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인정보보호법제에 대한 헌법적 균형의 모색 : 민간부문의 개인정보처리를 중심으로

        오수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3945

        맞춤형광고부터 자율주행에 이르기까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 사회에서 데이터의 중요성은 정보산업의 ‘원유(oil)’로 비유될 정도로 높아졌다. 그러나 개인정보의 집적으로 인해 국가에 의한 감시의 위험성이 높아졌고, 정보의 부정사용 등에 의해 정보주체에 관한 왜곡된 인격이 형성될 경우, 이는 사생활 침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부의 복지서비스부터 신용, 고용에 이르기까지 정보주체 생활 전반에 미치는 부작용이 상당하다. 컴퓨터가 발달하기 전에는 개인정보를 규율함에 있어, 사생활비밀보호법제에 의하여 규율하는 것으로 충분하였으나, 이러한 법제만으로는 다량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의한 감시의 위험성·사회적 인격의 왜곡가능성이라는 위험을 예방할 수 없기에 정보주체가 자신에 관한 정보를 언제, 누구에게, 어느 범위까지 공개할 것인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이라는 새로운 권리가 대두되었다. 그러나 대규모 개인정보의 유출 및 부정사용이라는 일련의 사건들이 발생하면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마치 사생활비밀보호권과 같은 불가침의 영역으로 인식하여, 정보주체의 동의를 받지 않은 개인정보의 처리는 불법이며, 이를 위반할 경우에는 침해결과의 발생 및 경중을 묻지 않고 엄중히 처벌하려는 경향이 생겼다. 그러나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처리에 관한 동의는 개인정보처리에 관한 합법성의 근거일 뿐,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본질적 내용이 아니며,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구체적 구현 방법은 입법자의 자유재량 영역이라 할 것이다. 다만,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처리 통제권을 인정하기 위해서 개인정보의 열람·정정·삭제 및 사후적 처리거부 등의 권리는 보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은 무제한적인 기본권이 아니다. 공공부문에 있어 개인정보처리가 필요한 경우, 행정의 법률유보 원칙에 따라 엄격한 제한을 받지만, 민간부문의 경우에는 기업 및 다른 기본권주체에게 헌법상 영업의 자유, 알 권리를 포함한 언론의 자유 및 표현의 자유 등의 기본권에 의해 개인정보처리의 자유를 인정할 수 있고, 하나의 사안에 있어 양자의 대립하는 기본권이 충돌할 경우에는 실제적 조화의 원칙에 의해 적정한 조화점을 모색하여야 한다.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과 개인정보처리자의 개인정보처리의 자유의 적정한 조화는 개인정보보호법제에 의해 구현된다. 개인정보보호법제는 개인정보처리의 원칙과 개인정보주체의 권리, 개인정보보호감독기구를 구체화하면서 개인정보의 보호와 안전한 활용을 도모하여야 한다. 그러나 한국의 개인정보보호법제는 기본적으로 사전동의원칙에 기반한 형벌중심의 경직된 보호입법으로 설계되었다. 정보주체의 동의를 받지 않고는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개인정보처리자의 정당한 이익을 위한 수집 또한 해외의 개인정보보호법제에 비해 어렵다. 사물인터넷의 발달에 의해 정보주체의 동의를 받고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불가능해지고,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의 경우, 수집·이용되는 개인정보 및 수집·이용의 목적을 특정하는 것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이러한 개인정보보호법제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될 것이 요청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데이터의 보호와 안전한 활용을 위해 가명정보의 활용 및 결합에 관한 법적 근거 마련 및 수행체계의 일원화를 주 내용으로 하는 데이터 3법이 2020년에 개정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사전동의원칙에 형벌 제재를 결합하여 개인정보처리자의 개인정보처리의 자유를 과도하게 제한하고 있고, 행사요건과 예외사유 없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인정하여 정보주체의 열람·정정·삭제요구가 있으면 정보처리자의 정당한 이익이 있음에도 그 요구에 응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불합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인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보호와 개인정보처리자의 처리의 자유를 실제적으로 조화시키는 입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입법의 개정방향으로, 먼저 사후규제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제안한다. 합리적 목적을 위한 개인정보 활용을 허용하고, 개인정보처리에 관한 내용을 알기 쉽도록 고지한 후 정보주체가 통제권을 행사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여야 한다. 그리고 정보주체의 정정·삭제·사후적 처리거부 등 사후적 통제수단뿐 아니라 기술적 조치, 기업의 자율 규제 등 다른 보호수단들과의 상호보완을 통하여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실질적으로 보호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행사요건과 예외사유를 정함에 있어 정보주체의 보호이익과 정보처리자의 활용이익을 조화롭게 고려하여야 한다. 셋째, 가명정보의 활용목적을 명확히 규정하여 해석적 분쟁을 막고, 안전한 결합방법을 다각도로 구상하여 기업이 가명정보의 결합을 활발히 하는 동시에 가명정보에 대해서도 재식별의 위험이 있는 경우 정보주체가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행사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넷째, 형벌중심의 제재규범을 사법적·행정적 제재로 전환하는 동시에,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구성에 있어 독립성을 저해할 수 있는 국회의 추천방식 대신 국회의 동의를 거치는 방식으로 전환하여 민주적 정당성과 독립성을 확보하고, 수행체계의 일원화를 도모하여 개인정보보호규범이 통일적으로 집행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그리고 기술의 발달에 따른 개인정보보호 및 처리의 균형방법 모색에 유연히 대처하기 위해 기업의 자율규제를 지원하여야 한다. The importance of data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ociety, which is based on data from customized advertisements to autonomous driving, has increased to the point that it is likened to "oil" in the information industry. However, if the aggreg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creases the risk of surveillance by the state, and if the information is misused, it is not just a violation of privacy, but has significant side effects on the entire life of the information subjects, from government welfare services to credit and employment. Before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it was sufficient to regulate personal information under the Privacy Protection Act, but as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ed, such legislation alone could not prevent the risk of monitoring and distortion of social personality. This has led to a new right to decide when, to whom, and to what extent to disclose information about oneself. Our Constitutional Court called thi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However, with the occurrence of a series of incidents of massive leakage and fraudulent use of personal informati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recognised as an inviolable area, such as privacy rights. As a result, the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without the consent of the information subjects is illegal, and if it is violated, it tends to be severely punished without asking for the occurrence and gravity of the infringement results. However, the consent of the information subjects to the processing personal information is only the basis for the legitimacy of the processing personal information, not an essential content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 specific method of implementation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the discretion of the legislator. However, in order to recognize the control over the processing personal information by the information subjects, the right to access, correct, delete, and refuse to process personal information shall be recognize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not an unlimited fundamental right. If it is necessary to process personal information in the public sector, it is strictly restricted by the rule of law, but in the private sector, companies and other subjects of fundamental rights may be granted freedom of processing personal information by the Constitution's fundamental right to freedom of business, freedom of expression, and freedom of speech including the right to know. Where the fundamental rights of opposition between the two parties conflict in one issue, appropriate harmony shall be sought by the principle of substantive harmonization. An appropriate harmony between the right to control one’s personal information by the information subject and the freedom of processing personal information by the controller are implemented by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shall promote the protection and safe util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while specifying the principles of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rights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of information subjects,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upervisory Authority. However, Korea'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was basically designed as punishment-oriented rigid protection legisla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prior consent. Not only cannot personal information be provided to third parties without the consent of the information subject, but collection for the legitimate interests of the controller is also difficult compared to oversea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s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of Things makes it impossible to collect information with the consent of the information subject, and in the case of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it is impossible to specify the purpose of collection and use. For the protection and safe use of data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e Credit Information Use and Protection Act」 and 「the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were revised in 2020 with the main focus on establishing a legal basis for the utilization and combination of pseudonymized information and unifying the performance system. However, Korea'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still excessively restrict the freedom of processing personal information of controller by combining penal sanctions with the principle of prior consent. And in recognition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with no reason for exceptions and requirements for exercise of rights, if there is a request for access, correction or deletion of the information subject, it is required to comply with the request even though there is legitimate interest of the controller. In order to improve this irrationality, legislation is needed that actually harmonizes the protection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subject with the freedom of processing personal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In this direction of revision of legislation, we first propose a paradigm shift to post-regulation. Allow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for rational purposes. It shall allow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for rational purposes. After notifying the information on the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so that it is easy to understand, a method for the information subject to exercise control over the processing of information shall be prepared. An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hall be substantially protected by supplementation with other means of protection, such as technical measures and autonomous regulations of enterprises, as well as follow-up control measures, such as the right to correct, the right to delete, and the right to refuse processing. Second, in determining the exercise requirements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reasons for the exception, the protective interests of the information subject and the benefits of utilization of the controller should be considered in harmony. Third, the purpose of utilization of pseudonymized information shall be clearly prescribed to prevent interpretative disputes. A safe combination method shall be devised in various ways so that an enterprise can actively combine pseudonymized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where there is a risk of re-identification of pseudonymized information, the information subject shall be allowed to exercise his/her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Fourth, at the same time as shifting punishment-oriented sanctions to judicial and administrative sanctions, the recommendation method of the National Assembly, which may hinder independence, shall be converted to the consent of the National Assembly to secure democratic legitimacy and independence in the composi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mmittee. In addi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shall be executed uniformly by promoting the unification of the performance system. And self-regulation of enterprises shall be supported to flexibly cope with the search for balanced methods of protecting and processing personal information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 의료소비자의 환자안전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환자안전인식과 알권리, 자기결정권과의 관계

        이한슬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393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 to assess the level of perception among healthcare service's consumer of their patient safety, their right to know and their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b)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care service's consumer’s perception of these three rights. For this descriptive-correlational stud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mong people who visit five hospitals at Seoul, Gyeonggi-do. Responses to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30 participants from 28 March 2016 to 2 April 2016.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On the basis of a five-point scale, the average scores of healthcare service consumer’s perception of right to know were 3.55 ± 0.54. The level of perception of right to know was statistical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education. (p<.004) 2. On the basis of a five-point scale, the average scores of healthcare service consumer’s perception of self-determination were 2.78 ± 0.35. 3. On the basis of a four-point scale, the average scores of healthcare service consumer’s patient safety were 2.44 ± 0.28. The level of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was a statistical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ex (p<.025), level of the education (p<.003) and economic status (p<.020). 4. The relationship of perception of self-determination with right to know was not statistically note. But the relationship of perception of right to know with patient safety (r=.332, P <.000), the relationship of perception of self-determination with patient safety (r=.137, P <.045) was statistically note. 5. Married participants have higher perception of right to know than unmarried. (β=.166, p<.036)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s perception was still high as participants who get education. (β=.157, p<.044) Women have higher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than men (Model 1: β=.148, p<.030, Model 2: β=.168, p<.009). The level of patient safety’s perception was still high as participants who get education and have high level of patient safety’s perception. In conclusion, there is still an insufficient perception of self-determination. This cognition of healthcare service’s consumers make them dependent on medical staffs when they make self-decision.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patient’s right to know and self- determination varied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specially education level. To increase th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self-determination and right to know should be increased. Further survey to check the level of patient’s perception should be performed, and system should be developed to guarantee their rights. Keywords: Healthcare service’s consumer, Patient's right, Patient safety, Right to know, Self-determination 본 연구는 의료소비자를 대상으로 알권리와 자기결정권,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도를 확인하고 각 개념 간의 연관성과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의료기관 내 바람직한 환자안전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의 5개 종합병원 및 의원에 방문한 내원객을 임의 표집하여 추출한 대상자 230명 중 215명의 최종자료를 분석하였다. 사용된 연구도구는 환자의 알권리에 대한 인식도 측정을 위해 안선화 등(2009)이 제작하여 사용한 환자의 알권리에 대한 인식도 측정도구를 수정 ․ 보완한 Likert 5점 척도로 구성된 총 17개 문항의 도구를 사용하였고 자기결정권에 대한 인식도 측정을 위해 최애숙(1988), 조인숙과 박영숙(2004)이 번안하여 사용한 건강 자기-결정 지표를 수정 ․ 보완한 Likert 5점 척도로 구성된 총 12개 문항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도는 김정은 등이 2013년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한 도구(Seniors Empowerment and Advocacy for Patient Safety, SEAPS)를 수정 ․ 보완한 Likert 4점 척도로 구성된 총 17문항의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4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 통계 처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의료소비자의 알권리에 대한 인식도는 평균평점 3.55 ± 0.54 (Likert 5점 척도) 로 나타났고, 알권리 관련 의식화 정도, 의사의 설명의무 및 구속력에 대한 인식, 병원에서의 알권리 실현도, 제도 및 장치, 규제효과에 대한 인식, 부여된 권리에 대한 인식 순이었다. 2) 학력에 따른 알권리에 대한 인식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4). 3) 알권리 인식의 하부영역 중 ‘알권리 관련 의식화’ 정도가 모든 하부영역인 ‘제도/장치/규제효과에 대한 인식’과 ‘부여된 권리에 대한 인식’, ‘의사의 설명의무 및 구속력에 대한 인식’, ‘병원에서의 알권리 실현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P<.01). 4) 의료소비자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인식도는 평균평점 2.78 ± 0.35 (Likert 5점 척도) 로 나타났고, 건강판단에서의 자기결정, 내·외적 신호에 대한 반응성, 자기 주도적 인식, 건강에 대한 능력감 순으로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결정권에 대한 인식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 자기결정권 인식의 모든 하부영역에서 영역 간 상관관계가 있었다 (p<.05, p<.01). 7) 의료소비자의 환자안전인식도는 평균평점이 2.44 ± 0.28 (Likert 4점 척도)이었고, 자기효능 영역, 기대효능 영역, 행동 영역, 태도 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8) 성별(p<.025), 학력별(p<.003), 경제상태별(p<.020)에 따른 환자안전인식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9) 환자안전 인식의 모든 하부영역에서 영역 간 상관관계가 있었다 (<.05, p<.01). 10) 알권리에 대한 인식도와 자기결정권에 대한 인식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알권리에 대한 인식도와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도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r=.332, P <.000), 자기결정권에 대한 인식도와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도 간의 관계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r=.137, P <.045). 11) 기혼이 미혼보다 알권리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β=.166, p<.036). 12) 학력이 높을수록 자기결정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β=.157, p<.044). 13) 여자가 남자보다 환자안전 인식도가 높고(모형 1: β=.148, p<.030, 모형 2: β=.168, p<.009), 학력이 높아질수록 환자안전 인식도가 높아지는 것(모형 1: β=.209, p<.006, 모형 2: β=.148, p<.041)으로 나타났으며 알권리에 대한 인식도가 높아질수록 환자안전 인식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β=.042, p<.000). 결론적으로 의료소비자의 알권리와 자기결정권,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 정도는 선행적으로 시행된 연구들의 결과와 비교해 특이적인 변화가 없었으며 알권리에 대한 인식에 비해 자기결정권에 대한 인식 역시 여전히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의료소비자가 알권리를 충족하고자 하더라도 의료서비스를 스스로 선택하는 데 있어 아직 의료인의 의견에 의존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에 따라 각 인식도에 차이가 있고 특히 학력은 알권리와 자기결정권, 환자안전 인식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공통인자로 작용하였다. 환자안전 인식 향상을 위해 자기결정권, 특히 알권리의 신장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더불어 이러한 의료소비자의 권리가 보장될 때 의료기관의 바람직한 환자안전문화가 정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의료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권리인식 변화의 추적조사와 소비자 권리보장을 매개로 한 환자안전 인식과 문화에 미치는 영향요인 조사의 필요성을 제언하는 바이다. 또한, 학력을 포함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의료소비자가 보장받을 권리를 인식하는 데 차이가 있으므로 대상자별로 차별화된 권리향상 지지체계가 개발되어 의료소비자의 알권리와 자기결정권, 환자안전인식을 신장시키는 데 적합한 시스템이 구축될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

      • 제한능력자의 개인정보보호 및 후견인의 개인정보 취급 범위에 관한 연구

        김솔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3913

        정보통신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개인정보는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되면서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동시에 나타났으며, 점차적으로 개인정보와 그 보호의 중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우리나라는 지난 2011년 개인정보보호법을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기본법으로서 제정하고 시행하게 되었다. 이 법은 기존에 일부 특정 영역에서만 개인정보를 보호하던 기존 질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하나의 통합법으로서 자리를 잡게 되었다. 민법의 제한능력자제도는 2011년 03월 07일 개정되어 2013년 07월 01일부터 시행되어 성년에 이르지 못하였거나, 성년이라도 질병·장애·노령 등으로 인해 사무처리 능력이 부족해진 지적장애인·정신장애인·치매노인 등 요보호자에게 재산관리 및 신상보호를 지원해 주고 있다. 이는 기존의 행위무능력자제도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제한능력자들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한다는 면에서 선진화된 제도로 변모하였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릴 수 있다. 그러나 현행 개인정보보호법 및 민법의 긍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제한능력자의 개인정보보호 및 친권자 또는 후견인의 개입 가능성에 대해서는 어떠한 배려도 없는 상황이며, 이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제한능력자제도와 개인정보보호법의 일반을 살펴보고, 제한능력자의 개인정보 동의권에 대한 친권자 및 후견인의 대리 가능성에 중점을 두어 그와 관련된 쟁점 및 문제점, 그리고 개선방안을 다루었다. 이를 위해서는 개인정보에 대한 종합적인 민법상 법리구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즉 신상결정에 관한 현행 민법의 규정을 유추해석하여 신상보호의 범위 안에 개인정보보호를 포함시켜 정보주체로서 제한능력자가 의사결정능력이 결여된 경우에 친권자와 후견인이 그들의 동의권을 대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더불어 개인정보를 신상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물권법·계약법·불법행위법적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 왜냐하면 개인정보가 인격권으로서 일신전속적인 성격이 있는 것이 당연하지만, 개인정보가 실질적으로 재산적 가치를 갖게 되고 새로운 거래형태가 등장한 현실은 부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기본 연구를 바탕으로 제한능력자를 개별적으로 나누어 각각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해석론적·입법론적 해결책을 검토하였다. 첫째, 제한능력자(정보주체)들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과 친권자 및 후견인의 권한이 충돌하였을 경우에는 무엇을 우선적으로 해야 하는지에 대한 해결이 필요하다. 즉 제한능력자들의 잔존능력을 존중하여 자기결정권을 우선적으로 고려할지, 아니면 그들의 보호자로서 친권자 또는 후견인의 권한을 우선적으로 고려할지는 결코 쉬운 문제라 할 수 없다. 따라서 이를 적절하게 조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해석론적으로 검토하여 보호자로서 친권자 및 후견인이 제한능력자의 개인정보 동의권을 대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둘째, 개인정보보호법상 개인정보처리자는 정보주체(제한능력자 포함)의 개인정보를 사전 동의 없이 취급할 수 있다. 그런데 제한능력자의 보호자인 친권자 또는 후견인이 이러한 권한을 갖고 있지 않다. 이러한 규정은 제한능력자의 보호자로서 친권자 또는 후견인의 권한을 제한함으로써 상당한 불균형을 초래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정보처리자와 친권자 및 후견인의 권한을 불균형을 해결을 해석론적으로 접근하였다. 셋째, 현재 개인정보보호법에는 제한능력자에 대한 배려가 전혀 없기 때문에 이를 위한 입법론적 해결이 절실하다. 따라서 친권자의 친권을 보장할 수 있는 새로운 규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14세 미만의 아동등의 보호를 위한 개인정보 이용’이라는 신설규정을 제한하여 의사결정능력이 현저하게 결여되어 있는 14세 미만의 미성년자, 피성년후견인, 피한정후견인의 보호에 용이하도록 하여 법이 흠결되어 생기는 법적 불안정성을 해소하였다. 다만 피한정후견인의 경우를 피성년후견인과 마찬가지로 취급한다는 것은 오히려 정보주체로서의 피한정후견인의 권리를 제한하고 현행법의 취지를 몰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하여는 단서조항을 마련함으로써 보완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기타에서는 피특정후견인, 피임의후견인, 사전 고지·동의제도등을 다루어 앞으로 연구가 필요한 부분에 대하여 해석론적으로 접근하였다. 피특정후견인의 경우에는 신상결정에 대한 규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신상으로서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되며, 피임의후견인의 경우에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행사를 계약으로 위탁할 수 있는지, 이것이 계약자유의 원칙에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해석론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물론 제한능력자의 개인정보보호 문제를 현행 법리 내에서 완벽하게 해결하기란 결코 쉬운 문제가 아닐 수 없으며, 개인정보를 신상영역에서만 규율하는 것도 분명 한계가 있다. 따라서 현행 개인정보보호법뿐만 아니라 민법의 법리에서도 개인정보와 같은 특별한 인격권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즉 개인정보의 재산성을 인정함으로써 개인정보를 보호함에 있어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도가 필요할 것이다. 더불어 정보주체로서 제한능력자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과 보호자로서 친권자 및 후견인의 권한을 최대한 조화롭게 보장할 수 있도록 제한능력자의 의사결정능력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하다. 나아가 개인정보의 양이 증가하고 기술발전에 의해 정보들 사이의 결합이 용이해 짐에 따라 현재에는 식별성이 없는 개인정보라 하더라도 식별성을 갖게 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식별성이 없는 제한능력자의 개인정보에 대해서도 친권자 및 후견인의 권한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As ICT has dramatically developed, personal information implies its new meanings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perspectives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its protection have been increasingly critical. According to these changes, the Republic of Korea enacted and enforce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as a basic law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This act has settled as an integrated one to solve the previous order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in certain limited areas. In the Civil Law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was revised in March 7th, 2011 and enforced since July 1st, 2013, system on person with limited legal ability is supporting property management and protecting personal affairs of minors, adults with intellectual or mental disability, or the elderly with dementia due to diseases, disabilities, or aging. This supplements problems of the previous system of person with no legal ability and respects rights of self decision-making for person with limited legal ability. Therefore, it can be evaluated positively for its advancement. However, in spite of positive evaluation on the curren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and the Civil Law, there is no consideration for possibilitie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or person with limited legal ability or its intervention by person with parental rights or guardian. There is no studies about it, as well. Therefore, this article reviews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 system of person with limited legal ability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and focuses on possibilities of procuration of person with parental rights and guardian for agreement on personal information of person with limited legal ability, and deals with the related issues, problems, and solutions. For this, comprehensive legal principles in Civil Law on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premised. That is, by analogy of the provisions of the current Civil Law on determining personal affairs,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scope of personal protection, and if a person with limited legal ability lack his or her ability for decision-making as an information subject, person with parental rights or guardian should subrogate for their right of agreement.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dealt with in personal area as well as laws about properties, contracts, and torts. The reason is that personal information is personally exclusive as personal information but now it has the actual proprietary values and new forms of contracts appear in the reality. Based on these basic studies, individual kind of person with limited legal ability is classified with suggestion for problems and discussions on interpreting and legislating solutions. First, in case of conflicts between the right of self-determining on personal information of person with limited legal ability(information subject) and authority of person with parental rights or guardian, the solution for it should be made with determination of priority. That is, whether to respect the remaining ability of person with limited legal ability and to consider his or her ability of self decision-making or to consider authority of person with parental rights or guardian as protector is not easy one. Therefore, proper solutions for it are discussed with interpretations by reviewing whether person with parental rights or guardian as protector subrogate his or her right of agreement on personal information. Secon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a person who treats personal information can treat an information subject's(including person with limited legal ability) personal information without advanced consent. However, person with parental rights or guardian of person with limited legal ability has no such authority. This provision limits authority of person with parental rights or guardian as his or her protector and makes considerable unbalance. So solutions for this unbalance are approached with interpretations. Third, in the curren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there is no consideration for person with limited legal ability. Therefore, legislative solution for it should be made, and this study suggests a new provision to guarantee parental right. In addition, by making a suggestion of a new provision about 'Usage of Personal Information for protecting children under age less than 14-years-old and enabling to protect minors under age less than 14, and adults who need whole or partial guardianship, the study tries to solve legal unbalance due to lack of legal provisions. However, in case of adult who needs partial guardianship, if he or she are treated like adult who needs whole guardianship, it may limit his or her right too excessively and may ignore the intention of the current law. So the it is supplemented with conditions. Finally, for others, adult who needs specific or optional guardianship, and advanced notice and consent are reviewed with interpreting approaches for areas to be studied. In case of adult who needs specific guardianship, in spite of no provision about determining personal affairs, whether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in it should be issued. In case of adult who optional guardianship, whether to conduct the right of self-determining on personal information may be assigned by a contract and if it is applicable to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s should be addressed. So the study attempts to intrepret whether to solve those issues. It is not easy to solve the problem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or person with limited legal ability in the current legal principles,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regulating personal information in private sector only.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aradigm for special personal right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in the Civil Law as well as the current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That is, by recognizing personal information as a sort of proprietary right, it is required to minimize blanks in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n, it is also necessary to prepare the criteria to evaluate accurately the ability of decision making of person with limited legal ability in order to guarantee harmoniously the right of self-determining on personal information of person with limited legal ability as an information subject and authority of person with parental rights or guardian as much as possible. Furthermore, as personal information has increased and combination between information has become to be easy, currently unidentifiable personal information may have identifiability. Therefore, for unidentifiable personal information of person with limited legal ability, authority of person with parental rights or guardian should be recognized.

      • 정보통신서비스 이용자의 개인정보 자기결정권 실질화를 위한 법제도 연구 : 동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임종철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3897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such as ever-expanding services based on smart phones, spread of Internet of Things(IoT), and development of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have expanded the scope of personal information which is collected and generated in the course of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ervices. Under 「The Act on the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every user may demand a provider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ervices or similar to allow him/her to inspect, or to furnish him/her with, any personal information about him/her, and may also demand the provider to correct an error, if there is any error. These rights are given to users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ir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while they u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ervices. However, an unclear scop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no more than formal consent make it difficult to substantially guarante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For these problems, improvements in the following directions are required. First, user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ervices should have more substantial rights to consent in advance, which requires a restriction of the scope of personal information as the object of the explicit consent in advance. From the point of view of users, requiring consent for information, even though it is information in a broad sense is nothing but a formalistic coercion, and this needs to be improved. Depending on the importance of personal information, comprehensive consent in advance can be allowed. For example, information which is identifiable only when combined with personal identifiers may contribute to minimizing infringement 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while addressing the harmful effects from formal consent. Second, as for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vision of service with predictability from users, consent procedures can be simplified by allowing implied consent. The resulting reduction in the rights to explicit consent in advance and weakened access to information can be complemented by expanding other ex-post control measures. In addition, automatically collected information during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ervices deserves consideration of introducing the Do-Not-Track function like EU's 「ePrivacy Directive」 and the report by the U.S. Federal Trade Commission, 「Protecting Consumer Privacy in an Era of Rapid Change : Recommendations for Business and Policymakers」. This paper examined foreign legal systems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trends in their reorganization, along with considerations on the scope of personal information , the consent system, an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regarding rights of users, in seeking the ways towards improvement. This discussion has a significance in that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which places too much emphasis on the right to consent as a mere formality can be substantially improved for both provider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ervices and their users by presenting alternatives. 이용자가 정보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수집·생성되는 개인정보는 스마트폰 기반 서비스의 확대, 사물인터넷의 확산, 빅데이터 분석기술의 발전 등 환경의 변화로 인해 점점 더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현행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는 이러한 정보통신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이용자의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보호하기 위해 동의권, 동의 철회권, 열람·제공 및 오류 정정 요구권 등을 이용자에게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보호 대상인 개인정보의 범위가 명확하지 않고 동의권 조차도 형식적인 동의에 치우쳐 있어 현실에서 이용자의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은 실질적으로 보장받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정보통신서비스 이용자의 사전 동의권 실질화를 위해 사전적·명시적 동의의 대상인 개인정보의 범위를 한정할 필요가 있다. 개인을 식별하는 주체를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등”으로 명확히 하고, 개인식별자(성명, 주민등록번호 및 영상 등)를 포함하고 있는 정보로 한정하며, 개인을 식별하는 시점을 “해당 시점”으로 한정하여 사전 동의의 대상인 개인정보의 범위를 한정하여야 한다. 서비스 제공과 직접 관련 없이 정보 그 자체로서 개인식별이 가능한 정보와 민감정보를 수집·이용하려는 경우, 서비스 제공과 관련 없이 개인에 관한 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는 경우, 마케팅 등 서비스 제공 목적 외로 개인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려는 경우, 서비스 제공과 관련 없이 이용자의 통제 범위를 벗어난 국외로 개인에 관한 정보를 이전하려는 경우에는 사전적·명시적 동의가 필요하다. 또한, 개인정보라고 하더라도 사전적·명시적 동의방법만을 허용하기 보다는 개인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사전적·포괄적 동의방법도 허용할 필요가 있다.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등이 개인식별자를 포함한 정보의 집합으로서 개인식별이 가능한 정보의 경우에는 사전적·포괄적 동의를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인식별자와 결합하는 경우에만 식별성을 갖는 정보의 경우에는 이용자에게 사전적으로 알리고 포괄적으로 동의를 받은 후 언제든지 개인정보 취급방침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면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의 침해를 최소화하면서 형식적 동의의 폐해를 개선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둘째,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정보로서 이용자의 예측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이용자의 사전 동의 없이도 수집·이용이 가능하도록 묵시적 동의를 허용하여 동의절차를 간소화해야 한다. 이에 따라 발생하는 이용자의 사전적·명시적 동의권 축소와 정보 접근권 약화의 문제는 사후적 통제 수단을 확대함으로써 보완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현행 정보통신망법의 “개인정보 취급방침”의 내용을 이용자가 이해하기 쉽게 작성하여 공개하도록 하여 이용자가 사후적 처리 거부 등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나아가 정보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수집되는 정보(예: 쿠키 등을 통해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형태로 관리되는 정보)에 대하여는 유럽연합(EU)의 「ePrivacy Directive」와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의 「급속한 변화의 시대에 맞춘 소비자 개인정보보호 보고서」와 같이 온라인 추적 금지(Do-Not-Track) 기능의 도입을 권고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해외의 개인정보보호 법제도와 동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현행 정보통신서비스 분야에서의 개인정보의 범위, 동의제도, 이용자의 권리 규정의 현황 검토를 통해 개선방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동의권에 치우쳐 있는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 모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대안을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해수면 상승과 국가성 : 수몰 위기에 있는 소도서국가의 존속 가능성을 중심으로

        손현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3896

        해수면 상승이 가속화되면서 머지않아 해발고도가 낮은 섬나라 및 저지대 연안국들의 영토가 침수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국가의 개념을 정의할 때 흔히 원용되는 '국가의 권리 및 의무에 관한 몬테비데오 협약' 제1조는 물리적 영토를 국가의 요건 중 하나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영토를 상실하게 될 소도서국가는 국가성(statehood) 또한 상실할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인지가 문제된다. 본 논문은 총 4장으로 구성되며,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소도서국가들이 영토를 상실하게 된다 하더라도 국가성을 여전히 유지할 수 있음을 제안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제1장 서론에 이은 제2장에서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논의되고 있는 국가성의 여러 기준들을 분석하였다. 먼저 제2장 제1절에서는 소도서국가의 존속을 위한 첫 번째 대안으로 몬테비데오 기준의 한계점을 찾은 후 그것이 소도서국가들에 대한 몬테비데오 기준의 적용을 배제시킬 수 있는 이유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제2장 제2절에서는 두 번째 대안으로 국가성의 현대적 기준, 그중에서도 특히 자결권이 영토를 상실한 소도서국가의 존속을 뒷받침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자결권은 구속력 있는 국제인권규약에 명시된 인권이기는 하지만, 식민통치라는 시대적 맥락하에서 발달한 개념임을 고려할 때 소도서국가 거주민들이 이를 향유할 수 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이에 따라 제2절에서는 자결권에 대한 전통적 견해와 현대적 견해를 각각 다룸으로써 식민지 인민이 아닌 소도서국가 주민들도 자결권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자결권의 의미가 변화해왔음을 강조하였다. 제3장 제1절에서는 앞서 제2장에서 다룬 국가성의 전통적 기준과 현대적 기준에 관한 논의만으로는 소도서국가의 존속을 주장하는 데에 한계가 있음을 짚었다. 이러한 한계를 고려하여 제2절에서는 소도서국가의 존속을 위한 세 번째 대안을 모색하였다. 국가의 성립요건과 존속요건을 구별할 것을 제안한 후, 존속요건에 의할 경우에는 소도서국가의 국가성이 유지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국가 존속의 추정(the presumption of State continuity)에 관한 이론이 소도서국가의 사례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대안으로 영토 없는 국가(deterritorialized State)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물리적 영토 없이도 국가 기능이 수행된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영토가 국가성의 필수적 요소는 아니라는 주장을 뒷받침하였다. 이와 더불어 이론적으로만 논의되어 온 영토 없는 국가 개념의 현실화 가능성 및 한계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4장 결론에서는 앞서 다룬 네 가지 대안들의 내용과 한계점을 정리하였다. 특히 최종적인 대안으로 제시한 영토 없는 국가의 실현을 위해 향후 연구가 더 필요한 부분들에 집중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소도서국가의 거주민들을 수용할 주재국(host State)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지, 영토 없이도 온전한 주권의 행사가 가능할 것인지 등의 문제를 짚으며 논문을 마무리하였다. Along with the acceleration of sea-level rise, it is expected that Small Island Developing States (SIDS) will soon become inundated. The most widely cited source of the concept of States is Article 1 from the 'Montevideo Convention on the Rights and Duties of States' which considers physical territory as one of the States' prerequisites. For this reason, there rises a question of whether SIDS will still continue to be States even after their inundation. This paper consists of four chapters, and the main objective is to prove that SIDS could maintain their statehood even after the loss of territory due to inundation. Following the first chapter which is the introduction, chapter 2 analyzes the various types of criteria for statehood that are being discuss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s the first alternative to support the continuity of SIDS, the first section(I) of chapter 2 looks for the limitations of the Montevideo criterion and examines whether if that can be the reason to prevent it from being applied to the case of SIDS. As the second alternative for supporting the continuity of SIDS, the second section(II) of chapter 2 examines the modern criteria of statehood, especially focusing on whether if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can be a basis for the continuity of SIDS.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is one of the human rights specified in the International Covenants on Human Rights which is legally binding. However, it cannot be concluded that the inhabitants of SIDS can always be the subjects of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considering that self-determination is a concept that was developed during the era of colonization. For this reason, the second section(II) of chapter 2 analyzes both the traditional views and modern views on self-determination in order to prove that the concept of self-determination has changed so that not only colonial people but also noncolonial people can become the subjects of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as well. The first section(I) of chapter 3 recognizes the limitations of supporting the continuity of SIDS based on the two alternatives specified in the previous chapters. Considering these limitations, the second section(II) proposes a third alternative which is distinguishing the requirements for state establishment from the requirements for state continuity. This paper also examines whether if the theory on the presumption of State continuity can be applied to the case of SIDS as well. Lastly, the possibility of a deterritorialized State is examined as the fourth alternative to support the continuity of SIDS. By reviewing State practices in which State functions were performed without physical territory,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physical territory is not an essential element of statehood. In addition,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of realizing the concept of deterritorialized State are examined, considering that the concept has only been discussed in theoretical terms until now. In chapter 4 which is the conclusion, the contents and limitations of the four alternatives discussed above are summarized. In particular, this paper points out some points whe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in order for the realization of a deterritorialized State. For instance, questions such as how to convince other States to accommodate the residents of SIDS or whether it is possible to exercise full sovereignty even without territories are raised in the conclusion.

      • 생체정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김현철 동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3883

        Privacy is basically considered as secrecy so that all the related information should not be collected and transferred. However, personal information could be collected and transferred without data subject's consent. This is the basic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privacy and personal information. Therefore, it is not desirable to consider personal information as another type of secrecy. It could harm the development of so called "Information Age" because anonymity is a base for free expression in democratic system. Furthermore, information could be the subject of personal properties. Nevertheless, many people are now concerned about how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biometric information. The reason is that there will be a lot of problems if people use personal information thoughtlessly. In fact, there have been many cases and incidents related with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National Identity Number theft and customer information sale by the employee of a mobile telecommunications company. Moreover, there were a few cases done by Government's agencies, such as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NEIS')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and National Registration System in which Korean residents should seal their fingerprints. Nowadays, US_VISIT program of U.S. force all the visitors to give their information including fingerprints and face picture to the biometrics system. A few schools in Korea have adopted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 for library entrance and provision of meals. This brought about controversy. Whether we agree or not, using biometric information in our daily life becomes inevitable. Therefore, I have researched about all the laws and systems in diverse countries including Korea based on the current using situations. Since biometric information is collected directly from the body, it is closely related with personal rights. Thus, collecting biometric information except other personal information without data subject's consent is the infringements of 'Self Control Rights of Personal Information' which has been studied a lot by diverse scholars and researchers until now. In this study, I tried to apply 'Self Control Rights of Personal Information' on biometric information. There are man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personal information and biometric information. I suggest that relates laws should be revised and enacted. Biometric information has a few characteristics such as uniqueness, permanence, possibility of misconception and so on. Therefore, we should deal with biometric information in a different way we deal with other personal information. Now, I recommend basic principles which should be included in a new law regarding biometric information- Prohibition of collection of secrecy, Destruction of the original information, Encryption of biometric information, Prohibition of use of biometric information as an unique identifier, Prohibition of provision of biometric information to the third parties without data subject's consent, Storage of biometric information in a different place where other personal information is stored, Regular auditing(Vulnerability analysis of system), Prohibition of using biometric information for other purposes other than identification purpose in the private sector, Prohibition of collection and use of biometric information without a basis of related laws in the public sector.

      • 형법상 간통죄 처벌 규정의 위헌성에 관한 연구

        김남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3882

        우리 형법은 제241조에서 “① 배우자 있는 자가 간통한 때에는 2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그와 상간한 자도 같다. ② 전항의 죄는 배우자의 고소가 있어야 논한다. 단, 배우자가 간통을 종용(慫慂) 또는 유서(宥恕)한 때에는 고소할 수 없다.”라고 하여 간통죄를 친고죄로 규정하고 있다. 헌법재판소는 간통죄 규정에 대하여 네 차례 합헌 결정을 하였으나, 최근 헌법재판소 2008. 10. 30. 2007헌가17 결정에서는 합헌의견인 재판관이 4인, 위헌의견인 재판관이 4인, 헌법불합치의견인 재판관이 1인으로 헌법에 합치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우세하였다. 간통죄는 세계적으로 폐지되는 추세에 있다. 국가나 사회마다 어느 정도 성에 대하여 개방되어 있는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사랑하는 사람과 성행위를 하고자 하는 열망은 인간의 보편적인 본성이므로 이러한 비교법적인 고찰에서 얻은 시사점도 충분히 그 타당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간통죄 규정에 대해서는 존치론과 폐지론이 대립하고 있다. 간통죄 존치론은 간통은 국가가 개입해야 할 문제라는 점, 일부일처제의 혼인 제도와 건전한 성도덕의 유지를 위하여 간통은 처벌되어야 한다는 점, 사회적․경제적 지위가 미약한 여성의 보호를 위하여 간통죄 규정이 필요하다는 점 등을 근거로 한다. 반면, 간통죄 폐지론은 간통죄 규정은 개인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침해한다는 점, 간통을 처벌하는 것이 가정의 파탄을 불러 올 수 있는 점, 외국의 입법례도 간통죄가 폐지되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 점 등을 근거로 한다. 간통죄 규정과 관련 되는 헌법적 가치에는 성적 자기결정권,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헌법 제36조 제1항, 평등권, 죄형법정주의가 있다. 그 중 성적 자기결정권의 헌법적 근거에 대하여는 우리 헌법에 명문의 규정이 없어 견해가 대립하는데 헌법 제10조 및 헌법 제37조 제1항에서 찾는 견해가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간통죄 규정은 성적 자기결정권과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를 침해하며, 헌법 제36조 제1항 및 죄형법정주의에 위반되는 위헌적인 형벌 규정이다. 또한, 간통죄 규정은 그 예방적 기능을 사실상 잃어버리고 부작용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바, 폐지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간통죄 규정의 폐지는 형법이 아닌 다른 법영역에서의 간통 행위 및 상간 행위에 대한 실효성 있는 입법이나 법적용을 동반하여야만 할 것이다. Article 241 of Korean Criminal Code regulates that "a married person who commits adultery shall be punished by imprisonment for not more than two years. The same shall apply to the other participant(clause 1). The crime in the preceding paragraph shall be prosecuted only upon the complaint of the victimized spouse. If the victimized spouse condones or pardons the adultery, complaint can no longer be made(clause 2)". Korean Constitutional Court sentenced the constitutionality of Article 241 four times, but the arguments that indicate the unconstitutionality of Article 241 were superior in the fourth decision. The global trend is the abolition of the punishment for adultery. The implication of the comparative study is sufficiently valid, because the desire for love is general essentiality of human, although the levels of the sexual liberality are different in every nation and society. On Article 241, the argument for the maintenance of the punishment for adultery and the argument for the abolition of the punishment for adultery are confronted with each other. The backgrounds for the argument for the maintenance of the punishment for adultery are as follows. (1) The adultery is the matter that the national regulation is needed. (2) The adultery shall be punished for the maintenance of monogamy and sound sexual morality. (3) The punishment for adultery is necessary for the preservation of females whose social, economic statuses are feeble. The backgrounds for the argument for the abolition of punishment for adultery are as follows. (1) The punishment for adultery violates the right of sexual self determination. (2) The punishment for adultery causes the failure of family. (3) The abolition of the punishment for adultery is global trend. The constitutional values that are related to the punishment for adultery are the right of sexual self determination, the freedom of privacy, article 36 clause 1, the right to equality, and the principle of legality. The argument for the constitutional background of the right of sexual self determination in article 10 and article 37 clause 1 is reasonable. The provision of the punishment for adultery violates the right of sexual self determination, the freedom of privacy, article 36 clause 1, and the principle of legality. The provision of the punishment for adultery should be abolished, because its function of prevention is practically extinguished and its side effect is resulted. The abolition of punishment for adultery should be accompanied by the effective actions in the other legal areas, which are not criminal.

      • 저작권법상의 정보제공 및 청구제도에 관한 연구 : 이용자의 개인정보보호를 중심으로

        정은아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3880

        세계 최고의 IT 강국인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인터넷 기반시설을 갖추고 있어서 대부분의 국민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고, 이러한 인터넷 기술의 급속한 발달은 저작물의 디지털화를 가져왔으며, 디지털화된 저작물은 손쉽게 공유하고 복제·전송할 수 있어 저작물 유통 분야의 폭발적 성장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환경변화는 이용자들이 저작물을 이용해 보다 많은 지식과 정보를 접하게 하여 과학기술 및 문화발달에 크게 기여하였지만 저작물의 불법복제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하는 등 문제를 야기하였다. 오늘날의 인터넷 환경은 저작물에 대한 침해로부터 강력한 권리보호를 요구하는 저작권자의 입장, 제한된 책임 내에서 온라인상의 저작물이나 정보 등의 유통 사업을 하고자 하는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입장, 그리고 개인정보를 침해받지 않으면서 보다 자유롭게 저작물 등을 이용하고 자신의 생각을 온라인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입장이 서로 얽혀 있는 곳이다.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입장이 강조된다면 다른 이해 당사자에게는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가져다줄 것이고, 그 결과 전체적으로 온라인상의 저작물의 이용 내지 유통이 왜곡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저작권법 제103조의3 이용자정보제공청구제도는 저작물에 대한 권리침해로부터 권리보호를 요구하는 저작권자의 입장에서 제정되었다고 볼 수 있다. 동 조항은 한·미 FTA 협정을 이행하기 위한 정책적인 판단에 따라 미국의 “디지털밀레니엄저작권법”의 정보제출명령규정을 참조하여 제정된 것이다. 즉 동 조항은 미국의 저작권자에 대한 보호 수준에 맞춰서 저작권자가 온라인서비스제공자에게 자신의 저작권을 침해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일련의 절차를 마련한 것이다. 그러나 동 조항은 제정 당시 한·미 FTA 협정 이행이라는 명분과 저작권자의 권리보호에 치우쳐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저작권자에게 과도하게 제공함으로서 이용자의 개인정보(개인정보자기결정권)를 침해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논란이 제기되었었다. 그러나 이러한 논란이 있었음에도 조약이행이라는 명분에 치우쳐 동 조항에 대한 충분한 법리 검토가 이루어졌는지, 저작권자와 이용자 간의 법익을 조화롭게 반영하였는지 의문이 존재한다. 저작권법 제1조에서는 “이 법은 저작자의 권리와 이에 인접하는 권리를 보호하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함으로서 문화 및 관련 산업의 향상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라고 하여 저작권자의 권리만이 아닌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통해 문화 및 관련 산업의 향상발전이라는 공익도 보호대상임을 규정하고 있다. 저작물은 이를 펼치고 활용할 수 있는 사회가 존재하기 때문에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저작자의 권리는 국가가 당연히 보호하여야 할 기본적 권리 중 하나이지만, 저작권자의 저작권침해 주장만으로 헌법상 보장받아야 할 기본권인 이용자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대한 별도의 보호조치가 생략된 채 저작권자에게 제공된다면 이용자는 해당 사안에 대한 사법적 판단 이전에 침해자로 예단되어 이용자가 당연히 누려야할 표현의 자유 등과 같은 기타 다른 권리의 향유까지 방해할 수 있다. 저작권자의 권리보호를 위해 제정된 저작권법 제103조의3은 개인정보보호법과 정보통신망법상의 개인정보 보호 취지와 상반되는 시각으로 이용자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 기타 다른 기본권의 침해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이용자의 개인정보가 저작권자의 입장에 치우쳐 활용된다면 이용자의 적법여부에 대한 법적 판단을 거치지 않은 채 민·형사상 피소대상으로 단정되는 것은 물론 저작권을 침해한 가해자로 내몰리게 된다. 이러한 부당한 내용으로 행정기관의 집행을 유발하는 동 조항에 대해서는 위헌성여부에 대한 판단을 통해 저작권자의 저작재산권과 이용자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이라는 양 기본권 주체의 권리 조화적 차원에서 해당 조항의 개정 혹은 삭제를 통한 조치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Korea is the world's leading IT powerhouse and equipped with a world-class Internet infrastructure, enabling most of the people to use the Internet. Such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ies has brought the digitization of works, together with explosive growth in distribution sector for works which can be shared and reproduced·forwarded easily thanks to digitization. The changing circumstances pave the way for making access to more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utilization of works, leading to advancement in scientific technology and cultural development while causing the problem of exponential increase in illegal reproductions. Diverse players in today's Internet environment take a very different position towards the on-line use of works. Copyright holders demand a strong protection against infringing on their works, online service providers are concerned with limited responsibility in distribution business of on-line works or information, and users want to use works freely for on-line expression of their thoughts while their personal information is not infringed. Emphasis on the position adopted by a specific player will translate into relative disadvantages to the other interested parties, resulting in distorted use or online distribution of works as a whole. In particular, the Request to Provide Information on Users specified in Article 103-3 of the Copyright Act is considered to be enacted by reflecting the position of copyright holders who demand protection from infringement on their rights to works. This provision was enacted by referring to the information submission rules of the U.S. "Digital Millennium Copyright Act." There were considerations in terms of policy behind this introduction to implement the Korea-U.S FTA. So the provision offers a set of equivalent procedures compared with the U.S. counterparts, for the copyright holder to ask the online service provider to provide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s who are considered to infringe on the copyright. However, the provision was the enacted against the backdrop of implementing the Korea-U.S FTA and weighted towards protection of the copyright holder, which provokes controversy of infringement on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o this process poses questions over whether this enactment was based on sufficient jurisprudential consideration independent of the cause of the implementation and whether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is reflected in a harmonized way. The Article 1 of the Copyright Act provides that "the purpose of this Act is to protect the rights of authors and the rights neighboring on them and to promote fair use of work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culture and related industries." This means the public interest of improving and developing culture and related industries through fair use of works is also subject to legal protection, as well as the rights of the copyright holder. The value of works can be recognized thanks to the presence of a society where their development and utilization is possible. Although it is true that rights of copyright holders deserve fundamental rights of protection by the state, users should not be exposed to other types of infringement on fundamental rights. Personal information of users requires constitutional protection such a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o provision of such information by online service provider to copyright holders without any protective measures cannot be justified. Only by the claims of copyright infringement, the users are likely to be subjected to prejudication before official judicial judgment and may not be able to enjoy other rights such as the right to freedom of expression. The Article 103-3 of the Copyright Act enacted for protection of copyright holders has the potential for infringement on fundamental rights of users including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s the Article runs counter to the purpose of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pecifi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the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Allowing personal information of users to be utilized only favorable to the copyright holders poses a serious problem of concluding that the users in question are to blame in copyright infringement case, as well as civil and criminal lawsuits without legal judgment on the users' legitimacy. Enforcement by administrative agencies can be prompted by these unjustifiable events and requires further judgment on constitutionality. Therefore, the Article needs consideration of revision or elimination for the purpose of harmonizing the fundamental rights of both parties, which means copyright holders' rights and users'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 醫療行爲에서의 未成年者 保護 : 意思決定 側面에서의 法的 保護를 中心으로

        임영아 延世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3879

        Since medical practice involves the dual nature of either treatment and intervention on a patient's body, it requires the patient's consent in principle. However, if a patient is a minor, the protection of rights related to proxy decision-making becomes an issue since a person in parental authority or a guardian would generally make a decision on one's medical practice.The patient's consent is the excercise of patient's rights of self-determination on medical practice, but such a right to consent is distinguished from the simple respect of one's intention. Its legal nature is not the declaration of one's intention but its notification, which is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a relationship of medical contract. Therefore, the capacity of consent can be determined apart from the capacity of act by limiting the analogical inference of the provisions on the declaration of intention under the Article 5 of the Civil Act. In addition, although it should be determined independently for each case due to the risk of each medical practice or the diversity of effects on one's body and life, the capacity of consent or the certain capacity of determination generally become its criteria and therefore even a capacity of consent by a minor can be approved. Even a minor whose capacity to consent is denied, a patient's own intention should be respected and protected based on the rights of declaration of intention provided on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Child and furthermore a person in parental authority or a guardian should make a decision by considering the intention of a minor since the respect to a minor's intention itself meets the protection of their wellbeing.Since the right to determination on medical practice of a person in parental authority is not a proxy right but a peculiar right based on rights and duties to protect and educate child (Article 913 & 945, Civil Act), the consent from a person in parental authority or a guardian is also required in principle even if a minor with the capacity to consent. However, if the exercise of proxy determination is irrational against the wellbeing of their children (Article 912, Civil Act), the protection of a minor against it becomes an issue. First, if a minor with a capacity to consent and the proxy decision are not identical and if a patient's own intention is against this wellbeing, the proxy decision might be preferred, but the consent right of a minor is preferred in any other cases. Second, if a person in parental authority or a guardian of a minor without a capacity to consent, it should be considered if medical practice should be performed. If the treatment in question is essential for life-sustainment of a minor, irrational refusal of treatment by proxy decision is not permitted. In addition, the cases of high risk of treatment, suspension and withdrawal of a defected newborn, questionable treatment for the life of a child should be determined through the process of ethics committee, an objectional body, but the proxy decision should be respected if it is difficult ot determine if the treatment is against the wellbeing of a child.The basis and methods to limit or control the validity of overexercised proxy decision are questionable to resolve the conflicts in both disagreement of intentions and refusal of treatment by a person in parental authority or a guardian. In case of a guardian, such problems through general right to govern by the Family Court while there is no way but the full forfeiture of parental authority. Although one can resolve it through provisional disposition or prior disposition to determine a temporary position, the system to deprive only the right to determine medical practice for a concerning case through the legislation of temporary partial deprivation of parental authority to resolve ultimate problems. Moreover, general and comprehensive system to resolve even the financial problems to substantially ensure the protection of the minor in medical practice. 의료행위는 환자의 신체에 대한 치료행위이자 침습행위라는 이중적 태양으로 인해, 원칙적으로 환자의 승낙(동의)이 필요하다. 그런데 환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일반적으로 그 친권자나 후견인이 의료행위에 대한 의사결정(意思決定)을 내리게 되어, 이와 관련한 미성년자 보호논의가 문제된다.이 때 환자의 승낙(동의)은 의료행위에 관한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행사로, 그 승낙권은 단순한 의사(意思)의 존중과는 구별되며, 그 법적 성질은 의사표시가 아니라 의사(意思)의 통지로, 이는 별개의 진료계약을 성립시키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진료계약관계에 포함된다고 볼 것이다. 따라서 민법 제5조의 의사표시에 관한 규정의 유추적용을 제한하여 그 승낙능력을 행위능력과 달리 판단할 수 있고, 각 의료행위의 위험성 또는 생명·신체에 대한 영향력 등의 다양성으로 인해 구체적인 사안마다 개별적으로 판단할 것이지만, 대체로 의사능력이나 일정한 판단능력이 그 기준이 되어, 미성년자인 환자라도 승낙능력이 인정될 수 있다. 비록 승낙능력이 부정되는 미성년자라도, 우리나라도 비준한 UN아동권리협약상의 의사표명권을 근거로 환자 본인의 의사(意思)를 존중·보호해야 하며, 나아가 미성년자의 의사(意思)존중자체가 그 복리에 부합하여 미성년자를 보호하게 되므로, 친권자 등은 미성년자의 의사를 고려하여 그 의사결정을 내려야 한다.미성년자의 친권자 등의 의료행위에 대한 결정권은 대리권이 아니라 보호·교양의 권리·의무(민법 제913조, 제945조)를 근거로 하는 고유한 권한이므로, 승낙능력 있는 미성년자가 승낙하는 경우에도 원칙적으로 친권자 등의 동의결정 또한 필요하다. 그런데 친권자 등의 결정권행사가 그 기준인 자녀의 복리(민법 제912조)에 반하여 불합리한 경우, 이로부터의 미성년자보호가 문제 된다. 첫째, 승낙능력이 있는 미성년자와 친권자 등의 의견이 불일치할 경우, 환자 본인의 의사(意思)가 그의 복리에 반하는 경우에는 친권자 등의 의견이 우선될 것이나,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미성년자 본인의 승낙권이 우선한다고 볼 것이다. 둘째, 승낙능력 없는 미성년자의 친권자 등이 치료를 거절하는 경우, 미성년자에 대해 의료행위를 시행할 수 없는지가 문제된다. 문제되는 치료가 미성년자의 생명유지를 위해 필요한 경우, 친권자 등의 비합리적인 동의거부는 허용되지 않고, 치료의 위험성이 매우 높은 경우, 장애신생아의 치료보류·중단 문제, 또는 치료가 자녀의 생명을 위해 필요한지에 의문이 있는 경우에는 객관적 기구인 윤리위원회의 판단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것이나, 당해 치료가 자녀의 복리에 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친권자 등의 의사를 존중해야 할 것이다.의견의 불일치문제와 친권자 등의 치료거부 문제의 해결 모두 결국에는 친권자 등의 남용된 결정권의 효력을 제한·통제하는 근거와 방법이 문제된다. 후견인의 경우 가정법원의 일반적 감독권한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친권자의 결정권 남용에서는 친권의 전부상실 외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다. 임시의 지위를 정하는 가처분이나 사전처분제도를 통해 해결하는 방법도 있으나, 궁극적인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친권의 일시적·부분적 박탈을 입법하여 문제되는 당해 의료행위에 대한 결정권만을 박탈할 수 있는 제도의 마련이 필요하다. 나아가 의료행위에서의 미성년자보호를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비용부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일반적·포괄적 제도의 마련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