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comparative study of the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of singapore and China's world-class universities : The cases of th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and Peking university

        Wang, Jinyan Sungkyunkwan University 2022 국내석사

        RANK : 232271

        Internationalization is a vital part of university development and essential for building a world-class university. The internationalization of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and Peking University has progressed significantly during the last two decades, yielding impressive outcom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the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of th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and Peking University, as well as to draw implications for China’s first-class universities.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provide concrete and feasibl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of Korean universities and other Asian universities. There were three topics in this study. Firstly, what are the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of NUS and PKU respectively? Secondly, what 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of the two universities? Thirdly, what implications can provide for China’s first-class universities? The study was mainly conducted via literature review, and it establishes a comparative analysis framework based on the results of Knight and de Wit's research on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This study first made a specific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of NUS and PKU from two perspectives of organizational strategy and program strategy and then compared the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of the two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below. First of all, the two universities'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are pretty similar. They have formulated particular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established specific international affairs offices, supplied various services, and attached importance to recruiting foreign talents. Moreover, they all offer a diverse range of international programs to students and teachers, place a premium on English instruction, and are dedicated to establishing international research networks, joining the International University Alliance, coordinating industry-university-research development, and providing social services. Second, the governance structure, the scope of functions of the Office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 method of attracting foreign talent, the sorts of international activities, and the building of an overseas incubation platform differ between the two universities. Therefore, Chinese first-class universities should develop specific inter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and short-term goals, establish offices responsible for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and improve outstanding foreign professors' recruitment systems. They also need to actively seek in-depth cooperation with top foreign universities, provide students with a broader range of international projects, attach importance to the training of entrepreneurial talents, and actively build an overseas incubation platform. 국제화는 대학 발전의 중요한 부분일 뿐만 아니라 세계 일류 대학을 건설하는 데 있어서도 중요한 부분이다. 지난 20 년 동안 싱가포르 국립대학과 베이징대학의 국제화는 급속도로 발전하여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싱가포르국립대와 북경대학의 국제화 전략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비교분석하고, 중국 일류대학의 국제화 발전에 대해 시사점을 주고자 하는 것을 목적이다. 본 연구는 또한 한국 대학과 다른 아시아 대학의 국제화 미래 발전에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NUS 와 PKU 의 국제화 전략은 각각 무엇인가? 두 번째로, 두 대학의 국제화 전략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세 번째, 중국 일류 대학에 대해 어떤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까? 연구 방법은 주로 문헌 연구를 토대로 이루어졌으며, Kight 와 de Vit 의 대학 국제화 전략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분석 틀을 구축했다. 본 연구는 우선 조직 전략과 프로그램전략의 두 가지 측면에서 NUS 와 PKU 의 국제화 전략을 구체적으로 분석한 후, 조직 전략과 활동 전략의 8 가지 요소에 따라 두 대학의 국제화 전략을 비교분석을 했다. 세 가지 연구 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우선 두 대학은 국제화 전략에서 동일점은 점이 많다. 그들은 전문적인 국제화 전략을 수립하고, 국제 업무를 담당하는 특별 사무소를 설치하고,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외국인 인재 채용에 중요시하고 있다. 그들은 학생들과 교사들에게 풍부한 국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영어 교습을 중요시하며, 해외 연구 네트워크 구축, 국제 대학 연합 가입, 산학 협력 발전, 사회 서비스 제공에 전념하고 있다. 두 번째로 지배구조, 국제관계행정실의 기능 범위, 외국인 인재 유치 방안, 국제활동 유형, 인큐베이팅 플랫폼 구축 등에서 두 학교의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중국 일류대학들을 위해 전문적인 국제화 발전 전략과 단기 목표를 수립해야 하고 국제화 전략의 수립 및 집행을 전담하는 부서를 설립해야 하며 우수 외국인 교수 채용 제도를 보완해야하고 외국 우수 대학과의 깊이 있는 협력을 주동적으로 모색해야 하며 학생들에게 더 많은 종류의 국제화 프로젝트를 제공해야 하고 해외 인큐베이팅 플랫폼을 구축해야 하는 등 시사점을 제세했다.

      • Comparative analysis of university finance projects between Korea and China

        Qi, Xin Sungkyunkwan University 2021 국내석사

        RANK : 232271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project for universities is one of the major sources of funding for university operations and significantly impacts school development. Comparing the financial support policies and specific financial support projects of Korea and China, this study provided an overview of four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rojects currently implemented in the two countries. Moreover, this study analyzes the commons and differences in the two countries' financial support projects and sorts out suggestions for improving and developing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rojects in the two countries. Comparison results indicated that both the Korean and Chines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projects to universities are insufficient in terms of the diversity of support models and supported universities’ professional development. Insufficient diversity is currently the core financial support problem that both Korea and China need to improve. Simultaneously, China’s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rojects still have not solved the support fairness. China’s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needs to be further expanded. In contrast, Korea should develop its support project’s autonomy and make a more flexible policy to the supported universiti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Chinese and Korean governments should learn from each other’s excellent experience: To ensure the support’s fairness, China’s finance support projects need to introduce a competitive system and set up a selection system with a university elimination mechanism. In particular, the scale of financial support can be further expanded if all universities above a certain level are supported by using evaluation criteria such as “basic capacity diagnosis” used in Korea’s National Universities Fostering Project. On the other hand, to increase Korean finance support projects’ autonomy, supported universities should introduce a self-examination and self-evaluation system. Moreover, refer to China’s “Double First-Class” project works with third parties to further rationalize grade evaluation and performance standards. 대학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사업은 대학 운영의 주요재원 중 하나이며, 학교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한중 양국 정부의 대학 재정지원사업은 지금 모두 중요한 개혁기에 있다. 중국은 2017년에 중요한 제도적 혁신인 ‘쌍일류’ 건설지원 사업을 본격 시작하고 한국 정부는 2018년부터 대학재정지원사업 재구조화를 실시했다. 두 나라의 개혁시점 접근은 우연의 일치일 뿐 아니라 글로벌한 배경에서 대학의 발전과 고학력 인재의 육성을 국가적으로 촉진하기 위한 필연적인 시점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양국의 새로운 재정지원사업은 2년간 가동된 뒤 이 시점에 비교분석을 해서 양국 대학재정지원 정책을 정확히 파악하고, 지원사업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개혁의 구체적인 내용을 잘 비교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고등교육 재정지원의 정책과 현황을 분석하고 양국 정부의 중점 대학재정지원사업을 비교분석해서 양국 고등교육 재정지원 사업의 개혁 과정과 미래의 개선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주로 세 가지 있다. 첫째, 사업의 공통점을 보면 중국과 한국의 대학재정지원 사업들은 지원 방식의 다양성과 지원을 받은 대학의 다양적인 전문화 발전이 부족하다. 둘째, 중국 주요 대학재정지원 사업은 한국의 사업보다 형평성에서 큰 문제가 있다. 985•211 공정사업 뿐만 아니라 개혁 후의 “쌍일류” 사업도 소수의 우수한 대학만 지원한다. 이 지원 목표 때문에 중국 대학 간의 등급화 문제가 너무 심각하다. 셋째, 한국 대학재정지원 사업은 중국의 사업보다재정지원의 자율성이 조금 부족하다. 한국의 주요 재정지원 사업에서 교육부나 지원위원회는 선택, 심사, 감독 등 기준을 결정했다. 대학들은 수동적으로 지원 경비를 받았다. 그래서 두 국가는 같은 다양성 문제를 직면해서 대학 속성에 맞는 가변적 선택 기준과 융통성이 있는 심사 시스템이 설치해야 한다. 형평성을 확보하기 위해 중국 지원 사업은 경쟁 시스템을 도입해야 하고 대학 퇴출 메커니즘을 갖춘 선택제도를 설치하는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한국 지원사업의 자율성을 높이기 위해 대학들은 자주 심사와 평가 제도를 도입해야 하고 중국의 “쌍일류” 사업을 참고하여 서드파티와 합력해서 성적평가와 심사기준을 더욱 합리화한다.

      • Pursuing equity in education : Rethinking affirmative action praxis for university-based meritocracy in indonesia

        Tanesab, Janiscus Pieter Sungkyunkwan University 2021 국내박사

        RANK : 232239

        인도네시아의 포괄적인 교육 관리, 특별히 고등 교육에 대한 접근, 참여 및 성취의 불평등을 완화하려는 노력은 그 의도한 목표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교육 시스템의 불균형은 인종, 성별, 사회경제적 편견 뿐 아니라 성취도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전국의 불공평한 학업 및 관리 시스템에도 존재한다. 지리적으로도 인도네시아 동부와 서부의 고등 교육 기관 간의 불평등도 여전히 만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염두에 두고 인도네시아 정부는 2030 년 UN 교육 지속 개발 가능 목표 (UN SDG4)를 위한 "모두를 위한 포용적이고 공평한 양질의 교육 보장"이라는 글로벌 비전과 함께 스마트 교육 혹은 양질의 경쟁력 있는 교육을 시행하기위한 전략적 사명을 내놓았다. 다만, 이 전략은 이질적인 전국의 각 군도 전체가 단순하게 추구하기 어려운 과제이다. 학업적 관점에서 일부 대학생 집단 중 특별히 AA (Affirmative Action) 정책을 통해 고등교육에 참여하였으나 기술이나 창의력 및 경쟁력 측면에서 효과적이고 공평한 학업 과정을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성과 위주의 AA 시스템이 AA 성과를 높이고 기대한 결과물들을 도출하기에 그 영향력이 미비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정책과 관련하여 선행연구들은 입학과정에서 주어지는 AA 장학금 정책의 결과적인 성과를 다루었다. 그러나 해당 선행연구들은 다양한 집단에 따라 다를 수 있는 교육 시스템에서 성과 중심 학업 과정의 역할과 결과물 도출을 위한 성과 중심 입력의 포괄적인 관계를 신중하게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을 포함시켰다. 1) 성과 중심 학업 학습 과정의 매개 역할을 통해 학업 성취도에 대한 성과 중심 AA 입력의 효과에 관한 조사. 2-a) 학업 협력의 매개 역할을 통한 학업 성취도에 대한 성과 중심 학습 과정의 효과에 관한 조사. -b) 고등 교육 상 성취도에 대한 학업 협력의 직접적인 영향에 관한 조사. 3) 성과 중심 AA 시스템을 촉진하고 방해하는 요소에 관한 조사. 4) 인도네시아의 고등 교육에서 효과적인 성과 중심 AA 정책을 위한 가능한 행동 안건 제안. 본 연구는 John Rawls 의 두 번째 정의 원칙을 신 공공 행정 (NPA)의 현 사회적 형평성에 적용하였고, 포함된 요소는 공정성, 성과의 질, 성취도 및 Moore 의 공공 가치관리 (PVM) 등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민주주의와 교육의 이론과 현대 교육을 위한 변화 학습 업무, 사회 혁신 및 교육 경쟁 이론(협력-경쟁) 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적인 연구를 설계하였고 실증적 및 사례 연구의 두가지 방법으로 연구를 각 장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 연구 방법인 사례 연구와 관련하여 교육 공평성에 대한 통계적 자료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기 위하여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 표본은 인도네시아 동부 쿠팡이라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Nusa Cendana 대학(UNDANA) 등의 공립대학 중 인니 정부 장학금 제도 중 하나인 Bidikmisi를 시행하고 있으면서 성과 중심의 AA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대학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해당 대학은 성과 중심의 포괄적인 학업 과정 시스템을 도입하고자 힘쓰고 있었기에 본 연구에 필수적이었다. 실증 연구의 검증을 위해 UNDANA 학부생 중 AA 정책 중 하나인 Bidikmisi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총 330 부가 회수 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모형과 학업적 형평성 요소로 채택한 변수 간의 연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회귀 분석 및 구조 방정식 모델을 적용하였다. 반면 사례 연구를 위해서는 총 7 명의 인터뷰 참가자를 대상으로 몇 차례의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추가 자료로 해당 대학에서 제공한 서류들도 활용하였다. 수집된 인터뷰 녹취 자료는 사례 연구 분석 접근법의 여러 단계 즉, 주요 내용 구성, 테마 생성, 비교 및 대안 해석 개발, 최종 결과 도출 순으로 분석하였다. 복합 연구 방법을 활용한 연구의 결과로 실증적 연구 결과로 성과 중심 AA 입력이 성과 중심 학업 학습 과정의 매개 역할을 통해 학업 성취도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다만 성과 중심의 학업 습득 과정의 효과가 미비하여 다소 낮은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마찬가지로, 학업 협력은 성취도에 대한 성과 중심의 학업 학습 과정간의 매개 변수로서의 연관성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업 협업은 학업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과 중심의 AA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지원 및 방해 요인으로는 입학 시스템 및 교육, 문화 및 교육 방법, 파트너십 및 경쟁, 기업가 정신 및 평가 시스템, 고등 교육의 품질 및 권한 부여 프로그램 등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실행 의제로서 고등 교육에서 성과 중심의 AA 정책을 위한 정책 동기화, 기업가 정신 프로그램 및 권한 부여 및 기타 혁신의 조화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론적, 정책 실행, 실질적인 공헌, 미래 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하였다. Indonesia’s inclusive governance for education ─ particularly efforts to mitigate inequalities of access, participation, and achievements in higher education is falling short of its intended objectives. Disparities in Indonesia’s education system do not only exist in race, gender, and socio-economic biases, but also in inequitable academic and management systems that have impacted achievement gaps nationwide. Geographically, inequity betwee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eastern part and western part of Indonesia also still widespread. With these problems in mind, the government put forth a strategic mission to produce smart or quality and competitive education, along with the global vision of “ensuring inclusive and equitable quality education for all” of 2030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n Education (UN SDG4). Simply, this is not an easy task for the entire disparate archipelago to pursue. In academic practices, the quality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ularly those from disadvantaged communities who were treated through Affirmative Action (AA) policy to get access and participated in higher education critically did not give much effective equitable academic process of empowerment to their skills, and creativities for quality and competitiveness. It is substantially argued that efforts to enhance the merit-based AA system for greater quality of AA achievements are still lacking. Regarding this practice, studies have addressed the effect of AA scholarship policy through the admission systems on the outcomes. However, they have not carefully considered the comprehensive relationships of the meritorious inputs on the achievements through the role of a meritorious academic process in the higher education system that may vary across diverse populations. Therefore, the current study sought to: 1) examine the effect of the meritorious AA inpu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outputs)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the meritorious academic learning process; 2-a) examine the effect of meritorious academic learning process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outputs) through the moderation of the academic collaboration; -b) examine the direct influence of academic collaboration on the achievement (output) in higher education; 3) determine factors that facilitate as well as impede the meritorious AA system; 4) address possible action agendas for effective merit-based AA policy in Indonesia’s higher education. The study applied John Rawls’s second principle of justice to the current dimensions of social equity in new public administration (NPA); and Moore’s Public Value Management (PVM). The study was also strengthened by the theory of democracy and education, and the current contemporary literary works for education. The study then, applied mixed-methods design, ─ quantitative and case study. Through purposive sampling,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public university, i.e. the University of Nusa Cendana (UNDANA)-Kupang, in the Eastern Indonesia, due to the university has also been implementing merit-based AA policy (i.e. the ongoing Bidikmisi, current Smart Indonesia Program) for the disadvantaged students. It was also affording to enhance the merit-based system to the comprehensive academic process. Therefore, it was essential in conducting the current study. For data collection through survey questionnaire of the quantitative method, 330 (i.e. ongoing Bidikmisi) AA participants of the undergraduate students at UNDAN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earch applied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the association of the selected variables of the academic equity elements. Whereas, in the case study, a few in-depth semi-structured interview sessions were applied to seven (7) interview participants as representative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lso supported by other available document (hard data) provided in the office of student affairs of the university. The collected data of interviews (recorded content) were analyzed in several steps of the case study analysis approach (i.e. organizing key constructs; generating themes and coding; developing comparisons and alternative interpretations; final findings). The results of the mixed-method study showed that for quantitative findings, the meritorious AA input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utput) through the full mediating role of the meritorious academic learning process, although it was not quite strong due to the lack of effective meritorious academic learning process. Likewise, the academic collaboration was lack of strong intervention to the significant association of the meritorious academic learning process on the achievement (output). However, collaboration alone had a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utputs). Then, the supporting and impeding factors that influence the meritorious AA system are such as admission system and training, culture, and teaching methods, partnership and competition, entrepreneurships and evaluation system, quality and empowerment programs in higher education. Therefore, as action agenda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olicy synchronization, entrepreneurship programs and empowerment, and other collaborative innovations for the merit-based AA policy in higher education.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s well as practical contributions, and proposals for future research were addressed.

      • (A) study on optimizing blended teaching mode in universities in China during the post COVID-19 pandemic era

        Zhang, Yuningjing Sungkyunkwan University 2022 국내석사

        RANK : 232223

        In recent years,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the sudden outbreak of the COVID-19 pandemic has made the blended teaching mode that combines online and offline the current primary teaching mode in China. With the normalization of the COVID-19 pandemic, how to optimize the blended teaching mode has become a hot topic in the field of education.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blended teaching mode among students in two Chinese universities during post the COVID-19 pandemic era to optimize the blended teaching mode in Chinese universities. Two hundred ninety nin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urrent study, and results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significance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 showed no significance between gender, major, grade, or type of school on students' satisfaction. The content of teaching,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nd the integrity of the network platform have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n students' satisfaction with blended teaching mode during the post the COVID-19 pandemic era. In contrast, the learning autonomy of students and the studying environment of students were found to have no relationship with students' satisfaction. Therefore, to optimize the blended teaching mode, blended teaching should be improved in three aspects: The content of teaching,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nd the integrity of the network platform. 최근 몇 년 동안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과 코로나 19의 갑작스러운 발생으로 인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한 혼합식 교육모델이 현재 중국의 주요 교육 방식이 되었다. 코로나19가 정상화되면서 혼합식 교육모델을 최적화하는 방법이 교육계에서 점차 화제가 됐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중국 두 가지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혼합식 교육모델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중국 대학의 혼합식 교육모델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는 총 299명 중국 대학생 참여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결과를 수집하였다. 유의성은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론은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는 성별, 전공, 학년, 학교유형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내용, 학생과 교사 간의 상호 작용, 네트워크 플랫폼의 무결성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혼합식 교육모델에 대한 학생들의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학생의 학습 자율성과 학습 환경은 학생들의 수업만족도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혼합식 교육모델을 최적화하려면 혼합 교육은 수업 내용, 학생과 교사 간의 상호 작용, 네트워크 플랫폼의 무결성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한다.

      • Efficiency comparison of ICT venture companies across cluster types

        Chung, Wonyoung Sungkyunkwan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232223

        A variety of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have implemented various kinds of strategies in order to their own profits and their own countries development. Among them, especially, the government has taken care of promoting venture companies, and one of the reasons is that its country wants it to occupy the title the leader of cutting-edged industry. In order for the country to be ranked the 1st in a particular industry, especially the new one, it is important for venture companies to do their own roles well, because innovation those firms have been grown and achieved brings economic vitalization such as a job creation in a national perspective. In terms of promoting those venture firms, it is a way for the government to maximize their innovation activities. That is the cluster policy. The Cluster Promotion Policy is one of the policies which are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for supporting innovative venture firms. Among many clusters which are established through the policy, venture companies are trying to succeed using geographic agglomeration. When in a near location, companies can have many advantages such as to help each other, or to be in a competition. Then which cluster is having a better efficiency than others? I studied which entity have a good efficiency among the government, private companies or universities. By using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and meta frontier analysis, I analyzed which group has a better efficiency than others. The government is the best group of efficiency, the group of private companies is followed and finally the group of the universities is the last ranke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the most striking feature that comparing three clusters that all of them are the different main actor of establishment. Moreover, Korean historical features are applied in the cluster establishment and operation. Therefore, I realized which entity is getting proactive and thereby the cluster is getting operating efficiently. Of course, there is also an implication that other countries should implement their own suitable policies, rather than uncritically following the Korean policies. 전 세계의 여러 나라 정부들은 자국의 이익과 발전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친다. 그 중에서 정부들은 특히 벤처 기업 육성에 신경을 쓰는데, 그 이유 중 하나는 자국이 새로운 산업에서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이다. 하나의 국가가 특정 산업 특히 새로운 산업에서 1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벤처 기업들의 역할이 중요한데, 이러한 벤처 기업들이 성장하면서 이뤄내는 혁신은 결국 국가적으로도 일자리 창출 등의 경제 활성화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이러한 벤처 기업들을 육성하는 데에 있어서 정부에서는 그들의 혁신 활동이 극대화되도록 도와주는 방법이 있다. 그것이 바로 클러스터 정책이다. 클러스터 육성 정책은 각 국의 정부들이 혁신적인 벤처 기업 육성을 위하여 시행한 정책들 중 하나이다. 이 정책을 통해 생겨난 수많은 클러스터 속에서, 벤처기업들은 지리적인 집결성이라는 이점을 이용해 성공하려 노력한다. 서로 가까운 위치에 모여 있다 보면 상부상조할 수도 있고, 서로 경쟁도 하는 등의 이점이 많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과연 어떤 특성을 가진 클러스터가 더 좋은 효율성을 나타낼까? 이 논문에서는 정부, 사기업, 대학 중 어느 주체가 더 좋은 효율성을 가지고 있는지 연구하였다. 그래서 stochastic frontier analysis와 meta frontier analysis를 이용하여 어느 그룹이 더 좋은 효율성을 나타내는지에 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정부, 사기업, 대학 순으로 효율성이 좋게 나왔다. 기존 연구에서는 진행이 되지 않았던, 설립의 main actor가 서로 다른 클러스터들을 비교하였다는 점이 이 연구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클러스터 설립과 운영하는 방식에 있어서 한국의 역사적 특징이 반영되었다. 따라서 이번 비교 연구를 통해 과연 어떤 주체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클러스터가 효율적으로 운영이 되는지 알 수 있다. 물론 ICT 선두주자인 한국의 정책을 무비판적으로 따라하기 보다는, 각 국의 상황에 맞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시사점도 가지고 있다.

      • Ballroom dance and dancesport education : the development of ballroom dance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in higher education based on a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approach

        Jang, Sehyoung Sungkyunkwan University 2013 국내박사

        RANK : 232223

        The Ballroom dance and DanceSport (Ballroom dance) studies in higher education,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development, was studied in the context of teaching student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he enlargement of Ballroom dance teaching methods which attempts to integrate materials academically, heuristically, and creatively based on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approaches. This study examines Ballroom dance education with the researcher’s 15-week elective DanceSport course classroom for further development.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a case study format with the Project Demonstrating Excellence (PDE). This includes interviews, class videotapes, analysis of journals, observations, questionnaires, and action research technique which were also associated. Initially the blending of two case studies were focused upon in this research, one being the core case study (CCS) within the action research format and the other being the field case study (FCS) within the case study format. CCS investigated the most common problem of Ballroom dance education which is the lack of connection between technique and creative work, therefore employed with a Laban Movement Analysis (LMA) and Bartenieff FundamentalsSM (BF) to develop a creativity course in action. Moreover, the Model of Duo Effort and Duo Shape were introduced to broaden Ballroom dance education. This enabled the ability to meet with the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process in the classroom. The CCS was limited by the setting, two elective DanceSport courses, and 55 students being participants however only associating with them for one semester, which was 15 weeks. Limited research of Ballroom dance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presented the need for the combination of theory and practice in higher education. Therefore the researcher implicated educational theories with Ballroom dance technique and Laban Movement Studies (LMS) in the CCS. Certain aspects within developing Ballroom dance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found that Ballroom dance education can be developed by the following key elements: DanceSport as an art form, vision of Ballroom dance education, interdisciplinary of dance education, beyond the LMA and BF, quality within quantity, key concepts of DanceSport class development pattern, and Kinship of Ballroom dance. The FCS was aimed at the development of the Rumba movement based on Tendu and Infinity Somatic Exercise System (ISES) which is developed based on LMA and BF by Jang (2012). The result of FC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fundamentals of Rumba movements could be increased by the quality of Tendu and ISES in a safe and aesthetic matter. Therefore, Ballet Tendu and ISES are beneficial for the fundamentals of Rumba movement which is forward walk, backward walk, and side walk and in place weight shift movement. This study identified three key factors to be encouraged to allow the productivity and fruitful development of the fundamentals of Rumba movements. These factors are: foundation of movement of Ballet with ISES and Rumba, characteristics of Ballet Tendu and Rumba, and elevation of aesthetic division. Among the three, Ballet, ISES, and Rumba, are unique movement techniques that are developed in individual areas, and in this study, a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types of movement was able to be studied. As Ballroom dance education can be beneficial for th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students, with academic discipline based on the quality of educators’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this study can be a guideline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higher education classroom as a model textbook. 본 연구는 대학교육의 일환으로 부각되고 있는 볼룸 댄스(Ballroom Dance)와 댄스스포트(DanceSport)의 교육방법 및 교수자료 개발이라는 맥락에서 한국학생들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론적이고 경험적인 접근 방법을 통하여 볼룸 댄스의 교육 방법 및 교수자료의 개발을 확대함으로써 학문적, 발견적 교수법, 그리고 창의적인 교육의 통합을 꾀하고자 함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자가 지도하고 있는 15 주간의 선택과목인 댄스스포트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고, 질적 연구 방법론인 사례 연구 형식과 함께 우수 논증 연구(Project Demonstrating Excellence) 방법을 따랐다. 또한 인터뷰, 관찰, 설문, 클래스 비디오 테이프와 저널 분석, 그리고 실행 연구 테크닉들이 사용되었다. 특히 본 연구는 두 사례 연구의 융합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하나는 실행연구형식의 핵심사례연구(CCS)이고, 다른 하나는 사례 연구의 형식으로 수행된 필드사례연구(FCS)이다. 핵심사례연구(CCS)는 볼룸 댄스 교육의 가장 일반적인 문제인 테크닉과 창조적인 활동간의 상호 연계성 결여를 인식하여 행동 창의성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라반 움직임 분석(LMA)과 바르테니에프 기본원리(BFSM)를 적용한 연구를 실행했다. 따라서 본 연구자의 교육현장을 중심으로 교육방법 및 교수자료의 개발 연구가 진행될 수 있는 환경을 확보할 수 있었다. 본 CCS 연구는 선택과목인 두 개의 댄스스포트 프로그램으로 제한되었으며, 총 55명의 학생들이라는 참여자와 한 학기인 15주 과정으로 한정되어 수행됐다. 볼룸 댄스 교육방법 및 교수자료 설계에 관한 연구의 결핍은 볼룸댄스가 대학교육으로 발전하기 위한 이론과 실기 융합의 필요성에 주목하게 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볼룸 댄스 테크닉과 라반 움직임 학문이 교육학적 이론들과 함께 혼재된 교육과정을 설계하여 연구를 실행했다. 볼룸 댄스 교육 방법 및 교수자료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실시된 본 연구는 볼룸 댄스 교육이 다음의 핵심 요소에 따라 발전 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그것들은: 예술 형태로의 댄스스포트, 비전적인 볼룸댄스 교육, 학제적 댄스교육, 라반움직임 분석과 바르테니에프 기본원리 확장, 양적과 질적 교육의 조화, 댄스스포트 강의 발달모형의 주요개념, 볼룸댄스의 연관성 등이다. 필드 사례연구(FCS)의 목적은 룸바 움직임을 라반동작 분석과 바르테니에프 기본원리를 기반으로 개발한 무한 신체 운동 시스템과 발레 탄듀의 적용을 통해서 발생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참여자들의 근본적 룸바 움직임이 특징적 탄듀의 미적 동작과 무한신체 운동 시스템의 안전적 적용을 통하여 증진된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따라서, 발레 탄듀와 무한 신체운동 시스템은 기본적 룸바 움직임에 유익하며, 특히 앞, 뒤, 옆, 그리고 제자리에서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체중이동에 효과적이었다. 이 필드사례연구에서는 새로운 움직임 창작을 촉진하고, 룸바 동작의 기본원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핵심 요소를 통해 가능하다라는 결과를 도출했다. 이러한 요소들은 발레의 움직임 기반과 무한 신체 운동 시스템 및 룸바, 발레 탄듀의 특성 및 룸바, 미적 부문의 상승 등이다. 본 필드사례연구를 통해 발레, 무한 신체 운동 시스템, 그리고 룸바에는 각각 고유의 움직임 테크닉들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유형들의 움직임간에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고, 각 유형의 움직임들은 서로 다른 유형의 움직임에 긍정적인 도움을 주고 있음을 알아냈다. 결론적으로 볼룸 댄스 교육이 대학교육 정신에 입각한 교육방법 및 교육구성의 방향에 따라 대학생들의 성장,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육방법과 교수자료는 교육과 학습을 위한 대학교육의 모델 교육서이자 학습의 지침서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Concrete Crack Detection with Dense Block and SE Attention Mode

        HUANGRUI Sungkyunkwan University 2023 국내석사

        RANK : 232223

        In order to enhance the accuracy and robustness of the current crack detection algorithm, we propose an improved algorithm based on FC-Densenet(Fully Convolutional Densenet), named the Densely Connected Network with Attention Mode(DCAN), for pixel-level crack detection. We have incorporated SE attention modules at five positions within the FC-Densenet framework. Additionally, we have collected a private dataset specifically focusing on tiny cracks, which closely resembles real-world crack scenario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our method, we conducted a series of experiments on three publicly available crack datasets as well as our private dataset. Compared to the baseline neural network, our proposed approach demonstrates superior performance across six evaluation metrics. We observed that as the dataset size increases, the advantages of our method become more pronounced in terms of the mIoU and F1 metrics. For instance, on the Crack500 and Cross datasets, our method achieved F1 scores of 83.24 and 80.40,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mIoU scores reached 71.11 and 68.80 on these two datasets, respectively.

      • Development of orally disintegrating tablet containing dapoxetine

        Kim, Sangjoon Sungkyunkwan University 2015 국내석사

        RANK : 232223

        Abstract Development of Orally Disintegrating Tablet containing Dapoxetine The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Department of Pharmacy Sang-Joon Ki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aste-masked orally disintegrating tablet (ODT) containing dapoxetine (DPX). In this study, dapoxetine freebase (DPX-FB) was used as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 (API) due to less bitter taste than dapoxetine hydrochloride (DPX-HCl). DPX-FB was achieved by salt-alteration of DPX-HCl. DPX-FB had different structural, physicochemical properties with DPX-HCl and showed improvement in taste-masking efficiency. Taste-masked granules containing DPX-FB and taste-masking excipients; Compritol ATO 888, Precirol ATO 5 and Eudragit EPO were prepared at three different API to excipient ratios (1:0.5, 1:1, 1:2).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vitro release test and taste-masking efficiency of granules were evaluated. Among them, granules with drug to Eudragit EPO ratio of 1:2 had the highest in vitro taste-masking efficiency and were chosen as the optimized granules. ODTs containing optimized granules, sugar excipients and superdisintegrants were prepared by direct compression method. Hardness, disintegration time and taste-masking efficiency of ODTs were evaluated. ODT of optimum disintegrated within 10 s in a disintegration tester and had hardness of higher than 50 N. In conclusion, taste-masked ODTs were developed and optimum formulation was selected based on hardness, disintegration time and taste-masking efficiency. Keywords: Dapoxetine, Electronic-tongue system (E-tongue system), Orally disintegrating tablet (ODT), Taste-masking, Sugar excipients

      • Chaotic dynamics of the mixmaster universe

        Kim, Jungyung Sungkyunkwan University 2013 국내석사

        RANK : 232223

        Abstract In order to describe the dynamics of the universe toward the cosmological singularity with a more realistic approach than the one offered by the homogeneous and isotropic Friedman-Robertson-Walker universe, we introduce the spatially homogeneous but anisotropic cosmological models. After classifying all general relativistic spatially homogeneous cosmologies into the Bianchi classification, we discuss the pioneering work of Belinskii, Khalatnikov, and Lifshitz on the never-ending oscillatory behavior of vacuum Bianchi type-IX models, also known as the Mixmaster universe. We summarize the long-time debate on the existence of chaos in the Mixmaster universe and discuss the need for an invariant characterization of chaos for the Mixmaster model. Finally, we examine the dynamics of an isotropic Bianchi type-IX model with a scalar field in Gauss-Bonnet modified gravity with the cosmological constant \Lambda. Through linear analysis and topological argument, we show that the oscillatory Mixmaster dynamics of general relativity disappears in the closed Friedmann-Robertson-Walker model with a modulus field and the dynamics of four-dimensional phase space is reduced to a simple two-dimensional hyperbolic motion. Furthermore, we consider the axisymmetric Bianchi type-IX model in one-loop effective string action and show that a pair of imaginary eigenvalues emerge due to the anisotropy. This imaginary eigenvalues correspond to the oscillatory mode of the Mixmaster dynamics and creates unstable periodic orbits in the center manifold. The rotational mode of the orbits leads to fractal breaking of the separatrix and consequently to chaos. The topological structure emanating from the center manifold is an invariant characterization of chaos in relativistic theories.

      • Light cold dark matter production through non-thermal processes

        Joh, Junghoon Sungkyunkwan University 2023 국내석사

        RANK : 232207

        Dark matter has been created in the early Universe and existed until now. It is known that the distribution of dark matter determines the current appearance of the cosmic large-scale structure. For dark matter not to erase the perturbation of the small-scale structures, the free-streaming length of dark matter must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perturbation of the galaxies. By observing the Lyman-alpha forest, the properties of intergalactic gas can be estimated, therefore a constraint on the free-streaming length of dark matter for the formation of the current cosmic small-scale structures is given. Thermally produced dark matter must have a mass greater than about keV. However, in this paper, we show that dark matter with a mass less than keV is possible if dark matters are produced non-thermally, especially production from decay of heavy particle. We consider two cases, one is mother particle is dominant as inflaton, the other is mother particle is not dominant in the Universe. In the first case, the lower bound of dark matter mass is about 10 eV. We deal with a case of hidden axion dark matter from decay of saxion for example of the second case and that result is that the lower bound of dark matter mass can be about meV when Peccei-Quinn scale $f_a$ is about TeV. 차가운 암흑물질은 초기우주에 생성되어 지금까지 존재합니다. 차가운 암흑물질의 분포에 따라서 우주 거대 구조가 현재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암흑물질이 소규모 구조의 섭동을 지우지 않기 위해선 암흑물질의 평균 자유이동 경로가 섭동의 크기보다 짧아야 합니다. 라이만-알파 숲을 관측해 은하 간 가스의 성질을 유추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현재의 소규모 구조를 만들기 위한 암흑물질의 제약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하여 열적으로 생성된 암흑물질은 질량이 약 keV보다 커야합니다. 본 논문에서는 암흑물질의 비열적 생성, 특히 무거운 입자의 붕괴를 통해 keV 이하의 질량을 가진 차가운 암흑물질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였습니다. 저희는 부모입자가 지배적인, 즉 인플라톤인 상황과 부모입자가 우주에서 지배적이지 않은 상황 두가지를 다루었습니다. 처음 상황에서는 암흑물질의 질량의 하한이 약 10 eV가 됩니다. 우리는 두 번째 상황의 예시로 색시온의 붕괴로 생성되는 숨겨진 엑시온 암흑물질을 다룹니다. 이 상황의 결과로 페체이-퀸 크기가 약 TeV일 때 암흑물질의 질량의 하한이 약 meV 라는 것을 얻었습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