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패킷 유실 최소화를 위한 네트워크 구성에 관한 연구

        박성환 단국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재 이동통신을 이용한 네트워크는 사용의 편의성으로 인해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과거 음성 통신을 목표로 개발 되었던 시스템은 IP 기반의 패킷 통신을 포함하며 그 규모가 확장되고 있다. 네트워크의 사용과 의존도가 증가 하는 것과 달리 네트워크의 특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고조적인 특징 때문이다.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와 다른 사용자 패턴과 서비스 특징을 갖는다. 우리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특징을 분석 하기 위해서 대규모 이동통신 사업자를 선정해서 분석을 시도했다. 본 사업자는 2G LTE 를 모두 서비스 하는 사업자 이다.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서비스되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분류하고, 각 분류에 따른 특징을 분석 했다. 사용자와 서버의 정보를 분류해서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맞는 사용자 모델과 서버 모델을 제시했다. 본 논문은 이동통신 교환기 네트워크의 패킷 데이터를 수집해서 분석 한후 트래픽 모델링을 수행해서 현존하는 네트워크의 문제점들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모델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정확한 구조 설계 방법을 기술 하였다.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s due to the ease of use is being spread at a rapid pace. In the past, and was developed with the aim of voice communication system is IP based packet communication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scale is expanded. Increased use and reliance on the network and the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as opposed to almost come true. A great fea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are characterized by different user patterns and a wired network and services.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order to select the large carriers have tried to analyze. These are both 2 g operators LTE service providers. Packet data network service in the categorizes the various servi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ategory, and analyzed. The user and server information, users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classified models and server model. This paper is a mobile telecommunication exchanger network packet data collected after analyzing the traffic modeling by executing the existing network problems Aims to analyze. This model is based on the exact structure of the network using simulation methods, design methods and technology.

      •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데이터 수집 도구 평가에 관한 연구

        한수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Realized information with the widespread use of computers and Internet produced 1.8ZB data information by accelerating the production data facing the data explosive in phenomena in 2011. The amount of data produced from all over the world to take advantage of the available storage capacity in excess of the data flood era was initiated and, in the future, the data is exponentially increasing, as early as in 2020 will be 50 times the current explosion. The scale of big data are vast and big data(Volume), and the variety of data (Variety). And also, the big data has the characteristics that need to resolve in a timely manner data(Velocity) as the result, it should be able to create new value. Big data is a common databas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tore, manage, and analyze. It also contains web, images, videos, social network services, including both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and, require real-time processing in analysis and forecasting on demand. We need to efficiently collecting data first and store management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big data. You can find the solution of social problem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which unearthed a prediction for the future. So you can be sure that the ability to collect large amounts of data(Big data) is important. The big data platform based on Hadoop becomes factual standard(de facto). There are a variety of tools for data collection and the actual global companies also operated various collection tools to select and fit for the purpose of applying the big data platform. Hadoop-based big data platform is built upon a variety of data collection tool operated by the user on the purpose of the tool allows you to select a data collection tool for the evaluation of offers through this paper model. In this paper through the study of big data and understand the big data-collection tools, assessment by identifying in advance the model features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to meet the purpose of the user is expected to build big data platform. 컴퓨터와 인터넷의 확산으로 실현된 정보화는 데이터 생산을 가속하여 2011년 한해에만 1.8ZB를 생산하는 데이터 폭증 현상에 직면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데이터양이 활용 가능한 저장 용량을 초과하는 데이터 홍수 시대가 시작되었으며, 향후에도 데이터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2020년에 이르면 현재 대비 50배로 폭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빅데이터는 데이터의 규모가 방대하고(Volume), 데이터의 종류가 다양하며(Variety), 데이터를 적시에 해결해야 하는(Velocity)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결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낼 수 있어야 한다. 빅데이터는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로 저장, 관리, 분석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서며, 웹, 이미지, 동영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를 모두 포함하고, 분석과 예측에 있어서 실시간 처리 등을 요구한다. 이러한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우리는 먼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저장 관리해야 할 것이다. 수집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회적 이슈에 대한 문제 해결책을 찾을 수도 있을 것이며, 미래를 예측하는 정보를 발굴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만큼 빅데이터를 수집하는 역량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하둡을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 플랫폼이 사실적 표준(de facto)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데이터 수집을 위한 다양한 도구들이 존재하고 실제 글로벌 기업들도 다양한 수집도구를 운영 목적에 맞게 선택하고 적용하여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하둡 기반의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시 여러가지 데이터 수집 도구 중에서 사용자가 운영 목적에 맞는 도구를 선택할 수 있도록 데이터 수집 도구에 대한 평가 모델을 본 논문을 통해 제안한다. 본 논문의 연구를 통해 빅데이터를 이해하고 빅데이터 수집 도구의 평가 모형을 통해 특징을 사전에 파악함으로써 사용자는 새로운 기술의 도입 목적에 부합하는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할 것으로 기대한다.

      • 모바일 소프트웨어의 품질측정에 관한 연구

        한용만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다양한 스마트기기들을 통해 많은 애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iOS기반의 앱스토어나 안드로이드 기반의 마켓 등을 통해 많은 애플리케이션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스마트폰의 급증으로 그 성장속도도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더불어 애플리케이션의 품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실제로 시장에 나와 있는 무수한 애플리케이션들 중에 고품질로 평가된 애플리케이션은 극히 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소프트웨어 개발 시 품질특성을 고려하여 설계하고, 기존의 애플리케이션과 모바일 소프트웨어 품질특성을 고려한 품질측정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품질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설계에 도움이 되는 품질측정 및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먼저 레거시한 소프트웨어 품질측정 방법 및 품질특성들에 대한 연구를 하고, ISO/IEC 9126을 비롯한 ISO/IEC 25000의 품질특성 8가지를 통해서 소프트웨어를 개발 시 고려사항을 도출하였다. ISO/IEC 25000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품질특성 8가지에서 모바일 소프트웨어를 위한 품질특성에 대한 우선순위를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기존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품질측정을 수행하고, 도출된 품질특성들을 적용하여 품질측정을 다시 수행하였다. 품질특성에 따른 적용 전후를 비교하여 품질측정의 변동을 확인했다. 더불어 우선순위로 도출된 품질특성만 적용한 애플리케이션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ISO/IEC 25000의 품질특성 8가지를 모두 적용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 다시 품질측정 점수를 비교분석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모바일 소프트웨어에 대한 품질특성 나열을 통해서 애플리케이션의 품질향상과 품질특성 일부를 적용함으로써 개발노력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향후 다양한 모바일 소프트웨어들에 대한 각각의 품질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사례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며, 추후 더욱 정밀한 품질측정과 정확한 품질특성을 제시 할 것이다. 다만, 일부 측정하기 어려운 품질특성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보다 정밀한 품질측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모바일 소프트웨어 품질측정 자동화 툴의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Recently, many applications are made and used through various smart devices. Lots of applications are released through Appstore based on iOS, or Market based on android. Their rate of growth is highly increasing, as well as the smart phone's rapid increase. The interest about application's quality is growing too; however, there are very few high-quality applications among those countless applications in the market. Therefore, in this paper, we designed regard to quality characteristic when developing mobile software, performed quality measurement about existing application and about the application which contemplates mobile software’s quality characteristic. Upon this, we suggested quality measurement and the way to evaluate which can anticipate the effect of quality improvement. For this research, first, we'll study the legacy of the way to measure software's quality and about quality characteristic, and then we'll draw considerations when developing the software, through 8 quality characteristics of ISO/IEC 25000, including ISO/IEC 9126. Based on the existing study about ISO/IEC 25000, from 8 quality characteristic, we'll draw the priority about the quality characteristic for mobile software, by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Perform the quality measurement about existing applications, and measure the quality again by apply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 deducted. Check the change of quality measurement, compare before and after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quality characteristic. Also, to verify the validity of application which only applied the quality characteristic deducted preferentially, compare and analyze the quality measurement score of the applications which applied all eight quality characteristic of ISO/IEC 25000. In this thesis, the decrease of efforts to develop is expected through list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 of the mobile software proposed, and by applying parts of quality characteristic, as well as the quality improvement of established applications. From now on, various case studies will be progressed, in the light of each quality characteristic of variety mobile software. This will propose more exact quality measurement and precise quality characteristic.

      • VP와 애자일 방법론의 개념을 활용한 적응적 프로젝트 관리 모델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심동열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전통적 개발 방법론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의 관리 방법론들 중에 가장 오래된 방법론이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론이다. 하지만 미리 정해진 계획과 절차에 따라 수행하는 방법론으로 실제 프로젝트 현실에서 자주 발생하는 변경사항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없다. 애자일 개발 방법론은 기존 전통적 개발 방법론에서 얻을 수 없었던 요구사항의 변화에 대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개발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론이다. 그리고 Visual Planning은 프로젝트 진행사항 전체를 한 눈에 보여지는 개념이다. 본 논문에서는 VP와 애자일 방법론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방안을 연구하였다. 실제 프로젝트에서 프로젝트 수주 전 단계, 계획/준비 단계, 분석/설계 단계, 그리고 개발/테스트 단계에 걸쳐 기존 프로젝트 관리 방법의 이슈를 해결하는‘적응적 프로젝트 관리 모델’을 사용하였다. 설계한 모델을 적용한 프로젝트의 정량적 관점의 평가와 정성적 관점의 평가 결과 프로젝트 관리에 효율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제점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해 적응적 프로젝트 관리 모델이 체계적인 방법론이 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Traditional development methodology is the oldest one among the management methodologies of software development project. It is being used the most, but is not flexible with the reality of actual projects changed frequently, because it, traditional development methodology, is carried out based on a pre-fixed procedure and program. Agile development methodology pursues the efficiency of development and cope flexibly with a change of needs, which cannot be derived from the traditional development methodology. Besides, Visual Planning is a visible imaginary concept to show the each state of project. In this paper, we researched the way of efficient project management using VP and agile methodology. In an actual project, we used 'adaptive project management model' which solves the issue of an existing method of project management over a step before winning the project, a step of plan and preparation, a step of analysis and design and last, a stem of development and test. Applying a model designed to evaluate the project. The results of Quantitative evaluation and qualitative evaluation has improved efficiency in project management. This will be the way to make 'adaptive project management model' into an organized methodology by an additional research against known problems.

      • 웹 2.0 기반에서 중등학교 홈페이지의 효율적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오세준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정보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인터넷의 이용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교육에서도 제한된 공간에서만 이루어진다는 기존의 교육 개념을 벗어나 교육의 내용, 교육 방법, 교육 시간, 교육 대상에 상관없이 모든 학습 정보를 서로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교육환경으로 변화되고 있다. 웹은 점점 변화해 가고 있다. 이 변화에 화두에는 ‘웹 2.0’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면서 그 정의가 점점 명확해지고 있다. 기존의 웹은 일방적인 정보제공의 형태였다면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웹 2.0은 기존의 웹이 가진 정보전달 기능과 다른 참여, 공유, 개방이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서비스 업체는 컨텐츠의 생산과 배포를 하고, 사용자는 서비스 업체가 정한 기준에 따라 컨텐츠를 이용하기만 하는 시대에서 이용자가 직접 컨텐츠를 만들고 배포하는 시대로 바뀐 것, 이것이 바로 웹 2.0이 말하는 ‘변화’의 골자이다. 하지만 학교 홈페이지의 현실은 빠른 변화에 맞춰나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홈페이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경기도 용인시 소재 중학교 39개교와 고등학교 21개교 총 60개 학교를 대상으로 홈페이지를 분석하였다. 각 학교의 조사 항목은 크게 7가지로 일반사항, 관리실, 학교홍보, 학교업무, 학습지원, 의사소통, 기타 등으로 분류하여 메뉴 조사 항목을 설정하였으며, 구성형태의 기준은 제작목적, 자료구축방법, 상호작용성으로 분석 기준안을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준안에 의한 분석을 통하여 현 학교 홈페이지의 문제점을 파악한 뒤, 빠르게 변화하는 웹 2.0 시대에 맞춰 중등학교 홈페이지의 효율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ccording to the wide spread of using the World Wide Web in addition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T, it is necessary to overcome an old-fashioned educational paradigm that educations can be performed within the limited physical space. Nowadays, educations are being changed into the environment that anyone can be educated anytime anywhere by connecting each other through the Internet, regardless of educational contents, ways, times, subjects and so on. The World Wide Web, commonly known as the Web, is being changed. The term called 'Web 2.0' begins to emerge from the changes, and its definition is being evidented more and more clearly. One of limitations from using the Web is passive viewing of information. The Web 2.0, however, provides many benefits likely user participation, interactive information sharing, interoperability, collaboration in addition to information transfer provided by the typical Web. The phenomenon, changing from the era that users can only view contents provided by the websites to that users can provide contents interactively, is the essential point of the 'change' represented by the Web 2.0. However, almost websites operating for schools don't keep up with this rapid IT change. Consequently, this paper was carried out an analysis targeting 60 websites currently serviced by schools in Yongin-Si, Gyeonggi-Do (39 middle and 21 high schools). The analysis on websites for each school is largely classified 7 categories, likely overview, gatehouse, public relations, administration, learning support, communication and others, and the analysis criteria is based on the service purpose, way to construct contents, and interoperability. This paper figures out problems of websites currently serviced by schools through these analysis criteria, and then finally suggests effective ways to improve websites for the secondary schools with keeping pace with the rapid changes in the Web 2.0.

      • 복위 척추 수술 환자의 욕창 발생과 욕창 발생 위험요인

        김가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배경 및 목적 : 욕창(pressure injury)은 압력의 결과로 피부 또는 연조직에 발생하는 국소적인 손상을 의미하며, 환자 뿐만 아니라 의료기관에 막대한 재정적 부담을 준다. 그 중에서도 수술 환자는 마취로 인해 피부의 통증과 압력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로 장시간 동안 특정 체위의 부동 상태로 수술을 받기 때문에, 수술을 받지 않은 환자에 비해 욕창의 위험이 크다. 특히, 복위를 적용하는 척추 수술의 경우, 앙와위보다 욕창 발생의 위험이 2배 가량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복위 수술 후 발생하는 욕창과 관련된 연구들은 그 수가 많지 않으며 관련 독립변수에서 생리적 지표가 배제되고 물리적 지표에 편중되어있다는 점에서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위 척추 수술 환자의 욕창 발생 현황과 다양한 수술 전 및 수술 중 생리학적 지표를 포함한 욕창 발생 위험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전자의무기록(EMR)을 활용한 후향적 코호트 조사연구이다. 서울특별시 소재의 A 상급 종합병원에서 2018년 1월 1일부터 2022년 3월 16일까지 복위 척추 수술을 시행하는 2개 과(정형외과, 신경외과)에 입원한 18세 이상 성인 환자로 입원 당시와 수술 전 사정 시 욕창이 없으며, 입원 기간 동안 수술을 받고 수술 전 통합 욕창 사정 평가지가 존재하는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제외기준은 1) 척추 외 다른 부위 수술을 동시에 시행한 환자, 2) 수술 중 복위 외 다른 체위로 변경한 환자, 3) 수술 시간 1시간 이내인 환자로 정하여, 총 3,734명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연구결과 : 전체 대상자 3,734명 중 복위 척추 수술 환자의 수술 후 욕창 발생은 100명(2.68%)로 나타났으며, 주요 욕창 호발 부위는 천미골 40명(40%), 가슴 16곳(16%) 순으로 나타났으며, Stage Ⅱ 욕창이 60명(60%)으로 가장 높은 발생 빈도를 보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복위 수술 후 욕창 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변인은 수술 전 Braden scale 총점(p<.0001), 수술 부위(p=0.034), BMI(p=0.011)로, Braden scale 점수는 1점 증가할수록 욕창의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OR=1.603, 95% CI: 1.461-1.759), 수술 부위에서는 요추에 비해 흉추에서 욕창 위험군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OR: 0.521, 95% CI: 0.286-0.951) 감소하였다. BMI에서는 비만에 비해 저체중일수록 욕창 위험군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OR=0.296, 95% CI: 0.116-0.755). 결론 : BMI가 높은 경우, 수술 전 Braden score 점수가 높은 경우, 수술 부위가 요추인 경우 상대적으로 욕창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의료진들은 해당 위험요인들을 사전에 고려하고, 수술 후 욕창 발생 여부를 조기 사정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In combination with shear force, pressure injury causes local damage to the skin or soft tissue, placing a substantial financial burden on both the patient and the medical institution. Patients undergoing surgery have to endure length procedures without recognizing the pain and pressure applied to the skin due to anesthesia, consequently, their risk of pressure injury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n-surgical patient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related on pressure injury that occur following spine surgery in the prone position, and related independent variables focus soley on physical indicators excluding physiological variables.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of pressure injuries utiliz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for patients undergoing spinal surgery with prone position, as well as risk factors for pressure injuries, including various preoperative and intraoperative indicators. Method :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cohort survey study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 from January 2018 to March 2022 at a single tertiary care hospital in Seoul, South Korea. Among patients underwent spinal surgery during hospitalization (orthopedic surgery and neurosurgery), those who aged 18 or older and had no pressure injuries at the time of hospitalization are included. There were 3,734 individuals were involved in the analysis. Results : Of the 3,734 subjects, 100(2.68%) had postoperative pressure injuries, 40(40%) had sacro-cocccyx and 16(16%) had the highest frequency of pressure injury.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occurrence of pressure injurires after spinal surgery in prone position are preoperative Braden scale score (p<.0001), surgical segment (p=0.034), and BMI (p=0.011). Patients who had higher preoperative Braden scale score(OR=1.603, 95% CI: 1.461-1.759), who underwent surgery on lumbar, compared to patients underwent surgery on the thoracic spine(OR: 0.521, 95% CI: 0.286-0.951) had an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pressure injury. In BMI, patients in obesity had an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pressure injury compared to patients underweight(OR=0.296, 95% CI: 0.116-0.755). Conclusion : If the BMI is high, if the preoperative Braden scale score is high before surgery, or if the surgical site is the lumbar region, the incidence of pressure injuries is significantly high, so it is necessary for medical staff to assess the incidence of pressure injuries after spinal surgery with prone position in advance by considering those risk factors.

      • 성공적인 ERP시스템의 안착을 위한 변화관리 방안 연구 : 단계별 구축 사례분석 중심으로

        황지영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 기업은 한 지역에 국한된 기업 활동 보다 전 세계를 상대로 하는 기업 활동으로 활동영역이 넓어졌다. 여러 나라의 동일한 업종의 기업들과 경쟁하고 그들보다 우위에 서기 위해서 가지고 있는 물적, 인적 자원의 효과적인 사용이 중요하게 되었다. 기업의 자원을 보다 자세히 파악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바로 ERP시스템이다. ERP는 국내 SW애플리케이션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지만, 이러한 ERP는 구축 후 바로 효과를 볼 수 없다. 때문에 본 논문은 ERP의 도입과 구축 이후 성공적으로 기업에 안착할 수 있도록 하는 변화관리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ERP에 관한 다양한 연구문헌들에 따르면 변화관리가 ERP 성공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변화관리는 기존과 다른 방식이 도입되면서 발생하는 저항요소들을 관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ERP가 성공적으로 구축이 되기 위해서는 변화관리가 필요하며, 변화관리를 어떻게 하면 저항요소를 줄이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비슷한 규모의 사례기업에서 ERP시스템을 구축하고 ERP시스템 사용자의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동일한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하더라도 기업의 업무 환경과 변화관리 대상의 차이, 변화관리 방법의 차이에 의해 만족도는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두 사례기업 중 변화관리 후 성공적으로 ERP시스템이 안착된 기업의 변화관리 방법을 분석한 결과 ERP시스템의 성공적인 구축을 위해서는 기업의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있고 기업이 원하는 목표대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변화를 이끌어갈 핵심 조직의 결성이 이루어져야한다. 이러한 조직의 주도하에 변화는 4단계의 절차로 수행된다. 첫 번째로 변화의 목표설정, 두 번째로는 실행 즉, 변화관리의 전략과 대응방안 그리고 관리체계를 수립한다. 세 번째로는 모니터링을 통하여 목표대비 결과를 확인하고, 네 번째로 변화내용을 정착 즉, 반영이라는 단계를 반복한다. 이러한 결과가 피드백 되고 수정된 내용을 바탕으로 목표를 지속적으로 재 수정하면서 ERP는 기업의 내부에 빈틈없이 스며들게 된다. 본 논문을 통하여 ERP 구축 후 일부 기능만을 사용하거나 사용자의 외면을 받는 ERP 시스템이 변화관리를 통해 도입 당시의 목표를 이루어, 업무능률 향상 및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