changes of the aged participants in sports for all before and after their participation in the exercises, and the comparisons basically focused on differenc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Senior Fitness Test (SFT),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Results of the comparisons revealed that as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Senior Fitness Test (SFT), it was the exercise groups that would lead to changes but in terms of depression, only the age brought about statistically significant outcomes. In the light of that, the study now suggests that any relevant fields should design practical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health promotion of the seniors, and such support system will make a contribution to how the aged try to maximize efficiency of their successful aging as enjoying leisure activities. 생활체육 참여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우울감에 대한 연구 권 민 정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스포츠지도과 지도교수 박 태 섭 본 연구는 생활체육에 참여한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유산소 운동과 밴드운동을 실시하여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체육활동과 삶의 질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Y시 종합복지관의 노인건강프로그램 참여한 만65세 이상 여성노인들에게 연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인원을 대상 60명중 운동 참여 횟수가 80% 이상인 57명을 대상으로 우울증 설문조사와 노인체력검사(SFT), 신체적 기능측정, 한국형 노인건강수준(허약)평가도구, 일상생활동작능력평가(ADL)와 도구적 일상생활능력(IADL), 노인체력검사(SFT)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11월 1일부터 2015년 2월 28일까지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Program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고 사후검증은 Scheff-test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운동 전·후에 따른 운동집단별, 연령별 일상생활능력(ADL)과 도구적 일상생활능력(IADL), 노인체력검사(STF), 건강수준, 우울증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일상생활능력(ADL)과 노인체력검사(STF)에서는 운동집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고 우울에서는 연령 간 차이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노인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실천 가능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여가활동을 통한 성공적인 노화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지원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 듀이의 프래그머티즘 관점을 중심으로

        권민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도입된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을 탐구하면서 듀이의 프래그머티즘을 논의해보고 그 속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적 의미를 찾고자 수행되었다. 학생중심의 교육과정 실현을 위해 등장한 창의적 체험활동이 교과활동에 치중한 학교현장에서 형식적으로 운영되지 않고 보다 가치 있는 활동이 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 가지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기존의 창의적 재량활동, 특별활동과 창의적 체험활동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그 차이점과 도입 이유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둘째,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적 의미와 중요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듀이의 프래그머티즘을 탐구하였다. 셋째, 창의적 체험활동의 네 가지 영역인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의 의미와 목표를 찾고 듀이의 프래그머티즘을 통하여 찾을 수 있는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창의적 체험활동은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활동으로 유도하고자 마련된 교육과정이며 이는 기존의 창의적 재량활동, 특별활동과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기존 교과 외 활동과의 차이점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이론적 배경이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듀이의 프래그머티즘에 의하면 인간은 끊임없이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통해 성장하게 되며, 이런 인간의 삶에 필수적인 것이 교육이고 교육은 환경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마주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와준다. 이는 창의적 체험활동이 도입된 의미와 그 맥락을 같이한다. 이 연구에서 논의된 것처럼 듀이의 프래그머티즘을 중심으로 창의적 체험활동의 의미를 이해하고 계획, 실천해 나간다면 창의적 체험활동은 아동들의 성장에 중요한 교육과정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다. 핵심어: 창의적 체험활동, 듀이, 프래그머티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John Dewey's pragmatism. The elementary schools'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urriculum has been introduced in the 2009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the study the author's main focus is on focuses on finding out the meaning of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on the basis of some related ideas that Dewey construed in his pragmatism. The author works on three topics: First, she compares the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y, extracurricular activity with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nd also the differences with them and the reason why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was introduced in the 2009 curriculum. Second, she researched Dewey's pragmatism to analyze the educational meanings of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nd their importance. Third, she finds the meanings and objectives of autonomous activity, youth club activity, volunteering activity, abd career activity which are the four main areas of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nd analyzed the meanings which could be found through Dewey's pragmatism.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that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is a curriculum for bringing up creative humans who can practice caring and sharing. And also these points are differences with the former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y and extracurricular activity. But students and teachers do not find differences with them. The reason is because there is no background knowledge about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Dewey's pragmatism tells us that people can grow through interaction with environment. So education is necessary and when we have problems, we can solve them using education. This is main reasons why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is introduced in the 2009 curriculum. The author concludes that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urriculum should be very important to the students' growth if both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understand its foundational meaning when they plan and practice it. Key words: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Dewey, pragmatism

      • 비대면 미용 실습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생의 인식비교

        권민정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업은 교수자가 어떻게 인식하느냐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 또한 중요하다.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생들 비대면 미용 실습수업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비교하여 앞으로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비대면 수업의 설계 및 운영 방안 마련을 위해 교수자와 학생의 인식을 비교하여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조사대상자는 총 374명으로 교수자 대상자는 총 200명으로 여성 147명, 남성 53명으로 강사 경력은 ‘1년 미만’ 56명, ‘1년 이상-5년 미만’ 53명, ‘5년 이상-10년 미만’ 50명, ‘10년 이상’ 40명 순으로 나타났다. 학생 대상자는 총 174명으로 성별은 여성 122명, 남성 52명으로 나타났고, 학교 형태는 4년제 대학교 100명, 2년제 대학교 74명 순으로 나타났다. 학년은 2학년이 101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4학년 54명, 3학년 18명, 1학년 1명(0.6%) 순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미용 실습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교수자가 선호하는 실습수업 방식은 ‘대면 실습수업’이 152명, ‘비대면 실습수업’ 48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비대면 실습수업의 내용 전달력은 ‘대면 강의보다 좋지 않다’가 140명, ‘대면 강의와 비슷하다’ 35명, ‘대면 강의보다 좋다’ 16명, ‘아직 모르겠다’ 9명 순으로 나타났다. Zoom 같은 실시간 라이브 매체 실습수업 도입에서는 ‘부분찬성’이 120명, ‘찬성’이 45명, ‘반대’가 35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비대면 실습수업 시 주로 사용하는 학습 매체는 ‘PC 또는 노트북’이 108명, ‘모바일 기기(스마트폰, 태블릿PC 등)’가 92명로 나타났다. 학생이 선호하는 실습수업 방식은 ‘대면 실습수업’이 128명, ‘비대면 실습수업’ 46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비대면 실습수업의 내용 전달력은 ‘대면 강의보다 좋지 않다’가 109명, ‘대면 강의와 비슷하다’ 38명, ‘대면 강의보다 좋다’ 20명, ‘아직 모르겠다’ 7명 순으로 나타났다. Zoom 같은 실시간 라이브 매체 수업 도입에서는 ‘부분 찬성’이 105명, ‘찬성’이 50명, ‘반대’가 19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비대면 수업 시 주로 사용하는 학습 매체는 ‘PC 또는 노트북’이 106명, ‘모바일 기기(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가 68명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미용 실습수업 인식에 대해 분석한 결과 교수자가 학생보다 실습수업의 필요성, 현재까지 진행된 비대면 실습수업의 인식, 비대면 실습수업의 원활함, 지원 시스템 개선의 필요성, 실습수업의 정보 부족, 실습기구 필요성, 모바일 기기 사용방법의 어려움, 수업자료와 제작 시간이 부족함, 실습수업 연수 부족함, 실습수업의 이해도 저하, 교감 및 공감대 형성의 어려움, 수준별 수업 진행의 어려움을 더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비대면 미용 실습수업 만족도에서 전반적인 비대면 미용 실습수업, 학습 분위기, 학생 집중력, 실습수업 장소, 인터넷 환경, 실습수업 방식, 실습 능력 향상, 이해도, 상호작용에서 학생의 만족도가 더 높았으며, 교수자는 장소 편리, 다음 학기 실습수업 희망 여부에서 만족도가 높게 확인되었다. 주요 변수의 기술 통계분석 결과 비대면 미용 실습수업 인식에서 ‘비대면 실습 활용성’이 M=3.57(±.664), ‘비대면 실습 어려움’이 M=3.54(±.748), 비대면 미용 실습수업 만족도에서 ‘편리성 만족도’ M=3.41(±.853), 비대면 미용 실습수업 인식의 ‘비대면 실습 교육 부족’ M=3.15(±.644), ‘학습 소통 만족도’ M=3.01(±.746)순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실습수업 만족도가 비대면 미용 실습수업 인식에서 비대면 실습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편리성 만족도’(β=.097, p=.028)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편리성 만족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비대면 실습수업 인식의 ‘비대면 실습 어려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소통 만족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비대면 실습수업 인식의 ‘비대면 실습교육 부족’ 인식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실습수업 만족도가 비대면 미용 실습수업 인식에서 비대면 실습 활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학습소통 만족도’(β=.345, p=.000), ‘편리성 만족도’(β=.344, p=.000)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소통 만족도’와 ‘편리성 만족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비대면 실습수업 인식의 ‘비대면 실습 활용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도시 어메니티 강화를 위한 뮤지엄 리노베이션 공간디자인 연구

        권민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entering the era in which the urban competitiveness becam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made a variety of efforts to improve the urban competitiveness. Within such trends, the concept of urban amenity emerged as the core factor to determine the urban competitiveness. Urban amenity means the comprehensive comfort in an urban environment, so the improvement of urban amenity means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citizen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times, the types of urban amenity have changed into convenienc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esthetical characteristics, cultural characteristics in order. In the era of cultural economy of the 21th century,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mong four types of urban amenity become emphasized for the effort to recover the identities of the standardized city. The culturally developed countries paid attention to museums which were one of the cultural indexes of the city in order to enhanc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urban amenity.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urban amenity imply the local pride from the local residents and the visiting frequencies of cultural events and facilities. Therefore, the museums in which the visiting frequencies and staying time are insufficient tend to lose their vitality, and their social roles and cultural values decrease. Thu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museum are related to drawing in viewers and making them stay longer. Museums which contribute to improving urban amenity required in the era of culture are the spaces of many viewers visiting and staying longer, as public cultural spaces for viewers to visit in their daily lives. In such context, the researcher conducted this study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museums providing a variety of experiences enhance the aspects of drawing in viewers and making them stay longer so they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urban amenity. Since the late 20thcentury, the famous museums and art galleries in culturally developed countries abroad started to renovate the spaces in order to expand these roles. In 1984, Museum of Modern Art(MoMA) in New York expanded its entire spaces through the renovation by Cesar Pelli as well as expanded atrium, restaurant, café, theater, auditorium, bookstore. After MoMa, the culturally developed counties abroad preceded renovation with the trends of improving exhibit spaces as well as expanding the domains of public services. The roles of museum become reinforced as the public cultural spaces in everyday life for urban citizens. The researcher conducted two basic studies for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regarding the features of space design of foreign museums for the improvement of urban amenity and the features of space renovation of foreign museums for the improvement museum experience. In addition, based on the studies for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on the purpose of suggesting a renovation model for museum space in ba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useum and museum experience, which is the representative index of urban amenity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o do this, the researcher preceded the discussions on museum experience for the improvement of urban amenity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reference review in chapter 2,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useum experience and space program was induced. The researcher also explored how museum experience affected on the improvement of urban amenity. In chapter 3, the researcher qualitatively described how the results of renovation affected the improvement of urban amenity by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renovation in the cases of the culturally developed countries abroad. And then, the percentage change of the space was quantitatively analyzed through the area analysis per space program of the blueprint before and after the renovation, and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per space program was apprehended. In Chapter 4, the researcher selected a target space and suggested the specific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urban amenity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renovation derived from the case analysis to the context of target space in order to conduct design model study. In this process, the researcher enlarged the minimal space to maintain the historical spatiality of the target space and to preserve the values of the architecture.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could find that museum renovation enhances museum experience to improve urban amenity. This study has its implications to suggest a rational design plan by deriving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in the orientation of museum renovation in order to grown into the culturally developed country. 도시 경쟁력이 곧 국가경쟁력인 시대가 됨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는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러한 흐름 속에 도시 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서 도시 어메니티의 개념이 중요하게 대두되었다. 도시 어메니티는 도시 환경의 종합적인 쾌적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시 어메니티의 향상은 곧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의미한다. 시대의 요구에 따라 도시 어메니티의 유형은 편리성, 환경성, 심미성, 문화성 순으로 변화되어 왔으며, 21세기 문화경제시대에는 획일화된 도시의 정체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도시 어메니티의 네 가지 유형 중 문화성을 강조하게 되었다. 해외문화선진국에서는 도시 어메니티의 문화성을 강화하기 위해 도시의 문화 지표 중 하나인 뮤지엄에 주목하였다. 도시 어메니티의 문화성은 지역민이 느끼는 지역에 대한 자부심과 문화행사 및 시설의 이용 빈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관람객의 방문빈도와 체류시간이 미비한 뮤지엄은 생명력을 상실하여 뮤지엄의 사회적 역할과 문화적 가치가 감소되므로 뮤지엄의 문화성은 사람을 모으는 집객성(集客性)과 오래 머물게 하는 체류성과 연관된다. 문화의 시대에 요구되는 도시 어메니티를 강화하는데 기여하는 뮤지엄은 관람객이 일상생활 속에서 방문할 수 있는 공공문화공간으로서, 많은 관람객이 방문하며 오래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뮤지엄은 공간의 집객성과 체류성을 높여 도시 어메니티의 문화성 강화에 기여한다는 전제하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20세기 후반부터 해외문화선진국의 유명 박물관 및 미술관에서는 그 역할 확장을 위해 공간을 리노베이션하기 시작하였다. 1984년 뉴욕 현대미술관(MoMA)은 리노베이션을 통해 전체 공간을 확장하였을 뿐만 아니라 아트리움, 레스토랑, 카페, 극장, 강당, 서점 등을 확장하였다. MoMA 이후 해외문화선진국에서는 전시 공간 개선과 함께 공공서비스 영역을 확장하는 추세로 리노베이션이 진행되고 있으며, 도시민을 위한 일상 속의 공공문화공간으로 뮤지엄의 역할이 강화되고 있다. 연구자는 학회 저널에서 도시 어메니티 강화를 위한 해외뮤지엄 공간디자인 특성에 대한 연구와 뮤지엄 체험 강화를 위한 해외뮤지엄 공간 리노베이션 특성에 관한 연구라는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학회 저널 연구를 토대로 도시 어메니티와 문화성의 대표적 지표인 뮤지엄와 뮤지엄 체험의 관계성에 기반하여 뮤지엄 공간 리노베이션 모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자는 이를 위해 제 Ⅱ장에서 국내·외 문헌 연구를 통해 도시 어메니티 강화를 위한 뮤지엄 체험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여, 뮤지엄 체험과 공간 프로그램과의 관계성을 도출하였으며, 뮤지엄 체험이 도시 어메니티 강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해외문화선진국들의 사례 분석을 통해 리노베이션 전후 도면의 공간 프로그램별 면적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공간의 증감률을 분석하고 그 정성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디자인 모형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대상지를 선정하여 사례 분석에서 도출한 공간 리노베이션 특성을 대상지의 맥락에 적용하여 도시 어메니티를 강화하는 구체적인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대상지의 역사적 장소성을 유지하고, 건축물의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 최소한의 공간을 증축하였다. 도시 어메니티의 관점의 뮤지엄에 관한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뮤지엄이 리노베이션을 통해 뮤지엄 체험을 증진시켜 도시 어메니티 강화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그리고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뮤지엄은 점차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는 현대 도시의 문화적 가치를 창출하여 문화 선진국으로 발돋움할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문화 선진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뮤지엄 리노베이션 방향을 정량적 분석을 토대로 정성적 특성을 도출하여 합리적인 디자인 방안을 제시한 것에 의의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