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민의 도시농업 참여 만족도와 농촌체험관광 인식에 관한 연구

        이인환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study identified the urban agriculture and recognition on the farming village experience tourism by the citizens. The analysis frame was provided by finding the measurable factors on the recognition on the urban farming and farming village experience tourism through related studies.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n the urban farming and the recognition on the farming village experience tourism were surveyed. And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n the urban farming and the farming village experience tourism between the participating group and non-participating group into the urban farming was analyzed. The precedent studies related with urban farming showed that the urban farming becomes an opportunity for the citizen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griculture and expected the effects such as the trust to agricultural products, improvement of environment protection recognition depending on the ecological education effect, nurturing the human nature and the change of dietary life depending on the change on the food material recogn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 fact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citizens recognize the effects suggested by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urban farming positively in general. However, the percentages of position of worrying and non-worrying the problems of shortage of space for urban farming, reduction of urban green land, wasteness of winter time landscape, spoiling of urban landscape, environment contamination at the proximities and the negative influence on the farming village economy were almost same level. It means that the citizens do not recognize only positive effect of the urban farming. Second, most of citizens recognized the farming village experience tourism, but most of them are not experienced with farming village experience tourism. Citizens have positive image in general owing to the opportunities for experiencing the crops growing and harvesting in the farming village experience tourism, experiencing the traditional culture, differentiated natural environment, ecology·environment education and providing the warm-heartedness of the local residents. Especially, it is considered that citizens have a big expectation on the natural environment differentiated with the cities. With regards to the negative image on the farming village experience tourism, citizens recognized the insufficient facilities, fresh environment, shortage of eye catchings and fun, and necessity of much time and cost. Citizens believe the long distance, inconvenient transportation, unsatisfactory facilities, time and cost as obstacles in farming village experience tourism. On the contrary, most of them showed the positive thinking on the participation into long-term stay. Third, it was known that the participants into the urban farming satisfy generally on the location and size of kitchen garden, economical cost, solving the needs for farming activity and properness as agriculture·ecology education center. When the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depending on the Y/N for participating into urban farming was made, the non-participants worried about the negative recognition such as the shortage of kitchen garden space for urban farming, reduction of urban green land ratio, waste landscape in winter time, spoiling the urban landscape, environment contamination in the proximities and negative influence on the farming village economy. Fourth, when the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depending on the Y/N for participating into urban farming was made, it did not show the big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on the farming village experience tourism. The crosstabluation was made to know the difference in the participating willing into the farming village experience tourism between the participating and non-participating groups into the urban farming. It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into the urban farming did not show relatively higher willing than the non-participants. The reasons of the participation and non-participation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reason for the above. It was indicated that the biggest purpose of participating into farming village experience tourism lies in the different natural environment with cities and the education effect for the children.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responses for non-participating into farming village experience tourism were the satisfaction to the urban farming and busiest daily life. It was identified from the above results that the experience on the urban farming did not make positive influence on the participating willing into the farming village experience tourism. It is believed from the fact that the urban farming activities solved the leisure needs of citizens through the experience, leisure time and education which had been provided from the farming village experience tourism. However, it was known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o be a potential demand of the citizens for the farming village experience tourism because both of the groups have evaluated the unique natural environment of the region and place for children education provided from farming village experience tourism highly. It was derived from the study results that citizens recognize the potential limit of the urban farming including the good effects of urban farming which had been emphasized in the precedent studies. And the part of the biggest meaning and obstacles for the citizens in farming village experience tourism were checked. It was revealed that Y/N for participating into the urban farming made negative influence on the participating willing. Consequentl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to be a basic data to make the urban farming for entire citizen satisfaction through improving the negative effects of the urban farming which were known in the previous studies and to study the method to activate the balanced development and exchange between city and farming village by link to the farming village experience tourism. 본 연구는 도시민이 가지고 있는 도시농업과 농촌체험관광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관련연구를 통해 도시농업에 대한 인식 및 농촌체험관광에 관련된 인식에 대해 측정할 수 있는 요인들을 마련하여 분석의 틀을 마련하고, 도시농업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농촌체험관광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도시농업 비 참여집단과 참여집단 간 도시농업과 농촌체험관광에 대한 인식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도시농업 관련 선행연구들은 도시농업을 통해 도시민들이 농업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며, 농산물에 대한 신뢰, 생태교육효과에 따른 환경보호 인식 향상, 인성함양, 식재료의 인식변화에 따른 식생활의 변화 등 효과에 대해 기대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첫째, 도시민들은 도시농업관련 선행연구들이 제시하고 있는 효과들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도시농업 공간의 부족, 도시녹지 감소, 겨울철 경관 삭막, 도시경관 훼손, 주변지역 환경오염, 농촌경제에 부정적 영향 등의 문제에 대해서 걱정하는 입장과 그렇지 않은 입장이 거의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는데, 이는 도시민들이 도시농업에 대한 긍정적 효과만 인식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둘째, 대다수 도시민이 농촌체험관광에 대해서 인지하고 있었으나 농촌체험관광 경험은 대부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시민이 가진 농촌체험관광에 대한 작물재배 및 수확의 체험, 전통문화 체험의 기회, 도시와 이색적인 자연환경 체험기회, 생태·환경 교육의 기회, 지역주민의 정겨움을 제공받는 기회 등으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는데, 특히 도시민은 도시와 다른 자연환경에 대한 기대감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농촌체험관광의 부정적 이미지에 대해 도시민들이 시설부족, 낯선 환경, 볼거리와 재미가 부족,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도시민들은 먼 거리, 불편한 교통, 불만족스러운 시설, 시간과 비용 등을 농촌체험관광의 장애로 느끼고 있었다. 반면에 장기체류 참여에 대해서는 대부분 긍정적인 의사를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도시농업 참여자들은 도시농업 활동에 대해 텃밭의 위치, 텃밭 면적, 경제적 비용, 농업활동 욕구해소, 농업·생태교육장으로서의 적합성 등에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시농업 참여유무에 따른 집단 간 비교를 살펴본 결과 도시농업 체험여부에 따라 도시농업에 대한 텃밭 공간부족, 도시녹지율 감소, 겨울철 삭막한 경관, 도시경관 훼손, 주변지역 환경오염, 농촌경제에 부정적 영향 등 부정적 인식에서 비 참여자가해 우려하고 있었다. 넷째, 도시농업 참여유무에 따른 집단 간 비교해 본 결과 농촌체험관광에 대한 인식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도시농업 비 참여집단과 참여집단의 농촌체험관광 참여의사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도시농업 참여자들은 비 참여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농촌체험관광 참여의지가 높지 않았다. 이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참여 및 불참에 대한 이유를 분석하였는데, 농촌체험관광 참여이유를 농촌체험관광이 가지고 있는 도시와 이색적인 자연환경과 자녀교육효과를 가장 큰 목적으로 두고 있다고 나타났다. 반면에 농촌체험관광 불참이유에서 도시농업 만족해서 및 바쁜 일상활 때문이라는 도시농업 참여자의 응답이 대다수 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를 통해 도시농업 체험여부가 농촌체험관광 참여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도시농업 활동이 농촌체험관광에서 제공하였던 체험, 여가, 교육 등을 통해 도시민의 여가욕구를 해소시키면서 발생된 결과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두 집단 모두 농촌체험관광이 가지고 있는 지역고유의 자연환경과 자녀교육 장소로서 높이 평가하고 있으므로, 향후 도시민들의 농촌체험관광 잠재수요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도시농업 선행연구들에서 주장하고 있던 도시농업의 순기능을 비롯하여, 잠재되어 있던 도시농업의 한계점에 대해서 도시민들이 인식하고 있음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도시민들이 농촌체험관광에서 가장 크게 의미를 두고 있는 부분과 참여에 장애로 느끼고 있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시농업 참여유무에 따라 참여의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밝혀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서 확인된 도시농업이 가지고 있는 부정적 효과들을 개선함으로써 도시민 전체가 만족할 수 있는 도시농업을 만들고, 더불어 농촌체험관광과 연계를 통해 도농균형발전 및 도농교류를 활성화 시키는 방안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가 될 수 있길 기대한다.

      • 도농복합시 농업기술센터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대한 연구 : 남양주 농촌테마공원 이용자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최수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s functions and roles are also being changed variously upon flow of time due to the environmental change of agriculture∙rural in domestic and overseas. Whereas rural population gets rapidly decreased, the urban population keeps increased, and the function, role and operational manpower of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 get decreased, though the anxiety of food security issues and eateries keeps rising. A new rural extension project fit to urban people’s eye level is being required as the urban people’s availability for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 in urban and rural complex city gets raised. Thus, indiscrete expansion of rural theme park which doesn’t consider awareness of farmers and general public who use rural theme park causes budget waste and conflict among users, though rural theme park is being operated centered with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 in suburb areas of Seoul. Practically, the study of rural extension services is insufficient, though the conversion of recognition fit to changed condition and circumstances are also required for rural extension services because of these several environmental changes. Therefore, basic material survey in setting of role, which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 should aim at in the future, was required for the Study, through analysis of the change in functions and roles upon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s chronological change and users’ perception survey. The study intended for the farmers and the urban people visiting Namyangju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 carried out by means of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ith regard to the roles of the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 and the of the expected effects of the rural theme park.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urban people visit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 for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through participation in experience program and recreation and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whereas farmers for participation in agriculture-related educational program. As for the difference in times and day of the week in visiting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 farmers mainly use it in weekdays, but, urban people and general public frequently visit on weekend and holidays, which means that the existence value of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 will be only when positively reviewing rural extension project with object of urban people and general public. As for expected role of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 in each occupation, farmers answered that crop cultivation technique guide and extension∙education∙research for agriculture is main role, but non-farmers were much interested in participation in agriculture∙rural experience program, urban agriculture, hobby farming, experience farming. This is judged that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s functions and roles can solve all of conflicts by harmoniously running its rural theme park to raise satisfaction of using, seeing non-farmers not as conflict relationship, but as prospect farmers for returning-to-farming. It was surveyed that the expected effect for rural theme park in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 was positive both farmers and non-farmers, but, it was more positive in non-farmers and young people, and, in particular, it showed that the PR for agriculture theme park education, programs and how-to-use should be ever more positive. The Study showed that the functions and the roles of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 should also be expanded along with increase of using by non-farmers upon affairs change of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 There’s meaning when seeking the path for win-win and co-existence of each other by satisfying the desire of farmers and urban people with harmonious running of a new rural theme park that considers local features such as urban and rural complex city. I understand that when we set suitable role model for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 to aim at,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it will contribute to dissolution of conflict between both groups in the future. Key Words : rural extension services, rural experience, rural theme park. rural experience program, green experience park 농업·농촌의 국내외 환경 변화로 인하여 농업기술센터의 기능과 역할도 시대적 흐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농촌 인구는 급격히 감소하는 반면 도시 인구는 계속 증가하고, 식량안보 문제와 먹거리에 대한 불안감이 갈수록 고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농업기술센터의 기능과 역할, 조직인력은 축소되고 있다. 도농복합시에서 도시민들의 농업기술센터에 대한 이용도가 높아지고 있어 도시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새로운 농촌지도사업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서울 근교지역인 농업기술센터를 중심으로 농촌테마공원을 조성·운영하고 있으나 농업인과 일반인들의 이용인식을 고려하지 않은 농촌테마공원의 무분별한 확대는 예산낭비 및 이용자 간 갈등을 유발하고 있다. 여러 가지 환경적 변화로 농촌지도사업도 변화된 사회여건과 상황에 맞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지만 그에 따른 농촌지도사업의 새로운 기능과 역할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기술센터의 시대적 변화에 따른 기능과 역할 변화를 분석하고, 농업기술센터 이용자들의 인식조사를 통하여 향후 농업기술센터가 지향해야 하는 역할 설정의 기초적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남양주시농업기술센터를 방문하는 농업인과 비농업인을 대상으로 1:1 면담을 통한 응답자 본인이 직접 기재하는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농업기술센터의 역할, 농촌테마파크의 기대효과 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농업기술센터 방문의 주목적은 농업인은 농업과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 방문하는 반면, 비농업인인 도시민들은 체험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농업에 대한 이해와 자신들의 여가 활동, 자녀들의 교육목적을 위해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기술센터 방문 횟수 및 요일에 대한 차이도 농업인은 주로 주중에 자주 이용하는 반면에 일반인인 도시민들은 주로 주말 및 휴일에 방문하는 빈도가 높아 주말 및 휴일에 방문하는 도시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농촌지도사업을 긍정적으로 검토해야 농업기술센터의 존재가치가 있을 것이다. 직업별로 농업기술센터의 기대역할을 알아 본 결과 농업인들은 작물재배 기술지도 및 농업 발전을 위한 지도·교육·연구가 주된 역할이라고 응답한 반면, 비농업인들은 농업·농촌 체험프로그램 참여, 도시농업, 취미농업, 그리고 체험농업에 대한 관심이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농업기술센터의 기능과 역할이 두 집단 간의 갈등관계가 아닌 비농업인도 도시농부, 귀농을 위한 예비농업인으로 보고 이용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농업기술센터 농촌테마파크 운영을 조화롭게 운영하는 것으로 갈등원인이 될 수 있는 요소를 해결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기술센터 내 농촌테마공원에 대한 기대효과는 농업인이나 비농업인이나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비농업인과 젊은 층에서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농업테마공원 이용시 교육, 프로그램, 이용방법 등에 대한 홍보가 더욱 적극적이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기술센터의 업무 변화와 비농업인의 이용증가에 따라 농업기술센터의 새로운 기능과 역할 등이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도농복합시 등 지역 특성을 감안하여 도시민을 배려한 새로운 농촌테마공원의 조화로운 운영으로 농업인과 도시민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상생과 공존의 길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농업기술센터가 지향해야 할 적절한 역할모델을 설정한다면 향후 두 집단 간의 농업기술센터 이용시 발생될 수 있는 갈등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 자연친화적 한강공원 활용을 위한 캠핑장 이용방안 연구

        이효정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도시화와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한강공원은 경제우선주의적 개발을 통해 인공 구조물 중심인 도시형 공원으로 정비되어 인공화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도시의 발달로 도시민의 삶의 질과 의식 수준이 향상되어 환경의 쾌적성, 즉 친자연적인 공간을 찾는 수요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에 따라 도시의 자연환경과 도시민의 여가활동이 맞물려 있는 한강공원의 자연성이 점차 관심을 받게 되면서 자연성 회복은 물론 새로운 이용 방향성 마련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회복과 이용이라는 상충한 개념을 동시에 아우르는 자연친화적 여가활동으로 최근 캠핑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공원의 자연성 회복과 새로운 여가활동을 유도하는 차원에서 자연성에 대한 공간적 특성과 자연친화적 여가활동공간으로 캠핑장의 이용성을 파악함으로써 한강공원의 자연친화적 활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한강공원 내 여가공간시설물의 환경 영향성과 이용성을 규명하였고, 보다 자연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공간의 정비를 위하여 한강캠핑장의 이용실태를 조사함으로써 자연친화적 한강공원의 활용으로 캠핑장 이용방안을 도출하였다. 한강공원의 여가공간시설물에 대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강공원에는 다양하고 많은 수의 여가공간시설물이 설치되어 있었고, 인공지반 포장시설물로 인해 인공화가 심화하였다. 여가공간시설물에 대한 이용현황에서 여가공간시설물의 이용경험이 없다는 이용자가 가장 많이 나타남으로써 시설물의 이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가공간시설물에 대한 인식은 일반체육시설의 경우 자연지반포장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고 있지만, 특수이용여가시설은 자연성과 상관없이 유지 또는 확대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강공원이 휴식이나 가벼운 운동과 같은 공원의 기본적인 이용 패턴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시설물의 활용도가 감소하는 공간이 발생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연친화적 공간을 선호하지만, 특징적인 시설물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한강공원 내 여가공간은 재정비가 이루어져야 하며, 자연친화적 여가활동을 장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강캠핑장에 대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강캠핑장은 도심의 자연친화적인 공간 속에서 편의성을 느낄 수 있는 캠핑장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캠핑장 이용과 관리에 대한 인식의 경우, 임시캠핑장이 공간적 혼잡도, 캠핑장 훼손행위 중 이용자 방해행위에서 심각성을 파악하였다. 그러나 이용만족도에서 임시캠핑장이 더 만족스럽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임시캠핑장이 한시적인 이용프로그램으로써 운영상 관리는 다소 부족했지만, 색다른 체험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의미가 컸던 것으로 파악된다. 구체적인 관리방안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이용규제에 대한 인식의 경우 법적 단속, 이용목적별 자리배치, 관리자 충원 배치, 안내방송, 그리고 훼손정보 적극 홍보 등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따라서 자연친화적 한강공원의 활용을 위해 캠핑장의 이용관리방안이 도입되어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한강공원의 자연친화적 여가공간화와 캠핑장 이용방안을 도출하였다. 캠핑을 중심으로 자연친화적 한강공원의 활용을 단계적으로 할 수 있도록 기틀을 마련하였다. 크게 전환성, 조화성, 공공성으로 구분하였으며, 전환성은 공간과 이용자의 의식 전환, 조화성은 자연과 인간의 친화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공간적 활용, 그리고 공공성은 이용자를 중심으로 하는 관리 등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 혐오시설 공원조성 후 지역주민의 커뮤니티 의식 연구 : 강남구 마루공원 사례를 중심으로

        최봉수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지난날 단순히 하수처리 기능의 역할만 해온 하수처리장이 혐오시설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시민들의 건강과 여가 활동의 장으로, 그 잠재성이 무안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는 도시의 지역주민들에게 활력을 제공하는 공원녹지로서의 의미를 가지게 된 것이다. 혐오시설 공원화 사업이 지역의 경제적 효과와 지역이미지 개선 및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연구의 대상지는 2010년 1월에 준공된 서울시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탄천 하수처리장시설 상부를 복개하여 공원을 조성한 마루공원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도심권에 위치한 공원으로 공원조성 후 지역주민들이 활발하게 이용을 하고 있는 공원으로 지역주민의 커뮤니티의식을 분석하기에는 최적의 장소로 판단이 되어 선정을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마루공원을 이용하는 만20세 이상의 성인 남·여, 191명을 대상으로 2011년 10월24∼25일 주말(토요일, 일요일), 주중10월 26일(월요일), 3회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대일 면담을 통한 응답자 본인이 직접 기재하는 자기기입식 설문으로, 비확률 표본추출방법 중 하나인 편의추출방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의 총 부수는 191부중 불성실하게 답한 3부를 제외하고 188부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였으며, 마루공원 조성 후 커뮤니티 의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통계분석을 시행 하였고, 이용 빈도, 공원관리 참여의사, 훼손책임의사, 거주지별 커뮤니티 의식의 차이 분석을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신뢰도를 분석해본 결과 공원이용 만족도, 훼손행위, 커뮤니티의식의 항목에서 크론바하 알파 값(Cronbach alpha coeffifient)이 0.8이상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마루공원의 이용객은 강남구, 송파구 지역주민으로 도보로 30분에서 1시간이내의 인근 지역주민인 것을 알 수가 있었다. 혐오시설 공원조성 후 주변 지역이 청결해지고 깨끗해 졌다는 인식과 함께 공원이용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공원을 이용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커뮤니티의식이 상승 한 것을 알 수가 있었다. 공원을 자주 이용하는 집단이 공원에 대한 애착심과 자부심이 높았고, 공원관리 참여의사와 봉사활동 참여의사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원에 대한 추가시설물 설치를 바라는 항목에서는 그늘이 부족하다는 내용과 함께, 그늘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시설물을 공통적으로 요구를 하였다. 하수처리장을 복개하여 인공지반위에 공원을 조성한 것으로 대형수목 식재를 할 수 없는 단점을, 인공시설물로 설치하여 부족한 그늘을 이용자에게 충족시켜 주어야 할 것이다. 혐오시설 공원조성으로 인한 지역주민의 정주의식은 높게 나타났으나 연대의식은 지역주민의 상호 교류 활동이 소극적인 것으로 공원조성 후 연대의식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무엇보다 공동체 의식의 강화를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로 지역 주민을 위한 공원계획이 필요하며, 주인의식을 높여 주는 것이 공원화 사업의 가장 중요한 관건으로 판단이 된다. 본 연구는 혐오시설 공원조성 후 지역주민의 커뮤니티 의식에 대하여 공원이용자 중심으로 설문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데 대해 연구에 의의가 있다. 또한 혐오시설 공원화 사업의 방향 설정의 대안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이 된다. Sewage facilities are being revalued as a place for citizens' leisure and activities with limitless possibilities compared to the past when it was solely used for sewage disposal only. IT is providing new energy to the local community as a park. Park composition at hate facilities have increased the economic benefit, betterment of impression and the increased quality of life for the local residents. The study was focused on the Tancheon sewage disposal plant in Seoul, Gangnam-gu, Ilwon-dong which was completed in January 2010. The park, positioned in the city, is used extensively by the local residents after the completion, and is the best place to analyse the local residents' sense of community.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191 adults over the age of 20 using Maroo park was surveyed during 24th~25th of October 2011 during the weekend and 26th (Monday) three times. It was a self-filled survey after the face to face interview, using convenience sampling one of non-probability sampling. The total survey 191 and was based on 188 surveys excluding the 3 incomplete surveys. The gathered data was analysed through SPSS 18.0, to analyse a sense of community after the construction of Maroo park statistics was used, for frequency visits, participation of park management, vandalism responsibility, a sense of community depending on regions, T-tests were used. Analysing the confidence level, satisfaction rate, vandalism and a sense of community, 0.8 confidence level in Cronbach alpha coefficient. The users of Maroo park were local residents of Gangnam and Songpa-gu so the park was within a walking distance between 30 minutes and an hour. After park composition at hate facilities, the surrounding area was cleaner and the satisfaction rate increased. As the frequency for park increased, a sense of community increased also. The groups that used parks more often had more affection and pride and had higher rate for the possibility of participation and volunteer work. Also, with an opinion that there is a lack of shadow in the criteria additional facilities, commonly asking for a facility for a shadow. Opening the sewage disposal plant and building a park on an artificial land provided the disadvantage for the lack of large trees therefore artificial facilities must be built to amend the problem of shadows for the satisfaction of users. Park composition at hate facilities showed a high residential feeling amongst local residents but a sense of social network was not affected as there was still a lack of interaction. To strengthen the community feeling, local residents must be participatory for the park planning for local residents and to increase the sense of ownership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park composition. This research analysed the sense of community focusing on the park visitors through surveys in pragmatic terms after park composition at hate facilities. Also, it can be used as a foundational work for deciding the direction of park composition at hate facilities.

      • 농촌형승마장 도입을 통한 농촌체험활동 복합화 방안 연구

        김나영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농촌 지역에 농촌형승마장 도입을 통해 농촌체험활동과 승마체험활동의 요소를 도출하여 체험활동 복합화 방안을 수립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체험활동 복합화 방안을 도출하고 적용 사례지에 조성계획을 제안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농촌형승마장의 등장과 개념, 설치 기준, 정책에 대해 고찰하여 농촌형승마장이 농촌 경제 활성화와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조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농촌형승마장 조성을 위해 경제적, 운영적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건축분야에서의 복합화 의미와 유형을 도출하여 체험활동 복합화에 적용하였다. 체험활동 복합화를 위해 물리적 복합화에서는 공간과 시설, 기능적 복합화에서는 프로그램과 운영으로 농촌체험활동과 승마체험활동의 복합화 추진체계를 도출하였다. 물리적 복합화에서의 공간 복합화는 농촌공간을 개방하여 서로 유사한 기능의 공간에 승마장 공간을 계획함으로써 같은 장소에서 다양한 체험활동 및 서비스 제공으로 토지의 효율적 이용과 개별 기능의 극대화를 발휘시킨다. 시설의 복합화는 시설의 대상과 목적이 유사한 경우 조합과 유기적 연계를 통해 보유하고 있는 시설을 이용할 수 있어 투자 시설에 투입되는 비용을 최소화하고, 시설의 이용 빈도와 활용 영역을 넓혀 시설투자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기능적 복합화에서의 프로그램 복합화는 시설의 복합화를 기반으로 농촌체험 프로그램과 승마체험 프로그램을 연계하여 새롭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단편성과 비연속성을 극복할 수 있으며, 농촌관광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부재와 저가 시장의 영역에서 벗어날 수 있는 대안이 된다. 운영의 복합화는 지역주민, 개별사업체, 승마장 운영체 간의 운영과 홍보·마케팅을 연계하고 통합하며, 지역사회와의 교류를 위해 복지시설과 교육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복합화로 이미지 개선 및 지역경제 활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설문에서는 잠재 방문객인 도시민과 승마 참여자를 대상으로 농촌형승마장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행하였다. 그 결과 농촌형승마장 조성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비주기적 승마경험자가 주기적 승마 경험자보다 농촌형승마장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농촌형승마장 조성 시 고려사항과 방문목적, 선호 프로그램을 파악하여 이를 고려한 복합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농촌체험활동과 승마체험활동의 복합화 방안 중 물리적 복합화에서는 공간과 시설을 함께 구성하여 기반시설, 생산 및 소득기반시설, 관광여가시설, 재해대비시설로 구분하여 농촌의 활용시설을 도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승마시설의 연계·대체시설, 도입시설, 공간 및 시설 요구도를 도출하였다. 기능적 복합화에서의 프로그램 복합화는 인식조사를 통해 나타난 상위 3개의 프로그램을 연계하여 방문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트렌드를 반영한 프로그램과 지속적 방문을 위한 단계별 승마 체험에 따른 계절별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운영 복합화에서는 지역주민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과 농업체험 공간 개방으로 체험활동과 연계하여 일자리 창출과 소득창출을 얻는다. 개별 사업체는 가진 역량, 시설, 인력 등을 복합화함으로써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통합 홍보·마케팅을 통해 경제적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농촌과 승마의 복합프로그램은 신체적·정신적 건강증진과 학습기회 제공, 협동심과 자긍심을 함양시키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어 지역의 복지시설, 교육기관과 연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사회와의 지속적인 교류로 농촌의 이미지 개선과 구전을 통한 홍보 효과를 기대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복합화 방안을 통한 단계별 조성과정을 도출하여 조성사례지에 적용해봄으로써 실질적인 농촌형승마장 조성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복합화의 특징과 효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여가 트렌드를 반영한 농촌형승마장 조성을 위해 새로운 시설을 최소화하고 주변 자원과의 연계로 투자비용의 절약과 지역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과 잠재방문객의 인식조사를 반영된 방안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앞으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농촌형승마장 조성을 위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실질적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을 기대한다.

      • 서해안 어촌마을의 공간적 특성을 활용한 통합적 체험마을 조성 계획 : 태안군 용신어촌체험마을을 대상으로

        정성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resent study is concerned with developing a plan to build an integrated experience village by taking advantage of resources, spaces and organizations in a fishing village on the west coast based on its half-farming and half-fishing industrial structure. Specifically,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nd a field research to devise an experience program and to propose a master plan. Largely, the literature review focused on understanding fishing villages and experience village projects and on investigating integrated community development. First of all, fishing villages, experience village projects and differences in space planning betwee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were considered. Also, to establish a theoretical frame of the plan, the meaning and the types of integration in fishing and farming community development were elicited and applied to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ources, spaces and organizations of industries, landscapes and cultures arising in fishing villages were set as components for integration, based on which an integrated model was established for developing an experience village where regional goals, resources, spaces and organizations converged. The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in Yongshin Experience Fishing Village in Yongshin 2-li Geunheung-myeon Taian-gun Chungcheong nam-do. Primarily, to analyze the feasibility to develop an integrated experience village, the village’s components for integration, i. e. resources, spaces and organizations were analyzed. Then, questionnaire surveys and interviews with villagers found overall positive responses to using farming lands for experience an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ject. Besides, by referring to village leaders’ and elders’ opinions, the village’s major resources were discovered as the requisite for the experience program plan. Approximately, 20 major resources were elicited in terms of industry, landscape and cultural component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urvey with visitors who experienced fishing villages, respondents called for diverse experiences in fishing villages. The findings from the field research and the surveys with villagers and visitors implied the feasibil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plan to develop an integrated experience farming-fishing village. Hence, the basic conception and planning was formulated based on the findings. As for the basic conception, a premise of the plan was set to maximize the village’s resource use and to emphasize the farming-fishing village’s culture. Then, each major space’s theme was decided. The village’s spaces for the basic conception largely consisted of fishing, farming and business districts. Further, a specific conception was applied to each space. Besides, facilities and activity programs were selected considering the connectivity between spaces. Facilities were adopted to the minimal extent for the sake of long-term project expansion and customers’ convenience. Basically, the existing facilities lying scattered around the village were applicable to the experience village project. As for the activity program, in addition to the experience of harvesting farming and fishing produce, a program to help feel a taste and culture of the farming and fishing village and to maximize educational effects was conceived. Furthermore, an operating organization for the integrated experience farming-fishing village was devise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internal and external organizational cooperation and facilitating efficient project running and urban-rural exchanges. On the basis of the conception, a seasonal experience program, an integrated experience program model, a master plan for the experience village and an operating organizational map for the village project were derived. The integrated experience program was planned by deriving the village’s resources arising from the main components of the experience resources, i.e. industry, landscape and culture. Based on the program planning, the integrated farming-fishing village experience program model was built. As part of the master plan, space planning was conducted based on the experience program. Here, the connectivity between spaces was taken into account for circulation(flow) planning and streetscape improvement, so that customers could feel a taste of the farming and fishing village through thematic trails, experience circulation courses and selected lookout points. The facilities planning included multipurpose experience venues providing diverse experience programs, indoor or outdoor experience zones, photo zones and amenities. Based on the planning, the master plan for the target site was elicited. Through the master plan and the experience program planning, the organization to run the final integrated farming-fishing experience village was constructed. Inside the village, a fishing village department, a crop team and a technical committee were organized for experiences and other activities. Outside the village,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administrative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s well as with external profit -making businesses were sought for running the experience village project and revitalizing urban-rural exchanges. To sum up,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on two grounds: maximizing the village’s potentiality via space planning based on resources discovered in the fishing village on the west coast, and making a plan reflecting mutual interests of villagers and visitors surveyed. The findings here will hopefully be basic data applicable to future plans for revitalizing experience fishing villages currently relying heavily and uniformly on fishery resources as they indicated the feasibility to develop novel and diverse experience programs actively using spatial characteristics of a fishing village. Keywords : Experience fishing village, Experience farming village, Integrated community development planning, Urban-rural exchange revitalization, Experience program, Farming and fishing village operating organization 본 연구는 서해안 어촌마을의 반농반어의 산업구조를 바탕으로 서해안 어촌마을이 소재하고 있는 자원, 공간, 조직 등을 도출하여 이를 융합한 통합 체험마을 조성 계획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현장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체험프로그램 구상 및 기본 계획도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는 크게 어촌과 체험마을사업에 대한 이해 단계 및 통합적 지역개발에 관한 연구들에 대해 고찰하였다. 우선 어촌과 체험마을 사업, 어촌마을과 농촌마을의 공간 계획의 차이점에 대해 고찰하였고, 계획의 이론적 틀을 확립하고자 농어촌 지역개발에서의 통합의 의미와 유형을 도출하여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어촌마을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산업·경관·문화별 자원, 공간, 조직을 통합의 요소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지역의 목표, 자원, 공간, 조직이 융합된 통합 체험마을 조성을 위한 통합적 추진모형을 설정하였다. 현장 연구는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용신 2리의 용신어촌체험마을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1차적으로 통합 체험마을 조성 가능성 분석을 위해 마을의 통합 요소인 자원, 공간, 조직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 후 진행된 마을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농업용지의 농촌체험장 활용과 주민들의 사업 참여 의향 등이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고, 마을 리더 및 원로들의 의견을 참조하여 체험프로그램 계획의 기본 요건이 될 수 있는 마을의 주요 자원을 발굴하였으며, 크게 산업, 경관, 문화 요소로 구분하여 자원 도출을 실시한 결과 약 20개의 마을 주요 자원이 도출되었다. 또한, 어촌체험마을 체험객을 대상으로 실시한 의식조사를 통해 체험객들도 어촌마을에서 다양한 체험을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을 현장 조사와 주민 및 체험객 의식조사를 통해 통합 농어촌체험마을 조성의 가능성과 당위성이 있는 농어촌 계획임을 간접적으로 시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기본구상과 기본계획을 실시하였다. 기본구상은 마을 자원 활용의 극대화와 농어촌 문화의 부각을 계획의 전제로 설정 후 주요 공간별 주제를 설정하였다. 구상을 위한 마을의 공간은 크게 어업지구, 농업지구, 상업지구로 구분하였고 각 공간별 세부 기본구상을 실시하였으며, 공간별 연계성을 고려한 도입 시설과 활동 프로그램을 선정하였다. 시설의 도입은 장기적인 사업의 확장과 체험객들의 편의를 위한 최소한의 시설물 도입을 구상하였으며, 마을에 산재되어 있는 주요 기존 시설물을 체험마을 사업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활동 프로그램은 농어 생산물의 수확 체험 이외에 농어촌의 정취와 문화를 느끼고 교육적인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상하였다. 또한, 이와 더불어 통합적 농어촌체험마을 운영 조직 구상을 통해 마을 내·외부 조직 간의 협력적 관계 유지와 효율적인 사업 운영 및 도농교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기본구상을 바탕으로 계절별 체험프로그램과 통합 체험프로그램 모델 구상, 체험마을 기본계획도, 마을사업 운영 조직도를 도출하였다. 통합 체험프로그램 계획은 체험자원의 주 요소인 산업, 경관, 문화에서 발생하는 농촌형과 어촌형의 자원을 도출 하여 이를 바탕으로 통합 농어촌 체험프로그램 모델을 구상하였다. 기본계획 단계는 체험프로그램을 바탕으로 공간 계획을 실시하였으며 공간별 연계성을 고려한 동선계획을 실시하여 농어촌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테마 산책로 조성, 체험 순화 코스 설정, 경관 조망점 선정 및 가로환경 정비 계획을 수립하였다. 시설 계획은 다양한 체험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다목적 체험장, 실내 체험장, 야외 체험장, 농어촌 포토존, 편의시설 등의 도입을 계획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계획 대상지의 기본계획도를 도출할 수 있었다. 기본계획과 체험프로그램 계획 수립을 통해 최종적인 통합 농어촌체험마을 세부 운영 조직을 구성하였다. 마을 내부적으로는 체험활동 및 제반활동을 위한 마을 내 어촌계, 작목반, 기술 위원회 등을 구성하였고, 외부적으로는 행정, 교육기관 및 외부영리업체와의 상호 협력적 관계를 통한 체험마을사업 운영과 도농교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했을 때 본 연구는 서해안 어촌마을의 자원 발굴을 통해 마을의 잠재력을 공간계획을 통해 극대화 시켰다는 점과 마을 주민과 방문객의 의식조사를 통해 상호 이해관계가 반영된 계획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어촌마을의 공간적 특성을 적극 활용하여 획일적이고 수산자원에 의존성이 강한 현재 어촌체험마을에 새롭고 다양한 체험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본 연구가 향후 어촌체험마을 활성화 계획의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을 기대하여 본다. 주요어 : 어촌체험마을, 농촌체험마을, 통합적 지역개발계획, 도농교류활성화, 체험프로그램, 농어촌 마을 운영 조직

      • 경주국립공원 지구특성에 따른 이용자의 이용 및 관리에 대한 인식차이

        이슬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Gyeongju National Park is the only historical national park in Korea which is the treasure of national culture where rich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from national treasure grade to common cultural assets exist. In 2008 when the authority to manage is transferred to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a variety problems in management including lack of infrastructure and conflicts between managers and users have occurred. There is a strong perception of Gyeongju National Park as a representative tourist site of Korea, and the identity as a historical national park is not yet firmly established. The management zones are designated dispersively as 8 zones. Each zone has different resources and characteristics so it is hard to efficiently manage them. The 8 zones of Gyeongju National Park has different location, resource and characteristics, and there are urban-style and mountain-style characteristics evenly distribu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zone, although it is a historical national park.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zone, and classified the zones into 3 typ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zone. Tohamsan Zone was classified as a tourism type; Namsan·Daebon Zone as a history culture education type; Hwarang·Seoak·Sogeumgang·Gumisan·Danseoksan Zone as a neighbor park type.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visiting behavior and perception among the different zone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 visiting purposes for the tourism type are sightseeing and rest; for history culture education type, sightseeing, rest, history and environment education; and for neighbor park type; health enhancement. For the tourism type, considering the findings that visitors obtain the information on how to use from internet, use train as the transportation means and frequently use the accommodation facilities, it seems that the visiting rate by the visitors from other areas is high. They are also satisfied with the parking lot, toilet, temple and cultural asset facilities as well as overall visiting atmosphere. However, they demanded the expansion of facilities such as resource observation road and explanation board. They showed lower intention to re-visit and volunteer. For most user regulation policies, they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sum, Tohamsan Zone is a representative zone of Gyeongju National Park and has concentrated users all year round so it is required to implement the user policy completely and expand the visiting facilities to increase cultural landscape management and satisfaction level. The users of the history culture education type, Namsan Zone and Daebon Zone, use their own cars visiting with their families and spend long time. They showed high level of intention to volunteer and smartphone use for park management. They were satisfied with guide board, visiting support center, temple and cultural asset facilities but perceived that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convenience facility, resource observation road and visiting support center. With respect to management policy, they perceived strongly that there is a need to provide information via internet or smart devices and to strengthen the policing authority of the manager against the misbehaving users. There is a need to develop specialized program to maintain the values of resources for the visitors of history culture education type and meet their visiting purposes as well as to increase the volume and level of visiting facilities.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supplement and develop the volunteering system to induce practical management effect. At a neighbor park type, Hwarang·Seoak·Sogeumgang·Gumisan·Danseoksan Zones, there are many local residents who visited to enhance their health or to take a walk or rest. They demand the expansion of resting facilities or convenience facilities. Although the frequency of use is high,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park management via smartphone or volunteer is low. They also responded that visiting guide system with additional fee, imposing penalty against unlawful entrance and selective fee system for each visiting zone are not necessary. The perception of local residents is directly related to use and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management. Thu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Gyeongju National Park and actively utilize the program to increase the level of use appropriate for the National Park. This study is a empirical study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Gyeongju National Park which is the only historical type national park in Korea. This study has the implication that it examined the user perception across different zones and suggested the desirable management direction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provides the basic data to efficiently manage the users of national parks. 경주국립공원은 우리나라 유일의 사적형 국립공원으로서 국보급 지정문화재부터 일반문화재까지 풍부한 역사문화자원이 존재하는 민족 문화의 보고다. 2008년, 국립공원관리공단으로 관리권이 이양되면서 관리 인프라의 부족, 관리자와 이용자의 갈등 등 다양한 관리 문제가 발생해 오고 있다. 경주국립공원은 일반인들에게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관광지라는 인식이 강하며, 사적형 국립공원으로서의 정체성도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관리구역도 8개로 모두 분산·지정되어 각각 자원이나 이용 특성이 다르므로 효율적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경주국립공원 8개 지구는 위치, 자원, 이용 특성 등에서 차이가 있으며, 사적형 국립공원이지만 지구별 특성에 따라 도시형 및 산악형의 특성이 골고루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지구별 특성을 파악하고 주요 탐방목적과 자원현황을 고려하여 3가지 유형으로 지구를 분류하였다. 토함산지구는 관광형, 남산·대본 지구는 역사문화교육형, 화랑·서악·소금강·구미산·단석산 지구는 근린공원형으로 분류하여 지구별 특성에 따라 이용자의 탐방행태와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관광형은 경관감상 및 휴양, 역사문화교육형은 경관감상 및 휴양과 역사 및 환경교육, 그리고 근린공원형은 건강증진이 주요 방문 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형의 경우 인터넷을 통한 공원 이용정보 획득과 교통수단은 기차 이용, 그리고 숙박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아 타지역민의 방문율이 높다고 판단되며, 주차장, 화장실, 사찰 및 문화재 시설에서 혼잡함을 느끼고, 전반적인 탐방분위기에 만족하였다. 그러나 자원관찰로나 해설판 등의 시설 확충을 요구하고, 재방문 의사, 자원봉사활동 의사가 타 유형보다 낮았으나 대부분의 이용자 규제 정책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었다. 결과적으로 관광형인 토함산지구는 경주국립공원을 대표하는 지구로서 연중 이용자가 집중되므로 향후 이용자 정책을 철저히 시행하면서 문화경관관리 및 만족도 제고를 위한 탐방시설 확충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역사문화교육형인 남산지구와 대본지구의 이용자는 자가용을 이용하여 가족과 함께 방문하고 긴 탐방 시간을 보냈다.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활용한 공원관리와 자원봉사활동 참여 의사가 높았으며, 안내판, 탐방지원센터, 사찰 및 문화재시설에 만족하지만 편의시설이나 자원관찰로, 탐방지원센터의 확충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관리정책에 대해서는 인터넷이나 스마트기기를 통한 정보제공과 잘못 이용한 이용객에 대해서는 관리자 단속권한 강화에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역사문화교육형 이용자의 자원의 가치 지속과 교육적 방문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 특화된 프로그램을 개발 및 발전시키고 탐방시설의 양과 수준의 제고가 필요하다. 또한 자원봉사활동제도 시스템의 보완 및 발전을 통해 실질적 관리 효과를 유도해야 한다. 근린공원형인 화랑·서악·소금강·구미산·단석산 지구에서는 당일 방문하여 짧은 탐방 시간을 통해 건강증진이나 산책 및 휴식을 목적으로 방문한 지역주민이 많다. 휴게시설 및 편의시설의 확충을 요구하며, 이용 빈도가 높지만 스마트폰에 의한 공원관리 참여의사나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의사 등이 낮고, 추가로 별도의 요금을 부담해야 하는 탐방가이드제, 불법 입장에 따른 과태료 부과, 탐방로 구간 선택요금제 등에 대해서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지역주민의 인식은 곧 이용과 직결되고 보존을 위한 관리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먼저, 경주국립공원에 대한 정체성을 바로 정립하고 국립공원에 적합한 이용수준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일한 사적형 국립공원인 경주국립공원의 실정을 담은 실증적 연구로서, 각 지구의 특성에 따른 이용자의 인식을 조사 및 분석하여 바람직한 관리방향을 제언한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앞으로 국립공원의 효율적 이용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 도시공원 내 텃밭 도입에 따른 공원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남궁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도시공원은 시민들의 놀이나 휴식을 위한 공공의 장소로써 도시 환경 개선 효과와 더불어서 다양한 사회적 활동이 일어나는 장소다. 공원은 다양한 계층을 위한 공공재로써 공공성이 요구된다. 최근 도시농업의 활성화로 공원 내 도시농업을 위한 시설 설치가 가능해지면서 지자체별로 공원형 도시농업 도입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시설 설치 후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고려하지 않은 공원 내 텃밭의 무분별한 확대는 이용자 간 공원의 공공성을 둘러싼 갈등을 유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원 내 텃밭에 대한 공원 이용자 간의 인식 차이를 통해 공원과 텃밭의 기능이 상충되지 않도록 공원의 공공성을 유지하기 위한 텃밭의 도입 및 운영관리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어 실증적인 자료를 얻고자 한다. 연구의 진행은 도시농업의 다원적 기능, 공원형 도시농업의 특성, 도시공원의 공공성 특성 및 요소를 고찰함으로써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연구대상지의 현황을 파악하고, 텃밭 분양 대상자인 경작 참여자와 일반 공원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경작 참여자는 텃밭을 개인 측면에서 중시하였지만 비참여자는 교육 및 생태적 가치를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원 내 텃밭 조성의 필요성에 대해 참여집단은 매우 긍정적으로 응답하였지만, 비참여 집단은 부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공원 내 텃밭에 대한 공원 이용자 간의 인식차이가 크게 나타남에 따라 갈등유발의 소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반적으로 경작 참여자는 공원 내 텃밭에서 최소의 비용으로 개인적인 혜택을 얻는 방향으로의 운영을 요구하였지만 비참여자는 텃밭의 사회 공익적 활용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경작 주체인 참여자들의 공원의 공공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함에 따른 결과로 판단된다. 텃밭 유형에 따른 공공성 인식 차이를 알아보고자 연구 대상지를 신규조성 집단과 재조성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특정 집단의 사적 소유가 아닌 공적 공간’의 항목에서 재조성 집단의 평균이 신규조성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재조성 집단은 지역주민이라는 공통분모가 있지만, 신규조성 집단은 익명성이 강하여 자신과 관계없는 이용자가 개인 목적으로 공원을 이용하는 행위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공공성 증진을 위한 방안에서는 신규조성 집단이 재조성 집단에 비해 임대료를 높게 제시함에 따라 공원의 이용 변경으로 조성된 텃밭에서의 경작행위에 대한 적절한 대가의 지불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도시공원 내 도시농업시설 도입이 합법적이긴 하지만 텃밭이 무분별하게 조성되어서는 안 된다. 특히 기존 도심의 우량한 녹지공간에 텃밭을 도입하는 것은 도시농업의 생태적 가치에 어긋나는 것으로써, 텃밭 도입에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공원의 공공성을 유지하기 위해 이용자 간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원 내 텃밭의 도입 방향성을 찾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공공재를 둘러싼 이해 당사자 간의 사회적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구조적인 해소방안과 개인적인 해소방안이 병행되어야 한다. 구조적 측면에서는 조직, 관리, 보상제도, 공정분배를 통한 운영 체계 구축, 텃밭 도입을 위한 공간 선정과 지역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통한 텃밭 조성, 공공성을 높이기 위한 물리적․비물리적 특성을 고려한 공간 계획이 포함된다. 개인적 측면으로는 이용자 간 의사소통, 홍보/교육, 신뢰감 구축을 통해 공원의 공공성과 텃밭의 기능이 상충하지 않도록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 소규모 테마형 수학여행 추이에 따른 농촌체험의 교육적 효과

        정은영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School trips are important events during one's time in school; they begin with much anticipation and excitement, and become precious memorie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effects of school trips, small themed trips have been presented, and the rural areas have become the destination for students on these school trips. With the gradual increase of rural experience-based school trips, this present study aimed to analyze the activities and environment of rural villages, and whether these have educational effects. The study took place at "Grandparents' 'Experience' Village“ located in Chungun-myeon in Yangpyeong-gun, and is frequented by many students on rural experience school trips. Participants consisted of students partaking in the rural experience school trips, and data was gathered three times during May and June in 2012, using self-report survey measures consisting of 359 parts.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thought memories with friends to be more important than effects related to learning in the rural experience school trip, and there appears to be emotional, social, and cultural educational effects through the rural experience school trips. Social educational effects were particularly strong, which was apparent since social educational effects are related to the purpos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importance of school trips. Further, 84.3% of students reported that they found the rural experience school trip to be appropriate, 78.6% reported that they would participate again, and on the overall satisfaction scale, 50.8% reported "satisfied" and "very satisfied." Trout-catching, rafting, water-sliding, and other activities in the river next to the village were reported as the most memorable aspect of the rural experience school trip by 60.6% of students. It was concluded that for students raised in urban areas, the interactive and first-hand experiences in a new rural environment was not only highly memorable, but also highly educationally effective. Between-group differences were explored for the rural experience school trip's educational effects. Male students reported healthier spirits than female students, while female students reported better memories, a better time, and feelings of stronger connection with their friends than male students. Also, those who received training beforehand, those who reported satisfaction with the rural experience school trip, those who reported that they were willing to participate again in the rural experience school trip, and those who found the rural experience school trip appropriate, had high emotional, social, and cultural educational effects.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educational effects of and satisfaction with the rural experience school trip. Analysis of the factors of educational effects influencing satisfaction revealed reduction of stress, good memories made, and group-living adaptiveness as the strongest predictors. Thus, students who believe they experienced reduction of stress, good memories made, and group-living adaptiveness at higher levels are more likely to report high satisfaction with the rural experience school trip. To verify satisfaction as an influential factor on educational effects, a simple regression was run, and revealed a positive relationship -- the stronger one's satisfaction, the larger the educational effects.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for it has empirically identified the emotional, social, and cultural educational effects of the rural experience school trip on the students partaking in the experience. Also, this research on the educational effects and satisfaction of small, themed school trips will serve as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and make scholarly contribution. 수학여행은 기대감과 설레임을 가지고 시작하여 소중한 추억거리가 생기게 되는 학창시절의 중요한 이벤트이다. 수학여행의 교육적 효과와 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소규모 테마형 수학여행이 제시되어 왔고, 농촌이 수학여행의 장소가 되어 학생들이 찾아가고 있다. 점차 농촌체험 수학여행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본 연구는 농촌마을의 환경과 체험활동이 학생들의 수학여행으로써 교육적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농촌체험 수학여행객이 많이 방문하는 양평군 청운면에 위치한 ‘외갓집 체험마을’이다. 2012년 5월~6월 3회에 거쳐 농촌체험 수학여행을 실시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대일 자기기입식 설문지 359부를 분석하여 고찰하였다. 학생들은 농촌체험 수학여행을 통해서 학습과 관련된 효과 보다는 친구들과의 추억을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정서적, 사회적, 문화적 교육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교육효과는 수학여행의 목적과 수학여행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과 관련이 있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농촌체험 수학여행이 적합하다는 의견이 84.3%, 재참여 의견이 78.6%로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전반적인 만족도는 만족과 매우만족이 50.8%로 높게 나타났다. 농촌체험 수학여행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마을 옆의 하천에서 송어잡기, 뗏목 타기, 바디슬라이딩 등 물놀이가 60.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도시에서 자란 학생들은 농촌의 새로운 환경에서 직접 몸을 움직여 체험하는 것이 기억에 남고, 교육적 효과 또한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농촌체험 수학여행의 교육효과를 집단 간 평균차이로 알아보았다.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정신이 건강해 짐을,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좋은 추억을 만들고,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친구들과 더욱 친해졌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전교육을 받은 집단, 농촌체험 수학여행에 만족하는 집단, 재참여 의사가 있는 집단과 농촌체험 수학여행이 적합하다는 집단이 정서적, 사회적, 문화적 교육효과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농촌체험 수학여행의 교육효과와 만족도의 관계를 상관분석 한 결과 상당한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교육효과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감소, 좋은 추억을 만듦, 그리고 단체생활 적응력 향상이 가장 영향력 있는 항목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좋은 추억을 만들고, 단체생활의 적응력이 향상되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농촌체험 수학여행의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만족도가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증하기 위하여 단일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육효과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농촌체험 수학여행객을 대상으로 농촌체험 수학여행이 정서적, 사회적, 문화적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데 대하여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소규모, 테마형 수학여행의 교육효과와 만족도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학문적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 관광자원의 개발과 관리에 있어서 협력적 계획모형 적용연구 : 공유재적 특성을 가진 남해 다랭이 논을 중심으로

        정남식 서울시립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관광자원의 개발과 관리과정에서 지역공동체 협력의 중요성을 논의하고 협력의 수단으로서 ‘협력적 계획’, 협력의 대상으로 ‘관광공유재’를 고민하면서 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의사소통의 채널로서 ‘공유재’라는 물적, 사회적 자산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협력적 계획원칙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관광자원 개발과정에서의 공유재 관리원칙, 협력적 계획적용이 공유재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연구를 통해 확인하며, 검증된 변수를 관광공유재 계획모형으로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다. 먼저 이론고찰을 통해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점이 확인되었다. 첫째, 국내 관광자원 개발정책 추진과정에서의 자산-기반 지역공동체 발전(ABCD: Asset-Based Community Development)전략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 전략은 지역공동체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지역 내 자원을 발굴, 활용하여 공동체 역량을 발전시키는 방식이다. 자산-기반 공동체 발전의 개념은 지역사회가 개발수요를 충족하여 공동체를 발전시키려는 ‘수요-기반 공동체 발전(NBCD: Needs-Based Community Development)’ 과는 달리, 공동체가 자체적으로 보유한 인적, 물적, 사회적 자산을 발굴하고 강화하여 공동체 전반의 역량을 향상하려는 접근방식을 일컫는다. 둘째, 공유재에 대한 신제도주의적 관점을 정리하였다. 국내 관광자원 개발이 한계에 직면해 있고, 관광자원 콘텐츠의 수요자들의 선호가 지역성, 역사성, 공동체성에 좀 더 가까이 있다고 할 때 앞으로의 관광자원 개발사업의 대상물인 공유재는 매력 있는 공유재 그 자체로 관리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공유재에 대한 신제도주의적 접근이론은 본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단초를 제공하였다. 공유재에 대한 공동체의 문화와 관습, 규칙 등은 오랜 기간 형성되어 합리성이 확보되어 있거나, 형성된 기간은 짧으나 협력적 과정을 통해 지역사회가 인정하고 있는 재화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공유재는 유형적 실체와 무형적 활동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할 필요가 있다. 셋째, 관광공유재의 개발과 관리에 있어서 공동체와의 관계를 연결해 줄 수 있는 수단으로서 협력적 계획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합리적 계획과 협력적 계획의 가장 큰 차이는 의사소통 방식과 효과성 측면에 있다. 합리적 계획방식이 인간의 이기심과 합리성이 만들어낸 욕망은 공동체 질서보다는, 성과에 관심을 갖는 사고체계인 반면 협력적 계획방식은 공동체의 의사소통 과정과 결과에 대한 합의형성의 가치를 중요시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협력적 계획과 합리적 계획은 시기와 장소, 대상자원의 특징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는 공유재에 대한 협력적 계획과 공유재 관리원칙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공유재적 특성을 지닌 경남 남해군 남면 다랭이 논과 경관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남해 다랭이 마을은 2002년 전통테마마을사업, 2005년 명승지정, 2012년 민박회 규칙변경과 다랭이 논 관리계획 수립, 2015년 마을자치규약 변경 등의 협력적 계획을 추진한 바 있다. 이상의 계획내용을 기초로 공유재 관리 8원칙 및 주민 참여수준과 단계를 개방코딩으로 범주화하고, 공유재 관리원칙에 의한 갈등양상을 축코딩 하였다. 그리고 협력적 계획이 공유재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선택코딩 방식으로 정리하여 협력적 계획모형을 제시하는 연구모형을 채택하였다. 다섯째, 연구결과로 다랭이 논이 공유재적 특성을 지닌 재화임을 확인하였다. 공유재는 일반적으로 개인이나 정부가 소유하지 않으면서, 배제성이 낮고 경합성이 높은 자원의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다랭이 논은 개인 및 국가가 소유하고 있어서 공유재의 일반적인 개념과는 차이가 있다. 하지만 개인소유의 토지일지라도 다랭이 마을은 전통적으로 다랭이 논 경관을 관리하기 위해 주민 상호 간 지켜야할 약속과 국가적 차원의 규칙이 존재하였다. 또한 소유관계와 상관없이 다랭이 논과 경관은 경합성과 비배제성이 존재하고, 무임승차와 외부효과가 나타나는 공유재적 특징을 지닌 재화라고 정리될 수 있다. 여섯째, 다랭이 마을은 공유재 관리 8원칙 즉, 1) 물리적 영역, 2) 사회적 영역, 3) 공유재 이용규칙, 4) 의제합의, 5) 감시활동, 6) 자치적 제재조치, 7) 갈등중재 장치, 8) 의사결정 조직 등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경제요인, 가치요인, 형평요인, 절차요인, 환경요인 등의 5가지 유형의 갈등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8가지 원칙 중 8) 의사결정 조직을 제외한 나머지 7가지 원칙이 다랭이 논 관리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일곱째, 협력적 계획이 관광공유재 관리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명확하게 정의된 물리적 영역과 2) 사용 및 제공규칙의 현지조건과의 부합성 원칙에서는 의제공유, 상호작용 요인이, 3) 명확하게 정의된 사회적 영역설정과 4) 참여적 의사결정 구조원칙에서는 합의형성, 의제공유, 자치권 확보, 상호작용, 제도적 환경활용, 의사소통 채널 확보 등이 협력적 계획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5) 감시활동 원칙에서는 의제공유, 자치권 확보, 상호작용, 제도적 환경활용, 의사소통 채널 확보, 사회학습 요인이 6) 점증적 제재조치 원칙에서는 합의형성, 의제공유, 자치권 확보, 의사소통 채널 확보, 사회학습 요인이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7) 갈등해결 장치 원칙에서는 자치권 확보, 제도적 환경활용, 의사소통 채널 확보, 사회학습 요인이 8) 신속한 의사결정 조직 원칙에서는 자치권 확보, 상호작용, 합의형성, 사회학습 등이 협력적 계획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일곱째, 공유재 관리 8원칙 적용과정에서 확인된 협력적 계획요소는 의제공유, 제도적 환경활용, 자치권 확보, 의사소통 채널확보, 구성원 간 상호작용, 합의형성, 사회학습 등 총 7가지로 확인되었고, 이를 협력적 계획모형으로 제안하였다. 협력적 계획모형은 의제공유의 장(의제공유), 제도화의 장(제도적 환경활용, 자치권 확보, 합의형성), 인식공유의 장(의사소통 채널 확보, 구성원 간 상호작용, 사회학습)으로 구성되며, 이는 기획, 계획, 실행, 관리단계 전반에 걸쳐 운영된다. 본 연구는 재화를 생산하고 이를 관광상품으로 소비하는 주체가 존재함에도 시장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우리 농어촌자원의 공유재적 특성에 대한 아쉬움에서 출발하였다. 연구에서 밝혀진 공유재적 특성을 가진 농어촌자원과 지역공동체와의 협력적 계획모형은 농어촌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관리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공유재를 활용한 관광자원 개발사업의 공익적 가치를 높여주는 새로운 시도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 신제도주의, 협력적 계획, 엘리너 오스트롬, 관광공유재, 공동체 This study began by discussing the importance of the local community cooperation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managing tourism resources and being concerned about ‘cooperative planning’ as a means of cooperation and ‘tourism commons’ as a target of cooperation. In this process, this study would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material and social assets, ‘commons’ as a communication channel and prove th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the cooperative planning principle. Consequently, this study would aim to check the impact of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of commons management and cooperative planning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ourism resources on commons management through an empirical study and present the verifiable variables as a model for planning tourism commons. First of all, through a theory discussion, a few noticeable points were found out. First, the necessity of the Asset-Based Community Development (ABCD) strategy was found out in the process of promoting the tourism resources development policy. This strategy is a method for advancing community capability, excavating and utilizing resources in the regio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y. The concept of ABCD refers to an approach to enhance the capability of the overall community, excavating and enhancing material and social assets held by the community, unlike that of ‘Needs-Based Community Development (NBCD) in which a local community would advance the community. Second, this study summed up a new institutional perspective on commons. As the development of domestic tourist resources encounters a limit, and the preference of the persons who need the contents of tourism resources is closer to regionality, historicity and community, the commons, the object of a project for the development of tourism resources should be managed as attractive commons themselves. From this perspective, the theory of a new institutional approach to the commons provided a very important clue. Community cultures, customs and rules for commons have been formed for a long time, and rationality has been secured, while some have characteristics of commodities recognized by the local community through the cooperative process, in spite of a short period of formation. Thus,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commons as a concept that includes all tangible entities and intangible activities. Third, this study found out the necessity of cooperative planning as a means for connect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in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tourism common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rational planning and cooperative planning is the aspects of the communication method and its effectiveness. The rational planning method is a thinking system that is interested more in performance than the order of the community by desires produced by human selfishness and rationality while the cooperative planning method is a method that attaches importance to the value of forming agreement in the process and result of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ty. These cooperative planning and rational planning can be utilized selectively according to time, place and target resources. Fourth, this stud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ooperative planning for commons and the principle for commons management, this study took Darangyi-Paddy and its landscape, located in Nam-myeon Namhae-gun Gyeongnam, which have characteristics as commons as the subjects of research. In the Namhae Darangyi Village, cooperative planning was promoted. For example, Traditional Theme Village Project was implemented in 2002. It was designated as a scenic site in 2005. The rules of the private residence association changed, and a plan for the management of Darangyi-Paddy was set up in 2012. In addition, the rules of the village autonomy were changed in 2015. Based on the above contents of the planning, the eight principles of commons management and resident participation level and stage were categorized with open coding, and the aspects of conflicts were categorized with axial coding by the principles of commons management. Also, a research model was adopted, in which a cooperative planning model would be suggested by summing up the impacts of cooperative planning on commons management were summed up with the selective coding method. Fifth,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Darangyi-Paddy was a commodity with characteristics of commons. Commons are in general not owned by an individual or government, have characteristics of resources, low exclusion and high contestability. In this sense, since Darangyi-Paddy is owned by an individual and the government, it has a difference from the general concept of the commons. However, although it is a land owned by an individual, traditionally, there were promises the residents should keep and the national level rules to manage the landscape of Darangyi-Paddy in Darangyi Village. In addition, in sum, regardless of its ownership, Darangyi-Paddy and its landscape are commodities with characteristics of commons, in which there are contestability and nonexclusiveness, and free ride and external effects appear. Sixth, it was found that five types of conflicts were produced, including economic, value, equality, procedu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eight principles of commons management, including 1) physical area, 2) social area, 3) rules of using commons, 4) agreement on an agenda, 5) surveillance activity, 6) autonomous restrictive measures, 7) conflict mediating device and 8) decision-making organization at Darangyi Villag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of the eight principles, seven principles affected the Darangyi-Paddy management, except for 8) decision-making organization. Seventh, the results of an examination of the factors of cooperative planning affecting tourism commons management are as follows. The factors of agenda-sharing and interaction were found 1) in the principle of a clearly defined physical area and 2) the principle of the correspondence of the rules of use and provision with the local conditions. Agreement forming, agenda-sharing, securing the right of autonomy, interaction, using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securing a communication channel were found to be cooperative planning factors in 3) the principle of setting a clearly defined social and 4) the principle of a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structure. 5) The factors, including agenda-sharing, securing the right of autonomy, interaction, using institutional environment, securing a communication channel and social learning were found in the principle of surveillance activity. 6) The factors, including agreement forming, agenda-sharing, securing the right of autonomy, securing a communication channel and social learning were found in the principle of incremental restrictive measures. 7) The factors, including using institutional environment, securing a communication channel and social learning were found in the principle of conflict resolution, securing right of autonomy; and 8) in the principle of decision-making organization, securing the right of autonomy, interaction, forming agreement and social learning were found to be cooperative planning factors. Sixth, seven factors of cooperative planning found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eight principles of commons management were confirmed, including agenda-sharing, using institutional environment, securing the right of autonomy, communication channel securing, the interaction between members, agreement formation and social learning, which were proposed as a cooperative planning model. The cooperative planning model consists of the field of agenda-sharing (sharing agenda), the field of institutionalization (utilizing an institutional environment, securing the right of autonomy and forming agreement), the field of recognition sharing (securing a communication channel, interaction between members, and social learning), which is operated through the stages of designing, planning,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This study bega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ons of our rural resources that are not recognized in the market, though commodities are produced and there are subjects who consume them as tourism products. The cooperative planning model of rural resourc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ommons and local community revealed in this study suggests a new possibility for the efficient use and management of rural resources. In addition, this study can be evaluated as a new attempt to increase the value of a project for the development of tourism resources as public interest, utilizing commons. Key Words : New institutionalism, Cooperative planning, Elinor Ostrom, Tourism commons,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