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Growth Borrowed from the Future : An Inquiry into South Korean Development and Social Reproduction Crisis

        Narasya Emanuela Vidia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942

        This paper attempts to conduct a theoretical inquiry and examine the South Korean social reproduction and reproductive crisis context. Starting from an initial inquiry about productive and reproductive work, this paper extends its analysis into the dynamic relation between capitalism and social reproduction, built upon a complex network of socio-economic processes. In the process, this paper drives upon one of feminist politics' discourses of social reproduction, which is Social Reproduction Theory (SRT) and pays attention to the necessary yet contradictory relation between social reproduction and capitalism, which eventually entails a social (reproduction) crisis or social reproductive contradictions of capitalism (Fraser, 2016). By utilising the SRT theoretical framework on social reproduction and the crisis of social reproduction, this paper goes on to analyse the root cause of the social reproduction crisis that prevails in South Korean society by taking a closer look at two historical moments: 1) The state-led development and industrialisation, and 2) The 1997-1998 Asian financial crisis. Throughout the analysis, this paper discovers a contradictory dynamic: South Korean capitalist developmental state and its economic goals stood in opposition to social reproduction. From this contradictory dynamic, contradictions happened and escalated into a social reproduction crisis prevailing in South Korea.

      • 영상 장치에서의 인간 시각 특성을 반영한 Naturalness 개선 및 Gray reproduction 평가

        유병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938

        최근 카메라, 디스플레이, 프린터 등과 같은 영상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영상 장치들의 가격과 성능에 따라 구매를 결정하게 된다. 영상 장치들에서 인간 시각에 인지되는 화질은 영상 장치들의 성능을 나타내는 매우 중요한 지표들 중 하나이다. 영상 장치들의 화질을 결정하는 요소들에는 contrast, sharpness, colorfulness, naturalness, noise, gray reproduction 등이 있다. 영상 장치들의 화질은 하드웨어의 개량을 통해 향상 되거나 소프트웨어의 개선을 통해 향상 될 수 있다. 그러나 하드웨어의 개량에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드는 단점이 있다. 이와 달리 소프트웨어의 개선은 하드웨어의 개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통한 영상 장치들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화질 개선 방법들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화질 평가 방법들이 개발되어야 한다. 영상 장치들의 화질은 정성적인 방법과 정량적인 방법에 의해 각각 평가될 수 있다. 정성적인 평가는 관찰자에 의해 주관적으로 화질을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화질은 궁극적으로 인간 시각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정성적인 평가 방법은 높은 정확도를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각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단점을 갖는다. 정량적인 평가 방법은 계측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하거나 컴퓨터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것과 같이 객관적으로 화질을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측정과 계산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화질을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정량적인 평가 방법은 정성적인 평가 결과와 일치할 때만 의미를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장치들의 화질을 결정하는 요소들 중에서 naturalness와 관련된 기억색 검출, naturalness 평가, 선호색 보정 방법들을 제안하였다. 기억색 검출 방법은 영상으로부터 피부색, 잔디색, 하늘색, 등과 같은 기억색 화소들을 검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안하는 기억색 검출 방법에서는 밝기와 기억색 화소들의 분포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여 전체 밝기 범위를 3개의 구간으로 나누었다. 각 구간에 대한 기하학적 도형의 경계는 유전 알고리즘에 의해 최적화 되었다. Naturalness 평가는 영상 장치들에 의해 재현된 영상의 색이 관찰자가 기억하고 있는 색과 유사한 정도를 수치화 하는 것을 나타낸다. 제안하는 naturalness 평가 모델은 기억색의 밝기에 따라 변화하는 인간 시각의 선호도를 반영하기 위하여 3차원 색 공간에서 설계되었다. 선호색 보정은 영상 장치들에 의해 재현된 기억색에 대한 인간 시각의 선호도를 높이기 위하여 기억색 화소들의 좌표를 수정하는 것이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색 보정과 밝기 보정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서 3차원 색 공간에서 선호색 보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보정 후 기억색의 선호도 증가를 위해 naturalness 평가 결과를 사용하여 선호색 보정량이 결정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기억색 검출, naturalness 평가, 선호색 보정 방법들의 성능은 기존의 방법들과 비교 되었다. 제안하는 방법들은 기존 방법들에 비해 매우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이 분석되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영상 장치들의 화질을 결정하는 요소들 중에서 gray reproduction과 관련된 gray balance 평가 방법과 gray reproduction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Gray balance는 영상 장치들이 물체의 무채색을 그대로 재현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제안하는 gray balance 평가 모델은 인간 시각에 인지되는 색조의 크기를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즉, JND(Just noticeable difference) scale을 사용하여 gray balance를 평가 하였다. Gray reproduction은 영상 장치들의 무채색 재현 능력을 나타낸다. 제안하는 gray reproduction 평가 모델은 gray balance 평가 결과와 영상 장치들의 무채색 계조 재현 능력을 나타내는 gray tone reproduction 평가 결과를 사용하여 설계되었다. 제안하는 gray balance 평가 방법과 gray reproduction 평가 방법은 모델 설계에 사용되지 않은 영상들을 이용한 시각 실험을 통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제안하는 평가 방법들이 시각 실험 결과와 매우 높은 상관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 발터 벤야민의 미학에서 '아우라(Aura)'의 몰락과 지각의 변화

        김광남 대진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935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은 20세기 초반 세계경제공황과 나치스 부상이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우던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 말기에 활동한 문화철학자이자 미학자이다. 그는 루카치, 아도르노와 함레 당시 독일 문화비평계를 대변한다. 그는 제국주의가 전쟁으로 치닫던 광기의 시대에 유럽대륙 한복판에서 대중문화의 본질에 대해 고민했다. 그리고 그는 마르크스의 유물론과 유대교 신비주의를 미학적으로 결합하여 대증문화의 현실을 파악하고 미래를 진단했다. 벤야민은 "기술복제의 등장으로 예술작품의 아우라(Aura)가 몰락한다"는 그만의 독특한 언어로 현대 대중문화의 징후를 분석했다. 그러나 1980년대를 전후해서 국내에 본격적으로 수용되기 시작한 벤야민의 미학은 이해하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었다. 특히 그의 미학이론, 그 가운데 '아우라' 개념은 명확히 이해하기 어려웠다. 왜냐하면 벤야민의 글쓰기가 특유의 시적 언어와 은유적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벤야민의 미학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개념인 '아우라'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 「사진의 작은 역사」 (1931)와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1936)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특히 '아우라'가 갖는 이중적이고 양면적인 특성, 즉 전통예술의 불안한 위기로써의 부정적 측면과 현대예술의 등장이라는 긍정적 측면을 함께 고찰한다. 벤야민의 두 저작을 통해서 나타나는 '아우라'란 "아무리 가까이 있더라도 어떤 먼 것의 일회적 나타남", 즉 유일한 예술작품이 시간과 공간을 점하면서 갖게 되는 일회적 현존재성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그래서 '아우라'에는 시공간적 의미로써 진품성, 역사성, 전통성과 같은 개념이 공존한다. 대표적인 예술형식으로는 회화와 연극이 있다. 그러나 기술복제의 등장으로 이와 같은 전통예술의 '아우라'는 몰락한다. 이것이 바로 벤야민이 밝힌 '아우라의 몰락'이다. 다시 말해서 "아무리 가까이 있더라도 어떤 먼 것의 일회적 나타남"으로 표현되는 전통예술의 '아우라'는 기술복제를 통해서 "일회적 나타남"이 파괴된다. 기술복제는 일회적 산물을 대량생산된 산물로 대치시키고 현재화한다, 그럼으로써 "아무리 가까이 있더라도 어떤 먼 곳 일회적 나타남"을, "아무리 멀리 있어도 어떤 가까운 것의 반복적 나타남"으로 바꾸어 놓는다. 대표적인 예술형식으로 사진과 영화가 있다. 그리고 기술복제에 따른 '아우라의 몰락'이 갖는 의미는 이중적이다. 회화와 연극으로 대표되는 전통예술에 있어 '아우라의 몰락'이란 예술작품의 권위상실로 압축될 수 있다. 가령 예술적 장인의 혼이 담긴 유일한 회화작품은 기술복제로 인해 대량으로 복제되어 언제 어디서나 쉽게 감상할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예술작품은 권위와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 이것이 '아우라의 몰락'이 갖는 부정적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벤야민이 무조건적으로 기술복제시대를 비판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는 기술의 발달로 인한 '아우라의 몰락'에서 무한한 가능성과 희망을 찾는 긍정적 측면에 주목한다. 가령 기술복제로 인해 상실된 예술작품의 진품성에 대한 논의는 의미가 없어지더라도 새로운 예술의 사회적 기능, 즉 대량생산으로 인한 예술일반의 몰락이 아니라 대중예술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시작될 것이다. 이러한 큰 뜻에서 '아우라의 몰락'은 예술의 가치변화를 가져왔다. 그리고 예술이 전통적 기능으로서 종교의식에 종사했다면 '아우라'가 몰락된 예술작품은 숭배의 대상이 아니라 즐김의 대상으로 변화된다. 이와 같은 예술의 가치변화에 대해서 벤야민은 환영하며 긍정한다. 무엇보다도 벤야민의 미학에 있어 철학적인 중요성은 지각변화에 관한 인식이다. 즉, 기술복제의 등장으로 예술작품은 대량생산되어지고, 그에 따라 유일성에 의한 예술작품의 의식가치는 사라지고 전시되어질 기회가 늘어났다. 결국 예술작품에 대한 대중의 수용과 인식은 큰 변화를 맞이한다. 그것이 바로 지각의 변화이다. 마치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을 통해서 충동의 무의식적 세계를 알게 된 것처럼 기술복제술을 통해서 시각의 무의식적 세계와 촉각수용이라는 지각의 변화와 심화를 이루게 된 것이다. 예를 들어, 카메라의 보조수단이 지닌 하강과 상승, 중단과 분리, 확대와 축소를 통해서 우리가 지금까지 볼 수 없고 의식할 수 없었던 공간을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끝으로, 벤야딘에 따르면 대중이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등장한 기술 복제 시대의 예술은 대중을 위한 대중문화이다. 가장 대표적인 예술 형식이 영화이고, 영화란 하나의 새로운 정치 대안으로서 "예술의 정치화"를 실현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이다. 그의 1930년대 저작들, 특히 「사진의 작은 역사」와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은 예술의 정치화를 위한 저작들이라고 할 수 있다. 벤야민에 의하면 기술복제에 의한 예술작품의 대중적 참여는 대중의 지각을 확장시키는 동시에 정치적 진보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특히 영화는 집단적 수용방식에서 대중의 각성과 계급적 조직화, 즉 대증을 정치적 계급으로 조직할 수 있는 수단으로 작동할 수 있다. 그래서 전통예술과 다르게 대상에 대한 집중을 막아주고, 대상과의 거리감을 두게 하고, 이를 통해 대상에 대한 새로운 인식, 비평 태도를 갖게 하는 기술복제술에 주목한다. 이것이 바로 사진과 영화가 갖는 "예술의 정치화"이다. Walter Benjamin Walter Benjamin, born on July 15, 1892, studied philosophy in Freiburg, Munich, Berlin and Bern. Earning a degree with his "Concept of Criticism in German Romanticism", he was not successful in his attempt to become a university professor. His Habilitationsschrift, "On the Origin of the German Tragic Drarna"(1925),was rejected by Frankfurt University only to become a canonized classic ow 20th Century literary criticism. Benjamin made his living as a free-lance author and translator' in Berlin, where he also took part in progressive German psychopharmacological research. A prolific critic, he was forced into exile by the Nazis in 1933. Emigrating to France, he became a member ow the Institute ow Social Research(which included May Horkheimer, Theodore W. Adorns, Herbert Marches, Otto Kirchheimer, Frederick Police, Leo Lwenthal, Franz Neumann, Karl Wittvogel and others). Benjamin made an attempt to join the Institute when it emigrated from Paris to New York. In Right from the Gestapo he took his own life in the Spanish border-town of Port Boo on September 27, 1940.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First of all, his most important publications is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A 19361 It attempts to describe that profound changes are impending in the ancient craft of the Beautiful. That is to say, in all the arts there is a physical component which can no longer be considered or treated as it used to be, which cannot remain unaffected by our modern knowledge and power. So, Benjamin described a great innovations to transform the entire technique of the arts, thereby affecting artistic invention itself and perhaps even bringing about an amazing change in our very notion of art.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his publication is as follows. Mechanical Reproduction In principle a work of art has always been reproducible. And man-made artifacts could always be imitated by men. However mechanical reproduction of a work of art at the beginning of the nineteenth represents something new. In other words, the technique of reproduction reached an essentially new stage. For instance, for the first time in the process of pictorial reproduction, photography freed the hand of the most important artistic functions which henceforth devolved only upon the eye looking into a lens. Since the eye perceives more swiftly than the hand can draw, the process of pictorial reproduction was accelerated so enormously that it could keep pace with speech. A film operator shooting a scene in the studio captures the images at the speed of an actor's speech. Therefore, around 1900 technical reproduction had reached a standard that not only permitted it to reproduce all transmitted works of art and thus to cause the most profound change in their impact upon the public; it also had captured a place of its own among the artistic processes. The Aura and Decay of the Aura But, even the most perfect reproduction of a work of art is lacking in one element. According to the Benjamin, its presence in time and space, its unique eyistence at the place where it happens to be. In other words, one might subsume the eliminated element in the term "aura" and go on to say: that which withers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is the "aura" of the work of art. Therefore, mechanical reproduction lead to decay of the aura. In addition, the technique of reproduction detaches the reproduced object from the domain of tradition. By making many reproductions it substitutes a plurality of copies for a unique eyistence. And in permitting the reproduction to meet the beholder or listener in his own particular situation, it reactivates the object reproduced. These -two processes lead to a tremendous shattering of tradition which is the obverse of the contemporary crisis and renewal of mankind.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rrerhanicaall reproduction is not the painting and the theater but photography and the film. For example, Eugene Catgut and August Sander is the most representative photographer. And Charles S. Chaplain, Serge M. Einstein and Vsevolod. I. Pudovkin is the most representative director of the films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Especially, the film is the most representative technique of reproduction. Variety of Perception According to the Benjamin, mechanical reproduction of art have the positive characteristic for decay of the aura. Its including that the exhibition value, the progressive reaction, distraction, and tactile appropriation. That is, means that variety of perception, First, In the case of photography, mechanical reproduction is inherent in the very technique of photography production. This technique permits in the most direct way but virtually causes mass distribution. So, mass distributed photography has not the cult value but the exhibition value. In fact, the photography gave rise to the simultaneous contemplation by a large public. Second, Mechanical reproduction of art changes the reaction of the masses toward art. In other words, the reactionary attitude toward a Picas painting changes into the progressive reaction toward a Chaplain movie. The reactionary attitude is distinguish the critical attitude and the receptive attitude. The other hand, the progressive reaction is involving both the critical attitude and the receptive attitude. Because, the films showing at the cinema which gathered the crowd. The decisive reason for this is that individual reactions are predetermined by the mass audience response they are about to produce, and this is nowhere more pronounced than in the film. The moment these responses become manifest they control each other. Therefore, With regard to the screen, the critical and the receptive attitudes of the public coincide. That is the progressive reaction. Third, from an alluring appearance or persuasive structure of sound the mechanical reproduction of art became ann instrument of ballistics. It hit the spectator like a bullet, it happened to him, thus acquiring a tactile quality. For instance, it promoted a demand for the film, the distracting element of which is also primarily tactile, being based on changes of place and focus which periodically assail the spectator. Tactile appropriation is accomplished not so much by attention as by habit. As regards architecture, habit determines to a large extent even optical reception. This mode of appropriation, developed with reference to architecture, in certain circumstances acquires canonical value. For the tasks which face the human apparatus of perception at the turning points of history cannot be solved by optical means, that is, by contemplation, alone. They are mastered gradually by habit, under the guidance of tactile appropriation by the mechanical reproduction. As we have said above, the mechanical reproduction changes the reaction of the masses toward art. And the point of change is variety of perception. The variety of perception including a change that the exhibition value from the cult value, the progressive reaction from the reactionary attitude, tactile appropriation from optical reception. Its leads to deeping of apperception. So, the variety of perception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is similar to the psychoanalysis of Sigmund Freud. In other words, the mechanical reproduction introduce us to unconscious optics as does psychoanalysis to unconscious impulses. For instance, for the entire spectrum of optical, and now also acoustical, perception the film has brought about a similar deepening of apperception. Politicizing Art Finally,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attempts to describe the changed experience of art in the modern world and sees the rise of Fascism and mass society as the culmination of a process of debasement, whereby art ceases to be a means of instruction and becomes instead a mere gratification, a matter of taste alone. "Communism responds by politicizing art" - that is, by making art into the instrument by which the false consciousness of the mass man is to be overthrown.

      • Automatically reproducing bug report for android applications based on images

        Kou, Yanran Sungkyunkwan university 2021 국내석사

        RANK : 2925

        Automated bug reproduction aims at assisting developers in efficiently replicating bugs reported by users on developer’s local machines. This activity involves the automation of bug reproduction trace generation and target bug verification (i.e. leveraging a bug oracle to check whether the triggered bug is the reported one). Recently, intensiv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automatically translating bug reports into executable reproduction traces. However, existing works still have difficulty in achieving good performance in test case (bug reproduction trace) generation. Moreover, all of them rely on crash stack trace for bug verification, thus failing to reproduce a significant number of Graphical User Interface bugs. To address the performance problem in bug reproduction trace generation, we propose an automatic approach that adopts a hybrid guided exploration strategy combining history interaction pattern learning with bug reports in exploration. To solve the problem of bug verification automation, we leverage the error screenshot in bug report as oracle and introduce a novel structural difference – based image comparison to detect whether a runtime screenshot is semantically the same with the oracle image. We implemented our approach in a tool called AutBreg. The empirical study upon 52 real-world Android bug reports indicates that AutBreg outperforms existing bug reproduction approaches via improving the success rate by 22.4%. Meanwhile, AutBreg can successfully verify 80.8% of the total target bugs within acceptable time cost. Automated bug reproduction은 개발자가 개발자의 로컬 컴퓨터에서 사용자가 보고한 버그를 효율적으로 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것을 목표로한다. 이 활동에는 automation of bug reproduction trace generation 및 target bug verification (즉, 버그 오라클을 활용하여 트리거된 버그가 보고된 버그인지 확인)이 포함된다. 최근에는 버그 보고서를 실행 가능한 reproduction traces로 자동 변환하는 집중적인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기존 작업은 여전히 테스트 케이스 생성에서 좋은 성능을 얻기가 어렵다. 더욱이 이들 모두는 버그 확인을 위해 crash stack trace에 의존하므로 상당한 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버그를 재현하지 못한다. Bug reproduction trace generation의 성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안내 탐색에서 히스토리 기반 상호 작용 패턴 학습과 버그 보고서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가이드 탐색 전략을 채택한 자동화된 방식을 제안한다. Bug verification automation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버그 보고서의 오류 스크린 샷을 오라클로 활용하고 새로운 구조적 차이 기반 이미지 비교를 도입하여 런타임 스크린 샷이 오라클 이미지와 의미상 동일한지 여부를 감지한다. 우리는 47 AutBreg라는 도구로 제안된 접근방식을 구현했다. AutBreg는 52개의 실제 Android 버그 보고서에 대해 기존 관련 연구보다 22.4%로 더 많이 버그를 재현하며 총 버그의 80.8 %를 성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 ICT를 활용한 수업이 인간 생식에 관한 이해와 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현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924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 과정에서 강조하는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ICT)를 활용하여 가르친 학생들의 생식에 관한 이해와 태도의 변화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고등학교 1학년 소단원인 "생식"에 대해 ICT를 활용한 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고, 그 지도안을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한 고등학교 1학년 8개 학급 267명으로, 남녀 각각 2개 반은 개발된 ICT 학습 지도안에 의해 수업한 실험집단으로 1인 1 개인용 컴퓨터가 갖추어진 전산 실습실에서 수업을 하였고, 나머지 남녀 각각 2개 반은 비교집단으로 교과서를 중심으로 만든 수업 지도안에 따라 일반 교실에서 수업하였다. 검사도구는 생식의 이해를 묻는 지필 고사와 성 의식에 대한 설문지로서,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에 수업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ICT활용 교육은 학생들에게 학습에 대한 흥미 유발과 관심을 가지게 했고 문제 해결력에 있어서도 자기 주도적, 능동적인 학습능력을 제공하였다. 과학 개념 이해의 경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의 평균값은 단순한 개념을 묻는 문항에서는 비슷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개념과 자료해석 부분에서는 실험집단이 더 높아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의식에 관련된 설문의 검사에서는 수업 시간에 여러 가지의 문제점 혹은 논쟁점들에 대한 정보탐색과 채팅 프로그램이나 인스턴트 메시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쪽지를 교환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더 긍정적인 혹은 높은 성에 관한 인식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로 볼 때 ICT활용 수업 지도안을 통한 수업은 지역, 학교의 환경, 학생들의 수업에 임하는 태도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의 개념 이해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웹 상에서의 토론을 통해 학생들은 서로의 잘못된 성의식을 수정하고 다양한 의견들을 접하는 데에 좋은 기회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applied lessons on understandings of and attitude toward reproduction. The high school teachers developed the "reproduction" lesson plans using ICT and taught them to their class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 classes of 267 students who have attended a high school at Gwangju. The male classes and two female classes were taught ICT based lessons at the computer lab where a personal computer was assigned to each student. Another two male classes and two female classes were taught in the context of the traditional classroom. The assessment instruments were the understanding test on reproduction and the attitude questionnaire on human reproduction. They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lesson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ICT applied instruction enabled students to get more interested in learning and to develop their self-leading and active ability to learn how to solve. While there were 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knowledge of reproduc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 ICT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average in the items of difficult concepts and the items of interpreting data. Compared with the comparison group, the ICT experimental group statistically made some meaningful differences on the perceptions of human reproduction issues and problems questions which the ICT group learned in the forms of searching social issues related to sex, exchanging messages through instant messaging programs, and chatting. In conclusion, the ICT lessons were effective to foster understanding of reproduction concepts and morality toward human reproduction. Discussions on the web enabled students get some feedbacks on their preconceptions from other students.

      • A genetic network of winged-helix transcription factors regulating sexual reproduction in the homothallic fungus Fusarium graminearum

        황보아람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907

        Fusarium graminearum is a destructive plant pathogenic fungus causing Fusarium head blight (FHB) on various cereal crops. The infection of this fungus leads to severe yield losses and contamination of mycotoxins, such as trichothecenes and zearalenone, that are harmful to humans and animals. This fungus produces two types of spores through sexual and asexual reproduction. During sexual reproduction, ascospores are produced and discharged from the fruiting bodies ‘perithecia’, serving as the primary inocula in the following spring. In plant disease epidemiology, sexual reproduction is crucial in that it increases genetic diversity of population and provides overwintering structures such as perithecia and associated tissues. It has been known that mating-type factors act as master regulators in sexual reproduction, but there is still a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sexual developmental stages. Winged-helix transcription factors (TFs) are key regulators of embryogenesis and cell differentiation in higher eukaryotes. In several fungal species, it also has been revealed that they are involved in fungal morphogenesis and development. In F. graminearum, there are 28 putative winged-helix transcription factor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i) to determine the roles of winged-helix genes and ii) to figure out their genetic relationship with mating-type genes during the sexual development in this fungus. In this study, nine winged-helix TFs that appeared to be important for sexual reproduction were investigated. Deletion, complementation, and overexpressing mutants were generated, and their phenotypes were analyzed. All deletion mutants were self-sterile and defective in perithecia formation and/or ascospore development. Extensive outcross analyses revealed that, four self-sterile mutants, Δgzwing15, Δgzwing16, Δgzwing20, and Δgzwing27, had both female and male fertilities same as mating-type gene mutants. Moreover, these four genes were expected to have essential roles in sexual reproduction by constructing genetic networks with mating-type ge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molecular genetic regulation of sexual development in fungi. 붉은곰팡이(Fusarium graminearum)는 전 세계적으로 주요작물에 병을 일으켜 경제적 손실을 일으키고 인축에 유해한 곰팡이 독소를 생산하는 중요한 식물병원성 곰팡이이다. 붉은곰팡이는 유성생식을 통해 유전적 다양성을 획득하고 병 전파에 있어 일차전염원으로 작용하는 자낭포자를 생산한다. 유성생식과정에서 Mating-type 유전자가 주요 조절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유성생식과정의 분자생물학적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Winged-helix 전사조절인자는 진핵 생물에서 발생 및 세포분화의 주요 조절자이다. 붉은곰팡이는 28개의 winged-helix 전사조절인자를 가지고 있다고 밝혀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성생식과정에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9개의 전사조절인자의 기능을 조사하고, 유성생식과정에서 mating-type 유전자와의 유전적관계를 분석하였다. Winged-helix 유전자의 결손변이체, 형질복원체, 과발현체를 제작하여 이들의 표현형을 분석하였다. 모든 결손변이체는 유성생식과정에서 결함을 보였다. 또한 outcross를 통해 GzWING15, GzWING16, GzWING20, GzWING27 결손변이체가 mating-type 유전자와 동일하게 female과 male 생식능력을 모두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성생식과정에서의 전사량 분석을 수행하여 winged helix 유전자와 mating-type 유전자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winged helix 유전자가 유성생식과정과 mating-type 유전자에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들이 유전적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유성생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

      • Nuclear Reproduction: Race, Gender, and Reproductive Control in US Cold War Speculative Fictions

        Collins, Mark Edward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The University of 2020 해외박사(DDOD)

        RANK : 2894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This dissertation argues that race, gender, and reproduction together played a major role in shaping the Cold War American imagination. Using an intersectional approach, “Nuclear Reproduction” finds that normative notions of reproduction grounded in whiteness and masculinity organized much of American domestic life but so too did the threatening specter of nonwhite female reproduction. From the 1940s to the 1980s, US culture was permeated with racialized and gendered reproductive images, such as the cookie-cutter nuclear family, the unassimilable Asian immigrant, and the bad black mother. These figures appeared frequently in speculative fictions, or texts that map out potential futures. From civil defense manuals and nuclear war scenarios to overpopulation polemics and science fiction novels, speculative fictions helped to construct the ideal of the nuclear family, police the racial borders of the national body, and offer strategies to survive in a post-nuclear world. Within these fictions, the interplay between racism and sexism was crucial, albeit paradoxically, to Cold War understandings of American freedom, domestic harmony, and cultural democracy.Each chapter in this dissertation explores a different decade of the Cold War in relation to a larger reproductive issue. Chapter one, about the years immediately following World War II, looks at the emergence of the nuclear family as a strategy of domestic containment in civilian nuclear defense and post-nuclear-war fiction. Chapter two, covering the late 1960s to the early 1970s, focuses on the anti-Asian racism and xenophobia that suffused fears of a global population explosion as expressed in overpopulation fiction. Chapter three, on the Reagan Era, uncovers the interspecies dependencies that sustain post-nuclear life in Octavia Butler’s Xenogenesis trilogy and that disrupt conservative reproductive ideologies of the 1980s.

      • 機械 複製時代의 藝術作品에 있어서 'Aura'에 대한 硏究

        高亨在 경기대학교 조형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891

        지난 두 세기 동안 인류에게는 기술의 발전으로 엄청난 양과 질의 풍요와 번영이 함께 했고 기술이 주는 물질적인 생활수단의 광대한 보급이 전세계적인 규모로 이루어 졌다. 기술과 기계가 주는 편리함이라는 혜택이 없이 이제는 그 누구도 현대사회를 살아갈 방법이 나지 않을 정도로 기술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그 발전의 속도와 맞먹을 정도로 크다 하겠다. 이러한 기술과 기계의 영역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는 의미에서의 예술은 처음부터 인격적인 영역에 속해 있었다. 그리고 그 목적은 거기에 부수되는 여러 가지 기계적인 기능과는 상관없이 인격의 영역을 골고루 확장시켰고, 여러 감정, 정서, 태도, 가치 등이 특정한 개인이나 문화에서 이루어져 개성적인 형식을 통해 자신들이 지닌 힘과 의미를 다른 사람들과 문화에 전달할 수 있었던 것이다 공감(sympathy)과 감정이입(empathy)은 예술 특유의 방법들로서 사람들은 이것들을 통하여 다른 사람의 심오한 체험을 느끼기도 하고 거기에 동화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예술의 고유한 영역들을 기술의 발달로 인한 기계복제(機械複製) 예술품이 제작되어 침범하였고, 다른 한편으로 인격적인 영역에 속해있던 예술품을 인간으로부터 밀어내고 대신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제는 사진, 인쇄물, 영화, 텔레비전, 디지털 매체 등의 기계복제품의 홍수 속에 고유한 예술품의 의미와 가치를 모르고 우리는 지금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예술의 기계복제품에 의하여 예술품이 본래 갖고 있었던 기능과 가치, 의미는 그것이 갖고 있었던 독특한 특징을 내보이지 못하고, 권위와 영광을 뒤로한 채 서서히 쇠락의 길로 가고 있다. 이제는 원본이라는 진위 가치가 기계 복제품에 의하여 쓸모 없게 되어버린 것처럼 말이다.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은「기계복제 시대의 예술작품」이라는 그의 논문에서 ‘아우라(Aura)’ 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기계복제품의 영향으로 원작이나 원본만이 유일무이 하게 가지고 있었던 ‘아주 가까이에 있는 것이라 할지라도 얼마간의 거리를 지닌 유일한 현상’ 인 영적 분위기 ‘아우라’ 가 쇠퇴와 파괴가 거듭되었다고 정의한다. 이렇게 예술품의 기계복제가 ‘아우라’ 를 쇠퇴시키고 파괴에 기여했다면, 그것은 원작과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아우라’ 를 분리시킬 수 있다라고 할 수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상황과 연관되어 생겨나는 역사, 사회, 심미적 과정들이 어떤 변화의 징후를 나타낼 수밖에 없게 되었으며, 그 변화의 징후의 결과는 현재 기술문명의 확대로 인한 기계복제 시대의 도래와, 그와 상반되어지는 ‘아우라’ 의 후퇴에 관한 수많은 담론들을 쏟아 내게 인도하였던 것이다. 동시에 예술성을 상징하는 오르페우스와 기술성을 대표했던 프로메타우스와 의좋은 공생(共生)의 관계가 파괴되었다는 위기의식과, 한편으로는 예술이 고대로부터 내려오던 종교나 제의의식의 기생(寄生)에서 해방시켰다함으로 예술의 진정한 자율성의 확보를 의미하기도 하였다. 어떻든 간에 기계복제 시대에는 과거로부터 전승 되어왔던 예술품의 기능과 목적, 가치를 포함한 제작활동과 그것의 수용관계가 엄청나게 변화되었음이 시사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것은 기계 복제시대의 기계복제 예술품의 활약으로 특정한 계급만이 향유하던 예술품을 일반 대중들도 쉽게 소유할 수 있도록 하여준 것처럼 대중들이 승리하는 민주주의의 길을 열어 주었지만, 인간의 생활을 합리적으로 인도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기술과 기계이라는 것이 인격 전체 속에 흡수되어 기여(寄與)하지 않고 도리어 인간의 사상과 인격이 기계에 예속되어 기계복제의 전승물로 ‘아우라’ 의 파괴가 선택되었다. 그것은 예술에 있어서의 종래 손으로 일할 수 있을 때 허용되었던 ‘선택(選擇)의 자유(自由)’ 와 ‘개성(個性)의 가치(價値)’ 를 어떻게 회복시킬 것인가? 라는 많은 질문들을 역설적으로 우리들에게 던져주었던 것이다. For the last two centurie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has brought immense affluence and prosperity to the mankind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The convenient material means of living created by the technology have spread all over the world, and there is no way to exist in modern society without the benefit from the technology and machinery. So it could be said that the technology's impact on our lives is as great as its own speed of development. Art originally belonged to the personal area in the sense that it could be separated from the technology and machinery. It was capable of expanding the personal area, no matter how many mechanical functions it was exposed to, and of conveying the feelings, emotion, attitude and values of an individual or a culture to other people and cultures in an individual, original form. Especially, people could feel and assimilate themselves to the profound experiences of others through sympathy and empathy. However, this original singular art is now invaded by mechanically reproduced works of art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y actually push the personal domain aside and take their places. The flood of mechanically reproduced things, such as photograph, printed matter, movies, television or digital media, might rob us of the meaning and worth of art works, which are forced to fail to display their own singular worth,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gradually on the wane, despite the dignity and glory in the past. The original is no longer valuable as in the past because of mechanically reproduced ones. In his essay titled The Works of Art in the Mechanical Reproduction Age, Walter Benjamin introduced the concept of Aura. Aura is created only by the original, for it is a phenomenon and spiritual atmosphere of some distance even from its nearest one. He argued that Aura has repeatedly been faded away and ruined by Mechanical Reproduction. If the mechanical reproduction really can be said to contribute to the breakdown of Aura, we will be able to say that a work of art and its Aura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Consequently, there appeared unavoidable signs of change in the relevant historical, social and aesthetic processes, and there are numerous discussions about the coming of the mechanical reproduction age and the decline of Aura. At the same time, this situation fuels a sense of crisis that the amicable relationship between Orpheus, a symbol of art, and Prometheus, a symbol of technology, is ruined. In a sense, it means that art gains the true autonomy for being liberated from the religion and sacrificial rites on which it has been parasitic since the ancient times. Anyway, the introduction of the mechanical reproduction age indicates there is a huge change in the function, goal, values and production of art works that have been handed down from the past. The mechanical reproduction age paves the way for democracy, as even the masses can possess works of art which only the higher classes enjoyed in the past. In effect, however, the technology and machinery is neither absorbed in the personality of the humen nor contributes as a means of making human life more rational. Instead, the thoughts and personality of are subordinate to the machinery, and Aura is destructed. And now we face many crucial, paradoxical questions including how our freedom of selection and the worth of individuality which we have been enjoying could be restored.

      • Effect of long-term exposure to bezafibrate on steroidogenesis and reproduction of Japanese medaka(oryzias latipes)

        하나영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891

        Fibrates are commonly used lipid regulator to control hypercholesterolemia in humans, and have been frequently detected in the freshwater environment. Bezafibrate is one of lipid regulators and has been detected in streams at up to 202.7 ng/L. While lipid regulation may lead to altered steroidogenesis, endocrine disruption potential of bezafibrate in aquatic non-target organisms has not been well documented. Present study aimed to understand ecological risks of this lipid regulator, and to identify potential endocrine disruption and related mechanisms. The PNEC is the concentration below which exposure to a chemical is not expected to cause an adverse effects. The MEC is the detecion levels found in environmental sample. The PNEC value of bezafibrate was calculated at 2.3 μg/L and hazard quotient (HQ) based on PNEC and MEC values was estimated at 0.09. Following long-term (135 day) exposure of Japanese medaka (Oryzias latipes) to bezafibrate (0.01, 0.1, 1, 10, or 100 mg/L), reproduction performance of the fish, e.g., number of eggs, hatchability, and hatching time, was affected. Such changes were accompanied by sex hormone alterations, i.e., significant E2 increase in female and decreasing T in male fish, at 165 days post-hatching (dph). Changes in sex hormone concentrations were supported by regulational changes of several steroidogenic genes. In gonads, steroidogenic genes such as star, 3β-hsd, cyp11b, and cyp19a showed up-regulation following the exposure. Bezafibrate appears to regulate lipid metabolism, as suggested by up-regulation of ppara1, ppara2 gene expression were observed in both male and female fish. However, plasma cholesterol levels were only reduced in male fish following the exposure. Increased steroidogenesis following long-term bezafibrate exposure in fish is different from the observations of the 30 day early life stage exposure and other previous reports. Our observations clearly show that long-term exposure to this lipid regulator can stimulate steroidogenesis among aquatic non-target species and increase estrogenicity that could lead to changes in reproduction.

      • 랫드에서의 L-glutamic acid에 대한 생식/발생독성 스크리닝 시험

        조기연 건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879

        Reproductive/developmental toxicity screening test study of L-Glutamic acid was Investigated in rats orally treated with 250, 500 and 1000 mg/kg. The test was performed based on the OECD test guideline 421 and GLP principles. This study does not provide complete information on all aspects of reproduction and developmental. It offers only limited means of detecting postnatal manifestations of prenatal exposure, or effects that may be induced during postnatal exposure.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no incidence of death was observed in any of the groups. Cannibalism, discoloration of liver and lung, vaginal cyst and non-pregnant was observed in a few rats but the symptom was not does-dependent. Histopathological analysi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treated groups. Toxicity endpoints of reproduction/developmental screening test including mating, fertility, corpora lutea, implantation, delivery, litter size, neonatal death, sex ratio and viability ration, body weights of pups were measured and the results showed no toxicological evidences. Based on the findings, the no-observed adverse-effect level (NOAEL) of L-glutamic acid was considered to be 1000 mg/kg for reproduction/developmental toxicity in parent animals and for F1neon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