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폐굴껍질을 이용한 간헐폭기법에 의한 하수중의 질소와 인 제거

        강희정 조선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the optimum treatment conditions for nutrient removal in the synthetic domestic wastewater by intermittently aerated activated sludge system with waste oyster shell. There are three sets intermittently aerated activated sludge system operation, oxic/anoxic time were 1h/1h, 2h/1h, 1h/3h during 10hrs and one set continuous activated sludge system in the batch experiment. One of the most removal efficiency oxic/anoxic time of Total nitrogen (T-N) was 1h/1h. A comparative methods of continuous experiment were Attached intermittently aerated activated sludge system and suspended intermittently aerated activated sludge system. Each operational condition was HRT 10hr, 12hr, 8hr and oxic/anoxic time 1h/lh. When oxic/anoxic time in attached intermittently aerated single - stage activated sludge system were 1h/1h, operational conditions were HRT 12hr,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were 84 %, 36.4 % respectively. Removal of total nitrogen (T-N) in single - stage system was achieved effectively, but total phosphorus (T-P) removal was not achieved effectively. However, this experiment performed intermittently aerated single - stage activated sludge system and with a solution extracted of calcined waste oyster, that is, removal efficiency of T-N and T-P were 84 %, 90 % respectively.

      • 언어치료사의 조음음운장애 진단평가에 관한 실태 조사

        강희정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언어치료사의 조음음운장애 진단평가에 관한 실태조사 강희정 지도교수 : 황상심 언어치료청각학과 남부대학교 본 연구는 언어치료사의 조음음운장애 진단평가에 관한 실태조사를 위해 전국의 사설언어치료실, 장애인 복지관, 병원, 장애전담 어린이집 등의 언어치료사 20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음음운장애 평가시간은 근무처와 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자격 급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언어치료사의 조음음운장애 공식적인 평가도구 중 ‘우리말 조음 음운 평가’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조음음운장애 평가 구성요소는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단어수준과, 관찰,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문장수준, 구강 안면 검사, 말 명료도, 구어과제를 이용한 구강운동 검사, 자극반응도순으로 나타났다. 조음음운장애 평가와 관련된 지식에 대한 자신감 정도는 음운변동 분석이 가장 높았으며, 자격급수와, 한 해 실시하는 조음음운장애 평가 횟수와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조사대상 언어치료사는 조음음운장애 임상적인 판단을 할 시 자신의 임상경험을 토대로 가장 많이 하고 있었으며, 언어치료 전공 서적 활용, 조음음운장애 평가 관련 가이드 북 활용 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근무처와 임상적인 판단과의 관계, 한 해 평균 조음음운 평가 수와 임상적인 판단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문화아동에 대한 조음음운장애 평가에서는 언어치료 경력과 다문화아동 의뢰 유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배척 및 무시아동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강희정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rejected and neglected peer relationship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Hypothesis Ⅰ. The experimental group that experience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s will show significant inventory peer relationship (Control, Egocentrism, Indifference, Social control, Hard to be assertive, Too submissive, Self-sacrifice, Too involved) than group without art activities. Those hypothesis were tested over three 6th grade classes at G elementary school in Busan Metropolitan Area. Sociometry interrelated peer-nomination method made by Moreno. Twelve research subjects were split into two groups, 6 in the control group and 6 in the experiment group.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wice a week for 60minutes over a period of 13 sessions. For data analysis of the results, spss 12.0 for windows, t-test, ANCOVA were used. The instruments we used in this study were on based upon, Rejected & Neglected Children, Inventory Peer Relationship(Hye-Won Jeong, 2007), & Qualitative Analysis Comparing with KSD, Social Status(I-wan Ahn, 2007). Internal consistency of the inventory of peer relation problems showed the range between .70~.94(median value of .75), split-half reliability between .67~.83(median value of .75), and test-retest reliability between .69~.88(median value of .81). The participants opinions and reactions o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ere also analyzed by having children fill in the group questionnair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peer relationship by positively affecting the rejected and neglected children peer relationship. Especially, Control, Egocentrism, Indifference, Social control, Hard to be assertive, Too submissive, Self-sacrifice, the subcategories of Peer Relationshi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Secondly,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an effect on improving the adaptation of a child's school life. Especially, Control, Egocentrism, Social control, Hard to be assertive, Too submissive, the subcategories of Peer Relationshi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Thirdly, Group Art Therapy Program is shown to bring about a qualitative change in children's KSD about personal recent appearance. Therefore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is a group counseling skill which indirectly and directly effects the desire and emotion of children with regards to art. Also, it can be used as a counseling skill for helping school discordant children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have passive or immanent problems.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배척 및 무시아동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탐색하고 분석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교우관계검사(지배통제, 자기중심성, 냉담, 사회적 억제, 비주장성, 과순응성, 자기희생, 과관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위의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G초등학교 6학년 3개 학반을 대상으로 사회성 측정검사를 실시하고 안이환(2007)의 사회적 지위 유형 체계를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6명씩 배치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에 선정된 대상아동에게 7주 동안 주2회, 1회기 60분씩 총 13회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교우관계검사(정혜원, 2007)의 사전․사후의 결과를 바탕으로 t-검증,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사용된 통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2.0이다. 교우관계검사지의 내적 합치도는 .70~.94의 범위(중앙치는 .75), 반분신뢰도는 .67~.83의 범위(중앙치는 .75),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69~.88(중앙치는 .81)에 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아동의 사회성측정 검사(또래지명법)에 의한 사전․사후 결과를 분석하고 학급 내 사회적 지위 유형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또한 학교생활화(KSD)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여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배척 및 무시아동의 교우관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특히 통제 및 지배, 자기중심성, 냉담, 사회적 억제, 비주장성, 과순응성, 자기희생 등의 영역에서 나타났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실험집단 아동들은 또래관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통제 및 지배, 자기중심성, 사회적 억제, 비주장성, 과순응성에서 두드러진 변화를 나타내었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회기별로 관찰된 아동의 그림과 학교생활화(KSD)의 사전․사후 그림, 언어적 반응, 행동관찰에서 변화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는 자신의 내면에 간직된 감정을 자연스럽게 드러내는 집단상담기법으로, 교우관계에서 배척되거나 무시되는 아동들이 적극적으로 학교생활에 적응하도록 도와주며 학교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공조용 핀 튜브 증발기의 열전달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강희정 선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반적으로 공조용 핀관 열교환기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최적의 사양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전열량 및 공겨측 열전달계수를 필수적으로 알아야 한다. 전열량 및 공기측 열전달 계수는 튜브 직경, 핀 형상, 냉매 흐름방향, 열간격 및 단간격. 열수 및 회로수등 증발기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설계변수에 따라 달라진다. 최근 국내에서는 공조기용 핀관 열교환기의 열전달 특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최적의 열교환기를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주요 형상변수들의 기초설계자료가 부 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조용 핀 튜브 증발기의 열전달 특성을 실험적으로 고찰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증발기는 튜브직경이 9.52 mm와 7 mm의 2종류이고 각각 핀 형상, 냉매흐름방향, 핀 간격, 회로수 등 설계변수를 변화시킨 총 12종류였다. 실험은 풍속, 공기온도, 습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열풍동 실험장치를 이용하였다. R-22를 사용하는 냉매사이클은 압축기 회전수, 응축열량, 팽창밸브의 정밀제어가 가능하다. 실험은 냉매 의 과열도 및 과냉도를 고정시키고 공기의 유량을 변화시켜 수행하였다. 데이터는 National Instument사의 Daq System을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Lab Vie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획득, 분석하였다. 공기측 및 냉매측 열량계산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증발기 성능평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실험결과 증발기의 열전달 특성은 설계변수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는데 특히 핀 형상과 회로의 구성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HVAC heat exchangers of design parameters such as tube type, tube circuit, circuit number, fin pitch, row number and tube diameter.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design parameters are to be determined experimentally for finned tube evaporators. Tested finned tube design parameters are two fin types, three tube circuits, three circuit numbers, two fin pitches and two tube diameters. To control the temperature, velocity and humidity of inlet air flow, a wind tunnel was installed. The heat transfer rate and the air heat transfer coefficient are obtained for various air velocities and a fixed cycle parameter for each evaporator. The experimental data are obtained using a DAQ system. The refrigerant side averaged heat transfer coefficient is calculated using a simulation program. The heat transfer rate and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increase with increasing the inlet air velocity. Test results show that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are considerably affected by the design parameters such as fin type, tube circuit, tube diameter, fin pitch, circuit number and row number. The fin type and the tube circuit geometry more strongly affect the air-side heat transfer coefficient than the fin pitch, the row number and the circuit number.

      • 에코테크(ECO-TECH : Ecology+Technology) 디자인의 공간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강희정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혁명과 근대 이후 기계에 의한 대량생산, 대량소비는 20세기의 하나의 현상이었으나, 기계를 이용한 지나친 테크놀로지(Technology)의 수용으로 인한 공해 등의 문제로 인하여 인간, 환경, 도시간의 유기적인 관계성을 놓치고 말았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현시대에는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에너지 부하의 증가와 환경오염 문제이다. 둘째, 쾌적성 저하의 문제이다. 여기에는 공간의 내·외부 공간의 단절과 자연과의 접촉 불가로 인한 환경적인 문제와 실내공간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쾌적성 저하를 거론할 수 있다. 셋째, 환경친화적 건축의 적용에 있어서의 이론적 한계로 디자인과 공간미학적인 측면이 배제된 채로 구조, 구법에 관한 연계만을 다루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구조나 설비, 구법에 의한 환경친화적 적용과 더불어 공간 계획시의 적용 원리들의 상호간의 관계성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상호간의 연결을 극대화시키는 방향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 방향의 하나가 바로 생태학적인 측면과 기술적 측면을 결합시킨 에코테크(Eco-Tech : Ecology+Technology) 디자인이며, 이것을 실제적인 공간디자인에 정착, 실행하면서 적용하는 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에코테크(ECO-TECH)에서 말하는 생태학적 (Ecologcial) 기법과 테크놀로지(Technology)의 경향은 최근 경제 수준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건강, 쾌적성 그리고 풍요로움을 추구하는 경향으로 바뀌고 있는 실정이다. 즉 단순한 기능미의 추구보다는 자연과 인간 사이의 새로운 관계설정에 의한 인간성 회복의 장, 그리고 그 가능성을 실현하는 장으로서의 인식이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에코테크(ECO-TECH) 디자인은 자연과 인간을 하나로 보는 자연원리를 이용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면서 친자연적이고 친건강적이며 친인간적인 특성이 인간과 자연, 그리고 도심이라는 각각의 요소를 연결시켜주는 하나하나의 매개체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이것은 각각의 기능을 서로 연결시켜 하나의 유기체적인 모습으로 공간에 적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에코테크(ECO-TECH) 디자인에 의한 공간 적용방안의 의의를 밝히고 도출된 적용원리인 친자연성, 친건강성, 친인간성을 기준으로 실제적인 공간에 대한 그 특성 및 적용방안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진행과정으로 도출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에코테크(ECO-TECH)의 적용 원리는 친자연성, 친건강성, 친인간성으로 나누어 인간과 자연, 그리고 공간이라는 각각의 요소를 연결시켜주는 하나하나의 매개체적인 역할을 한다. 친자연성은 자연생태계의 원리를 적용하여 공간의 구성을 가능케 하는 물성들이 자연의 순환원리로 하나가 되어 환경적인 요소와 순응하는 것을 말한다. 친건강성은 거주자의 안전과 건강, 쾌적함을 보장하면서 자연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인간의 생리적·심리적 만족감을 주고 자연과의 풍부한 커뮤니티를 유발한다. 친인간성은 인간 중심 지향성의 사고에서 비롯되어 자연환경과 더불어 공간을 인간화하는 가운데 자연과 인간, 인간과 인간의 공존 관계를 건전하고 자연 친화적이며 인간 친화적 방법을 지향한다. 에코테크(ECO-TECH) 디자인의 공간 적용 방안에서의 공간 형태 및 구성은 주변 자연환경을 고려하여 자연지세와 기후 풍토적 조건에 순응하여 자연과 합일을 이룰 수 있는 완벽한 생명적 유기체로서 자연과 연계성을 지니는 방향성을 추구한다. 자연 요소의 도입은 자연 친화를 목적으로 외부 자연환경과의 접촉을 증대시키고, 아트리움과 실내정원에 녹지와 수목을 도입하여 쾌적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프레임을 최소로 하여 투명성을 극대화하여 외부와의 접촉을 증대시키고, 실내에 수목을 도입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등 기술과 자연을 조화시킨다. 재료 및 실내 구성 요소는 물질에 대한 인간의 감정이 무감각한 것이 아닌 적절한 관계를 가져야 된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여, 이러한 관계성 속에서 인간에게 자연스러운 것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자연스러운 재료는 인간 환경에서 잘 어울리고 자연과의 조화미를 추구하여 자연적 물성을 존중하는 태도를 형성하게 한다. 실내 건축에서의 환경 조절은 자연 에너지와의 접촉을 최대화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인간이 느끼는 쾌적함이란 기후, 문화, 계절 등에 따라 다르며 나이, 성별, 체질에 따라 개개인이 차이가 있으나 보통 대다수의 사람이 만족하는 환경 조건 범위인 쾌적대를 설정하는 것이다. 에너지 환경은 단열과 축열 향상, 열손실과 획득, 일사조절에 영향을 주며 건물의 외피에 개방성을 주기 위해 유리의 면적이 넓을 때 첨단기술이 주로 적용된다. 이중외피시스템(Double Skin System), 복합외피시스템(Multiple Skin System), 외벽구조와 재료, 가동차양과 스크린이 여기에 해당된다. 빛 환경은 순수한 자연채광이 한계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자연채광 보완에 관한 공간 적용 방안으로 대부분의반사방식에 의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가동식 반사거울, 고정식 반사판, 천장 마감 재료 등을 이용하여 반사·확산시킴으로써 균일한 조도를 얻고 조명에너지를 절감하고 있다 공기 환경은 순수한 자연환기를 구조적·구축적 기술을 동반하는 방법으로 해결하면서 공기순환창, 유선형 지붕 구조, 계단식 지붕 구조, 자동개폐창 등이 방법으로 해결하고 있다. 인간적 척도에 의한 공간 구성은 자연환경과 더불어 공간을 인간화하는 가운데 자연과 인간, 인간과 인간의 공존적 관계를 건전하게 하며 자연 친화적이고 인간 친화적 방법을 지향하는 것으로 자연을 통한 인간성 회복, 인간과 인간의 공생적인 활동을 지원하면서 더불어 살아가는 공간 형태를 지니고 있다. 인간의 복합적 감성 충족은 자연 친화적이며 인간 친화적인 공간을 의미하며 거주자의 심성 속에 근원적 의미의 인간성을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맞추어 물질적인 면보다는 정신적 측면을 중요시 하고 있다. 에코테크(ECO-TECH) 디자인의 공간 적용 방안은 인간과 자연, 테크놀로지와 결합되어 발전되는 최근의 경향을 반영하는 하나의 대안이다. 이것은 첨단기술과 자연이 조화된 환경을 인간에게 제공하면서 환경 부하를 절감하고 인간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시켜주는데 그 주된 의의가 있다. 또한 테크놀로지와의 접목을 통하여 자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향으로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자연보완적인 공간적용 방안이고 시대흐름에 맞는 기술미와 구조미를 표현하고 있다. Mass-production and mass-consumption have been one tendency representative of our culture in the 20th century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mergence of modernism and the keyword for the environment human beings want. But they missed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being, the environment and the city due to the excessive acceptance of technology. As a consequence, the contemporary society has the following general problems: First, the increased energy load and the environmental pollution. Second, the problem of degraded comfortableness. This may refer to the environmental problem attributable to the disconnection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and the impossibility of contact with nature and the degraded comfortableness of people using the interior environment. Third, the realities of dealing only with the linkage of th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with the aspects of design and spatial aesthetics excluded as the theoretical limitation in the application of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e.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plan to establish, implement and apply the Eco-Tech(Ecology + Technology) planning to the space we are living in a direction of maximally maintaining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les of application in space planning along with the environment-friendly application to the structure, facilitie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and of maximizing mutual connection. The reality is that the tendency of ecological techniques and technologies mentioned in Eco-Tech is changed into the tendency to pursue health, pleasantness and abundance with the recent improved economic level and standard of living. That is, the shift in thinking is made to the forum for restoring humanity by setting a new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rather than pursuit for simple functional beauty and the forum for realizing its possibility. The spatial application method based on Eco-tech planning is to foster the comfortable environment using the principle of nature that viewed natural and man as one in relation with the principles of Eco-Tech planning and their application to space, play a role as the media of connecting such elements as human beings, nature and city and apply them to space in an organic fashion through interconnection between their functions.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spatial application scheme based on Eco-Tech planning, analyze its characteristics and their application plan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s of derived application such as nature-friendliness, health-friendliness and humanity-friendliness and analyze the building structure to which the Eco-Tech planning was applied by selecting the actual space.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The application principle of ECO-TECH is divided into nature-friendliness, health-friendliness and humanity-friendliness and performs a role as the media in conn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ch elements as human beings and nature and space. Nature-friendliness refers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enabling the space with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the natural ecosystem become one with the circulatory principle of nature and comply with the environmental elements. Health-friendliness preserves the safety, health and comfortableness of residents, makes efficient use of natural energy, gives man beings a sense of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induces the abundant community with nature. Humanity-friendliness originates from the thought of human-centered orientation and is oriented towards the coexisting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and between human beings in a sound and nature-friendly fashion while humanizing the in the spatial application method based on ECO-TECH planning, spatial form and composition should be formed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environment of the surrounding nature and to have the linkage between the space and the nature as the perfect living organism that can be unify into nature in compliance with the natural topography and the climatic condition. The introduction of natural elements increases a contact with the outside natural environment with the aim of nature-friendliness and improves comfortableness by introducing greens and trees into the indoor garden and the atrium. It minimizes the frame, maximizes transparency, increases a contact with the outside, introduces trees into the indoor and harmonizes the technological image with nature. The elements of material and interior components start from the fact that the feelings of the human being to material are not random but material should. have somewhat proper relationship to the required soul of the human existence and naturalness, providing something natural for human beings in this relationship means what is undecorated. Natural materials are well harmonious with the human environment and comes to form the attitude of respecting for the physical properties of nature in pursuit of the beauty of harmony with nature. Environmental conditioning in interior architecture maximizes a contact with natural energy and provides a comfortable environment. The comfortableness that human beings feel varies according to climate, culture, season and the like and differs depending on age, sex and physical constitution. Therefore, environmental conditioning refers the setting of the comfortable zone, the scope of the environmental condition with which a majority of human beings feel satisfied. The energy environment has an effect on adiabatic and regenerative improvement, heat loss and gain and sunlight regulation, and when the area of glass is broad to give the opening to the skin of the building, state-of-the-art technology is largely applied. This includes the double skin system, the multiple skin system. structure and material of the outer wall, automated awning and screen. The light environment is the spatial application method by the supplementation of natural lighting to resolve the limitation and problem of the pure natural lighting method and resolves the problem mostly by the reflective lighting method. It can get uniform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and save energy by reflecting and diffusing light using mobile reflective mirror, fixed reflective plate, ceiling finishing materials and the like. The air environment resolves the pure natural ventilation in the method of using structural and constructive technologies and resolve such methods as air circulation window, radial roof structure, ladder-type roof structure, automatic switching window and so forth. The spatial configuration by the human standard humanizes the space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makes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and between human beings sound and is oriented towards the nature-friendly and human-friendly method, supports the recovery of humanity through nature and the coexisting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has a spatial form of 'living together'. The satisfaction of human complex emotions means the nature-friendly and human-friendly space and attaches greater importance to the spiritual aspect than the materials aspect in tailoring the humanity of primary sense in resident's mentality to the nature-human relationship. The spatial application method of ECO-TECH planning is one alternative of reflecting the recent tendency that have developed in combination with human beings, nature and technology. It has its principal significance in inducing sophisticated technologies to provide human beings with the harmonized environment, alleviating the environmental load and offering a comfortable environment to human beings. It allows the space to be formed in a direction of making efficient use of natural energy through its grafting on technology and expresses technological beauty and structural beauty appropriate to the stream of the times as the nature-complemental spatial application scheme.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국어과 수업 운영에 관한 연구

        강희정 공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실제적인 국어과 수업 운영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고, 국어 수업 준비의 과정과 국어 수업과정에서 나타난 교사들의 생각과 어려움, 국어 수업의 평가에 관해 분석해 봄으로써 특수학급 국어 수업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근무하고 있는 연구 참여자 6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초등학교 특수학급 국어 수업에서 수업 계획 시 교육과정 성취 기준에 따라 개별화교육계획을 작성하고 이와 연계한 수업 계획을 수립하고 있었으나, 급작스런 시간표의 변경 등으로 인하여 계획과 실제 수업사이의 괴리가 발생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특수학급 교사는 통합학급 교사와의 협력적이며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또한 특수학급 교사들은 장애학생에게 교육과정을 적용함에 있어 명확한 지침 없이 오로지 교사의 자의적 판단에 의해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것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특수학급 국어 수업에서 특수학급 교사들은 다학년으로 구성된 운영형태로 인해 복식학급처럼 국어 수업을 해야만 하였고, 손쉽게 활용 할 수 있는 교과서를 가장 많이 활용하여 수업하였다. 또한 시간 부족으로 인해 질 높은 학습자료 제작이 어려우며, 수업목표와 일치하는 자료를 찾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등 교수·학습자료 활용 면에서 어려움이 발생하였고, 천차만별인 아이들의 학습수준으로 인해 수업 내용 재구성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직접교수법 위주의 수업만 하는 획일화된 국어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중증장애 학생들은 국어 지도가 특히 더 어려우며, 국어의 여러 하위 영역에 맞는 지도 방법으로 가르쳐야 하지만 그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것 등 수업지도 면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은 여러 면에서 국어 수업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지만, 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자료를 선정하여 수업하고, 수준에 맞는 교과서를 재구성하여 수업하며, 수준에 맞게 문해지도를 하는 등 좋은 국어 수업을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넷째,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국어 수업평가는 과정중심평가와 수행평가를 활용하고 있었으며, 나이스 체제로 IEP를 관리하면서, IEP 작성에 대한 특수교사의 책무성을 높여주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하지만 특수교사들은 통합학급과 이원화된 평가가 이루어지는 점, 획일화된 평가 자료를 평가하는 점 등 특수학급의 국어 수업 평가 방법에서 여전히 기준이 모호하고 주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느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actical operation of Korean language lessons for the teachers of special education class in elementary school and to analyze the preparation process of Korean language classes, the difficulties, the evaluation basis and the thoughts of teachers in the course of Korean language lesson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performed for this study and the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six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and the data related to Korean language classes for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es were classified into 53 concepts, 15 subcategories, and 4 upper categories : The teacher's arbitrary judgment of the lesson plan, the difficulties in Korean language lessons, the struggles to provide the quality Korean lessons, and facing formal evaluation in practice..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was prepared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 in Korean language lesson planning of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 However, there was a gap between the plan and the actual class due to sudden change of the timetable. To overcome this gap, Special class teachers should strive to build cooperative and friendly relations with integrated class teachers. In addition, special class teachers were concerned about applying the curriculum by the teacher's arbitrary judgment without any clear guidance. Secondly, the special class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had to take Korean language classes with multi grade students due to operational limitation and they used the textbooks that can be easily utilized. Also they have difficulties to produce high quality learning materials due to lack of time and finding materials that matched the instructional goals. They felt hard to reconstruct the class contents due to the various level of learning existed in the class. Moreover, the lesson is standardized that only focuses on direct teaching method. It is more difficult to teach Korean language to severe disabilities, and they should be taught in a different way that cover various sub-areas of Korean language. However, there is no guidance offered and it creates difficulties to teachers to conduct the lessons. Thirdly,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 felt the difficulty of Korean language teaching in many ways, but they tried hard to provide a quality class to the students through selection of material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construction of textbooks according to their level. Fourthly, the evaluation of Korean language lesson for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 was using process-based evaluation approach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IEP was supervised via NEIS system. However,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elt that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Korean language lessons in the special class were still conducted in ambiguous and framed methods, such as based evaluations with integrated classes and using standardized evaluation data.

      •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아웃소싱용역 예정가격산정 업무에 관한 연구

        강희정 한국항공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가계약법을 근거로 시행되는 정부의 예정가격작성기준과 방법, 기타 협회에서 발표하는 원가계산방법을 알아보고, 1개의 발주처에서 다양한 직종의 용역이 이뤄지는 경우의 문제점을 우리나라 최대규모 아웃소싱을 운영하고 있는 인천공항공사의 예정가격산정 업무의 문제점 및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인천공항은 2000년 개항을 앞두고 시대적인 추세와 정부정책에 맞춰 공항운영 전분야에 걸쳐 외부위탁을 추진, ‘09. 4월말 현재 38개용역에 6,000여명의 인력이 투입되어 연간 약 2,300억원의 예산이 집행되고 있는 사업장으로 유사 용역임에도 예정가격산정기준이 각각 달라 각 협력사간, 협력사 직원과 공사간의 갈등이 발생하였다. 이에 대한 개선안으로 1)유사용역별 그룹핑을 통한 노임기준의 표준화, 2) 근로기준법을 근간으로 하는 제수당기준 표준화 3) 기타 복리후생비 및 경비산정기준 표준화 4) 물가변동율 적용의 단일화를 표준화하였다. 이러한 제도 개선이 아웃소싱감독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현행 아웃소싱용역 감독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감독자 또는 팀장 등 유경험자 146명을 대상을 실시하였다. 설문분석결과, 아웃소싱용역 감독자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요소들은 예정가격 산정방법 및 표준화, 물가변동율 적용방법, 그리고 예정가격산정방법의 업무개선도를 들 수 있다. 특히, 발주부서 업무 간소화, 예정가격 작성의 편리성에 대한 세부평가항목은 모두 5.74점 이상(7점만점)의 평가로 아웃소싱용역 업무간소화 및 편리성, 효율성 측면에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웃소싱용역 직무만족도는 연령 및 직급이 높을수록, 용역업무 수행기간이 길 수록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이는 아웃소싱용역업무 경험이 많을 수록 동일 사업장에서의 예정가격 표준화 및 물가변동율 단일화 적용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음을 본 연구가 뒷받침해주고 있다. 인천공항의 예정가격 산정업무 연구를 마무리하며, 좀 더 검토 보완이 필요한 부분은 첫째, 각 용역별 특성을 고려한 등급별 인원에 대한 명확한 기준마련이 필요하고, 둘째, 유사용역간 자격기준을 고려한 임금수준의 표준화, 셋째, 임금체계 수립시 기존임금수준을 고려하여 산정한 바 기준노임의 적정성은 앞으로 더 연구검토 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 우리나라의 공기업 경영환경은 정부의 강력한 경영효율화를 요구받고 있다. 이로 인해 아웃소싱시장은 점차 다양화되고 확대되어 갈 것이다. 정부는 아웃소싱용역에 투입되는 인력의 근로조건의 기본이 되는 「기타용역의 예정가격 작성기준」개정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고, 본 연구사례와 같이 동일사업장에 다양한 직종이 존재하는 경우와 같은 기업의 특성 및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가 향후 정부의 예정가격 작성기준 개정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is mainly on the problems and the cases of improvement of the calculating the standard price by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which operates the biggest outsourcing service through finding government's standards and methods of calculating the standard price according to the Act relating to contracts to which the state is a party and ways of calculation of cost price presented by other committees.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has started outsourcing service in the most of the airport operation fields to take a walk with the government policy and follow the trend of times. As of April 2009, it applied 38 services with 6,000 people and the budget reaches about ₩230,000,000,000 annually. However there have been some conflicts between outsourcing companies or between outsourcing companies and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in the reasons of different standards of calculating standard price between similar services in outsourcing companies.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standardized 1)the standard of wages by grouping the similar services, 2)all bonus standard followed by the Labor Standard Law, 3) welfare money and calculating expenses and 4) simplifying of price fluctuation. I made up questions for 146 outsourcing service supervisors who have experienced works related to outsourcing services about whether above improvements of system effected on the satisfaction of their jobs. I could find out the affirmative factors to the outsourcing service supervisors are calculating methods and standardization of standard price, method application of price fluctuation, and improving system of calculating methods of standard price i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questions. Especially simplification of ordering work of outsourcing service, convenience of recording of standard price. Furthermore, the higher in age and rank the supervisor is, and the longer period of work in the outsourcing service he/she has, the higher rate of satisfaction on the outsourcing service shows. This study supports that the more experience of the outsourcing service work the supervisors has, the more realizing the need of the standardization of standard price and applying simplification of price fluctuation. In the closing the study on calculating the standard price, I need to review and study more in the field of 1) standardization of personnel by rank, 2) Standardization of level of wages considered qualification between similar outsourcing services, 3) reasonableness of standard wages considered recent level of wages. Recently, the environment of public corporation management in Korea has been asked the effectiveness of management. Therefore, the market of outsourcing services will be diversifying and magnifying. Korean Government has to make more efforts to revise the standard of standard price of outsourcing services and to accept the special conditions and diverse situation lik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which has various works in same business corporation. In this context, I expect this study contribute to revise the standard of calculating standard price of outsourcing services in public corporation by our gove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