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프라이버시 관점에서 접근한 주한외국인 거주자의 임대 주거공간에 관한 연구

        김혜란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주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주택 임대사업은 최근의 경기회복과 국내에 진출하는 외국기업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어 장기 체류하는 외국인 거주자 또한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외국인의 주거시설에 대한 수요는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고 저금리 시대에 높은 수익률을 보이고 있어 틈새 재테크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임대 주거공간의 공급은 입지 및 주거형태 등에 따라 제한돼 있어 상당히 부족한 편이며, 대부분의 임대 주거공간이 외국인 거주자들의 문화적·환경적 측면을 고려하지 않고 있어, 대다수의 외국인 거주자들은 문화적 환경의 차이와 주거 시설 등의 미비로 주거생활에 불편을 겪고 있다. 주거에 대한 인간의 행태나 만족의 정도는 개인의 특성이나 가치관에 따라 다양하며, 문화권이나 생활관습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고려할 때, 우리 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 거주자에게 그들의 생활 및 요구에 일치하며 질적으로 우수한 임대 주거공간 연구의 필요성을 내포한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 나라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의 주생활과 주공간의 실태에 대한 파악 및 분석의 내용과 주거공간 내 프라이버시 확보에 관한 연구는 향후 외국인용 주거공간의 계획에서 주요한 준거틀이 될 수 있다. 이로써 수익성을 고려한 외국인 임대주택을 계획하는 사업 투자자에게 외국인 거주자들을 위한 임대 주거공간 계획의 기초적 틀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 연구의 배경 및 문제의식을 통하여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연구의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내용을 기술하여 연구의 진행을 위한 조사의 내용을 밝힌다. 제2장에서는 주한 외국인 임대주택의 이론적 고찰로써 법조문의 고찰을 통한 주한 외국인의 정의 및 그들의 법적 지위를 고찰하였고, 서울시 통계자료를 통하여 주한 외국인 거주자의 주거의 분포 및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외국인 임대주택 시장의 현황과 공공기관에 의해 이루어졌던 주한 외국인용 임대 주택 공급에 대한 내용과 그 평면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민간에 의해 공급되고 있는 외국인용 주택의 현 상황에 대한 것을 기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주한 외국인 거주자의 주거공간에서의 일반적 특징을 파악하고, 기존문헌을 통하여 설문에서 나타난 외국인 주거의 주 요구 실태를 알아보았으며, 국내와 외국의 주거공간 구성의 특징과 상호비교를 통하여 주한 외국인 거주자들이 원하는 공간구성에 관해 기술하였다. 제4장에서는 3장에서 파악한 주한 외국인 거주자들의 사적공간과 공적공간의 분리배치에 대한 그들의 요구는 주거공간에서의 프라이버시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내포하였다. 프라이버시를 중요하게 여기는 그들의 사고는 건축계획 시 고려되어야 할 것임을 인식시킨다. 제5장에서는 주한 외국인이 선호하는 지역인 용산구 한남동에 성공적으로 건축되어진 외국인을 위한 임대 주거공간의 사례를 조사·분석하였다. 제6장에서는 이 연구의 요약 및 결론을 정리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주한 외국인 거주자를 위한 합목적성의 주거공간을 계획함에 있어서 분석되어져야할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임대주거 공간은 건축 또는 실내공간 구성과 개념의 정립이외에 우선적으로 장소성에 대한 분석과 그들의 정주성을 고려한 세밀한 조사가 필요하다. 둘째, 시대, 장소, 문화 그리고 과학기술의 변화에 따른 라이프 스타일의 다양성 연구가 필요하며, 그들의 파티 문화에 적합한 공동공간의 가변성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우리 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가족현황, 선호 유형공간, 사생활 보호 측면 특성 등 거주자의 사고와 행위에서 표출되어진 공간의 기능적 특성이 분석되어져야 한다. 넷째, 공간의 기능을 충족시키는 물리적 지원성에 대한 분석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국내 거주 외국인들은 주거단지내의 서비스시설을 선호한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에 따른 거주자 편의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그들의 문화적 행위를 고려한 다양한 서비스 시설 등이 필요하다. 여섯째, 외국인 임대주거공간 계획 시 프라이버시 확보에 대한 개념 정립이 필요하며, 이는 시각적·청각적 뿐만이 아니라 심리적 측면에서 사생활 보호에 대한 건축 및 실내공간 계획이 검토되어져야 한다. 이와 아울러 외국인을 겨냥한 주택사업의 성공적 진행을 위하여 수요자의 현황 분석과 수요자의 특성에 따른 주거 유형을 선호도, 그리고 주거 공간 내 물리적 요구사항 등을 분석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며, 향후 보다 활발하고 다양한 외국인의 주거연구를 통해 외국인 거주자의 주거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 is a house lease business in trend that is increasing also when is long-term abroad that stay because abroad corporation which advance in the recent economic recovery and domestic is increasing steadily to a foreigner in korea. Demand for foreigner's residing equipment is real condition that is increasing by big width and shows high earning rate in low interest period and is getting into the spotlight by windage means for financial technology under these situation. But, supply between lease residing space that do to foreigner is insufficient fairly having been limited according to location and residing form. Most lease residing space for foreigner residents is not considering aspect of environment and culture. So, a great number of foreigner residents are going through inconvenience in housing life by unpreparedness of difference of cultural environment and residing equipments. It is being various according to sense of values as many as individual's special quality about human's form or satisfaction about residing. When consider that difference is according to life custom as many as cultural area, connote necessity of superior lease residing space research qualitatively agreing in their life and request to foreigner resident who inhabit in our country. Research about privacy security can become important authority cited formality in plan between abroad quotation lease residing space hereafter in inhabiting grasping about foreigner's housing life and actual conditions of main space and contents of analysis and residing space in our country through this paper. Do by purpose that ready basic model of lease residing space plan for foreigner residents to business investor who plan foreigner rental house which consider profitability herewith. Confirm necessity of research and describe objective of research, sphere of research and contents and clear contents of investigation for progress of research on background of research and mode of problem. Investigated a main foreigner's justice and their legal positions through legal profession inquiry ancient temple as theoretical ancient temple of a foreigner rental house, and grasped distribution and present condition of a foreigner resident's residing through seoul city statistical data. Also, recognize about special quality of contents about one abroad quotation rental house supply and the plane that consisted by foreigner rental house market's present condition and institution, and described thing about present situation of abroad quotation house which is supplied by the common people. Searched main request actual conditions of foreigner residing that grasp general property in a foreigner resident's space, and appear in question through existing literature, and described about space composition that a foreigner residents want through property of domestic and foreign residing space composition and reciprocity comparison. Example between lease space for foreigner built successfully on Yongsan-gu a southeast that is area that a foreigner prefers investigation and analyze. Finally, It is adjusted compendium and conclusion of these research.

      • 프라이버시權利의 限界 및 그 侵害에 대한 救濟에 관한 硏究

        김홍배 淸州大學校 1987 국내석사

        RANK : 247807

        1. The right of privacy is, we can say in general, the right to be let alone. But in the information-roiente□modern society, the concept of the right of privacy shall be defined in a pasitive way, that is, the right of privacy is the data subject's right to control inforamtion about himeself: privacy is the data subject's right to control information about himself : privacy is the claim of individuals, groups, or institutions to determine ofr □themmselves when, how, and to what extend information about them is communicated to others. 2. The right of privacy has been developed in England an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since the end of 19th Century. Common law itself is not necessarily helpful to develop the right of privacy,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changes entail the recognition of new right, and the common law, in its eternal youth, grows to meet the demands society. Functions release, self-evaluation, limited and protected communication the personal right, the unassignable right, etc. 3. From the early stage of the right to up-to-date, following have served as a basis of judicial decision: notional law, law of property, doctrine of implied Contract, Constitutional law, a basis of judicial i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etc. 4. These four torts as follows: ① intrusion upon the plaintiff's seclusion or solitude, or into his private affairs. ② public disclosure of embarrassing private facts about the plaintiff, ③ publicity which places the plaintiff in a false light in the public eye, ④ Appropriation, for the defendant's advantage, of the plaintiff's name or likeness, Thype of the right of privacy: Associational privacy, right to Anonymity, inviolability of person, marital privacy, private possession of obscene materials, right to aborthion, privacy of counsel or right to access the records, to check its accuracy, to control over its dissenmination and revise the misinformation on one's personal data, etc. 5. I pondered over the limitation of the right of privacy, In any single case of privacy tort, the important problem is to balance two opposing interests, On the one hand, We are urged to puhold the right of free speech and the right of society to know the truth, On the other hand, we have to protect the sensiblities of the individual from the brash and vulgar attention of the mob, To find a point where the right of the individual and the right of society are in equilibrium, I examined the following tests which had been adopted by the court in the United States: waiver of privacy, public interest and public figure. 6. I've tried to analyze a respect of clash between the state power and the right of privacy. By the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the computerization of system process in public administration, adoption of scientific method in criminal investigation and the thoroughgoing of review process in state government have becom apparent. And they are bring about the result of inevitability of conflict between privacy and state power, In the modern view of the state, the state, exists not for its own sake but for serving for promotion of human dignity and values. Eavesdropping which contains bugging and wire tapping ts the mast difficult item to resolve. In America, Eavesdropping is limited by olmstead case , Goldman case, silvermn case, and Berger case of courts of United States. I tried to introduce the gist of Omnibus Crime Control And Safe strects Act of 1968(Public Law 90-351), Title III which warrants the interception of oral and wire communication under the judge's control. Another infrngement of the right of privacy is related to recht an eigenen Bild in photographic copy in Criminal investigation. This photographic copy must be practised in the case of urgent and public interest, Moreover it is necessary to restraint of investigation officer to be reasonable doing. If there is no restraint of investigation officer to be reasonable doging. If there is no restraint of investigation officer, the right of privacy may be infringemented. All evidence in violation of the right of privacy Should not be admissible in evidence. That is, the evidence secured by official law-lessness in flagrant abuse of that basic right of privacy free from government intrusion should be excluded. The exclusionary rule is an essential part of the right of privacy and its purpose is to compel respect for constitutional guarranty in the only effectively available way by removing the incentive to disregard it. It cannot lightly be assumed that adoption of the exclusionary rule fetters law enforcement. Legal protection and remedies for privacy torts. In conclusion, I thought the concept of the right to privacy in modern welfare state shall be defined in a positive way. Precisely the privacy date subjects to the right to control information about himself. And I suggested the enactment of a privacy act which remedies for privacy torts and validities of the right to privacy among individuals. 7. Such a right of privacy can be recognized on the constitutional basis of the provision of dignity and value of human being of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and the provision of basic right not enumerated of 1 clause of Article 37 as for the way to exercise concrete right of control about one's own information, it will be more effective to be protected by concrete legislation for example, by the enact of the law of privacy protection. It is not too much to emphasize that coping 쟈초 such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ctively and positively is the basis condition of the advancement as a modern country, together with the aspect of securing individual human right.

      • 프라이버시 데이터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감정적 비교 : UX 디자인 관점의 사용자 분석

        정글지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디지털 서비스의 발전이 멀티 페르소나를 지원하는 초개인화 시대로 도약함에 따라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기업들의 개인 데이터 수집 활동이 전투적으로 진행되며 이를 토대로 고객의 잠재적 니즈까지 계산된 신규 서비스가 산업의 중심이 되고 있다. 기업은 서비스의 질을 높인다는 명목 하에 사용자에게 프라이버시와 밀접하게 연관된 데이터에 대한 수집 동의를 요구하며, 사용자는 서비스를 온전히 사용하기 위해 각종 데이터 수집에 동의하며 프라이버시를 포기하기도 한다. 기업은 수집된 프라이버시 데이터를 자신들의 알고리즘 기반으로 재가공하고 개인의 선호도를 세부적으로 분석하며 이를 통해 개인 맞춤형 추천 콘텐츠, 분석 자료, 데이터 시각화 제공 등으로 사용자에게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고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혜택을 주고 있음을 주장한다. 하지만 사용자의 입장에서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는 대부분 기업의 일방적인 데이터 수집을 통한 결과를 통보 받는 것으로 기업이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목적으로 특정 데이터만을 안전하게 수집한다는 명확한 근거를 알 수 없다. 또한 사용자는 수집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우며 특정 데이터의 분석 과정과 결과에 대한 타당한 이유를 판단할 수 없다. 이는 정보의 비대칭을 발생시키며 프라이버시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인터페이스가 충분히 공정한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결국 사용자가 프라이버시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본인의 데이터에 대한 결정권과 자율성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입장과 관점에 맞춘 조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의 관점에서 수집된 프라이버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직관적인 프라이버시 인터페이스 사례를 선정하고 사용자 연구를 진행하여 사용자의 정보 프라이버시 경험을 검토하고 정의하는 것이다. 사용자 조사는 심층인터뷰와 설문조사로 진행되었으며 선정된 프라이버시 데이터 활용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정보 프라이버시에 대한 감정과 태도 그리고 행동 요인을 파악하였다.조사 결과 침해되는 프라이버시에 대하여 경계심을 가지면서도 막상 본인의 데이터 관리에 소홀한 역설적인 사용자 경향을 뜻하는‘프라이버시 패러독스’현상을 넘어, 프라이버시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복합적이고 다중적인 감정과 인식의 범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프라이버시 데이터의 수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의 경향을 4가지 기준을 통해 경향을 유형화 하였으며 이를 통해 프라이버시 경향 모델로 제안하였다. 이후 프라이버시 사용자 경향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실무 디자이너의 검토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결정권을 향상하고 프라이버시 데이터를 공정하게 수집할 수 있는 프라이버시 디자인 체크 리스트를 발굴하였다. 본 연구는 기술 수용 모델 요인을 참고하여 신기술에 대한 수용도와 사용자 경험 측면을 결합시켜 새로운 관점으로 프라이버시 데이터 수집을 해석하고자 하였으며, 인터페이스 시각화 관점에서 결과를 도출하였다. 혁신적 신기술이라 볼 수 있는 데이터 기반 산업과 지속적으로 논의되는 윤리적 측면을 함께 언급했다는 점에서 시의적절한 연구이다. 또한, 디자인 체크리스트를 통해 프라이버시 데이터 활용 서비스의 신뢰도와 사용자 수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온라인 쇼핑몰 개인정보 동의사항이 고객 개인정보 제공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백승준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개인정보 수집 동의문이 고객의 개인정보 제공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프라이버시 계산이론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주요 개념을 탐구하였는데, 첫 번째는 개인정보 보유 기간 정책과 개인정보 제공 범위 정책이 프라이버시 이익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며, 두 번째는 개인정보 제공 범위 정책이 프라이버시 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온라인 설문을 통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개인정보 보유 기간 정책과 개인정보 제공 범위 정책이 고객의 프라이버시 이익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고객의 프라이버시 이익 인식이 높아질수록 개인정보 제공의 의사가 높아진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정보 수집 동의문을 접하고 있는 상황에서 개인정보 보유 기간 정책과 개인정보 제공 범위 정책을 프라이버시 계산이론의 변수로써 확장하는 방법으로 프라이버시 계산이론의 적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회사의 개인정보 정책이 고객의 정보 제공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개인정보 제공 범위 정책이 프라이버시 위험 인식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프라이버시 위험 인식은 개인정보 제공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고객의 개인정보 제공 행동이 프라이버시 역설 상황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보았다. 즉, 고객은 개인정보 제공의 위험성을 인식하면서도, 이로 인한 편리성이나 혜택을 누릴 수 있다는 이유로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는 경향이 있다. 실무적으로 본 연구는 개인정보 통제권을 고객에게 부여하는 정책이 고객의 정보 제공 행동을 늘리는 방향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은 고객의 프라이버시 이익 인식을 높이는 정책을 통해 개인정보 제공 행동을 촉진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이렇게 하여 기업은 고객의 신뢰를 얻을 수 있고, 개인정보 활용을 통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객의 만족도 역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고객의 인식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현 시대에 맞춰 기업들이 적절한 개인정보 정책을 수립하고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한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나, 기업의 규모와 형태에 따라 개인정보 정책의 중요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지역, 연령, 성별 등 고객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연구를 통해, 개인정보 제공 행동에 더욱 세밀한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개인정보 수집 동의문이 고객의 개인정보 제공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프라이버시 계산이론에 기반하여 고객의 개인정보 제공 의사결정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고객의 프라이버시 이익 인식을 높이고, 개인정보 통제권을 부여하는 정책을 통해 고객의 정보 제공 행동을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mploys Privacy Calculus Theory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ersonal information agreement on customers' personal information disclosure behavior. We investigate two primary concepts: the effects of privacy retention period policies and privacy provision coverage policies on the perception of privacy benefits, and the impact of privacy provision coverage policies on the perception of privacy risk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this experiment. The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impact of both personal information retention period and provision coverage policies on customers' perception of privacy interest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customer's awareness of privacy benefits,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possible to expand the personal information retention period and provision coverage policies as variables of the Privacy Calculus Theory in a situation where the personal information agreement was encountered. This study offers evidence that a company's privacy policy can shape customers' information disclosure behavior. Additionally, we discovered that privacy provision coverage policies influenced the perception of privacy risk. however, the perception of privacy risk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ersonal information disclosure behavior.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aw that customers' behavior of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can be explained by the privacy paradox situation. Customers are inclined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due to perceived risks while also enjoying the convenience or benefits derived from it. In practice, we found that policies granting customers greater control over their personal information tend to increase their information disclosure behavior. Consequently, we suggest that companies can encourage personal information disclosure by implementing policies that heighten customers' awareness of their privacy interests. In doing so, businesses can earn customer trust and deliver tailored services using personal information, which can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and boost customer satisfaction. This research also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companies establishing and operating suitable privacy policies in an era marked by heightened customer awareness and interest in privacy protection. The study's findings can be applied across various industries and should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and nature of the organization. Future research should consider diverse customer characteristics, such as region, age, and gender, to analyze their impact on personal information disclosure behavior more thoroughly. In conclusion, by examining the effects of personal information agreement on customers' personal information disclosure behavior,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customers utilizing Privacy Calculus Theory. We ascertained that companies can foster information disclosure behavior by adopting policies that raise customers' awareness of privacy interests and grant them control over their personal information.

      • 프라이버시 염려와 보호행동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장창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online space now provides a new form of public sphere for democratic communication among citizens, and these new norms and networks of citizen participation can exert a strong influence on representative democracy. Online media complement the offline domain and enhance interactions between people without reducing face-to-face interactions or other traditional means of communication. However, online activities do not necessarily have a positive effect, as they are also considered to cause new forms of social inequality in civic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In particular, unlike offline activities, online activities require resources and capabilities to access and utilize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the awareness of personal privacy risks, which can arise during online activities, is indicated as a factor in the deterioration of personal accessibility and usability.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s of individual attitudes, technical competence, and privacy issues in relation to the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s, a form of social media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raditional mass media, based on the issues mentioned above. In particular, depending on individual perceptions, privacy issues may not affect online activities, whereas in other cases, privacy concerns may be a barrier, frustrating online activitie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study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privacy concerns and the privacy protection behavior on the usage behavior of social network services. Through thi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personal privacy concerns on privacy protection behavior and the usage of social network service, and ultimately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perception and behavior. For analysis, data from the 2019 Korea Media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KISDI) were used. The study involved 7,399 people aged 13 and older who were found to have no missing values or insincere responses on the surveys and were engaged in online activities (out of a total of 10,864 replies). Reflecting these sample characteristics, the study took a sequential and stepwise analysis by applying the Heckman selection model to distinguish between the access and usage stages of social network services and to solve any problems which arise due to sample selection bi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intensity of usage of social network services, refers to the degree of various activities, such as reading and sharing other people's contents, and the authoring of one's own information and contents. We categorized activities such as creating content and sharing other people's content as active usage and activities such as simple information searches or preference indications as passive usage. In addition, the type of social network service and the privacy setting were used as variables in the form of elements of privacy protection. Individual innovativeness, indicating an individual's attitude toward innovation, was classified as having functional, hedonic, cognitive, and social dimensions, and we evaluat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t effects in terms of the access and usage stages of each factor. Regarding the use of innovation or the experience of online activity, the degree of use of various online services and the time spent using mobile devices were used as variables. In terms of digital literacy and the digital divide, this study attempted to explain the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through the possession of mobile devices, the technical capabilities to engage in online activities, and demographic factors. The study conducted a first-step analysis of whether or not social network services were used. Based on this result, a second-step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type used and the intensity of usage. It was found that regarding the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s, digital literacy, diversity in the use of online services, and individual innovativenes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whereas significant effects of privacy concerns and mobile device use time were not identified.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s decreased as age increased, and a difference according to residential area was confirmed.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education level or income level, except for some sections. Second, with regard to the choice of the type of social network services to use, it was found that more mobile device usage time and lower privacy concerns were linked to a user being more likely to prefer a closed-type service. In addition, the lower the level of individual innovativeness compared to hedonic innovativeness, the more likely the user was to prefer a closed-type service. Greater levels of private settings of privacy were associated with stronger use of closed-type service, and as the levels of privacy setting and privacy concerns increased, closed-type service use increased as well. Those who were older, had more education, and had more income were more likely to use closed-type services, whereas the effects of gender, residential area and occupa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different effects were found in the areas of digital literacy, online activity experience, and individual innovativeness on usage behavior, which was divided into passive and active types. In passive usage, it was confirmed that both mobile device usage time and hedonic innovativeness increase the intensity of usage, while functional innovativeness rather reduces the intensity of usage. Whereas, in active usage, skill capabilities, the level of diversity of online activities, individual innovativeness excluding hedonic innovativeness were confirmed to strengthen the intensity of usage. For privacy protection, the use of closed-type services and setting the scope of disclosure of self-information to private were linked to lower intensity levels of usage. On the other hand, despite the high level of privacy concerns, it was found that the intensity of usage was strengthened only in active use, resulting in a privacy paradox. Nonetheless, concerning the interaction with the privacy sett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nsity of usage decreased as the level of self-information disclosure was made private with the level of privacy concerns increased. In terms of demographic factors, it was confirmed that the usage intensity of female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s and that the usage intensity decreased with ag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respondents who are engaged in certain occupations use social network services more actively than those who are unemployed, though this was found only with regard to active use. By sequentially analyzing the process of using social network services,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act factor of an individual's access to and usage of online services differed for each step. Certain theoretical implications can be derived from this,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the widespread use of the Internet and mobile devices,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due to individual socio-economic statuses and resources regarding the access and use of online services is decreasing, but a digital divide still exists between generation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personal experiences and attitude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vel of access and use of new online services. In particular, at the access stage, overall individual innovativeness reinforces initial acceptance, and functional, cognitive, and social innovativeness excluding hedonic innovativeness for active usage and hedonic innovativeness for passive usage are factors that reinforce the intensity of usage.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using other services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access to and the use of new online service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resistance to the use of online services is influenced by the level of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rather than by any perception of privacy concerns. This is somewhat in line with existing research that finds that rather than strengthening the privacy paradox, decisions at the level of individual skill capability and self-information disclosure to use the Internet instead affect the level of privacy concer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mpirically analyzed the causal relationship of influencing factors at each stage by in-depth analysis of the entire process of signing up for and using online services by looking at the process of accessing and using social network services in a step-by-step manner. In particular, unlike previous studies of social network servic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are that the aspects of accessibility and usability were analyzed in a stepwise manner with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digital literacy, individual innovativeness, privacy concerns and protection, and experience in online activities, which can represent technology acceptance and resistance factors.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can be presented through empirical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s gained through a statistical analysis. First, digital inclusion policies to address digital inequality between generations require attention to overcome technological obstacles experienced by the elderly. Second, in order to reinforce citizens' online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perceived risk of privacy by providing appropriate protective measures through transparent management and control of information. Third, in order to resolve the perception of privacy concerns when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individual users' skill capabilities, basic privacy settings for online services should be provided at an intermediate level and should be designed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eeds of users. Despite the results of research through a step-by-step approach to the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s,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when using cross-sectional data in such an analysis. First, research on the use of online activities or online services needs to take into account whether or not online activities are used and whether online services are used among the number of online activities, and the degree of utilization intensity or frequency among them must be sequentially considered.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statistical methodology, this was not fully reflected. Second, although the study classified the usage of social network services as either passive or active usage and reflected the relevant questionnaire in the study, there is still ambiguity in this classification. Third, the obstacle to using social network services is not only the factors in terms of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but also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recognized through utilization performance.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the impact on this could not be confirmed. Despite the limitations of these methodologies and the data, the research results highlight the necessity of a sequential and step-by-step approach in research on factors that influence the use of online services, including social network services. Even if the same variables are used when accessing and using online services, it was confirmed here that the magnitude and significance of the effects of these variables differ. Therefore, future research related to this should be conducted while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 and with a more accurately structured questionnaire.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온라인 공간은 시민의 민주적 의사소통에 새로운 형태로 공론의 장을 제공하고 있고, 이러한 새로운 시민참여의 규범과 네트워크는 대의제 민주주의에 강력한 영향을 발휘할 수 있다. 온라인 매체는 기존의 대면접촉이나 전통적인 통신수단에서의 상호작용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오프라인 영역과 상호 보완적으로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을 강화해주는 매개체이다. 그러나, 온라인에서의 활동이 반드시 긍정적인 영향만을 주는 것은 아니고, 시민의 참여와 소통에 새로운 형태의 사회적 불평등을 유발하는 원인으로도 지적되고 있다. 특히 오프라인에서의 활동과는 다르게 온라인상에서의 활동은 새로운 기술에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자원과 역량이 필요하다. 또한, 온라인 활동으로 인해 노출될 우려가 있는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관한 위험 인식은 개인의 온라인 접근성과 활용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 인식에 기반하여 전통적인 대중매체와 구분되는 소셜미디어의 한 형태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접근과 활용에 있어서 개인의 태도와 기술적 역량, 프라이버시 문제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특히, 개인의 인식에 따라 프라이버시 문제가 온라인에서의 활동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도 있고, 어떤 경우에는 프라이버시 염려가 온라인 활동을 좌절시키는 장벽이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프라이버시 염려에 관한 인식과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에서는 개인의 프라이버시 염려에 관한 인식이 프라이버시 보호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용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인식과 행동 간의 차이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연구에서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서 조사한 2019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조사 데이터 전체 10,864명 중에서 결측값과 불성실 응답이 없고, 온라인 활동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만 13세 이상의 7,39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체 연구대상 인원 중에서 53.2%인 3,936명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연구에서는 이러한 표본 특성을 반영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접근단계와 활용단계를 구분하고, 표본선택 편의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Heckman 선택모형을 적용하여 단계적 및 순차적으로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 강도는 타인의 콘텐츠를 열람 및 공유하고, 자신의 정보와 콘텐츠를 작성하는 등의 다양한 활동의 정도를 의미하고, 단순한 정보탐색이나 선호도 표시 등은 소극적 활용으로, 콘텐츠를 작성하고 타인의 콘텐츠를 공유하는 등의 활동을 적극적 활용으로 분류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프라이버시 보호행동 요인으로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유형과 프라이버시 공개범위 설정을 변수로 이용하였다. 개인의 혁신에 대한 수용 태도를 의미하는 개인의 혁신성은 기능적, 쾌락적, 인지적 및 사회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각 요인의 접근 및 활용단계에서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혁신의 이용 또는 온라인 활동 경험 차원에서는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 이용 정도와 모바일 기기 이용 시간을 변수로 사용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와 정보격차 측면에서 모바일 기기의 보유와 온라인 활동을 위한 기술적 역량, 인구통계학적 요인을 통해 개인 간의 차이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여부에 관한 1단계 분석을 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 유형의 선택과 활용 강도에 관한 2단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확인되었다. 첫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온라인 서비스 이용의 다양성, 개인의 혁신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이 확인되었지만, 프라이버시 염려 및 모바일 기기 이용 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확인되지 않았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거주지역에 따른 차이는 확인되었지만, 교육수준 및 소득수준은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확인되지 않았다. 둘째, 이용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유형을 선택하는 데는 모바일 기기 이용 시간이 많고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이 낮을수록 보다 폐쇄형 서비스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쾌락적 혁신성을 제외한 개인의 혁신성이 낮을수록 폐쇄형 서비스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라이버시를 비공개로 설정할수록 폐쇄형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프라이버시 설정과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이 함께 높아질수록 더욱 폐쇄형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령과 교육수준 및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대체로 폐쇄형 서비스를 이용하지만, 성별, 거주지역 및 직업의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소극적 활용과 적극적 활용으로 구분한 활용 행태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온라인 활동 경험, 개인의 혁신성에서 서로 다른 영향이 확인되었다. 즉, 소극적 활용에서는 모바일 기기 이용 시간, 쾌락적 혁신성이 활용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기능적 혁신성은 오히려 활용 강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지만, 적극적 활용에서는 기술적 역량, 온라인 활동의 다양성, 쾌락적 혁신성을 제외한 개인의 혁신성이 활용 강도를 강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에서는 폐쇄형 서비스를 이용하고 자기 정보 공개범위를 비공개로 설정할수록 활용 강도가 낮아졌다. 반면, 적극적 활용에서만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활용 강도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프라이버시 역설적 현상이 나타났지만, 프라이버시 설정과의 상호작용에서는 자기 정보 공개 수준을 비공개로 하면서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이 높아질수록 활용 강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있어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활용 강도가 높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활용 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적극적 활용에서만 무직과 비교해 특정 직업에 종사하는 응답자들이 더 적극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고 활용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개인의 온라인 서비스에 관한 접근과 활용에 미치는 영향이 단계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이론적 함의를 도출하면, 첫째,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의 보편적 이용은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접근과 활용에 있어서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보유한 자원으로 인한 차이가 감소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세대 간에는 디지털 정보격차가 여전히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새로운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접근과 활용 수준에서는 개인의 경험과 태도가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접근단계에서는 전반적인 개인의 혁신성이 초기 수용성을 강화하고, 소극적 활용에서는 쾌락적 혁신성이, 적극적 활용에서는 쾌락적 혁신성을 제외한 기능적, 인지적 및 사회적 혁신성이 활용 강도를 강화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다른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새로운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접근과 활용 모두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있어서 저항을 일으키는 것은 프라이버시 염려에 관한 인식보다는 개인정보에 대한 보호행동 수준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프라이버시 역설적 현상을 강화하기보다는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한 개인의 기술적 역량 수준과 자기 정보공개 수준의 결정이 오히려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 기존 연구와 어느 정도 맥락을 같이 한다. 본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근하고 활용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온라인 서비스에 가입하고 활용하는 전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각 단계에서 영향요인의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기존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한 선행연구와는 달리 기술수용과 저항요인을 대표할 수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와 개인의 혁신성, 프라이버시 염려 및 보호행동, 온라인 활동 경험을 독립변수로 하여 접근성과 활용성 측면을 단계적으로 분석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차별화된 특성이다. 통계적 분석을 통한 실증적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세대 간 디지털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디지털 포용(digital inclusion) 정책은 고령자를 중심으로 기술적 장애를 극복하는 데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둘째, 시민의 온라인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정보에 관한 투명한 관리와 통제를 통한 적절한 보호조치를 제공하여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관한 위험 인식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할 때는 분명한 목표를 제시하고, 제공되는 독특한 속성이 이용자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에 관한 단계적 접근을 통한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횡단면 자료(cross-sectional data)를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연구에서의 한계가 있다. 첫째, 온라인 활동 또는 온라인 서비스의 이용에 관한 연구는 온라인 활동 여부, 온라인 활동 인원 중에서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여부, 그리고 이들 중에서 활용 강도 또는 빈도의 정도를 순차적으로 모두 고려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으나, 통계적 방법론의 한계로 인해 이것을 완전하게 반영하지 못했다. 둘째, 연구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에 관한 분류를 소극적 및 적극적 활용으로 구분하고, 관련 설문문항을 연구에 반영하였지만 이러한 분류에는 여전히 모호성이 존재한다. 셋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하는 데 장애가 되는 것은 접근성과 활용성 측면에서의 요인 외에도 활용 성과를 통해 인식하게 되는 심리적 및 사회적 요인의 영향도 중요하지만, 설문 내용의 제한으로 인해 이에 관한 영향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러한 방법론 및 데이터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연구 결과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포함한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 및 활용하는 데 있어서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에서 단계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온라인 서비스에 접근하고 활용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변수를 사용하더라도 그 영향력의 크기나 유의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는 인과관계의 방향성을 통제하고 설문문항을 보다 구조화하여 진행될 필요가 있다.

      • 프라이버시 侵害의 民事法的 救濟에 관한 硏究

        金周憲 全州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According to the high growth of information, modem society give us many convenient things on the country, organization and private sphere. On the other hand, it brings out very complex problems. That is invasion of privacy and personal information. The most worst thing is its invasion types are diversified and it was anticipated that it will bring out frequently in the future. In this paper, I studied legal character and limitation of privacy. And compare with each nation's legislations. After that I would like to study judical relief that focus on the compensation claim. In the chapter II. I reviewed general theory of privacy, As a rule, limitation of privacy is relative with freedom of expression more than anything else. Right of privacy means not guarantee of its right unrestrictly but do not intrude of others right and do not violate of social morality, public welfare and rule. In the chapter III. Described history and legislation of privacy law that compared with United States of America, United Kingdom, Germany, Sweden, Japan. In the chapter IV. As a core of this paper, studied the types of the invasion of privacy and the ways how to relieve it. The types are based on the theory of William L Prosser, he divided it into four types. That is intrusion upon the plaintiff's seclusion or solitude, public disclosure of private facts, publicity which places plaintiff in a false light in the public eye and appropriation of the plaintiff's name or likeness. If we call his classification is classical types, invasion types in the modem society is abusing and secret gathering of personal information, etc. And I studied plaintiff's name or likeness as a relative issues. On the conclusion Privacy is the right that protect people's internal and mental profit highly, The concept of privacy on the modem society should be interpretate positive right. Its invasion is disturb other's feeling. Therefor its protection would be possible by high level of culture. Privacy contains person's characteristics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recover its damage when it was invaded. For its recovery we should approve not only compensation as a post recovery but also right to claim to elimination and correction.

      • 상관관계를 고려한 프라이버시 보호 시퀀스 데이터 마이닝

        홍선경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Recently, cloud computing and social network services produce a huge volume of data in the distributed network environment, and accordingly, the risk of information disclosure is increasing significantly. Therefore, there are growing concerns about data privacy. The aim of privacy preserving data mining (PPDM in short) is to extract meaningful knowledge and useful patterns from a large volume of data while preserving their confidentiality. In recent years, PPDM has been actively studied with a variety of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focus on preserving correlation as well as privacy of data. In general, the correlation can be widely used in lots of applications such as financial, insurance, medical, and education analysis, since it represents a certain degree of meaningful relationship among data objects. For example, a research institution wants to investigate whether ages can affect people’s financial activities or not. However, the bank should not disclose both financial actives and privacy of customers. Therefore, preserving privacy is important in using correlation information, and in this paper we address the problem of computing correlation between sensitive data while preserving privacy of these data. In the first topic, we propose a novel approach that preserves correlation as well as privacy in generating random noise to time-series data. To preserve privacy of sensitive time-series data, the existing techniques generate random noise data based on uniform or Gaussian distributions and add them to the original data. These additive random noise techniques, however, have a critical problem of destructing (i.e., not preserving) the correlation among time-series. To preserve the correl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rrelation-aware noise generation (CaNG in short) approach, which is a simple but effective approach that generates a noise value to have the same sign with its corresponding original entry. By adopting the simple strategy that tries to maintain the same signs, we then propose three correlation-aware noise generation algorithms. So as to evaluate both privacy and correlation of the proposed CaNG noise, we present quantitative metrics of preserving the privacy and the correlation, respectively. By using the proposed metrics, we show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approach in the view point of preserving privacy and correlation through a mathematical analysis. Through extensive experiments, we also show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CaNG approach. In the second topic, we propose the SMC(Secure Multi-party Computation)?based solutions to compute correlation coefficients while multiple data providers preserve the privacy of their own data in the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We first formally define the problem of secure correlation computation (SCC in short), and to compute correlation, we then present secure solutions using secure multi-party computation techniques. We consider various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various data types: 1)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for ratio and interval scales, 2)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for ordinal scale, and 3) contingency coefficient for nominal scale. For all three coefficients, we commonly use the secure scalar product. We use the random matrix encryption to compute the scalar product of two data while preserving their privacy. To show the correctness of the proposed solutions, we formally prove and analyze that each solution computes correlation coefficient correctly and securely. We also empirically show that the proposed solutions can be used for practical applications.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 및 소셜 네트워크 등으로 인해 대용량 데이터가 분산 저장되고 관리되는 추세로, 정보 누출의 위험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프라이버시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프라이버시 보호 데이터 마이닝(PPDM: Privacy-Preserving Data Mining)은 데이터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함과 동시에 많은 양의 데이터로부터 의미있는 지식을 추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여러 분야에서 PPDM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 중 상관관계(correlation)에 초점을 맞추어 PPDM을 연구한다. 상관관계는 두 데이터(또는 변수) 간 관련된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금융, 보험, 의료,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구 기관에서는 연령과 금융 거래의 상관관계 여부를 알기 원하는 반면, 금융 기관들은 고객 개인 정보와 금융 거래 내역을 누출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의 프라이버시와 데이터 간 상관관계에 연구의 초점을 맞춘다. 먼저, 시계열 데이터 대상의 PPDM인 프라이버시 보호 시계열 데이터 마이닝에서 프라이버시뿐 아니라 상관관계를 보존하는 새로운 랜덤 노이즈 생성 기법을 제안한다. 민감한 시계열 데이터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기존의 랜덤 노이즈 추가 기법은 균등(uniform) 혹은 가우시안(Gaussian) 분포를 기반으로 생성한 노이즈를 원본 데이터에 추가하여 제3자(데이터 마이너)에게 공개한다. 그러나 이러한 랜덤 노이즈 추가 기법은 시계열 간 상관관계를 왜곡하거나 아예 없앨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관관계 보존을 위해 시계열의 원본 엔트리와 이에 대응하는 노이즈 엔트리의 부호를 일치시키는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전략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 전략을 활용하여 상관관계 보존 노이즈 생성(CaNG: Correlation-aware Noise Generation)의 세 가지 노이즈 생성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CaNG 기법이 상관관계와 프라이버시 모두 잘 보존함을 보이기 위해, 상관관계 보존과 프라이버시 보호의 정량적 평가 척도를 각각 제시한다. 그리고 제안한 척도를 사용하여 상관관계 및 프라이버시 보호 측면에서 CaNG 기법의 우수성을 수학적 고찰을 통해 자세히 분석한다. 또한, 실제 데이터 대상의 다양한 실험을 통해 제안한 기법의 우수성을 보인다. 다음으로,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각 데이터 제공자가 자신이 소유한 데이터의 프라이버시는 보호하면서 상관관계를 계산하는 안전한 해결책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안전한 상관관계 계산(SCC: Secure Correlation Computation) 문제를 정형적으로 정의하고, 안전한 다자간 계산(SMC: Secure Multi-party Computation)을 사용하여 SCC의 해결책들을 제시한다. 두 데이터 간 관련된 정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상관계수를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피어슨(Pearson) 상관계수, 스피어만(Spearman)의 순위상관계수, 유관계수(contingency coefficient)에 대한 안전한 해결책을 각각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상관계수에 대한 안전한 해결책들은 기본적으로 안전한 스칼라 곱을 SCC 문제에 적용한 것으로, 안전성이 이론적으로 보장된다. 본 논문에서는 안전한 스칼라 곱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계산이 간단하고 효율적인 임의 행렬 방법을 사용한다. 각 상관계수에 대한 해결책이 바르게 수행됨을 보이기 위해, 제안한 방법들이 두 데이터 간 상관계수를 정확하게 계산하고 계산 과정에서 두 데이터의 프라이버시를 누출하지 않음을 정리로써 증명한다. 또한, 실험을 통해 제안한 기법이 실용적인 방법임을 보인다.

      • 프라이버시권의 법적보호에 관한 연구

        황수경 숙명여자대학교 1994 국내석사

        RANK : 247807

        프라이버시의 권리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그리고 자유와 행복추구에 대한 불가결의 구성요소로서 사생활의 보호개념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인격적 諸이익의 총체, 또는 자기에 대한 정보를 통제하는 권리이다. 종래에는 「혼자 있게 할 권리」 라는 소극적 개념으로 인식되었으나 컴퓨터, 정보은행 등의 등장으로 인한 오늘날의 정보화사회에서는 보다 적극적인 권리로 끌어 올릴 것이 요구되고 있다. 매스 미디어의 발달과 그에 따른 상업주의 경향으로 프라이버시에 대한 침해는 빈번히 진행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프라이버시 위기 상황을 감안하여 우리헌법은 제 17조에서 프라이버시를 권리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보호소송은 거의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그 이유는 Garison이 지적했듯이 첫째,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해 소송을 제기하는 것이 법적보호의 대상이 되겠느냐는 의구심, 둘째, 프라이버시권 침해 그 자체를 피해자가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셋째, 소송으로 인해 정신적·물질적 보상을 받기보다는 오히려 소송을 한다는 자체가 결과적으로 더한 프라이버시 상실의 결과를 유발하지 않을까 라는 염려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국민의식은 하루 속히 拂拭되어야 하겠다. 그리하여 헌법이 규정한 권리 위에 잠만 잘 것이 아니라 미국의 경우에 그러했듯이 사법부의 끊임없는 노력과 의회의 충분한 활동, 그리고 일반국민들의 집요한 권리투쟁을 통해서 이 권리를 수호하고 향유함으로서 인격의 자유로운 발전을 기하고 행복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The right of privacy to preserve one's dignity to be treated as a human being is a right which allows one to be protected from the intrusion of others. As the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progresses, the question about the right of privacy needs to be raised to the more positive aspect of right for the respect and happy-pursuing of the individual. Today, this right is needed more because of the growing infringement of the private life by mass media and the enterprise without certain standard. Although this right is regulated in article 17 in the Constitution, there is hardly illegal actions about the invasion of the privacy. The reason can be explained by the following expectations; such injuries are not protected by law, by the fact that many invasions of privacy are not perceived by victims and by the feeling that legal remedies are inappropriate, in part because the initiation of legal action itself involves the additional loss of privacy. These inadequate reflections should be disappeared. We should not keep this right as a written form, but should use it as a true right by continuing effort of the judicature and the parliament as in the U.S.A., and by ceaseless striving to acquire this right by the individu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