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생아 시기에 발견된 선천성 수신증의 임상적 특성과 경과

        이효정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Purpose: The increasing use of ultrasonography has allowed an appreciation of the incidence of congenital hydronephrosis. The clinical outcomes of congenital hydronephrosis which are the natural course and prognosis are widely vari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ydronephrosis and related urinary tract anomaly. Methods: Between January 2004 and December 2007, we reviewed 173 children’s medical records of congenital hydronephrosis detected within 1 month of age. We graded the hydronephrosis by SFU (Society of Fetal Urology) system. We uses SPSS Windows version 16.0 to obtain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Chi-squeare test and ANOVA test was used. A P-value<0.05 is consider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otal renal unit number is 275 and 22(8%) renal units of them had vesicoureteral reflux (VU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ydronephrosis grades and VUR grades in right kidneys,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ft kidneys (P<0.05).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rences between operation rates and hydronephrosis grades (P=right 0.04, left 0.01). Conclusion: In this study,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hydronephrosis grade and VUR on all kidneys. Therefore voiding cystourethrogram is recommended for all hydronephrosis patients regardless of hydronephrosis grade, and in patient with severe hydronephrosis, the operation rate of urinary tract anomaly was higher.

      • Metatranscriptomic characterization and novel detection of plant RNA viruses in imported fruit pollens

        이효정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입된 꽃가루는 과수의 수확량을 높이기 위해 인공 수분에 사용되지만, 생물보안 관점에서 꽃가루의 경우 다양한 병원체를 과수에 전반 시킬 수 있는 잠재적인 전염원으로 수입된 꽃가루가 증가함에 따라 꽃가루에 의한 식물 병원균 전반의 위험 또한 증가합니다. 본 연구는 수입된 4개의 과수 나무 꽃가루(배, 키위, 사과, 복숭아)의 식물 바이러스를 조사하기 위해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한 바이롬 분석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NGS 분석을 통해 4개 꽃가루에서 총 21종의 식물 바이러스 및 바이로이드 목록이 확인되었습니다. 대부분의 식물 바이러스 게놈은 메타전사체 분석을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드노브 어셈블리 되었습니다. 바이러스의 RNA 양과 바이러스의 복제 수를 정량화하여 각 꽃가루에서 우점하는 바이러스 또는 바이로이드를 밝혀냈습니다. 계통 발생 분석 및 단일 염기서열 변이 연구는 RNA 바이러스의 게놈의 진화를 보여줬습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수입 꽃가루 검사에서 제시한 목록이 활용될 수 있습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검역관리급 병원체인 복숭아 잠재 모자이크 바이로이드(PLMVd)를 검출하는 방법은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이 유일한 방법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등온 조건에서 PLMVd를 검출할 수 있는 역전사 재조합 효소 증폭(RT-RPA) 및 역전사 루프 매개 등온 증폭(RT-LAMP) 기술을 개발했으며, RT-RPA은 등온조건에서 5분만에 증폭이 가능했고 RT-LMAP은 육안으로 증폭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역전사 액적 디지털 중합 효소 연쇄 반응(RT-ddPCR)을 사용하여 PLMVd를 민감하고 정확하게 정량 하는 방법을 확립했습니다. 등온증폭법은 짧은 증폭시간과 육안으로 증폭 여부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신속하게 PLMVd를 검출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또한 RT-ddPCR은 특히 낮은 농도의 PLMVd를 정량화 할 수 있기 때문에 무병징 PLMVd의 검출과 무병화 연구 등에서 활용될 수 있는 새로운 도구입니다. Imported pollen is used in artificial pollination to increase yields of the fruits, but as the imported pollen from other countries increases, the risk of transmission of plant pathogens by pollen also increase. We conducted a comprehensive study of metatranscriptomic virome analysis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in the four imported pollen (pear, kiwi, apple, and peach). A total of 18 viruses and 3 viroids were identified in pear, kiwi, apple, and peach fruit pollens. Most viral genomes were successfully assembled de novo using metatranscriptomic analysis. The amount of viral RNAs and virus copy numbers was quantified, thereby revealing the dominant virus or viroid in each pollen. Phylogenetic analysis and single nucleotide variation studies revealed the genomic evolution of RNA viruses. At present, RT-PCR is the only detection method for peach latent mosaic viroid (PLMVd) on imported peach pollen in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APQA) of Korea. In this study, we developed reverse transcription-recombinase polymerase amplification (RT-RPA) and reverse transcription-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RT-LAMP) techniques for detection of PLMVd as isothermal amplification assays. In addition, a reverse transcription droplet digital polymerase chain reaction (RT-ddPCR) was used to more sensitive and accurate quantification of PLMVd. The optimum conditions of RT-RPA were confirmed at 42 ℃ for 5 minutes, while the optimum conditions of RT-LAMP were confirmed at 63 ℃ for 60 minutes. The quantitative linearity, accuracy, and sensitivity of RT-ddPCR for detection of PLMVd were comparatively assessed to those of reverse-transcription real-time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qPCR).

      • 한국어 인과 표현 교육 내용 연구

        이효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어 인과 표현의 교육 내용에 대한 연구로서, 한국어 인과 표현의 특징과 외국어교육에서의 문법 교육 이론을 반영하여 효과적인 인과 표현 교육 내용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연구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기술한 후, 본고에서 나아갈 연구 방향을 제시하며 인과 표현을 다룬 국어 문법 연구 및 한국어교육에서의 문법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인과 표현의 개념과 종류를 분류하고, 인과 표현 연결어미 ‘-아서, -니까, -느라고, -므로, -길래, -기에’와 연결복합형식 ‘-기 때문에, -는 바람에, -ㄴ/는 김에, -는 통에’를 형태ㆍ통사적 특징 및 의미ㆍ담화적 특징과 복잡성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형태ㆍ통사적 특징은 시제 선어말 어미 제약, 주어일치 제약, 선행용언 제약, 문장형태(서법) 제약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인과 표현의 의미ㆍ담화적 특징은 의미와 담화적 상황에서의 제약으로 나누어 고찰해 보았다. 3장에서는 5개 대학기관의 한국어 교재를 분석해 보고, 인과 표현의 선정과 교육 순서 배열, 그리고 인과 표현의 기술에 대해서 교재별 특징과 문제점을 살피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인과 표현의 선정과 배열 원리 및 언어 교육에서의 문법 기술 원리를 바탕으로 인과 표현의 효과적인 교육 순서를 배열하고 인과 표현 교육 내용 기술의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인과 표현의 문법적 특징과 의미ㆍ담화적 특징에 대하여 정리한 결과와 문법 배열 및 기술 원리를 제시한 것을 바탕으로 인과 표현 교육 연구에 기여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앞으로 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 분야에서 인과 표현의 교육 내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축적되어 가는 데에 본 연구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on teaching contents of Korean causality expressions aimed to propose a way of effective teaching contents by reflecting feature of Korean causality expression and theory of grammar teaching. Firstly, this chapter proposed direction of this study after accounting for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and examined a precedent study with respect to grammar teach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 study on Korean grammar that covered causality expression. Secondly, this chapter was classified as conception and sort of causality expression, and then examines connective endings of causality expression; -aseo, -nigga, -neurago, -meulo, -gillae, -deoni, -giae and connective composite form; -gi ddaemune, -neun balame, -neun gime, -neun tongae regarding complexity of morphologic, syntactic and semantic conversational feature. At first, the part of morphologic, syntactic feature, was organized as focusing on restriction of precedent ending, preceding verb/adjective, and sentence form. Next, the part of semantic-conversational was contemplated by being divided into restriction of meaning and conversational situation Thirdly, this chapter analyses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university, and suggested features and problems of a textbooks regarding choice of causality expression, arrangement of teaching order, and skills of causality expression. Lastly, the fourth chapter proposed specific methods with regard to skill of teaching contents of causality expression, and arranged effective teaching order of causality based on choice of causality expression, and principle of arrangement and grammatical skill in language teaching. This study regarded as meaningful to contribute to teaching contents of causality expression based on suggesting results given, grammar order, and technical principle regarding feature of grammar and meaning, discourse. Hopefully, this study is expected to support building up the ways regarding teaching contents of causality expression in the field of Korean grammar teaching.

      • 학자금지원정책 기준 완화에 따른 학업성취도 변화와 취업 및 임금에 미치는 영향분석 :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 수혜자를 중심으로

        이효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높은 대학진학률과 IMF 이후 이어진 경기침체 영향으로 과거 사적 영역으로 여겨져 왔던 고등교육 비용에 대한 공적 지원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었다. 그리고 교육의 평등적 개념과 함께 도입된 소득연계형 학자금지원제도는 지원기준을 완화하여 양적공급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시행되었다. 그 중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ICL)의 경우 2012년 1학기부터 수혜성적 기준을 완화하였으며, 그 결과 당해학기 수혜자는 직전 학기 대비 9만 명이나 증가하는 성과를 가져왔다. 본 연구는 저소득계층에 대한 학자금지원의 질적 기준(성적) 완화 정책이 양적공급 확대 외에 대학생들의 주요 성취에 가져온 변화와 장기적으로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학자금지원제도의 성적기준 완화 정책이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가져온 변화와 정책 적응에 따른 학업지속, 취업 소요기간 및 임금수준의 차이와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양적 공급 위주의 정책에서 벗어나 대학생의 역량 향상을 유도하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연구를 위해 2011년 2학기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 수혜자의 성적기준 완화 전후 학기별 학업성취도(심사성적), 학업지속, 졸업 후 첫 취업 시기, 그리고 임금수준을 종속변수로 하여 T-test, ANOVA 및 다중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적기준 완화 정책도입 이후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심사성적)은 점차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국가장학금 수혜경험이 없을수록 성적이 큰 폭으로 하락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통제변수로는 여성보다 남성일수록, 전공이 인문사회 및 예체능계열일수록, 대학유형이 사이버 및 방송통신대학일수록, 대학 소재지가 수도권이 아닌 충청권 및 전라권 등 도 단위 지역일수록 학업성취도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책 적응군과 비적응군 간 학업지속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적기준 완화정책 이후 성적이 하락한 정책 적응군이 비적응군에 비해 학업지속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적응여부가 학업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준 완화정책으로 성적이 하락하는 경우 학업성취도 뿐만 아니라 학업지속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학업중단으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통제변수로는 성별이 여성일수록, 학년이 높아질수록, 대학 유형이 일반대학일수록, 사립보다는 국립대학일수록, 대학 소재지가 도 단위로 갈수록 학업지속 가능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책 적응군과 비적응군 간 대학 졸업 후 첫 취업 시기를 분석 한 결과 두 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적응여부 역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소요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통제변수 역시 성별과 대학 유형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경제침체 및 취업난, 양질의 직업을 위한 선택적 연기, 대출 상환 부담으로 인한 조기 취업 등 개인의 선호도 및 환경적 요인 등이 취업 소요기간에 복합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넷째, 정책 적응군과 비적응군 간 졸업 후 첫 임금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적응군이 비적응군 보다 낮은 임금(초임 연봉)을 받았으며, 정책 적응여부가 임금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독립변수인 소득구간, 생활비대출 수혜경험, 그리고 국가장학금 수혜경험에 따른 임금 차이 및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통제변수로는 성별, 전공계열, 대학유형, 설립유형, 대학 소재지가 임금수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 성적기준 완화정책은 외적으로 양적 규모의 확대라는 성과를 이룬 반면, 내적으로는 질적 하향평준화를 유도하는 기제로 작용하여 학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책 적응하여 성적이 하락하는 경우 재학 중 학업지속 뿐만 아니라 졸업 후 첫 임금수준에까지 장기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양질의 직업을 가질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특히, 정책에 대한 반응성은 저소득계층일수록 정책 탄력성이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결국 상환 부담이 더 높은 저소득계층의 빈곤이 반복되어 빈부의 격차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 교육복지를 위해서는 대학생에게 미치는 장기적 영향을 고려하여 수요자 중심의 경쟁력 강화를 유도할 수 있는 균형적인 학자금지원 방안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In Korea, the importance of public support for higher level education that has been considered as a private area in the past, was empathized by the influence of high college entrance rate as well as long-lasting economic recession continued since IMF. The earnings-related financial aid program introduced since 2010 along with the concept of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was implemented as a policy in the direction to lower the support standards laying the emphasis on the expansion of the quantitative supply. In case of Income Contingent Loan(ICL), the grade standard for receiving benefit was lowered starting from the first semester 2012, which led to the result of that the number of beneficiaries in the relevant semester was increased by 90,000 compared with the same in the previous semester. This study paid the attention to the changes brought to major achievements of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to the expansion of quantitative supply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long-lasting influences, which were caused by such appeasement policy of qualitative standard (grade) in the financial aid for weak students in low-income group. This study intended to look in the changes brought to academic achievements of college students and differences appearing in their college retention, the time to get a job and wage level according to their adaptation to the policy as well as the influences in the empirical aspect. Also, this study has a meaning of that it presents a solution and implication for financial aid policies to break away from such existing ones focusing on quantitative supply so that it can induce improvement in college students' capabilities. For the study, it verified a hypothesis making use of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tc. with those dependent variables such as academic achievements by semester (screening grade), college retention, the time to get the first job after graduation and wage level, before & after when the grade standard for 'Income Contingent Loan' beneficiaries had been lowered in the second semester 2011.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academic achievements (screening grade) of college students were gradually decreased after the introduction of policy with lowered grade standard. The lower the income level and less experience in receiving benefit of national scholarship, the lower the grade and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control variables, it show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by gender, majoring fields, college type and the location of college. Second, as the analysis results for differences in college retention between the adaptive and the non-adaptive group of policy, it showed that the adaptive group’s academic results had decreased after the introduction of lowered grade standard was lower in their college retention compared with the non-adaptive group. The analysis had shown that adaption to the renewed policy had caused a significant influence to college retention. It indicates that introduction of policy with lowered grade standard may bring adverse effects on not only academic achievements but also college retention, which can even lead to ceasing study. As control variables, it showed to influence retention feasibility significantly by gender, school year, college type, college foundation type and the location of college. Third, as the analysis results for the time getting the first job after graduation between the adaptive group of policy and the non-adaptive group, it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time take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Also, adaption to policy did not cause substantial influences in job-search period. Moreover, it show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ly by gender and college as control variables. In these results, we can infer that the first employment is affected by more complicated factors. Fourth, as the analysis results for the differences in the wage level received after graduation between the adaptive group of policy and the non-adaptive group, it showed that the adaptive group received lower wage (their first wage) than that of the non-adaptive group. This showed that whether or not the students had adapted to the policy has significant influence to their wage levels. Major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income section, former experience in receiving benefit of loan for living, and benefit of national scholarship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control variables, it show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ly by gender, majoring fields, college type, college foundation type and the location of college. These results of study suggest that while such policies lowering the grade standard for financial aid system has achieved the expansion in the quantitative scale externally, i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college students since it worked as a mechanism to induce qualitative downward standardization internally. Also, it can be inferred that lowered academic grades by adaptation to the policy may bring a long-term negative influence on not only retention while at school, but also their wage after completing the college course. Such analysis results derive the conclusion that it is less likely for the adaptive group to attain occupations of higher quality. Particularly, as policy reactivity shows higher policy flexibility in the lower income group, leading to the possibility of a repetitive, vicious cycle of poverty caused by loan repayment burden, which can consequently increase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poor. Therefore, a balanced way of financial aid to attract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for practical welfare of education by consumer-directed services is required, in consideration of such long-lasting influences on college students.

      • 보리밥 전문점 이용실태 및 보리쌀 이용 메뉴개발

        이효정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be referred to as a basic database for the cooked barley business by investigating its weakness throughout the survey of recognition and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urvey, 64.5% of respondents have visited cooked barley restaurants. More women than men have visited such restaurants. This statistics are considered to be distinctive. In terms of frequency, most people visited once a month and most of the study participants visited cooked barley restaurants with their family members or their friends. Questions about visiting time, should that weekday's lunch time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people, followed by weekday's dinner, weekend's lunch, and weekend's dinner. 66.2% of respondents chose "taste of food" as the main reason for visiting cooked barley restaurants and 87.8% of respondents would consider revisiting the restaurants they went to which is quite a high proportion. Analysis on preferable type of cooked barley restaurant, shows that 67.7% of respondents favored a traditional style while the remaining respondents favored a modern style. Pork such as Bossam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with 39.2%, followed by Green onion pancakes, Beef such as Bulgoki, Boiled chicken, Roast smoked duck in terms of the suitable extra order in cooked barley restaurants. 본 연구는 보리밥 전문점에 대한 일반인들의 이용실태와 인지도 및 선호도를 조사하여 보리밥 전문점의 개선할 부분과 보완할 부분을 파악하여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보리밥 전문점 이용경험을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64.5%가 이용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보리밥 전문점 이용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보리밥 전문점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들의 한 달 이용 횟수에 대한 분석결과는, 월평균 1회 미만이 가장 많았고 가족과 친구들과 함께 보리밥 전문점을 많이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리밥 전문점의 주요 이용하는 시간대는, 평일 점심시간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평일 저녁, 주말 점심, 주말 저녁 순으로 나타났다. 보리밥 전문점을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맛 때문에 이용한다는 응답 66.2%로 가장 많았으며, 보리밥 전문점의 재이용할 의사여부에 대한 응답결과, 전체 87.8%의 대부분 응답자들은 보리밥 전문점 재이용 의사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조사대상자들이 보리밥 전문점의 선호 타입에 대한 분석결과, 전통적인 분위기를 원하는 응답자가 67.7%로 현대적 분위기를 원하는 응답자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리밥에 어울리는 추가 메뉴는 무엇인지를 살펴본 결과, 보쌈 등 돼지고기류가 39.2%를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파전류, 불고기 등 소고기류, 닭 백숙류, 훈제 오리고기류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만족 영향요인 : 부산광역시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 중심으로

        이효정 평택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 청소년지도사의 직 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만족을 종속변수로 선정하고, 인구학적 특성, 심리적 특성, 조직문화유형특성, 조직특성을 독립변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직무만족과 직무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정책 및 실천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부산지역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의 청소년지도사 116 명 중 시설 기관장 16명을 제외한 100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 시하여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자료들은 SPSS 24.0을 사용해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t검증, ANOVA, χ2 검 증을 실시하고, 심리적 특성, 조직특성, 조직문화유형특성이 직무만족 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부산 청소년지도사들의 자기효능감은 평균보다 다소 높은 수준으로, 연령과 직책이 높을수록, 기혼자와 남 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 인정 및 지지는 1급 자 격증 소지자가 가장 높게 타났다. 청소년지도사가 지각하는 문화유 형은 관계지향, 위계지향, 발전·과업지향 순으로 나타났다. 네가지 조 직문화유형 모두 남성이 높게 나타났고, 이 중 관계지향문화는 성별 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발전지향유형은 직책에 따 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팀장급이 가장 낮은 이유는 중간관리 자로서 현실적인 조건과 근무하는 조직에 대한 고민이 많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자격사항은 관계지향문화에서 3급, 1급, 2급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기혼일수록 위계지향문화유형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결혼유무에 따라 조직에서 자리 잡기 위해 지향하는 바 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전체만족, 동료만족, 상사만족, 업무만족, 기관만족 수준은 다 소 높게 나타났지만, 보수만족은 상대적으로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업무만족에는 직책에 따라 부장이상, 팀원, 팀장 순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전체만족과 직책·자격사항 과 함께 유추해볼 때, 중간관리자의 만족도가 현저히 떨어지고 있음 을 알 수 있었다. 상사만족은 자격사항에 따라 3급, 1급, 2급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동료만족은 다른 하위요인에 비 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기관만족은 다른 하위요인보다 약간의 차이로 다소 낮은 수준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 이는 없었다. 넷째, 직무만족과 측정변인들의 하위요인 간 상관관계분석 결과, 자기효능감은 상사만족과 보수만족을 제외하고 정적 상관관계를 보 였고, 사회적 인정 및 지지는 동료만족을 제외한 직무만족 하위요인 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다중회귀 분석결과, 전체만족에는 위계지향문화요인, 관계 지향요인, 사회적 인정 및 지지 순으로 높을수록 영향을 미치고 있 었다. 업무만족에는 사회적 인정 및 지지, 위계지향유형 순으로 정 적인 영향을 미쳤고, 청소년문화의집보다 청소년수련관 종사자의 업 무만족도가 낮았다. 상사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관계지향 유형, 높은 자격사항 순으로 정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위탁유형이 직영일수록 상사만족도가 낮았다. 보수만족은 사회적 인정 및 지지 가 유일하게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동료만족에는 관계 지향유형, 과업지향유형 순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기 관만족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관계지향유형, 사회적인 정 및 지지, 발전지향유형, 자기효능감 순으로 정적인 영향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부산 청소년수련시설 청소년지도사 및 열악 한 환경에서 근무하고 있는 타지역 청소년지도사들의 직무만족 증진 을 위한 실천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지도사들의 사회 적 인정 및 지지를 높일 수 있도록 국가차원에서 청소년지도사의 전 문성과 필요성을 인지하고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청소년수련시설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정착시켜야 한다. 둘째, 정부 및 청소년수련시 설에서는 전문인력을 유지하고 정규직 전환과 합당한 보수체계, 육아 휴직 등의 제도적 장치를 보장하여 직업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중간관리자들의 직무만족도가 가장 낮은 이 유를 파악하여야 하며, 이들이 유능한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근무환 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셋째, 청소년지도사의 적정수준의 임금이 현 장에 적용가능 하도록 정부차원의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넷째, 청소년수련시설과 종사자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을 인지하고 극 복해야 한다.

      • 기업의 지역사회공헌활동의 유형에 따른 효과성 분석에 관한 연구

        이효정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적인 기업환경의 변화와 함께 등장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은 기업전략의 핵심이자, 지속가능한 기업의 필수조건이 되었다. 이와 함께 CSR활동 중에서도 상징성이 가장 큰 활동으로써 사회공헌활동 역시 발전해왔다.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과거 기부 및 자원봉사 중심이었던 활동에서 보다 기업전략적인 활동으로 발전해왔다. 많은 기업들이 사회공헌활동을 양적·질적 측면에서 발전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질적인 수준은 낮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사회공헌활동의 지속성과 진정성 부족에 따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기업 내․외부 이해관계자들과의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요구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지역사회(Community)’는 기업에 대한 핵심적인 사회적 인식을 반영할 수 있는 핵심이해관계자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사회적 책임의 국제표준인 ISO26000에서도 ‘지역사회 참여와 발전’을 핵심주제의 하나로 제시함으로써 CSR과 사회공헌활동에 있어 지역사회의 중요성은 계속해서 커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국내외 학자들의 연구에서도 사회공헌활동의 다음 발전단계로‘지역사회투자(CCI, Corporate Community Investment)’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지역사회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지역사회공헌활동이 갖는 의미와 효과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CSR과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성과분석에서 지역사회의 구성원이자 기업의 고객인 지역주민의 인식을 고려한 성과분석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다. 지역주민은 지역에서 실시하는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기도 하며, 활동에 따라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받는 핵심 주체이다. 따라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평가함에 있어 지역주민을 고려하지 않고서는 그 효과성을 평가할 수 없으며, 지속가능한 사회공헌활동으로 나아가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주민의 인식을 통해 국내기업의 지역사회공헌활동의 유형에 따른 효과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기업의 지역사회투자(CCI)에 대한 해외 선진국의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7가지 기준을 통해, 지역사회공헌활동의 유형을 ‘지역사회기부형’과 ‘지역사회투자형’으로 구분하였다. 여기서 국내기업의 지역사회공헌활동의 유형을 구분 짓는 핵심기준은 ‘지역주민의 참여’와 ‘지역사회와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채널’이다. 기준별 충족정도에 따라 국내 115개 우수 사회공헌활동 시행기업의 지역사회공헌활동을 지역사회기부형 및 지역사회투자형으로 구분하여 4개 사례를 선정하였다. 각 활동지역의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따른 인식수준과 지역발전 효과성을 조사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사회투자형 사회공헌활동 사례지역의 주민들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참여도와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추진이유에 대해 높은 인식수준을 보였다. 특히, 지역사회기부형 사례지역의 주민들보다 지역사회투자형 사례지역의 주민들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추진이유로 ‘지역사회 발전에 공헌’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지역주민들은 지역사회투자형 사회공헌활동이 지역사회기부형 사회공헌활동보다 지역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행사개최 및 여가․오락기회 항목을 제외한 모든 지역발전 조사항목에서 지역사회투자형 사회공헌활동이 지역사회기부형 사회공헌활동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에 기업이 지역사회공헌활동을 행함에 있어 지역주민의 참여와 지역사회와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은 지역발전에 대한 주민 인식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핵심요소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한 단계 발전하기 위해 지역주민의 참여를 확대하고, 지역사회와의 적극적인 공감대를 형성해 나갈 것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지역사회 참여와 소통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가기 위해서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네트워크를 형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 Individual investors behavior in market and limit trades

        이효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thesis examines individuals’ trading patterns and their influence on prices for each trade type. I classify all trades executed on 659 common KSE stocks between January 1, 1999, and August 31, 2009, into market trades and limit trades. I then investigate the weekly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trading imbalance and the returns for each trade type.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analyzes individuals’ trading patterns for each trade type to investigate whether individuals’ negative feedback trading, which has been frequently documented in prior studies, results from the properties of limit trades or from their unique behavioral features. This study presents three main findings. First, individuals engage in negative feedback trading in market trades and positive feedback trading in limit trades, indicating that individuals’ tendency to engage in negative feedback trading in total trades results from their unique behavioral features, and not from the limit trades’ properties.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rading patterns for market and limit trade is attributable to individuals’ asymmetric choices of order type, which depend on the previous stock returns. Individuals holding winners (losers) prefer to sell them with market orders (limit orders), while individuals willing to buy winners (losers) tend to use limit orders (market orders). Third, individuals produce relative gains by engaging in negative feedback trading in market trades, indicating that such trading behavior is not irrational.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examines whether individual trades have return predictability. I analyze the weekly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ing imbalance of individuals and the subsequent returns for each trade type. I find a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both market and limit trades after controlling for short-term return reversals and high-volume return premium. This indicates that both types of individual trades have a short-horizon return predictability. The return predictability in limit trades is related to compensation for liquidity provision. However, in market trades, return predictability is related to compensation for private information and is amplified by serially correlated trading of individual groups. The return predictability of individual total trades is economically insignificant, because the trading cost of an arbitrage strategy exploiting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trading imbalance and the subsequent returns is higher than its payoff. The third part of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individuals’ market trades on PEAD (post-earnings announcement drift). I analyze how individual investors trade in response to extreme earnings news and examine whether firms with individuals exhibiting stronger earnings-contrarian tendencies experience greater earnings drift. I find no evidence that individuals’ market trades cause PEAD. Individuals do not trad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arnings news (i.e., they do not exhibit news-contrarian behavior), and their trading opposite to earnings news is associated with a weaker rather than stronger earnings drift. This result is inconsistent with both extant research and the view of behavioral finance. The reason for this inconsistency is that Korean individuals who use market trades are informed traders. I find that groups of individuals can profit through market trades around earnings announcements. These profits are related to both compensation for liquidity provision and compensation for private information.

      • A.P.T 스펙터클과 모던공간체험 : 1960~70년대 대도시 서울과 영화

        이효정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Cinema and the city have many similarities as modernity. Ben Singer assumed that the thesis of modernity is composed of three hypotheses. Among them, the second thesis sees the film as 'part of modernity' and a factor which is in the dynamic interaction with other similar phenomena. In reality, Cinema and the city have a complementary or cause-and-effect relationship. This means that a film is in the relationship, in which the film is more than just using a city as a location for a film or covering a city life. It means that Cinema is more than a representation of the city This thesis aims to reveal the dynamic connection between cinema and the city. As the theme 'city' may be broad and abstract, it goes through a specific space, Seoul especially apartment as a text. Apartment, which is called A.P.T, is a symbol of modern space and house where happen daily life. At this time, A.P.T is placed on the same level with cinema as a text of modernity. Especially in Korea, A.P.T changed not only the visual impression of the urban space but also psychological, mental and physical state of the citizens, seizing of urban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Korean's habitus is formed with A.P.T as a center.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affect with the experience of veryday lives in Seoul which is in the formation as metropolis through the early apartment and Korean films in 1960s-1970. By doing so, It will investigate into the network of the city visual cultures and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In early 60s, A.P.T is placed in 'modern residential space', displaying the affect of masses as the modern. The Early apartment is between the illegal shacks two-story house that has topology of middle or status of middle-upper class. The films represent A.P.T which has middle class status and modern architecture's both visual and tactile sensation as stairs and movement among and between classes in stratified society. The fact which is the gap between the reality and screen that A.P.T frequently appeared as an everyday space on the screen in the early 1960s although it was non-daily and unfamiliar in reality shows cinema is not only representation but also presentation. It comes to Apres-girl or Lumpen proletarian were assigned A.P.T, interpreted as satisfying deficiency, the projection of the public desire in spite of a feature of A.P.T as residential space for the upper class in those days. In the middle of the 1960s, A.P.T was used as the medium of political activities in spectacle society contributing to propagation the fantasy of middle class as ideology. The people not only envied but also yearned for being middle class who were visualized by seeing the sights of A.P.T and model houses. The model house which appeared in 1969 at first time in Korea is the articulation between cinematic experience and sightseeing A.P.T and modern visual system in interior space of A.P.T shows affinity between cinema and A.P.T. The phenomenon of appearance A.P.T in many films in 60s shows that cinema and the city fell out with each other. It gives us a point of view about the films presented Seoul and were facilitator of spread the fantasy of middle class. As we saw, Cinema-city-APT which are the different texts are related to articulation of modern visuality, desire of Masses in Park-Jung Hee government system. Meanwhile, during the process of the inner-city redevelopment from the mid 1960s a project to organize the run-down inner-city areas began in earnest. In the process, A.P.T took the lead in destruction of urban, banishment of the poor and separation of citizen. As a result, it visualized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t that time, strong censorship system on the screen was also implemented under the principle of separation and elimination. Nevertheless, the films appeared which criticize the destructive aspect of a city and disruptiveness. Those films presented melancholic mood and fear through the some skill like fantasy and revealed the emotion of anti-metropolis. At the same time, it never loses the aspiration for metropolis as a utopian city. 도시와 영화는 모더니티의 산물로서 유사성을 가진다. 벤싱어는 모더니티 테제를 세 가지의 가설로 이루어진다고 보았는데 그 중 두 번째 테제는 영화를 ‘모더니티의 일부’로서 다른 유사한 현상들과 역동적 상호작용 속에 놓인 요소로서 이해한다.1) 실제로 영화는 도시와 상보적이거나 인과적 관계를 맺고 있으며, 단순히 특정 도시를 로케이션으로 활용한다거나, 도시의 삶을 다루지만은 않는다. 이는 영화가 도시의 재현물이라는 도식적 관계 이상을 의 미한다. 본 논문은 한국의 도시와 영화가 모더니티의 장에서 맺고 있는 역동적인 관계를 밝혀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시’라는 테마는 광범위 하고 추상적일 수 있기 때문에 근대적 공간이자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장소인 ‘아파트’를 경유한다. 이때 아파트는 모더니티의 산물로서 영화와 같은 층위에 놓이게 된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 아파트는 도시 공간의 스펙터클을 완전히 장악했을뿐만 아니라 도시사람들에게 새로운 공간 체험을 부여함으로써 심리적, 정신적, 육체적 변화를 주도해 왔다. 따라서 본 논문은 1960-70년대 대도시로 형성되는 시기의 서울을 아파트 공간체험과 영화적 경험을 통해 분석하고 영화라는 도시 시각문화의 관계망 내지는 여러 현상들 간의 상호텍스트성을 탐색한다. 60년대 초기, 아파트는 근대적 주거공간이라는 장에 배치되면서 일상적 모더니티에 대한 대중적 정서를 드러낸다. 판잣집과 이층집의 사이에서 ‘중간’내지는 ‘중상류층’ 이라는 특성을 가지는 초창기 아파트는, 영화 속에서 근대적 건축물이 부여한 새로운 시각적 촉각적 감각과 겹치면서 ‘계단’, ‘계급이동’이라는 모티브로 드러난다. 영화 속 아파트에 아프레걸이 주거하는 현상에 대해서는 현실과의 간극에서 비롯되는 영화의 현시 presentation 측면,모더니티, 상품성의 지표적 특성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하층계급에게 부여 되는 것은 결핍의 충족이라는 대중적 욕망의 투사로 해석할 수 있다. 60 스펙터클 정치화의 도구로 아파트가 사용되면서 당시 국가적 이데올로기였던 중산층 판타지 확산에 관련했다. 대중들은 영화와 모델하우스 구경을 통해 아파트라는 물리적 공간을 중심으로 가시화 되는 신중산층을 선망했다. 이 시기에 처음 등장한 모델하우스는 ‘영화적 경 험’과 ‘아파트 구경’이 만나는 지점이라 할 수 있으며, 모델하우스의 디제시스 통합적 관람 태도와 아파트 실내공간에서 나타나는 근대적 시각체제는 양자의 가족적 친연성을 보여준다. 당시 아파트가 실제 도심에 존재하는 것 보다 미장센으로 자주 등장하는 현상은 영화의 현시 presentation를 의미하며 도시공간의 변화와 비동시적인 편차와 간극을 드러내 보인다. 이처럼 도시-영화-아파트는 박정희 체제라는 특수한 시공간 내에서 절합관계를 맺으며 서울 도시개발을 유도해 나갔다. 한편, 6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서울 재개발 과정에서 아파트는 도시 공간의 파괴와 빈민 추방, 계급적 분리를 주도해 왔다. 근대성의 붕괴와 빈민 봉기와 같은 사건들은 대중들에게 공포와 우울, 분노를 느끼게 했고, 영화는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를 무드로 전달했다. 강력한 영화검열제도 아래에서 영화는 국가에 동조해 왔지만, 전략적으로 도시에 대한 비판을 가하는 영화도 있었다. 특히 김기영과 이만희는 도시개발에 대한 저항의 태도를 드러내는가 하면 메트로폴리스의 유토피아 측면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적극적으로 도시문제에 개입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