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죽음충동”을 주제로 한 퍼포먼스 연구 : - 프로젝트 <미궁>시리즈를 중심으로

        이승원 한국예술종합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본 연구는 프로이트의 “죽음충동”이라는 프리즘을 통해 프로젝트 <미궁>시리즈의 창작기제에 비추어 그 안의 다양한 표현양상을 탐구하고 이를 실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역설적으로 말해 대학원 재학 중에 실행한 프로젝트 <미궁>시리즈에 –자궁회귀, 죽음으로의 재생, 강박적 애도, 분열된 자아– 반복적으로 드러나는 내적‘충동’을 분석해 보니, 그 탐구의 서막에서 프로이트의 “죽음충동”이 내재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고, 이를 <미궁>시리즈에 비추어 실천 해 본 것이다. 말할 것도 없이 프로이트에 의해 처음 연구되어진 “죽음충동”은 후대에 라캉 클라인을 필두로 계승 발전되어 현대의 정신분석학, 미학, 철학, 예술비평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개념으로 프로이트의 무의식의 연구만큼이나 위대한 업적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연구자 작업에 내재되어있는 “죽음충동”의 영향과 변주를 알아볼 단초가 되어 줄 프로이트의 ‘언캐니’, 초현실주의의 ‘경이’, 크리스테바의 ‘애브젝션’을 선행으로 연구하고, 핵심적으로 다룰 “죽음충동”개념은 프로이트의 죽음충동을 알아보고 계승과 승화부분은 라캉과 클라인의 순서로 살펴보았다. “죽음충동”을 풀어내는 각 학자의 견해를 간략히 밝히자면, 프로이트는 본능적인 무기체로의 회귀욕망을 죽음충동이라 하였고, 라캉은 인간의 모든 충동을 잠재적 죽음충동으로 보았다. 나아가 클라인은 유아기적 우울과 무의식적 환상의 공격성에 연관하여 죽음충동을 연구하고, 크리스테바는 애브젝션 이론과 관련하여 죽음충동을 발전시켰다. 다시 말해 이들은 각기 독자적 이론을 펼치면서도 공통적으로 이것은 반복 강박적으로 관여하는 것이며, 마조히즘적 자기파괴본능-우울증, 무기력, 자학, 자살-으로 작용하는 죽음충동이 창작행위나 예술로서 승화되는 것을 최고의 승화의 가치로 여기며 그 자체가 창작동력으로 작용함을 밝히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바로 여기서 단초를 얻은 것인데, 앞서 죽음충동의 발현에서부터 승화에 이르고, 그 후 인간 정신기제에 지니는 가치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개념 연구를 프로젝트 <미궁>시리즈에 적용시켜 보았다. 즉 <미궁>시리즈의 4개의 프로젝트로 연구자가 성장기를 거치면서, 창작의 모멘텀을 만들고, 창작을 하는 과정에, 그 안에서 반복적으로 일고 있는 “죽음충동”을 발견해보고, 그것이 어떤 모습으로 내재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것의 창작물로의 승화뿐 아니라, 어떠한 내적 승화가 있는 것인지를 살펴 본 것이다. 그것은 프로이트, 라캉, 클라인의 견해에 입각하여 트라우마 극복의 시도로서, 주체적 순수욕망 추구의 증상으로서, 슬픔에 대한 애도가 어떻게 작업의 흔적이 되었는지를 탐색해보는 지난(至難)한 과정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고에서 다루어진 “죽음충동”개념에서 연구자가 획득한 전리품이 있다면, 주체적 힘을 기를 수 있는 시간이 되었고, 작업의 개별성을 파악하고 향후 작업의 방향을 모색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죽음충동”은 창작욕구의 근원과 창작하는 주체의 본질에 한발 더 다가서게 해주었고, 끊임없이 환유하는 ‘나’의 욕망을 직시하고 향유하는 주체성을 제시해주었다. “죽음충동”개념은 탈-경계의 사유를 긍정하면서 주체로 하여금 끊임없이 자기 전복-발전적인 유목적 정체성 추구하도록 독려하는 것이다. Abstrac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practice the various forms of expression based on the creative mechanism of the Project <Labyrinth> Series through the prism of Freud's “Death Drive.” Paradoxically speaking, I analyzed the intrinsic 'drive' that repetitively appears in my Project <Labyrinth> Series, which I worked on in the graduate program-desire to return to the womb, regeneration to death, obsessive mourning, and split ego-and realized that Freud's "death drive" lies beneath the exploration. Therefore, I performed it based on the <Labyrinth> Series. Needless to speak, the "death drive," which was first studied by Freud, was succeeded and developed by Lacan and Klein in the later generations and had an influence on the contemporary fields of Psychoanalysis, Aesthetics, Philosophy, and Art Criticism as significantly as Freud's study of the subconscious level. Therefore, this study first studied Freud's 'Uncanny,' surrealism's 'Marvelous,' Julia Kristeva's 'Abjection' as the keys to the influence and variation of "death drive" inherent in my work and then discussed the major concept of "death drive" in Freud's work, followed by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by Lacan and Klein. Briefly discussing each scholar's approach to the “death drive,” Freud defined it as the desire to return to an instinctive state of 'non-being', while Lacan believed that all drives of mankind is potentially death drive. Moreover, Klein studied death drive in relation to infantile depression and aggressive fantasy in the subconscious level and Julia Kristeva expanded it in relation to the Abjection theory. In other words, each of them had individual theories, but commonly argued that it is affected by repeated obsession and the most valuable expression of the death drive, which leads to masochist instinct to self-destruction, such as depression, helplessness, self-torture, and suicide, is through creative actions or arts and that it motivates creativity in and of itself. This was the key to this study. The psychoanalyst study of concept from the development of death drive to expression to bear value in regards to the human mental mechanism was applied to the Project <Labyrinth> Series. In other words, I discovered the repetitive use of "death drive" in the process of my growth, creative momentum, and creation through the four projects of the <Labyrinth> Series and examined how it is expressed. I examined both its development into creative work and the kind of internal development. It was an attempt to overcome my trauma based on the opinion of Freud, Lacan, and Klein and a tedious process to examine how mourning became a footprint of work as a symptom of an independent pursuit of sheer desire. In conclusion, what I acquired from this study's concept of “death drive” was the time to improve my independent strength, identify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my work, and seek the future direction of my work. In other words, the “death drive” allowed me to take a step closer to the source of my creative desire and the essence of creator and suggested the independence to see through and enjoy the ceaseless desire of 'myself.' The concept of “death drive” encourages me to admit the borderless contemplation and ceaselessly pursue the nomadic identity of self-subversion and development.

      • 현대소설을 활용한 청소년 죽음교육 교수·학습 방법 연구 : 고등학교 『문학』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이선영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학교 수업 현장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죽음교육을 진행하기 위한 교수·학습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죽음교육의 목표는 죽음에 대해 이해하고, 좋은 죽음을 준비하는 것이 삶의 과정을 잘 준비하는 것이라는 점을 알려주는 것이다. 특히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죽음교육의 목표는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계기를 마련해주어 어떻게 사는 것이 더 의미있는 삶인가를 고민하게 하는 것이다. 근래에는 과거와 달리 청소년들이 죽음의 모습을 자연스럽게 보고 배울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다. 평상시 죽음에 대한 배움과 성찰이 없는 상황에서 대중매체에서 제공하는 자극적이고 단편적인 죽음들만을 경험하면 죽음에 대한 오해가 생길 수 있다. 또 아직 확고한 가치관이 정립되지 않고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 시기에 가까운 이의 죽음을 경험하면 충격과 혼란으로 후유증을 경험할 수도 있다. 이에 전문가들이 청소년 죽음교육의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문학 수업을 활용한 방법이 실현 가능하다. 당장 죽음에 관한 교과서 제작과 교수를 할 전문가가 부족하고, 우리 사회가 청소년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해 강연하고 논의할 정도로 개방된 분위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죽음과 관련된 문학 작품을 읽고 죽음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일은 전 생애에서 가능하며, 특히 고등학교는『문학』교과가 있기 때문에 바로 적용이 가능하다. 본고에서는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10종 수록 현대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대상과 모습을 살펴보았다. 그 중 특정 시대를 담고 있는 거시적인 죽음을 제외하고 청소년이 사는 동시대를 배경으로 하면서 교육적 가치가 있는 국내소설 4편을 선정하였다. 또 이 네 텍스트의 교과서 학습 활동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활동’을 통한 ‘지식’을 강조하고 있지만, 현실은 여전히 지식이 강조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각 작품들이 죽음과 관련해 생각할 문제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와 관련된 활동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본고는 죽음교육과 관련하여 학습 활동을 어떻게 심화시킬 수 있는지 여러 가지 발문과 학습 활동을 제안하였다. 그 중 텍스트의 내용과 관련해 꼭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활동을 선정,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학습 과정안 전개 부분을 제시하였다. ‘죽음 준비 교육’을 위한 텍스트로 김애란의 ꡔ두근두근 내 인생ꡕ을 선정, 청소년 서술자인 ‘나’의 죽음을 통해 청소년이 자신의 죽음을 생각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죽음 애도 교육’을 위한 텍스트로 김애란의 「입동」을 선정, 사랑하는 존재를 잃었을 때 사람은 어떤 심리 상태가 나타나는지 이해하고 진정한 애도란 무엇인지 조사·발표하게 한다. ‘자살 예방 교육’을 위한 텍스트로 한강의 「채식주의자」를 선정, 10대 사망원인 1위인 자살과 관련해 사람은 어떨 때 자살 충동을 느끼며 그 순간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고민하게 한다. 또 자살은 왜 나쁘며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도 진지하게 생각하게 한다. ‘동물 죽음 교육’을 위한 텍스트로 이기호의 「우리에겐 일 년 누군가에겐 칠 년」을 선정, 반려동물을 키우는 현대인들이 늘어나는 이유와 반려동물을 어떻게 대해야할지 토의·토론하도록 한다. 고령화에 따른 각종 질병의 증가와 가족해체, 1인 가구의 확산으로 ‘죽음의 질’을 고민하는 ‘웰다잉(well-dying)’ 시대로 접어들었다. 제주도의 죽음교육 조례 전국 첫 제정이 신호탄이 되어 더 많은 지역으로 확산되기를 기대하며, 변화된 시대 분위기를 반영하여 고등학교『문학』에 수록된 소설 수업과 학습 활동에 죽음교육과 관련한 내용이 반영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sugges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death education for adolescents at school. The goal of death education is to help better understand death and teach that preparing for well dying is preparing for well living different stages of life. In particular, death education for adolescents aims to provide a chance to think about death so that they can contemplate on how to live a meaningful life. Unlike the past, teenagers have far less chances to watch and learn about death. With insufficient education and contemplation on death, students are likely to misunderstand death as they vicariously experience only the provocative and partial aspects of death through media. Moreover, considering their emotional vulnerability and incomplete establishment of values, they are prone to suffer more aftereffects if they have to deal with death of someone close. Experts have suggested various death education methods for teenagers, yet death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will be practical. This is because of the shortage of experts who can write textbooks on death and teach and the Korean society's reluctance to lecture on and discuss "death". Meanwhile, reading literary works related to death and asking questions about death is possible at all stages of life and can be adopted in high school with the Literature textbook. This study will explore the subjects of death and their aspects in ten contemporary novels on the Literature textbook. Out of the ten, four Korean novels that are concurrent with the students' lives and have educational values will be particularly dealt with, leaving out the ones whose deaths are more relevant to the time they were written. The classroom activities for these four texts will be examined as well. Although the National School Curriculum Revision in 2015 emphasized gaining "knowledge" from "activities," still only "knowledge" is considered important in the actual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discovered that classroom activities related to the theme of death were rarely done although the four texts have room for thinking. In this regard, this study provides several prompts for teachers that will allow more in-depth learning and possible learning activities. A few activities deemed necessary were selected in relation to the novels and I propose the development of lesson plans applied with related pedagogies. As for the texts for "Preparation for Death," My Brilliant Life by Ae-ran Kim was selected to offer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one's own death to the students through the death of the adolescent narrator "I". For "Mourning of Death", The Beginning of Winter by the same author was selected so that the students can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state of individuals who have lost their beloved ones and can study and give a presentation about the real meaning of mourning. In light of the fact that suicide is the first leading cause of death for teenagers, Han Kang’s The Vegetarian was chosen for "Suicide Prevention" to have students think deeply about why people develop suicidal thoughts and how to respond at these times. They will also be encouraged to think about why suicide is bad and possible suicide prevention measures. The last text selected was Kiho Lee's One year to us, Seven years to someone for "Animal Deaths", with which the students will discuss why more people keep animal companions and how they should be treated. Increase of diseases due to the aging society and expansion of split and single households have led to the era of "Well-dying". Hopefully Jeju's enactment of a bylaw on death education, which marks the first case in South Korea, will initiate this trend and spread to other regions. I also hope contents for death education will be reflected in the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classroom activities as well reflecting the current changes of our society.

      • 죽음불안과 섭식행동 문제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삶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

        조윤형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죽음불안은 섭식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정신병리에 관여할 수 있는 범진단적 요인으로 제언되며 상담 및 치료영역에서도 이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죽음불안과 섭식행동 문제의 관계에서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다차원적 삶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설문 및 패널을 통해 20대 여성 300명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죽음불안은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및 섭식행동 문제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는 타인관련 의미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섭식행동 문제는 자신관련 의미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가 죽음불안과 섭식행동 문제 사이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이는 죽음불안의 증가 이후 완벽주의 성향이 섭식행동 문제를 증가시키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의 매개효과에 대한 삶의 의미감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타인관련 의미감의 주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가 범진단적 요인으로 제안된 죽음불안을 경험하는 개인의 섭식행동 문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삶의 의미에서 타인관련 의미감이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의 감소와 관련됨을 보여준다. 이는 섭식행동 문제에 있어 완벽주의뿐 아니라 죽음불안에 대한 개입 그리고 삶의 의미감 중에서도 타인관련 요인을 통한 개입과 같은 실존적인 접근이 효과를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Death anxiety is suggested as a trans-diagnostic factor that can be involved in various psychopathologies including eating disorders and is consistently discussed in the areas of psychotherapy. Recognizing the need for such research,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multidimensional meaning in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eating behavior problems. Data from 300 women in their 20s were collected from an online panel and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death anxie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eating behavior problem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meaningfulness. Eating behavior problem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related meaningfulness. Seco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eating behavior problems. This suggests that perfectionism tendencies may contribute to increasing eating behavior problems when there is death anxiety.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he multidimensional meaning in life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as not significant and the main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meaningfulness o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a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may worsen the impact eating behavior problems in those who experience death anxiety which is suggested as a transdiagnostic factor. Meaningfulnes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y be related with decline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his suggests that existential approaches such as intervention in death anxiety and addressing meaningfulnes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uld be effective as well as dealing with perfectionism in eating behavior problems.

      • 죽음의 위기 극복을 위한 효과적인 장례 설교에 관한 연구 : '틀'로써의 '구두프레젠테이션'(Oral Presentation)과 '단계적 동기화 개요'(Motivated Sequence Form)에 따른 장례 설교 실례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박광현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국 문 초 록 죽음의 위기 극복을 위한 효과적인 장례 설교에 관한 연구 - ‘틀’로써의‘구두프레젠테이션’(Oral Presentation Form)과‘단계적 동기화 개요’(Motivated Sequence - Outline)에 따른 장례 설교 실례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 본 논문은 죽음의 위기 극복을 위한 효과적인 장례 설교에 관한 연구이다. 죽음은 이 땅에 살아가고 있는 인간 누구에게나 필연적으로 찾아오는 사건이며 결코 피할 수 없는 사건이다. 나아가 죽음은 단순히 죽음의 위기에 직면한 당사자인 개인에게만 국한되는 문제일 뿐 아니라, 넓게는 가정과 사회공동체, 더 나아가서는 국가와 인류역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며 충격적 사건이라 할 수 있다. 그런 측면에서 본인은 교회가 슬픔과 비탄에 빠진 사람들을 위로하고 삶을 지탱해주며 새로운 삶으로 이끌어 주기 위한 좋은 방법이 장례 설교라 생각한다. 왜냐하면, 장례 설교는 사랑하는 사람을 잃음으로써 슬픔과 비탄에 처한 고통가운데 있는 사람들에 대한 사랑의 돌봄이요, 유가족에게는 복음을 통한 전도의 기회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또한 절박한 상황에서 실의에 잠긴 사람들로 하여금 새로운 삶의 의미를 깨닫도록 인도할 뿐 아니라, 슬픔에 빠진 사람들로 하여금 그들이 살아가는 생애동안 하나님의 요구하심에 적절히 순응해 나가도록 격려하는 일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인은 이 논문의 목적을 장례 설교자의 주된 임무가 죽음의 위기 앞에 모인 청중들로 하여금, 죽음이란 절박한 상황 앞에서도 복음을 깨닫고 경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본인이 이 같은 취지에서 논문을 진행한바, 본 논문의 제1장 서론에서는 문제제기 및 연구 방법 등에 관해 고찰하였고, 이어 제2장에서는 한국 기독교 장례 설교에 대한 신학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먼저 한국 기독교 장례 설교의 신학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이어 제3장에서는 그러한 신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현재의 한국 기독교 장례 설교의 실태와 문제점에 관하여 진단을 해 보았다. 여기서는 주로 장례 설교에 대한 신학적 결여 및 정립에 관한 문제를 집중하여 다루었고, 이어 비성경적 설교를 다루었는데, 여기서는 먼저 효과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던 장례 설교 중에 몇 편을 선택하여 성경적 사례로 살펴보았고, 반대로 비성경적 장례 설교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장례 설교의 좋은 예와 그렇지 못한 예를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렇게 한 이유는 이후 본질적으로 다루려고 했던 효과적인 장례 설교의 구두 프레젠테이션 틀을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지, 또 단계적 동기화 개념에 따른 장례 설교의 실례를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가늠해 보기 위함이었다. 그런 다음, 비성경적인 용어 사용에 관한 문제와 장례 설교에 있어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문제를 둘러보았다. 특히, 여기서 본인은 지금까지 대부분의 한국 교회 장례 설교에서 행해진 것과 같은 전통적인 방식으로서의 일방적 커뮤니케이션이 아니라, 수용자-의미 중심의 쌍방적 커뮤니케이션, 즉 새로운 방식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해 살펴봄으로써, 이 논문의 뒤에서 본인이 다루었던 효과적인 장례 설교의 향상 기술, 즉 청중에 대한 설교자의 반응 등을 다루는데 기본적인 사고로 삼았다. 그리고 계속해서 장례 설교에 사용되는 성경본문의 해석에 관한 문제, 장례 설교의 형식과 예문 사용에 관한 문제, 목적을 잃어버린 장례 설교에 관한 문제 등을 대하여 중점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효과적인 장례 설교를 위해서 무엇보다도 죽음에 대한 성경 신학적 이해와 검토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구약과 신약의 죽음에 대한 성경신학적 이해에 대하여 좀 더 세밀하게 연구해 보았다. 특별히 본인은 여기서 죽음이란 절박한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대상이 유가족(청중)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청중에게로 관심을 돌려 그들의 심리적 특성들을 살펴보았다. 이렇게 그들의 심리적 특성을 살펴본 이유는 뒤에 본인이 제시한 ‘틀’로써의 구두프레젠테이션과 장례 설교의 실례를 들기 위해서 필수적인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내용을 전제로 하여 본인은 장례 설교의 특징과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고,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달자로서의 장례 설교자의 역할은 무엇인지? 혹은 효과적인 장례 설교 방법은 무엇인지? 에 대해서 깊이 있게 고찰해 보았다. 그런 다음 나 자신에게 있어 가장 핵심이며, 중요한 연구 과제인‘틀’로써의 구두프레젠테이션(Oral Presentation Form)과‘단계적 동기화 개요’(motivated sequence outline)에 따른 장례 설교의 실례에 대해 직접 작성하여 제시해 보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인은 이 논문을 통해 장례 의식에 따른 각각의 유형에 따라서 죽음의 위기에 직면한 자들을 향하여 설교자가 어떻게 설교하고, 유가족을 포함한 다양한 청중을 어떻게 위로할 것인가? 에 대해 고민하면서 죽음의 위기 극복을 위한 효과적인 장례 설교의 기본적인 틀을 제시하였다. 즉, 이제까지의 장례 설교 대부분이 어떤 ‘틀’에 의하여 행해져 왔다기보다는 설교

      • 죽음불안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이상적인 마른 체형 내면화의 조절효과

        이우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죽음불안은 다양한 정신병리에 공통으로 영향을 미치는 범진단적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죽음불안과 섭식장애와의 관련성을 지지하는 근거들도 마련되고 있지만, 두 변인 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인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 특히 선행 연구자들은 마른 체형을 이상적인 신체상으로 내면화하는 수준에 따라 죽음불안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가 달라질 수 있다고 제안해왔으나, 해당 가설에 대한 통계적 검증은 이뤄진 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섭식장애의 위험군인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죽음불안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 있어 이상적인 마른 체형 내면화가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였다. 서울 및 경기 소재 대학교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연구를 홍보하여 총 195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반복해서 설문에 응하거나 여대생이 아닌 경우, 그리고 이상값으로 판단된 데이터를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총 179명의 데이터를 가설 검증에 사용하였다. SPSS 20를 활용하여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와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 가설 검증을 위해서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이상적인 마른 체형의 내면화는 죽음불안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적인 마른 체형 내면화 수준이 높아질수록 죽음불안과 이상섭식행동 사이의 정적인 관련성은 커졌다. 두 번째, 이상적인마른 체형의 내면화 수준을 평균으로 통제했을 때, 죽음불안은 이상섭식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세 번째, 죽음불안 수준을 평균으로 통제했을 때, 이상적인 마른 체형의 내면화는 이상섭식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죽음불안이 범진단적 요인으로서 이상섭식행동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검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마른 체형을 이상적인 신체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여자 대학생들의 경우, 죽음불안 수준이 높아질수록 이상섭식행동 역시 악화될 수 있다. 이들의 부적절한 섭식행동을 개선하기 위한 상담에 있어, 죽음불안을 주요 개입의 표적 중 하나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Death anxiety is a newly introduced transdiagnostic construct, underpinning a wide range of mental health problems. Although There has been evidence that supports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eating disorders, the role of moderator between these two variables has not been studied sufficiently. Especially, previous studies imply that a high level of thin-ideal internalization can be a condition that death anxiety has an positive effect on disordered eating among young women.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in-ideal internal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disordered eating among Korean female undergraduates. For this goal, data on 179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death anxiety, disordered eating, and thin-ideal internalization,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n-ideal internalization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disordered eating. Specifically, for the women whose level of internalization of the thin ideal was high, death anxiety was positively related to disordered eating. On the other hand, for the women whose level of internalization of the thin was low, death anxiety was negatively related to disordered eating. Second, death anxie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disordered eating when the level of thin-ideal internalization was controlled. Third, thin-ideal internaliz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f disordered eating when the level of death anxiety was controlled. These results support the role of death anxiety as a transdiagnostic construct. Death anxiety can aggravate the disordered eating behaviors of young females, especially when they buy into societal messages about thinness, and need to be considered when dealing with eating problems.

      • 죽음 충동에서 생명 충동으로 변형과정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연구 : 하인즈 코헛 이론을 중심으로

        장옥화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이 겪는 죽음 충동을 연구하여, 생명 충동으로 변형 과정에 대한 정신분석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죽음 충동은 개인이 생활에서 다양한 이유로 인해 심리적 갈등이 발생할 때 그 갈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긴장감을 축소시키거나 피하려고 하는 양태를 말한다. 이러한 죽음 충동적 고난이 인간성장에 도움이 될 수는 없는 것인가? 본 논문의 최종 목적은 죽음충동의 순환에 빠져 있는 개인들이 임상현장에서 ‘정신적 산소’의 경험을 통해 죽음 충동을 극복하고 변형적 내재화 과정 을 이루어 나갈 수 있는 해법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프로이트는 죽음 충동을 억압으로 인한 증상의 발현과 반복 강박으로 보았지만, 프로이트를 연구하며 그 이론을 확장시킨 라캉과 코헛은 죽음 충동을 일으키는 동력이 생명 충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건설적이며 창조적인 에너지를 발휘할 수 있는 내면의 힘이라고 역설하였다. 거센 비바람과 폭풍을 견뎌내는 자연이 아름다운 예술품을 창조해 내는 것처럼 인생의 비바람과 폭풍은 개인을 성장하게 하는 동력인 것이다. 무엇보다도 하인즈 코헛의 입장은 자기대상들의 경험으로 인해 확장되는 개인의 창조적 능력과 가치로움이다. 개인을 총애하는 대상, 개인이 존경할 수 있는 대상, 그리고 그들과 함께 더불어 존재하며 일체감을 이루어 갈 수 있을 때 개인은 꿈과 포부의 구조, 이상과 가치의 구조, 그리고 재능의 발현과 기술 개발이라는 변형적 내재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변형적 내재화는 기존의 구조에 새로운 관점들이 들어와서 기존의 구조들이 재구조화 되는 것이며, 이 과정을 치료적 활성화라고 말한다. 변형을 이룬 개인은 죽음 충동적 시련의 상황에서도 생명 충동적 선택을 하게 된다. 변형적 내재화는 지나간 시간에 대해 애도할 수 있는 여유로움이며, 보다 능동적인 주체로의 굳건히 서게 되는 재구조화이다. 결론적으로 죽음 충동적 고난이 인간성장에 도움이 될 수는 없는 것인가?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다음과 같다. 죽음 충동적 고난을 겪는 개인은 변형의 재구조화 과정을 통해 과거의 유산으로 얼룩져 굳어진 상흔, 즉 과거의 부채 청산이며, 시련을 통치하고 다스릴 수 있는 주체의 탄생과정이다.

      • 노년 죽음준비에 대한 목회 돌봄

        강숙희 호남신학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고령사회로 달려가는 한국 사회에서 인생의 마지막 주기를 살아가는 노인들에게 죽음은 생애의 마지막 중대한 과제이다. 죽음에 대한 준비나 대처가 없이 맞이하게 되는 죽음은 막연한 두려움과 불안이 가득할 것이다. 본 연구자는 죽음을 앞둔 노인들에게 목회 돌봄을 제공하고자 죽음에 대한 이해, 노년기의 특성, 죽음준비를 위한 교육과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마지막 순간까지 인간다운 존엄성을 지니고 인간답게 살다가 죽음을 맞이하도록 돕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임종자의 심리적 변화의 단계 가운데 절대자와의 만남과 이웃과 자녀와의 사랑의 교제, 그리고 부활의 소망과 영생의 신앙을 갖고 준비된 죽음을 맞을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이는 임종자의 가족의 상황을 이해하고 목회 돌봄과 상담을 통해 어려운 시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함이다. For mature people who live in their last stage of life in this society, death is the most significant task in their lifetime. The dying would experience indefinite fear and anxiety when they face death without preparation or proper handling of it. In order to provide pastoral care to senior citizens facing imminent death,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enior citizens and the need for death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them to live with dignity when they face the last assignment of their life. This researcher makes sure that dying people encounter God, mak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and neighbors with love, have hope for the resurrection and eternal life, and finally will be able to face death with dignity. Moreover, it is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family of dying person and help them overcome the hard time through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 제주무덤을 통해 본 제주인의 죽음관 : 산 자와 죽은 자의 공간 '서천꽃밭'개념을 중심으로

        함명희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간은 불확실한 미래에 대하여 의문을 갖고 살아간다. 인간에게 가장 확실한 미래는 ‘죽음’이다. 왜냐하면 삶과 죽음은 불가분의 관계이기 때문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죽음은 삶 속에 공존하며 산 자들과 일상을 함께한다. 제주도는 한반도라는 동일 문화권 안에서 육지의 문화와는 확연하게 구분되는 문화를 갖고 있다. 지리적 환경을 차치하고서라도 관·혼·상·제(冠·婚·丧·祭)까지 한반도 문화 안에서 또 다른 제주만의 문화를 창출해 왔다. 이 논문에서는 인간이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관·혼·상·제(冠·婚·丧·祭)의 네 가지 의례 중 상례(喪禮)와 관련하여 제주인들의 특별한 죽음관를 다루고자 한다. 첫째, 육지의 타 지역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제주인들의 장묘문화를 이해한다. 둘째, 산 자의 공간인 올레와 ‘서천꽃밭’의 상관관계를 살펴본다. 셋째, 삶과 죽음의 완충공간이 된 ‘서천꽃밭’에서 제주인들이 찾고자 했던 삶과 죽음의 종착지에 대해 살펴본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인들에게 죽음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세계로의 출발이다. 인간의 존재는 영원한 것이며 죽음을 통해 존재의 근원으로 돌아간다. 죽음은 삶을 보다 긍정적, 적극적으로 살아 갈 수 있게 하는 정신적 기반을 만들어 준다. 죽음이 현실로 나타난 곳이 ‘무덤’이다. 장례의례는 죽은 자를 위한 산자의 축원(祝願)이다. 둘째, 삶의 공간인 올레 또한 초법피난처(超法避難處)의 기능으로 기록된 것처럼 올레의 공간은 산 자에게는 외부로부터의 피난처가 된다. 제주 신화를 통해 나타난 ‘서천꽃밭’과 ‘올레’는 산 자에게는 이동의 통로로, 죽은 자에게는 영혼의 통로이다. ‘서천 꽃밭’과 ‘올레’는 산 자와 죽은 자의 기억, 즉, 정신(精神)으로 이어지는 통로이다. 산 자의 이승과 죽은 자의 저승은 다른 세계이다. 그러나 정신과 영혼을 이어주는 매개체, 완충적 공간인 올레라는 현실 세계의 이정표와 ‘서천꽃밭’이라고 하는 정신적 공간이 하나로 이어질 때, 산 자와 죽은 자는 현실 세계에서 삶을 함께 하게 된다. 셋째, ‘서천꽃밭’은 제주인들의 죽음관에 있어서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공간이지만 삶에 가까운 완충적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서천꽃밭’은 죽음을 준비하는 공간이 아니라 재생(부활)을 준비하는 공간이다. 죽음과도 같은 현실의 힘겨움을 위로 받고, 극복하고자 했던 것이다. 서천꽃밭을 통한 제주인들의 죽음은 다른 사람으로의 환생이나 다른 세계로의 전환이 아니다. 신화 속의 ‘서천꽃밭’을 통한 부활은 제자리로 돌아오는 것이다. 제주의 가족문화는 ‘서천꽃밭’을 통해서 나타난다. 원래의 자기 자리로 돌아오는 제주의 신화에서 가족이 모두 한 집안을 지키는 가족 수호신으로 자격을 부여 받는다. 제주인들은 돌고 돌아가도 원래 본인의 자리가 되는 제주의 섬 안에서 죽음조차도 순환적 삶으로의 복귀, 즉, 재생(부활)을 ‘죽음’이라 여겼다. Humans live with doubts about the uncertain future. The su rest future for humans is death. Because life and death are inseparable. In this way, death coexists in life and shares daily life with the living. Jeju Island has a culture that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culture of the land within the same culture as the Korean Peninsula. Aside from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customs, weddings, funeral ceremonies, and rituals have created another Jeju's own culture within the Korean Peninsula culture. Among the four rituals that humans experience in their lives, this paper aims to deal with the special view of death of Jeju people in relation to Sangrye, wedding, funeral, and ritual. First, we understand the burial culture of Jeju people that cannot be found in other regions on land. Second, we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Olle and the ‘Seocheon ggoctbat’. Third, we will look at the end of life and death that Jeju people wanted to find in the ‘Seocheonggoctbat’, which has become a buffer space for life and death.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are as follows. First, for Jeju people, death is not the end, but the start of a new world. Human beings are eternal and return to the source of existence through death. Death creates a spiritual foundation that allows you to live life more positively and actively. The place where death has become a reality is the ‘grave’. Funeral rites are the prayers of the living lions for the dead. Second, as Ole, a space for life, is also recorded as a function of ultra-legal refuge, Ole's space becomes a refuge from the outside for the living. ‘Seocheon ggoctbat’ and Olle, which appeared through Jeju mythology, are channels of movement for the living and channels of soul for the dead. ‘Seocheonggoctbat’ and Olle are passages that lead to the memories of the living and the dead, that is, the spirit. ‘Seocheonggoctbat’ and Olle are passages that lead to memories of the living and the dead, that is, memories of the soul. The world of the living and the underworld of the dead are different worlds. However, when the milestone of the real world called Ole, a buffer space that connects the mind and the soul, and the spiritual space called ‘Seocheonggoctbat’ lead to one, the living and the dead live together in the real world. Third, ‘Seocheonggoctbat’ is a space where life and death coexist in the view of death of Jeju people, but it can be said to be a buffer space close to life. ‘Seocheonggoctbat’ is not a place to prepare for death, but a place to prepare for regeneration(revival). The Jeju people tried to overcome their lives by comfortingthemselves in the hardships of reality like death. The death of Jeju people through the ‘Seocheonggoctbat’ is not a reincarnation of others or a transition to another world. The relief through the mythical ‘Seocheonggoctbat’ is to return to its original place. The family culture of Jeju appears through the ‘Seocheonggoctbat’. The family culture of Jeju appears through the ‘Seocheonggoctbat’. In the Jeju myth that you go back to where you were, every family becomes the guardian deity of a family that protects one family. The Jeju people seem to have thought that even death on the island of Jeju, which is their place even if they go back and forth, is a return to a circular life, that is, regeneration (resurrection), as ‘death’.

      • 죽음준비 치유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정토마을 자재요양병원 사례를 중심으로

        정현정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죽음준비 치유프로그램이 정토마을 자재요양병원에 입원 중인 환우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술적 통계연구로, 연구대상자는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정토마을 자재요양병원에 입원한 환우 중 K-MMSE검사 15점 이상인 환우5명과 평소 인지와 대화가 가능하고 연구내용을 이해하고 동의한 환우 9명을 선발하여 총 14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프로그램은 2016년 10월 10일부터 11월 14일 까지 매주 월요일과 목요일 오후 2시에 진행하여 주 2회씩 10회기 동안 실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구성은 사후에 대한 이론적 접근으로 죽음 기피심을 완화하고 꼴라주와 수의 고르기, 만들기 등의 죽음을 주제로한 직접적인 치유활동으로 불안을 완화하고 명상염불을 통해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여 환우의 정신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고자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해 일반적인 상황 및 사전, 사후 정신건강척도와 죽음준비척도를 조사하였으며, 정신건강척도지는 1972년 영국에서 개발된‘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일반 건강 설문지)'를 2000년도에 신선인이‘The Korean General Health Questionnaire(KGHQ)로‘한국 일반 정신건강 척도’라는 용어로 표준화하여 개발한 KGHQ(한국 일반 정신건강 척도)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회기별 집단원의 프로그램에 대한 느낌나누기와 사후 인터뷰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통한 정신건강과 죽음준비도에 대한 변화를 서술하여 연구결과와 함께 제시하여 통계분석이 갖는 제한점을 보완하였다. 통계분석에 의한 연구 결과로는 죽음준비 치유프로그램이 정신건강의 신체화 증상과 불안증, 그리고 죽음에 대한 심리적 준비에 미치는 효과에는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외의 사회생활 부적응 변인에 미치는 효과와 심한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 그리고 죽음에 대한 물리적 준비에 미치는 효과와 죽음에 대한 사후준비 변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사례의 측면에서는 죽음준비 치유프로그램이 환우의 정신건강의 구성 요인인 신체화 증상에서 팔목 통증이 사라졌다는 등의 구체적 진술표현과 불안증에 관하여 편안하다는 인터뷰 그리고 프로그램 참가 인원 서로 간의 건강이나 출석에 대해 서로 살펴주는 모습, 회기를 더할수록 말수가 늘어나며 서로 영적대화를 시도하는 모습에서 사회생활 부적응 변인과 심한 우울증에 대한 변인에 의미가 있다고 느껴졌다. 그리고 죽음이라는 단어만 봐도 불편해 하며 기피하던 대상자들이 6회기 부터는 서로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허심탄회하게 나누는 모습에서 죽음준비도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느껴졌다. 이러한 이유로 죽음준비 치유프로그램은 노년기 환우의 죽음준비에 관한 심리적, 신체적 등 영적돌봄의 기제로써 활용이 가능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ing program of preparation of death on patients at Jung-To village Ja-Jae care hospital. This research is a study on the descriptive statistic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composed by 5 patients who get the 15 points with K-MMSE TEST and 9 patients who have cognitive capacity, are able to hold a conversation, understand the purpose of the study, consent to the research & stay at Jung-To village Ja-Jae care hospital which is located in Ulsan. I divided those 14 patients into two groups. Group 1 is involved in the healing program and group 2 did not participate. The program is carried out ten times, twice a week, on every Monday and Thursday at 2 o’clock from 10.Oct.2016 to 14.Oct.2016. The composition of the program is mitigating of the idea of avoiding death with a theoretical approach about after one’s death, and relieving anxiety with a directive healing program which deals with the subject of death. For example, making or selecting shroud, winding sheet and collage. Furthermore, it is composed through the chanting of Buddhist prayer meditaton, regaining mental stability and increase mental health. This research uses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investigates general situations, before death, after death physical health and the measure of preparing for death.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uses KGHQ (The Korea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which is developed and standardized by Sin-Sun-In in 2000 from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which is developed by UK, in 1972. The collected data is analyzed by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I describe the changes made by participants in preparing for death and their metal health through sharing and interviews with members of the healing program of preparation of death. I also present the result of the research together and supplement limitation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 of the research with statistical analysis, the healing program for the preparing of death shows it is less effective dealing with the somatization symptoms of mental health, anxiety and the effect of psychological readiness for the death, than dealing with social maladjustment, severe depression, physical readiness of death and preparing for after dying. As a result this healing program helped reduce wrist pain in physical symptoms of mental health factors and some after interviews participants feel less anxious about death. The members of the healing program were able to take care of each other and talk more. Because of these result, I feel the healing program for preparation of death is helpful in social maladjustment and severe depression. The people who just avoid thinking about death, after their sixth meeting, feel comfortable talking about death together. This is definitely a positive effect. Because of these results, the healing program for the preparing of death is useful to older patient’s preparing for death with psychological, physical and spiritual nurturance.

      • 죽음의 의미 표현 연구 : 전통 진채(眞彩)기법을 활용한 사해(死骸) 표현을 중심으로

        최정연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죽음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은 다양하게 존재했다. 그중 무교가 보편적인 한국에서는 인간의 죽음을 부정적인 존재로 보았다. 죽음이란 정말 부정적인 존재일까? 본인의 작품은 기존의 죽음에 대한 통념들을 잊고 죽음을 새롭게 인식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대부분의 철학가들은 죽음을 긍정적인 존재로 인식하였다. 대표적으로 동양 사상가 ‘장자(莊子)’는 죽음을 삶과 대등한 관계라고 하였다. 만약 삶이 부정적인 존재라면 죽음 또한 부정적인 존재인 것이다. 본인의 작품은 삶과 죽음이 다르지 않음을 ‘사해(死骸’를 소재로 하여 표현하였다. 사해를 소재로 한 ‘죽음의 의미 표현 연구’는 죽음에 대한 지각, 정립, 승화, 전망의 네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죽음의 지각’에서는 최대한 객관적인 시선을 유지하기 위하여 흑백의 사실주의 표현을 사용하였다. ‘죽음의 지각’의 작품부터는 전통 진채(眞彩) 기법을 활용하여 표현하였다. ‘죽음의 지각’은 죽음을 객관적으로 관찰하는 것이라면 ‘죽음의 정립’은 지금까지 객관적으로 바라본 것을 정립하는 것이다. ‘죽음의 승화’는 내면적 승화와 외면적 승화로 나뉜다. 내면적 승화는 장례(葬禮)식을 연회도(宴會圖)로 표현하였으며, 외면적 승화는 사해를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표현하였다. 본인의 작품을 바라보는 관객이 죽음을 ‘부정적인 것’에서 ‘긍정적인 것’으로 인식을 변화 할 수 있도록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죽음의 전망’에서는 생령(生靈)을 소재로 하여 죽음이 모든 것의 종말이 아닌 새로운 시작을 품고 있음을 표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