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점토 활용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수연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연구는 점토 활용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B시 A초등학교 4~6학년 중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여 부모동의서를 제출한 아동 20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10명씩 배치하였다. 프로그램은 2018년 7월 26일부터 2018년 8월 31일까지 주 2회, 회기 당 70분씩, 총 12회기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은 3단계로 구성하여 초기에는 친밀감 형성 및 흥미유발, 중기에는 감정해소와 정서안정 및 성공경험, 후기에는 성취감 형성을 목표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김아영, 차정은(1996)이 개발한 개인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김아영(1997)이 수정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김수진(2003)이 초등학생에게 적합하게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먼저 SPSS 20.0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해 자기효능감 사전점수로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점토 활용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전체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점토 활용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기효능감 하위영역별 중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점토 활용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about the effect of clay group art therapy on children`s self-effica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and submitted parental consent form among the 4th~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B city. 10 students were assigned to eac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program is conducted from July 26, 2018 to August 31, 2018, twice a week and 70 minutes per session, for a total of 12 sessions. The program is consisted of three steps aiming at forming intimacy and accusing interest in the beginning, relieving emotions, emotional stability and success experience in the middle term and accomplishment of achievement in the latter term. We used the general self-efficacy of individuals developed by Kim A-young and Cha Jeong Eun (1996) as a research tool and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modified by Kim A-Young (1997) which is suitable for an elementary student Kim Su Jin(2003). We first confirmed the homogeneity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rough SPSS 20.0 for data processing and conducted independent t-test in order to examine about a pre-score of self-efficacy and conducted repeated measures analys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lay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hildren's overall self-efficacy. Second, clay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and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among sub-sectors of the children's self-efficacy. The results showed that clay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enhancing the children's self-efficacy.

      •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저학년 교과서의 장애관련내용 비교분석

        이현영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교과서에 제시된 장애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1, 2학년 국어와 통합교과서 20권, 그리고 미국 맥그로힐(McGrawHill) 출판사 및 휴튼 미플린 하코트(Houghton Mifflin Harcourt) 출판사의 저학년용 읽기(Reading, Language Art Program)와 사회교과서(Social Studies) 20권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두 나라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장애관련 내용을 추출하고 기초정보를 분석하였으며, 김수연·이대식(2012)의 장애인관 분석 4차원 틀을 기반으로 내포된 장애인관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교과서에 나타난 장애관련 내용은 전체 쪽수의 0.39%로 미국교과서 2.38%에 비해 삽입률이 매우 낮았다. 또한 한국교과서의 장애관련 내용은 주로 삽화 위주의 자료로 사진 및 텍스트 자료의 양이 거의 없었다. 둘째, 미국교과서에서는 장애유형이 청각장애, 지체장애, 시각장애, 건강장애 등 다양하게 제시되는 반면, 한국교과서는 지체장애인만이 주로 묘사되고 있는 실정으로, 학교에서 증가하고 있는 정서·행동장애, 자폐성 장애, 학습장애, 건강장애에 대한 내용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셋째, 한국교과서에서 드러난 장애인관은 제시된 장애관련 내용 중 81.82%가 차원Ⅳ의 사회적-자주적 관점을 가지고 있어서 예전에 비하여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제시 비율면에 있어서 미국교과서는 97.67%에 달하여 거의 대부분의 내용이 차원Ⅳ에 해당됨을 알 수 있었다.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 교과서에 장애관련 내용이 적합하게 제시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겠다.

      • 장애체험활동의 구성방식이 초등학생의 장애인관에 미치는 영향

        김다솜 경인교육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시행된 전통적 장애체험활동과 연구자가 고안한 배리어프리 장애체험활동, 그리고 이를 함께 체험한 혼합 장애체험활동이 구성방식에 따라 초등학생의 장애인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 장애체험활동과 배리어프리 장애체험활동은 각각 초등학생의 장애인관에 어떠한 차이를 가져오는가? 둘째, 장애체험활동의 순서에 따라 초등학생의 장애인관 변화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J초등학교 1개교 5학년 2개 반이었다. 실험에 참여한 학생 수는 총 43명으로 남학생 25명, 여학생 18명으로 구성되어있다. 한 학급은 전통적 장애체험활동을 실시한 후 배리어프리 장애체험활동을 실시한 선(先)전통적 체험 집단이며, 나머지 학급은 반대로 배리어프리 장애체험활동부터 먼저 실시한 선(先)배리어프리 체험 집단이다. 초등학생의 장애인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는 김수연, 이대식(2012)이 만든 장애인관 분석 4차원 틀을 기초로 하여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1차원에 해당하는 문항 7개, 2차원 문항 5개, 3차원 문항 7개, 4차원 문항 8개 총 27개 문항을 만들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 장애체험활동을 단독으로 실시하였을 때, 초등학생의 장애인관은 3차원이 더 증가하였다. 즉 자신의 장애를 극복한 성공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은 낮아졌다. 배리어프리 장애체험활동을 단독으로 체험하였을 때 학생들의 장애인관은 변화가 없었다. 둘째, 통계적으로 들여다보면 다소 차이가 있지만 결론적으로 봤을 때 전통적 장애체험활동과 배리어프리 장애체험활동의 순서에 따른 결과의 큰 차이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셋째, 전통적 장애체험활동 혹은 배리어프리 장애체험활동을 단독으로 실행했을 때보다 혼합 장애체험활동을 진행했을 때 장애인관의 변화 폭이 더 컸다. 넷째, 학생들은 장애인이 힘든 이유는 사람들의 인식 때문이고 그 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장애이해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전통적 장애체험활동 혹은 배리어프리 장애체험활동만 단독으로 실시할 경우 학생들의 장애인관에 영향을 미치기 힘들고 함께 체험했을 때 유의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혼합 장애체험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장애란 개인적인 차원이 아니라 사회적인 차원에서 적절한 도움과 제도가 필요함을 느낄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유지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후속 설문을 실시하며 충분한 토의시간을 제공하고 다양한 학년과 다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효과연구 : CEO의 소셜미디어 활용의 적극성과 위기책임성,사과주체를 중심으로

        이유리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CEO가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공중들과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것이 위기관리에 효과적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평소 CEO의 소셜미디어 활용의 적극성 정도가 위기 발생시, 공중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CEO의 소셜미디어 이용 적극성(적극적/소극적), 조직의 위기 책임성(고/저), 사과 주체(대표/기업)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였고, 종속 변인은 위기 인식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메시지 수용성(신뢰성, 진정성)과 공중의 CEO에 대한 태도로 설정하였다. 해당 실험은 가상의 기업체를 선정하여 위기상황을 부여하고 SNS에 사과메시지를 노출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총 269명의 실험을 분석한 결과, CEO가 평상시 소셜미디어 활동을 적극적으로 할수록 메시지 신뢰성은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위기에 대한 조직의 책임은 책임성이 기업 외부에 있을 때 보다 내부에 있을 때 메시지 수용성에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지만, CEO의 소셜미디어 이용과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공중이 인식하는 조직체의 공식 사과메시지의 수용성과 CEO에 대한 태도는 사과주체가 기업일 때 보다 대표일 경우, 보다 유효한 위기관리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기업위기상황에서 커뮤니케이션을 다룬 연구를 확장하였다는 학문적 의의를 지니고 있으며, 더 나아가 소셜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위기대응전략에 실질적 지침을 제공한다.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whether CEO’s use of social media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public is effective in managing crises. To this end, the author attempted to examine how the degree of eagerness of CEO's social media use affects the public when a crisis occurs. To this end, the author set CEO's eagerness (active / passive), organizational responsibility for crisis management (high / low), and the subject of apology (representative / corporate) as independent variables, while the tendency to accept apology (reliability, authenticity) and public attitude toward CEO we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crisis awarenes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selecting a hypothetical company, and a scenario was constructed by assuming a hypothetical crisis situation and exposing a matching apology to the social network. The analysis of a total of 269 test subjects shows that message reliability is positive when the CEO actively engages in social media activities in everyday life. Organizational responsibility for crisis managemen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message acceptance tendency when the accountability rests more on an internal entity than on an external entity. However, no interaction effect with social media use was observed. In addition, the acceptance of the organization’s official apology recognized by the public and the attitude toward the CEO showed that the effect of the crisis management was greater when the subject of the apology was CEO than when than it was the company. The study results are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they extend the existing studies that deal with communication in a crisis. Furthermore, it provides practical guidance on social media-based crisis management strategies.

      • 과학과 프로젝트 학습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이 일반학생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혜빈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extracted contents that can affect the attitudes toward person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education curriculum and based on such contents, developed the program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using project-based learning of science that reconstructed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hange in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The subject of experiment was 53 children, 2 classes of 3rd grade students of S elementary school in Seoul who have no experience of the disabled. Trial treatment was conducted on experimental group for whom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s implemented using project-based learning of science and on control group for whom pre-existing subject contents of science curriculum is implemented as it was. Difference is investigated by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which was conducted on the area of two same groups and by additional covariance analysis which was done on the area of different group. First, the program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using project-based learning of science is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attitudes toward inclusive education. Second, the program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using project-based learning of science is effective on the recognition improvement of non-disabled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about the competency of the disabled. Third, the program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using project-based learning of science is effective on improvement of behavior intentions that non-disabled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have toward disabled man. Fourth, the program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using project-based learning of science is effective on recognition improvement of classmates of elementary students.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program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using project-based learning of science affected the positive change in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In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by modifica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comparing existing studies with those of moral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ocial study, as a result, this study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extended to the science curriculum. This study has significant result in that it is not a project based on the disability but a project based on science subject(exploration of sound attribution) in which the form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program is inserted reflecting and educating the goal and achievement of subject as it were in linked subject matters, and in that it has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perspective which views the disables as equal member of society, which the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ultimately pursues. 이 연구는 교육과정 분석을 통하여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내용요소를 추출하고 그 내용요소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과학과 프로젝트 학습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서울특별시 S초등학교의 3학년 두 학급의 일반 초등학생 53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장애수용태도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과학과 프로젝트 학습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기존 과학교과 내용을 그대로 진행한 통제집단을 비교하여, 두 집단이 사전 검사에서 동일 집단으로 확인된 영역에서는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동일 집단이 아니라고 확인된 영역에서는 공변량분석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여 장애수용태도 변화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과학과 프로젝트 학습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은 일반초등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독립표본 t-검증 결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비교에 있어 사전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이질집단으로 확인이 되어 공변량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과학과 프로젝트 학습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은 일반초등학생의 장애인의 능력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셋째, 과학과 프로젝트 학습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일반초등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행동의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넷째, 과학과 프로젝트 학습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일반초등학생의 학급동료인식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과학과 프로젝트 학습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이 장애수용태도의 긍정적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수정을 통한 장애이해교육에 있어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도덕, 국어, 사회과에서 이루어진 연구를 과학과로 확장했다는 부분에 의의가 있다. 또한 과학과 프로젝트(소리 속성 탐구)가 중심이면서 그 안에 장애이해교육프로그램을 삽입한 형태로 교과 연계에 있어 그 교과의 목표와 성취수준을 그대로 반영하여 교육하면서 장애이해교육에서 궁극적으로 추구하고 있는 장애인을 동등한 사회적 구성원으로 바라보는 관점을 형성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친 연구라는 부분에서 의의가 있겠다.

      • 비장애형제 매개 AAC 중재가 무발화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황재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무발화 지적장애 학생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향상을 위하여 비장애형제가 매개자로 참여한 AAC 중재가 의사소통 행동의 발생 빈도, 기능별 의사소통 행동의 다양성을 살펴보고 발성 모방 빈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장애형제 매개 AAC 중재가 무발화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의 발생 빈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비장애형제 매개 AAC 중재가 무발화 지적장애 학생의 기능별 의사소통 행동의 다양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비장애형제 매개 AAC 중재가 무발화 지적장애 학생의 발성 모방의 빈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소재 A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2학년 여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비장애형제 매개 AAC 중재를 실시하였고 AB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의 순서대로 진행되었다. 총 3회기의 기초선과 주 2회씩 12회의 중재, 3회의 일반화, 3회의 유지를 실시하였고 연구기간은 2021년 4월 말에서 7월 중순까지이다. 중재는 아동에게 친숙하고 흥미있는 활동인 놀이활동과 조작활동을 구조화하여 활동 내에서 의사소통 행동 기능인 요구하기, 반응하기, 언급하기를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기능별 의사소통 행동을 다양화하도록 하고 모방 발성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장애형제 매개 AAC 중재가 무발화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의 발생 빈도를 증가시켰다. 둘째, 비장애형제 매개 AAC 중재가 무발화 지적장애 학생의 기능별 의사소통 행동을 다양화시켰다. 셋째, 비장애형제 매개 AAC 중재가 무발화 지적장애 학생의 발성 모방 빈도를 증가시켰다. 넷째, 비장애형제 매개 AAC 중재를 통하여 비장애형제가 무발화 지적장애학생을 이해하고 의사소통 행동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학교 뿐 아니라 가족 모두가 아동의 의사소통 행동에 함께 참여해야 하는 중재자임을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다섯째, ‘나의 AAC’ 아동 버전은 자주 쓰는 말 기능이 있어 각 상황별로 필요한 상징을 등록하여 쓸 수 있고 스마트폰 기반의 앱으로 상징 목록 추가시 사진으로 촬영하여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및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비장애형제 매개 AAC 중재가 무발화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의 발생 빈도, 기능별 의사소통 행동의 다양성, 발성 모방 빈도 증가를 위한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추후 후속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의 수와 다양한 의사소통 기능, 다양한 의사소통 상대로 확장되는 것이 필요하겠다.

      • 소셜미디어 건강정보의 정보원 유형과 질병의 심각성 인식이 정보 수용에 미치는 영향 :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두근윤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소셜미디어는 일상 속에서 가장 자주 이용하는 매체 중 하나가 되었고, 소셜미디어의 등장으로 의료인, 전문가, 비전문가 할 것 없이 건강정보의 공유와 확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선행 연구에서는 온라인 세상에서의 건강관리와 정보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함정과 한계를 지적하기도 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소셜미디어 건강정보의 정보원 유형과 질병의 심각성 인식이 정보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정보 수용이 건강 염려인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함께 확인하였다. 총 273명을 대상으로 3(정보원 유형: 전문가(의사)/일반인(인플루언서)/정부관계자(정부 채널)) × 2(질병의 심각성 인식: 심각성 강함(암)/심각성 약함(다이어트)) 집단 간 요인 설계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소셜미디어 건강정보의 정보원 유형은 정보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원 유형 중에 전문가나 정부관계자 정보원이 정보 수용에 더 많은 영향을 나타냈고, 일반인 정보원의 영향력은 낮았다. 정보원 유형에 대해 정보 수용도와 정보 공유의도는 차이가 나타났지만 설득지식은 차이가 낮게 나타났다. 독립변인 중 하나인 건강정보의 심각성과 독립변인 간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건강 염려인식은 정보 수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에서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원 유형과 건강정보 심각성 인식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향후 소셜미디어를 통한 건강정보 수용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했다. 기존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던 주효과만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고,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볼 때, 소셜미디어에서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할 때는 정보원 유형, 메시지 특성, 미디어 환경 등 다양한 조건을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정부관계자 정보원이 정보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Social media has become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media in everyday life, and the appearance of social media, health information can be shared and spread regardless of experts and non-experts. Previous studies have pointed out various pitfalls and limitations that affect health care and information acquisition in the online world.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types of social media health information sources and awareness of disease severity on information acceptance. We has also confirmed that information acceptance is different depending on health concerns. A total of 273 people were experimented between-groups design; 3 (information source type : Expert(doctor) / General Person(influencer) / Government(government channel)) × 2 (awareness of disease severity : severe severity(cancer) / severity weakness(diet)) According to the study, the type of social media health information source has an effect on information acceptance. Among the types of information sources, experts or government showed more impact on information acceptance, and the influence of the general information sources was low. There was a difference in information acceptance and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for the type of information sources, but the persuasion knowledge was low. The awareness of disease severity, one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interaction effect did not appear. Finally, awareness of health concerns has been shown to affect information acceptance. By studying the effects of types of social media health information sources and awareness of disease severity on information acceptance, this study suggested the implications acceptance of health information through social media in the future. Given the significant results only for the main effects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and that the interaction effects are not significant, when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contents on social media,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type of information, message characteristics, and media environment should be considered. On the other han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empirically confirmed the effect of government sources on information acceptance.

      • 인천지역 중도·중복장애학급 학생들의 통합교육 실태 및 특수교사, 일반교사, 학부모의 만족도 조사

        안영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As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ith diverse educational requirements increase recently, more effective and proper educational methods need to be searched for educational sites. In Incheon area,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have been established and run in special classes at primary general schools since 2009. In every education department (East, West, South, and North), one or two classes were made and 5 in total. Taking them as models, they are going to be launched over the country. Therefore, this study is to suggest actual recent status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in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lasses in Incheon area and how we should support that educationally. The following issues of study were established. First, how is the current state of integrated education for the students in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in Incheon area? Second, how is the level of satisfaction from parents of the students in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in Incheon area? Third, how is the level of satisfaction from teachers and instructors in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in Incheon area? To answer these study issues, research questions about these issues (the actual status of integrated education and satisfaction for the students in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were given to general teachers who teach in integrated classes including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5 special instructors in the classes, 31 parents whose kids belong to total 5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in Incheon area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First, the actual status of integrated education for students in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in Incheon area was analyzed by researches about integrated education, facilities and operation of integrated classes, and awareness of general and special teachers. Seco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integrated education from those parents, was separately analysed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and integrated classes).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they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convenient facilities in schools and classes,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class hours, types and contents of classes, employee use, etc. In addition, parents showed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rather than with integrated classes. Third, the level of satisfaction from special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in integrated classes was analyzed into 4 sub-categories. As a result, special teachers showed relatively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class facilities and management. General teachers in integrated classes showed higher satisfaction with school support and integrated education. The satisfactory level of general teachers in integrated classes including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special teachers in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This study gave right directions to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and integrated classes which will be established more in the future. Key Words: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integrated education. 최근 다양한 특수 교육적 요구를 지닌 중도·중복장애 학생들의 증가로 인해 특수교육 현장에 이들을 위한 보다 적절하고 효과적인 교육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인천지역에서는 2009학년도부터 초등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중도·중복장애학급을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각 지역(동부, 서부, 남부, 북부) 교육청마다 1~2학급, 총 5학급을 설치하였으며, 이를 모델로 삼아 전 지역으로 확대 될 예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인천지역 중도·중복장애 학생들의 통합교육 실태와 만족도, 더 나아가 교육 지원 방향에 대해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천지역 중도·중복장애학급 학생들의 통합교육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인천지역 중도·중복장애학급 학생 학부모의 통합교육 만족도는 어떠한가? 셋째, 인천지역 중도·중복장애학급 특수교사 및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만족도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천지역에 설치된 총 5개의 중도·중복장애학급에 속한 학생의 학부모 31명, 중도·중복장애학급을 지도하는 특수교사 5명, 중도·중복장애 학생이 포함된 통합학급을 지도하는 일반교사 전원을 대상으로 중도·중복장애학급 학생들의 통합교육 실태 및 만족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인천지역 중도·중복장애학급 학생들의 통합교육 실태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중도·중복장애학급 및 통합학급의 시설과 운영, 통합교육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둘째, 인천지역 중도·중복장애학급 학생 학부모의 통합교육 만족도는 중도·중복장애학급에 대한 만족도와 통합학급에 대한 만족도로 나누어 조사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부모들은 학교 및 학급의 편의시설, 교재․교구, 수업 시간, 수업 형태 및 내용, 보조인력의 활용 등 여러 가지 영역에서 대체로(평균이상)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부모는 통합학급에 대한 만족도 보다 중도·중복장애학급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천지역 중도·중복장애학급 특수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의 통합교육 만족도는 각 4가지 하위영역에 따른 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특수교사는 학급 시설과 학급 운영에 관한 만족도가 대체로 높게 나왔으며, 일반교사는 학급 지원과 통합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중도·중복장애학급을 지도하는 특수교사의 만족도 보다 중도·중복장애 학생이 포함된 통합학급을 지도하는 일반교사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후에 확대되어 설치 될 중도·중복장애 학급과 통합학급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핵심어 : 중도·중복장애, 중도·중복장애학급, 통합교육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