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共同住宅 後分讓에 따른 住宅建設業體의 資金調達 活性化 方案

        黃之暎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Korean house construction industry, the customer-oriented house supply policy has been needed for the good quality of house supply while the government-oriented policies for mass supply has not been necessary any longer since the rate of house supply in 2002 exceeded 100%. Thus, the pre-construction sales system, which played the greatest role in raising funds for mass supply, is in the trend of changes according to the market change. Under the pre-construction sales system, most of house construction companies could minimize their financing costs by directly raising funds from the house consumers by around 80% of the supply cost. While the consumers’ desires are getting higher and higher and the supply-oriented markets get changed into the consumer-oriented ones after the excessive achievement of the rate of house supply, the government is also leading the change of the house sales system, so called the post-construction sales system keeping pace with those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government policy and the environment for the house construction industry above mentioned, the small and middle sized house construction companies, which have relatively poor competitiveness - as well as the big-sized companies - should group some survival strategies to maintain their own competitiveness in order to survive. That is, the proposals for the continuous house supply should be found in the ways of preparing for the systematic countermeasures, raising the actual construction funds and dispersing the business risks properly for the continuous house supplies and the reductions of the market shocks. Therefore, the fund-raising methods & sources of house construction companies and the changes in the house sales system were examined. Specifically speaking, considered the meaning of the post-construction sales system when it comes into effect, the meaning and system of Financing for House Construction and the proposals & time-line for and propagation effects of the gradual improvement of the house sales system, were examined. And the necessity, features, status and types of the fund-raising for house construction busines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fund management were also examined. Moreover,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on some house construction companies, the application status of house sales system, the status of ‘the internal & external funds’ and ‘the direct or indirect financing of the house construction companies, the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s for the fund raising’ and the analyses of ‘the strengths of the fund management’ and ‘the redemption terms’ during the project financing, the practical uses & risk management of the project financing and the practical uses of ‘National Housing Fund’ were also examined. That is, it could be found that the preference to the pre-construction sales system was still high since the companies had a high percentage of loans from the financial institutions as major financing sources and most of the borrowed money was appropriated for their construction. The proposal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construction businesses by the financial institutions an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fund raising by giving securities were suggested as th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problems in doing their businesses due to the excessive demands for securities and the insufficient ‘line of credit’ when the companies borrow money from the financial institutions. And since the concerns of the house construction companies in the project financing and their positive uses of the project financing - which is an actively developed item in the financial circles - are necessary, the strength of the project financing, such as the easy fund-raising, the fairness & trust of the business, etc. should be more improved in order for the financial institutions to exert their functions enough, the methods, which the small& middle sized companies can use the services smoothly, should be prepared and the problems, such as the distribution of risk and the securing of the transparency, should be solved and be much activated when the post-construction sales system is entirely enforced. Also, the reduction of the policy interest-rate, the increase of the ‘line of limits’, the easing of the loan terms and the simplification of the service procedures, etc were suggested in order for the private companies, especially the small& middle sized house construction companies as well as the public agencies for housing construction to have much easier uses of ‘the post-construction sales fund’, which was newly established in 2004 as the fund that supports the post-construction sales system, under the contents of the ‘National Housing Fund’, that is, the policy fund of the government.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house sales system were raised as follows: the reduction of the supplied houses and the aggregated difficulties with the insufficient funds of the small & middle sized companies, the newly generated difficulties in raising the fund, the formalization of the project financing, the discriminating services against the small & middle sized companies, and the insufficient diversification of the fund-raising, etc. Furthermore, as the proposals to modify those problems above mentioned, the fund-raising sources were suggested as follows: the extended supports for the private sectors from the ‘National Housing Fund’, the enlarged autonomy of the fund, the cultivation of the autogenesis power of the house construction companies, the reviewing of the company appraisal capacities of the financial institutions, the specialization & trust supplementation of the project financing methods, the fund activation, etc. Therefore, the small & middle-sized house construction companies should prepare for the expected difficulties, which will b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big companies and be generated in the aspect of the fund-raising when the post-construction sales system is seriously enforced. First of all, the fund-raising sources should be diversified in order to progress the businesses smoothly. The reasonable terms should be made. And they should make the aggressive efforts from various viewpoints in order to utilize the ‘development financing funds’, such as project financing funds, real estate funds and the funds for assets mobilization, etc. In addition, the supplements for the government systems and taxation system should be made as well as enhancing the application of the policy funds. Also, the financial institutions should play their subjective roles in the construction financing and relieve the financing problems of the small & middle sized house construction companies, not by the credit evaluation focusing on the outer sizes of the construction companies, but by considering the unique features of construction business after getting rid of the discredit against the construction business. On the other hand, if the small & middle sized house construction companies pursue the changes in the house supply methods, for an example, ‘multi-products & small-sized production system’,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those of the big compani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construction business into more customer-oriented supply system, it may work for the small & middle sized house construction companies rather as an opportunity and it may be necessary for them to prepare for the countermeasures. That is, the small & middle-sized house construction companies should make the efforts in order for them to supply houses and to create new demands by accepting the demands of the house customers positively and one step further, by catching hold of those demands in advance. And they have to develop their unique brands, which are appropriate to their own images, and should meet the consumers’ needs quickly through the fast decision-making processes. Also, they should strain their wits in order for them to survive as the eternally maintaining companies by utilizing their own strengths only. 주택건설산업은 2002년 주택보급율이 100%를 넘어서면서 더 이상 대량 공급을 목적으로 하는 정부주도 정책보다 양질의 주택공급을 위한 소비자 위주 공급정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량 공급시 자금조달에 가장 큰 역할을 담당하였던 선분양방식은 시장변화에 따라 그 흐름도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선분양방식에서 주택건설업체는 공급비용의 80% 정도를 주택 수요자로 부터 직접 조달하여 금융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었으나 주택보급율의 초과 달성 이후 수요자의 욕구가 점점 증가 되어가고, 공급자위주에서 수요자위주의 시장변화가 이루어지는 계기가 마련되면서 정부에서도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주택공급의 후분양방식의 전환으로 나서고 있다. 이같은 정부정책과 주택건설산업환경의 변화로 대규모의 주택건설업체는 물론 상대적으로 열악한 중ㆍ소주택건설업체들이 살아남기 위한 자체 경쟁력 보유를 위해 생존전략을 모색하여야 한다. 즉, 지속적인 주택공급과 시장충격 완화를 위해 제도적 대책을 마련하고, 실질적 건설자금조달과 사업위험의 적절한 분산으로 지속적인 주택공급 하여야 한다. 우선, 주택건설업체들의 자금조달과 관련 주택분양제도의 변화 및 자금 조달원에 대해 살펴보아야 한다. 이는 후분양제도의 의의를 통해 후분양시 주택금융의 의미와 주택금융의 체계, 주택분양제도의 점진적 개선방안, 추진일정, 파급효과에 대해 살펴보고, 주택건설사업 자금운용의 환경변화로 주택건설사업의 자금조달의 필요성, 자금조달의 특징, 조달현황과 자금조달의 유형에 대한 고찰을 하여 보았다. 또한 주택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주택분양제도의 적용현황, 주택건설업체의 내ㆍ외부자금 현황, 직ㆍ간접금융 현황, 자금조달의 실태분석 및 프로젝트 파이낸싱 자금활용의 장점과 상환조건 분석, 프로젝트 파이낸싱의 활용과 리스크 관리, 국민주택기금의 활용에 관한 내용을 알아보았다. 여기서 주요 자금조달원으로 금융권으로 차입과 공사대금으로 충당의 비중이 높아 여전히 선분양방식의 선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고, 금융권으로부터 차입시 지나친 담보요구와 대출한도의 부족으로 사업진행의 애로가 있어 이에 따른 대책마련으로 금융권의 건설사업에 대한 이해증진 및 보증을 통한 자금조달의 어려움 해소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현재 금융권에서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 상품으로 프로젝트 파이낸싱에 대한 주택건설업체의 관심과 적극적 이용이 필요하다. 후분양방식으로 전면시행시 자금조달원으로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도록 프로젝트 파이낸싱의 장점인 자금조달의 수월함과 사업의 공정성, 신뢰도 향상을 더욱 발전시키고 중소주택건설업체들이 원활히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고, Risk 분산 및 투명성 확보라는 문제점을 해결하여야 하며, 더욱 활성화 하여야 한다. 또 정부의 정책기금으로써 국민주택기금의 내용 중 후분양제도를 지원하는 기금으로 2004년 신설된 "후분양기금"이 공공기관이 건설하는 주택뿐만 아니라 민간부문에서 특히 중ㆍ소주택건설업체들이 이용하는데 더욱 편리함을 부여하도록 정책금리의 인하 및 한도액 상향, 대출조건의 완화, 취급절차의 간소화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한 주택분양제도 변화에 따른 문제점으로 공급량 감소와 중소업체의 자금난이 가중 될 것이라는 것과 자금조달의 문제점 발생, 프로젝트 파이낸싱의 형식화 및 중소업체 차별대우, 자금조달의 다양화 부족 등을 문제점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개선방안으로 민간부분의 국민주택기금 확대지원과 자율성 확대, 주택건설업체의 자생력 양성 및 금융기관의 업체평가능력 제고, 프로젝트 파이낸싱 기법의 전문화와 신용보완, 펀드 활성화 등 자금조달원의 다양화를 제시하였다. 다시말하면 중ㆍ소규모의 주택건설업체는 후분양방식이 본격화 될 경우 자금 조달의 측면에서 대형주택 건설업체와는 다른 어려움이 발생할 것에 대비하여야 하며, 우선 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시켜야 하기 위해 자금조달원을 다양화하고, 조건의 합리화를 꾀하여야 하며, 프로젝트 파이낸싱, 부동산펀드, 자산유동화 등의 개발금융을 활용할 수 있는 다각적 노력에 적극성을 발휘해야 한다. 또, 정부의 정책기금의 활용도를 높임과 동시에 정부의 제도 및 세제상의 보완을 하여야 한다. 또한 금융기관은 건설산업에 대한 오랜 불신을 씻고 외형위주의 신용평가가 아닌 건설업 자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건설금융의 주체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며, 중ㆍ소주택건설업체의 금융난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더불어 건설시장은 더욱 수요자 중심으로의 공급체계로 변화함에 따라 다품종 소량방식과 같은 대규모건설업체와는 다른 공급방식으로 변화를 추구한다면 중ㆍ소주택건설업체에게 오히려 기회로 작용할 것이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 즉, 중ㆍ소주택건설업체들은 주택수요자들의 요구를 적극 수용하고 한발 더 나아가 이를 사전에 파악하여 공급하고, 수요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자사의 이미지에 맞는 브랜드 개발 및 대형건설업체에 비해 빠른 의사결정과정을 통해 소비자의 니즈에 빠르게 대처하며 자신만의 장점을 내세워 영속기업으로 남도록 지혜를 짜내야 한다.

      • 유학생의 문화차이에 따른 한국사회의 적응에 관한 연구 : 베트남 유학생을 중심으로

        황지영 광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2022년을 10월 기준으로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규모는 2,199만여 명에 이르고 있다. 이는 한국의 총인구 대비 4.3%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 가운데 외국인 유학생 수는 16만여 명을 넘어서고 있다. 교육부에서는 2023년까지 외국인 유학생의 규모를 20만 명 이상으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한 바 있다. 이처럼 많은 유학생의 규모에도 불구하고 한국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또한 일반 한국의 국민은 외국인 유학생의 존재에 대해 그 의미와 가치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지 않고 있을뿐더러, 오히려 한국 사회에서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의 존재를 헐뜯거나 왜곡시키고 주변화하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현실, 특히 문화적 차이에 기인한 한국 사회에의 적응 문제를 알아보고자 한다. 나아가 세계 정치 경제학적 구조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을 어떻게 이해하고 범주화하며, 그들이 처한 현실과 문제상황을 파악하여 이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전반적인 현황과 한국 생활에서 겪게 되는 문화적 차이와 현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베트남 유학생들이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사회생활과 경제적 측면에서 경험하고 있는 문제들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대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과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황지영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과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에 소재한 K대에 재학중인 남·여 427명이며, 사용한 측정도구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진로탐색장애 척도, 진로결정수준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목표선택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미래불안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과 진로장벽의 각 하위요인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직업정보부족, 미래불안, 목표선택, 흥미부족,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 직업 정보, 대인관계의 어려움, 자기명확성 부족, 신체적 열등감, 문제해결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areer Decision Marking Self Efficacy and Career Barriers up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27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of the K university in Daegu, Korea. The instrument employed were the Career Decision Marking Self Efficacy Scale, Korea Career Barrier Inventory, and Career Decision Scale.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SPSS 12.0 ver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influence of students' career decision marking self efficacy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goal selec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Second, with respect to the influence of students' career barriers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it was found that future anxiety was the most influential. Third, regard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career decision marking self efficacy and career barriers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the most influential subscale was career information deficiency, and secondly future anxiety, and thirdly lack of interest. And conflicts with important other people, career information, difficulty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lack of self-clarification, inferiority about body, solution of problem were followed.

      • 학교조직에서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의 인간관계 및 업무에 대한 인식비교 연구 : - 제주특별자치도내 국·공립 초·중등학교를 대상으로 -

        황지영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education administration staff about human relations and work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Jeju Special Self - Governing Province. Furthermore, the aim was to create a school culture that can coordinate the conflicts between the two organizations and promote healthy developm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of work between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staff in a school organization? 1-1. What is the perception of human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staff? 1-2. What is the perception of the work between the teacher and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staff? 2. What is the prioritized approach to resolving conflicts that are reasonably and practically perceived by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staff?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wo research methods were performed. First,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between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staff in the school organization. Interviews used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s that were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question of the field of work of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staff in the field. Two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teachers and five education administration staff. Seco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staff, the contents related to the work, and the unexplained cas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extracted and the preliminary questions were composed, The questionnaire was completed and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ith a total of 50 items for the direct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teachers and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staff.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public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staff in the Jeju Special Self - Governing Province from March 15 to April 6, 2017 through the online survey(www.statschool.net/answer.jsp?a=4959). As a result, 244 teachers (77.5%) and 71 administrative staff (22.5%)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erms of the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staff in the school organization, they showed a common tendency to try to improve human relations as a whole, and the teacher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teachers' efforts.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degree of recognition by teachers, educational administration staff showed tendency to perceive teachers' efforts to improve human relations lower than teachers' perception. Teachers' perceptions are higher at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s in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administrative staff in school organizations. Especially, the teachers perceive that the work is heavy due to the administrative work outside the class, and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staff shows the tendency of the recognition that the administration work which is not related to the educational activity is handled by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staff. Finally,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on the cases of conflicts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staff at the school revealed that the education administrative staffs recognized the same tasks between the two organizations. The calculation of the personnel expenses of the school account and the request for payment, the personnel and service of the education official staff and contract staff of the personnel service, safety management and inspection of the safety facility, and other document classification and non-electronic document registration. As a recognized item, we were able to confirm the master of the administrative agency for good, and the work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urvey, it is possible to find out the necessary measures to facilitate human relations and work in the school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 of human relations between teachers and education administration staff, We can expect to find useful implications for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ecognition of unclassified work cases and conflicts and to find alternatives to resolve various conflicts and conflicts. 본 연구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내 국·공립 초·중등학교를 대상으로 학교조직에서 교사와 교육행정직원의 인간관계 및 업무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하고, 더 나아가 교육활동의 실질적인 저해 요인이 될 수 있는 두 조직 간 불명확한 업무에서 오는 갈등을 조정하고 건전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학교문화를 이루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교조직에서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의 업무에 대한 인식차이는 어떠한가? 1-1.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의 인간관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1-2.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의 업무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의 합리적이고 실질적으로 인식하는 업무갈등 해소방안의 우선순위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 질문을 탐색하기 위해 본 연구는 두 가지 연구방법을 수행하였다. 먼저 학교조직에서의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의 업무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를 실시하였으며, 인터뷰는 반구조화된 면담(Semi-structured interview) 문항을 사용하였는데 학교현 장에서의 교사와 교육행정직원의 업무영역이라는 문항으로 개발하여 교사 5명, 교육행정직원 5명을 대상으로 총 두 차례 걸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둘째,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의 관계, 업무와 관련된 내용 및 두 집단 간 불명확한 업무 사례를 추출하고 예비문항을 구성하여 교육전문가와 개별문항에 대한 내용 검토를 거친 후 최종 설문 문항을 완성하였고, 설문지는 교사와 교육행정직원을 대상으로 직접적인 비교·분석을 위하여 모든 문항을 동일하게 총 50문항으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설문지는 2017년 3월 15일부터 4월 6일까지 제주특별자치도 내 국·공립 초·중·고교 교사 및 교육 행정직원 전체를 대상으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메신저를 통해 온라인설문 (http://www.stat school.net/answer.jsp?a=4959)을 발송하여 답변을 수집하였으며, 그 결과 교사 244명(77.5%), 교육행정직원 71명(22.5%)이 설문에 응답하여 315부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조직에서의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의 사적인 인간관계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서로 간 인간관계 개선에 노력한다는 공통적 경향을 보이고 교사가 서로 간의 인식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교육행정직보다 긍정적 응답을 하였다. 반면, 교사들이 인식하는 정도와는 다르게 교육행정직원은 교사들의 인간관계 개선의 노력을 교사들의 인식보다는 것보다 낮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었다. 둘째, 학교조직에서의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의 업무에 관한 인간관계 전반적인 문항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교사의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고, 특히 교사는 수업 이외의 행정업무로 인하여 업무가 과중하다고 인식하고, 교육행정직원은 교육활동과 크게 관계되지 않는 행정업무는 교육행정직원이 처리한다는 인식의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학교에서 발생하는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의 불명확한 업무로 갈등을 빚는 업무에 대한 사례를 가지고 설문조사한 결과 두 조직 간 동일하게 교육행정직원이 업무로 인식하는 항목으로 학생복지의 교육급여 교육비 지원, 학교 회계의 인건비 산정 및 지급 요청, 인사복무의 교육공무직원 및 계약직원의 인사 및 복무, 안전의 시설 안전관리 및 점검, 기타의 문서분류 및 비전자문서 등록을 확인할 수 있었고 교사의 업무로 동일하게 인식하는 항목으로 나이스 운영 기관 마스터,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학적업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설문조사 결과를 통하여 교원과 교육행정직원의 인간관계에 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학교 내 인간관계 및 업무가 원활히 추진되는데 필요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고, 교원과 교육행정직원 간 불명확한 업무분장에서 오는 갈등을 두 조직 간 인식을 비교함으로써 불명확한 업무사례에 대한 인식과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다양한 마찰과 갈등을 타개해 나갈 대안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모스 이론을 이용한 4차원 다양체에 관한 연구

        황지영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모스 이론을 통하여 다양체의 핸들바디 구성에 대하여 연구한다. 즉, 모스함수를 통해 매끄러운 다양체의 핸들바디를 구성하고, 같은 매끄러운 다양체에 주어지는 서로 다른 핸들바디를 통해 미분동형인 다양체에서 성립하는 핸들바디들 간의 관계들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 결과는 두 다양체가 미분동형인가를 판단하는 좋은 수단이 된다. 먼저 일반적인 차원의 모스함수와 기본 용어를 정리하고 다양체에서 모스함수가 존재하는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모스함수를 이용하여 핸들바디를 어떻게 구성하는지 알아보고 모스함수를 변형하여 서로 다른 임계점에 대한 임계값을 다르게 줄 수 있음을 확인한다. 그리고 핸들바디를 다룰 수 있는 도구인 핸들 슬라이딩과 상쇄에 대해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모스이론을 이용하여 구성한 핸들바디의 예를 2차원, 3차원, 4차원에서 찾아보고 핸들바디 구조가 유일하게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한다.

      • 서울시 청계천 이용자 행태 분석에 관한 연구

        황지영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관을 해치고 위험부담까지 안고 있던 청계천 고가도로를 철거하고 하천을 복원하여 현재 도심 속 휴식공간으로 자리 잡은 청계천은 직접 방문해 본 결과, 연령이나 집단 유형이 다양하고, 그 행태 또한 다양했다. 청계천을 복원한 이후 주변 상권과 지가의 변화와 같은 효과에 관한 기존 연구나 사업후의 모니터링, 만족도를 조사한 연구보고서는 나와 있지만, 도시 설계의 지표가 되는 이용자 행태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계광장에서 동대문까지, 청계천의 14개다리 구간에서의 이용자 행태를 분석하여 이용자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우선 청계광장에서 동대문구간까지 14개다리 전 구간을 예비조사를 통하여 전반적인 상황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이용자가 모여 있는 구간과 그렇지 않은 구간이 구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현장조사를 통하여 자세히 살펴 본 결과 이용자가 모여 있는 구간은 이미 기존 연구에서 청계천 산책로의 모습과 가로를 용도별 지역으로 나눈 오피스 지역 중 청계광장에서 삼일교 구간이었으며, 삼일교에서 버들다리까지는 그렇지 않은 구간으로, 상업 지역으로 구분되는 버들다리에서 오간수교는 또다시 이용자가 모여 있는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렇듯 이용자가 모여 있는 구간에는 그러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있을 것이라 예상하고, 현장조사를 통하여 이용행태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이용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청계천 이용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청계천의 내부요인과 외부요인으로 구분이 되었으며 청계천 내부요인으로 이용자가 모여 있는 곳에는 가로시설물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청계광장에서 삼일교 구간은 유동인구가 많고 이 구간에서 행해지는 이벤트도 많으며 시설물이 다양한 만큼 이 곳에 머무는 동안 모든 시설물을 이용하거나 그 근처에서 여러 가지 행태가 이루어졌다. 외부요인은 청계천 인접지와 주변지역에서 찾을 수 있었다. 청계천 인접지에서는 주변 토지이용, 골목길과의 연계, 도로변 버스 정류장수와 횡단보도 수, 진출입로 설치 구간이 이용 행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찾을 수 있었다. 좀 더 넓은 범위인 청계천의 주변 지역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주변 도로와의 연계, 인지도가 높은 지역과의 연계, 근처 지하철역을 조사한 결과 청계광장에서 삼일교 구간은 시청, 광화문, 명동, 종각 등 인지도가 높은 지역과 가까이 있는 것에 영향을 받았고, 삼일교에서 버들다리 구간은 특별히 인지도 높은 지역은 찾아볼 수 없었다. 버들다리에서 오간수교 구간은 동대문 쇼핑몰뿐만 아니라 동대문, 동대문운동장과 같은 인지도 높은 지역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한 결과 청계천을 방문하는 이용자들은 첫째, 앉을 수 있는 공간, 벤치나 물가주변, 다리 아래 등 인공적으로 만들어놓은 공간 둘째, 사진이나 그림 전시를 할 수 있는 공간 혹은 역사를 복원한 장소나 글귀가 적혀있는 곳(이목을 끌만한 장소) 셋째,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만들어 놓은 분수대나 돌다리, 나무다리 넷째, 조명이 밝은 공간에 모여 있었다. 또한 주변상권이 시민들이 많이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하는 것이어야 하며, 접근성도 고려하여 시민들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연계해서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청계천이 도심 속 휴식공간의 첫 시도였지만, 시민들의 관심이 큰 만큼 앞으로 청계천과 유사한 도심 속 공공공간이 더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이와 같은 하천 복원의 계획을 수립할 시에는 이용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이용자의 눈길을 끌고 쉬기에 편하며, 접근이 편하고, 하천 자체가 생태공간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향후 이러한 공간들은 시민들이 쉽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새로운 공간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After the elevated road which had spoiled the beauty and regarded as risky was dismantled and the stream was restored, Cheonggyecheon became a relaxation place in downtown of Seoul. The visitors who comes to the restored Cheonggyecheon have diverse characteristics in age, group type, and their behaviors. Although there have been a few researches about the effects of the stream restoration such as changes in commercial power and the price of land around the area and reports about the project monitoring or satisfaction rates, Cheonggyecheon visito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have not been researched yet. Accordingly, this research aims to analys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eonggyecheon visitors of 14 sections from ‘Cheonggye plaza’ to Dongdaemun and to figure out which factors affect the characteristics. Through preliminary investigation, it is revealed that not all 14 sections are equally visited. Based on a preceding study which divided Cheonggyecheon by walkway appearances and the function of street, this study conducted the frequency analysis. More people visited ‘Cheonggye plaza’ - ‘Samilgyo’ section than ‘Samilgyo’ - ‘Beodeuldari’ section from office area and commercial area, ‘Beodeuldari’ - ‘Ogansugyo’ section is also crowded according to the field study.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alysis using the field study is conducted to show which factors affect the distribution differences of visitors around the area. The results are following; 1. there are internal factors and external factors affecting the visito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2. the internal factor is the existence of street furniture. Many events took place and different types of street furniture are placed in ‘Cheonggye plaza’ - ‘Samilgyo’ section, so that visitors of that area can use the street furniture or do different activities around it while they are visiting. 3. the external factors are adjoining area and a circumference area. Factors of adjoining area are land use, the existence of connection to an alley, the number of bus stops and pedestrian crossings, the existence of entrances are the factors affecting visito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relating to adjoining area. The relations to circumference area are investigated by considering connections to nearby road, connections to recognized areas, and the existence of nearby subway stations. While ‘Cheonggye plaza’’ - S‘amilgyo section is affected by being near the recognized area’s such as ‘City hall’, ‘Gwanghwamun’, ‘Myeongdong’, and ‘Jonggak’, there i‘s no recognized areas around ’Samilgyo‘ - ’Beodeuldari‘ section. ’Beodeuldari‘ - ’Ogansugyo‘ section is affected by not only huge shoppingmalls nearby but also other reconized areas, ’Dongdaemun‘ and ’Dongdaemun stadium‘. To conclude, there are more people visiting Cheonggyecheon: (1) where there are artificially made places such as benches, places can be seated, near the water, or under the bridge; (2) where there are intriguing elements such as exibiting places, historically-restored places, or places with words on the wall; (3) where there are photogenic facilities such as fountains or stepping stones; (4) where there are lights. In addition, commercial power and accessibility around the area should be considered when relaxation place is developed for citizens' comfortable use. Although Cheonggyecheon is the first attempt to make relaxation place at the center of city. it is expected that public spaces at the center of city will increase since many people are interested in and take use of Cheonggyecheon. Next time a project of a river restoration is planned, the factors affect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so that it could be designed as intriguing, easy-to-relax, accessible and ecological space.

      • 성공적인 ERP시스템의 안착을 위한 변화관리 방안 연구 : 단계별 구축 사례분석 중심으로

        황지영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기업은 한 지역에 국한된 기업 활동 보다 전 세계를 상대로 하는 기업 활동으로 활동영역이 넓어졌다. 여러 나라의 동일한 업종의 기업들과 경쟁하고 그들보다 우위에 서기 위해서 가지고 있는 물적, 인적 자원의 효과적인 사용이 중요하게 되었다. 기업의 자원을 보다 자세히 파악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바로 ERP시스템이다. ERP는 국내 SW애플리케이션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지만, 이러한 ERP는 구축 후 바로 효과를 볼 수 없다. 때문에 본 논문은 ERP의 도입과 구축 이후 성공적으로 기업에 안착할 수 있도록 하는 변화관리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ERP에 관한 다양한 연구문헌들에 따르면 변화관리가 ERP 성공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변화관리는 기존과 다른 방식이 도입되면서 발생하는 저항요소들을 관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ERP가 성공적으로 구축이 되기 위해서는 변화관리가 필요하며, 변화관리를 어떻게 하면 저항요소를 줄이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비슷한 규모의 사례기업에서 ERP시스템을 구축하고 ERP시스템 사용자의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동일한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하더라도 기업의 업무 환경과 변화관리 대상의 차이, 변화관리 방법의 차이에 의해 만족도는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두 사례기업 중 변화관리 후 성공적으로 ERP시스템이 안착된 기업의 변화관리 방법을 분석한 결과 ERP시스템의 성공적인 구축을 위해서는 기업의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있고 기업이 원하는 목표대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변화를 이끌어갈 핵심 조직의 결성이 이루어져야한다. 이러한 조직의 주도하에 변화는 4단계의 절차로 수행된다. 첫 번째로 변화의 목표설정, 두 번째로는 실행 즉, 변화관리의 전략과 대응방안 그리고 관리체계를 수립한다. 세 번째로는 모니터링을 통하여 목표대비 결과를 확인하고, 네 번째로 변화내용을 정착 즉, 반영이라는 단계를 반복한다. 이러한 결과가 피드백 되고 수정된 내용을 바탕으로 목표를 지속적으로 재 수정하면서 ERP는 기업의 내부에 빈틈없이 스며들게 된다. 본 논문을 통하여 ERP 구축 후 일부 기능만을 사용하거나 사용자의 외면을 받는 ERP 시스템이 변화관리를 통해 도입 당시의 목표를 이루어, 업무능률 향상 및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1910년대 잡지의 특성과 유학생 글쓰기 : 學之光을 중심으로

        황지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910년대 재일(在日) 유학생이 발행한 ??학지광??이라는 잡지를 텍스트로 삼아 근대 지성사를 보다 폭넓게 이해하고자 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재일 유학생들은 근대 한국 지식인계를 주도하였고, 해방 이후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들은 유학생활 동안 학업뿐만 아니라 자율적인 단체 활동, 기관지의 발행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하지만 그들의 활동은 일본 당국의 감시와 감독 아래 철저히 제한된 것이었다. 그런 가운데서도 유학생들은 근대적 지식과 사상을 수용하고, 이를 국내에 전파하는 역할을 했다. 따라서 유학생의 이해 없이 근대 지성사를 이해하기는 불가능하다. ??학지광??은 1914년 4월에 창간된 재일본 조선유학생학우회의 기관지이다. 15년 남짓한 발행기간에 비해 발행호수는 적지만 우리 언론계, 문단, 학계에 끼친 공헌은 결코 적지 않다. 1914년부터 1930년에 이르는 ??학지광?? 중 본 연구에서는 1910년대의 ??학지광??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1910년대는 역사상 큰 반향을 일으킨 사건들이 대거 포진해 있고, 1920년대 이후에는 사상적 색채가 강해지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1910년대 유학생을 대표하는 단체인 ‘학우회’와 그 단체의 기관지였던 ??학지광??을 텍스트로 삼아 1910년대의 지적 지형도를 그려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지광??을 둘러싼 여러 가지 스펙트럼(잡지?유학생?학우회 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좀더 ??학지광??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를 해보려고 했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학지광??을 ‘수용(受容)’의 측면에서 다각도로 파악해 보았다. 근대의 조선은 일본이라는 매개를 통해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이게 된다. 이에 대해 기존의 연구들은 ‘이식(移植)’과 ‘수용(受容)’의 양 극단에서 첨예하게 대립했었는데, 본고에서는 ‘수용’의 측면에서 바라본 ??학지광??의 글들과 ‘수용의 주체’로서의 유학생의 역할에 대해 주목했다. 이러한 바탕 아래 궁극적으로는 ‘수용’의 측면에서 바라본 유학생의 글쓰기를 살피는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다. 1910년대 유학생의 글은 ‘수용(受用)’이라는 큰 코드로 묶을 수 있다. ‘수용’은 크게 ‘진보적 수용’과 ‘보수적 수용’으로 나눌 수 있다. ‘진보적 수용’이란 기존의 지식이나 사상이 아닌 서구나 일본의 새로운 지식 또는 사상을 수용한 것이고, ‘보수적 수용’이란 기존의 지식이나 사상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진보적 수용’에는 서구에서 들여온 문학 개념과 일본의 자연주의·백화파의 사소설과 개인 내면의 우울함과 무력감을 다룬 러시아 문학의 수용을 들 수 있다. ‘보수적 수용’에는 한문체에서 국문체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전통의 보수적 국한문체를 수용한 문체상의 특징을 들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학지광??의 문학 작품을 통해 유학생들의 의식, 사고는 물론, 어떤 식의 ‘수용’ 과정을 거쳐 문학작품에 반영되었는지 밝히고 있다. ??학지광??은 유학생들 모임 ‘학우회’의 기관지였지만, 그 학술적 가치나 이후 조선의 문단?학계?정치계 등 많은 분야에 끼친 영향력, 특히 유학생에 의해 체득된 서양과 일본의 문화, 사상, 문학을 ‘수용’하는 매개체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그 연구의 당위성이 있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