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호텔 소비자의 자아일치성이 기능적 일치성과 브랜드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서비스접점의 조절효과 : 중국 80-90후(後)세대를 중심으로

        궈칭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논 문 개 요 호텔 소비자의 자아일치성이 기능적 일치성과 브랜드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서비스접점의 조절효과: 중국 80-90후(後)세대를 중심으로 제출자 : 궈칭 지도교수 : 김 진 강 중국은 경제성장에 따라 생필품 소비를 중시하던 소비 형태에서 개인만족을 중시하며, 제품 품질 및 서비스 품질을 공동 중시하는 신(新)소비모델로 전환하였다. 이러한 중국 신(新)트렌드를 주도하며 시장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는 소비자는 베이비부머 세대이자 신세대라고 불리는 80, 90년대 생, 즉 ‘80, 90후(後)’이다. 각 분야에서 이들에 대한 연구는 매우 시급하다. 이들은 소비시장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고 개성을 중요시하며, 트렌드를 즐기고 절약보다는 적절한 소비와 자신을 위한 취미 생활을 통해 자신의 삶을 즐기는 것을 추구하며 자아, 가치관과 존중 추구 요구가 크다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80-90후 소비자들의 이데올로기는 다른 세대 소비자와 다른 소비패턴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기업들은 80-90후 소비자들의 강한 자아추구와 같은 이데올로기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80, 90후의 소비 심리와 소비 특징을 파악하기위해 자아일치성, 기능적 일치성, 브랜드태도, 행동의도, 서비스접점 등 변수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 2020년 1월 4일부터 1월 17일까지 중국 심천시 5성급 호텔의 80-90후(後)세대 호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560부를 배포하고 이중 540부를 회수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한 23부를 제외한 517부를 최중 분석에 이용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for Windows 18.0을 이용하였으며, 가설의 검정을 위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에 의해 매개효과 검정, 그리고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일치성의 3가지 요인 모두 다 기능적 일치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이상적 일치성은 기능적 일치성에 제일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일치성의 하위요인인 이상적 자아일치성, 사회적 자아일치성은 브랜드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이상적 일치성은 사회적 자아일치성에 비해 브랜드태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적 자아일치성은 브랜드태도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능적 일치성은 브랜드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일치성의 하위요인인 실제적 자아일치성, 이상적 자아일치성, 사회적 자아일치성과 브랜드태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브랜드태도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아일치성과 기능적 일치성의 관계에서 서비스접점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는 서비스접점의 하위요인인 고객-기타고객 접점은 실제적 자아일치성과 기능적 일치성의 관계에서 순수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고객-물리적 환경 접점, 고객-직원 접점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기타고객 접점은 이상적 자아일치성과 기능적 일치성의 관계에서 유사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고객-물리적 환경 접점, 고객-직원 접점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물리적 환경 접점은 사회적 자아일치성과 기능적 일치성의 관계에서 순수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직원 접점은 사회적 자아일치성과 기능적 일치성의 관계에서 유사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서비스접점의 하위요인인 고객-기타 고객 접점은 조절효과가 없으나 기능적 일치성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학문적 시사점으로 첫째, 본 연구는 특정 대상인 중국 80-90후 호텔 소비자를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선행연구와 일치하게 나타나 선행연구의 이론을 지지하는 동시에 연구대상을 세분화하여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둘째, 중국 80-90후 호텔 소비자 행동에 관한 연구 중에 감정적 요인인 자아일치성, 인지적 요인인 기능적 일치성을 동시에 고려하며, 두 요인과의 관계를 밝히는 중국 호텔 분야의 최초 실증연구이다. 이는 중국 80-90후 호텔 소비자의 태도 및 행동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연구가 되었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미가 있다. 셋째, 중국 80-90후 호텔 소비자가 느끼는 감정과 인지를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해 사회 심리학에서 시작하여 마케팅 이미지와 관련한 소비자 행동 이론의 주요한 개념으로 적용되고 있는 자아일치성 이론과 기능적 일치성 개념을 도입하여 중국 80-90후 호텔 소비자 태도와 행동의 영향 관계를 실증함으로써 학문적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넷째, 자아일치성과 기능적 일치성의 관계에서 서비스접점이라는 조절변수를 처음으로 추가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연구 범위를 확장하였다. 다섯째,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접점의 개념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실무적 시사점으로 첫째, 자아일치성과 기능적 일치성 간의 정(+)의 영향관계를 확인함으로써 호텔기업들이 기능적 속성에 투자하는 동시에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소비자의 자아일치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을 밝혀냈다. 둘째, 자아일치성의 하위 요인 중 이상적 자아일치성과 사회적 일치성은브랜드태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미치는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최근 중국 80-90후 소비자들은 소비를 위한 구매라기보다는 자아표현을 위한 가시적구매일 경우가 많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셋째, 기능적 일치성과 브랜드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이에 중국 80-90후 소비자의 기능적 일치성이 높을수록 브랜드태도도 높아질 것이며 호텔 기업이 제공하는 기능적 속성들은 소비자의 기대에 부응하면 호의적인 브랜드태도를 갖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호텔 서비스 품질, 시설 수준, 분위기와 같은 기능적 속성이 소비자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수준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넷째, 브랜드태도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긍정적 구전, 지속적 이용의도, 재방문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호텔 브랜드에 대한 호의적이고 매력적인 이미지를 인식시키는 전략도 필수적인 것임을 알 수 있다. 마지막, 자아일치성과 기능적 일치성의 관계에서 서비스접점의 조절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자아를 중시하는 중국 80-90후 호텔 소비자들로 하여금 제한된 서비스 환경에서 호텔에 대한 평가를 높이는 전략으로는 서비스접점에서 그들과 호텔의 물리적 환경, 직원 관련 요소, 기타고객과의 상호작용 평가를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주제어: 자아일치성, 기능적 일치성, 브랜드태도, 행동의도, 서비스접점

      • 대학생 이성커플의 일치성 향상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Satir 성장모델을 기반으로

        정여원b 인제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이성커플을 위한 Satir 성장모델 기반 일치성 향상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치성 향상프로그램의 개발절차 및 내용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일치성 향상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프로그램의 개발 절차를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모형에 기초한 기획-구성-실행-평가의 순서대로 제시한다. 기획단계에서는 갈등을 일으키는 불일치 요인을 추출하고, 일치성을 위한 치료요인을 Satir 빙산메타포의 구성요인으로 채택하여, 빙산메타포의 구성요인과 연결된 일치성의 세 단계와 일치성의 세 가지 치료영역에서 접근하였다. 일치성의 1단계는 감정을 수용하며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것이고, 2단계는 지각의 변화로 내적 중심상태에서 조화를 이루는 것이고, 3단계는 생명의 근원인 자기와 생명력이 근원인 우주 에너지의 연결로 있는 그대로를 수용하는 것이다. 일치성의 접근영역은 자기(self)와 관련된 심리내적체계(The Intrapsychic System), 타인(another person)과 관련된 상호작용체계(The Interactive System), 상황(context)과 관련된 원가족 역동체계(The family of origin system)를 말한다. 구성단계에서는 일치성 향상을 위한 참여자의 변화과정을 접촉-자각-혼돈-통합의 흐름에 따라 솔직한 자기 개방기술과 공감 표현기술을 익히도록 구성하였다. 치료적 접근영역별 주요활동은 상호작용체계의 경우 의사소통의 내적 과정에 대한 역할극을 활용하고, 심리내적체계의 경우 명상과 자기만다라를 활용하며, 원가족역동체계의 경우 의사소통 유형의 특징에 따른 가족조각과 가족규칙을 활용한다. 실행단계에서는 Satir 빙산메타포의 개인 간 차원, 개인 내 차원, 영성 차원의 하위 구성요인을 회기별로 적용하여 개발한 4단계 8회기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4단계란 대인관계 접촉단계, 개인내면 자각단계, 영성연결과 혼돈단계, 빙산 의사소통단계를 말한다. 프로그램의 참여 대상자를 인구학적 특성이 비슷한 이성커플 8쌍 중 실험집단 4쌍과 통제집단 4쌍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의 구성원은 참여자 8명, 연구자 1명과 관찰자 1명의 총 10명이다. 진행 기간은 2020년 9월 12일부터 10월 12일까지이다. 프로그램의 운영방식은 혼합형인데, 주 1회씩 운영에서는 개인 내의 심리적 구조와 개인 간의 대처 방법에서 이해를 돕는 시간을 가지며, 종일반 운영에서는 빙산메타포의 구성요인을 반복, 순환, 축적하며 통합을 이루기 위한 시간을 가진다. 평가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객관적 효과평가의 설계를 진실험 연구인 전후검사 통제집단 설계(protest-posttest compare group design)로 구성하였고, 주관적 효과평가의 설계를 반복적 비교분석법(comparison method)으로 구성하였다. 객관적 효과평가를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일치성 척도, 갈등해결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전과 사후에 검사하였다. 객관적 효과평가의 방법은 빈도분석, Cronbach’s α 계수, Mann-Whitney U 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였다. 주관적 효과평가를 위해서는 전사 자료, 참여자의 빙산일기 및 참여자에 대한 관찰 메모를 활용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기존에 없던 대학생 이성커플 대상의 개인 내 일치성을 이루어 개인 간 일치성을 훈습하는 일치성 향상프로그램을 개발한 점에 의의를 둔다. 그러나 참여대상이 소수이므로 일반화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 인터넷 쇼핑의 기대일치, 기대불일치가 고객만족, 고객신뢰,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서지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터넷 쇼핑 시장이 급격히 성장함에 따라 각 업계에서는 인터넷 쇼핑몰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패션업계에서는 브랜드를 백화점에 입점하거나 오프라인 매장을 내는 유통 전략 대신, 자사 몰을 통한 인터넷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따라서 성공적인 인터넷 쇼핑몰 운영전략을 위해 마케터들은 고객들의 구매행동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고객만족의 모형 중 Oliver(1980)에 의해 제안된 기대불일치 모형을 바탕으로 연구 대상자의 구매 전 기대와 구매 후 성과에 따라 긍정적 기대일치 집단, 부정적 기대일치 집단, 긍정적 기대불일치 집단, 부정적 기대불일치를 집단 총 4개의 집단으로 분류하고, 각 집단 간의 고객만족, 고객신뢰, 고객충성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조사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의류상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50대 여성 고객 4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7월 7일부터 8월 31일까지 5점 리커트 척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3.0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대응표본 t-검정, 분산분석, 던컨 검증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매 전 기대의 평균과 구매 후 성과의 평균에 대해 대응표본 t-검정을 한 결과 전체기대-전체성과, 위험기대-위험성과, 혜택기대-혜택성과, 상품기대-상품성과는 서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집단은 구매 전 기대의 평균(3.43)과 구매 후 성과의 평균(3.38)을 기준으로 긍정적 기대일치 집단 144명, 부정적 기대일치 집단 159명, 긍정적 기대불일치 집단 51명, 부정적 기대불일치 집단 46명으로 분류하였다. 전체집단 간의 고객만족, 고객신뢰, 고객충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서 긍정적 기대일치/긍정적 기대불일치 집단이 유의하게 높았고, 부정적 기대일치/부정적 기대불일치 집단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신뢰에서는 긍정적 기대일치/긍정적 기대불일치 집단이 유의하게 높았고, 부정적 기대일치 집단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험요인에 대한 집단은 구매 전 위험기대의 평균(3.16)과 구매 후 위험성과의 평균(3.31)을 기준으로 긍정적 기대일치 집단 152명, 부정적 기대일치 집단 122명, 긍정적 기대불일치 집단 66명, 부정적 기대불일치 집단 60명으로 분류하였다. 위험요인에 대한 집단 간의 고객만족, 고객신뢰, 고객충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고객만족, 고객충성도에서 긍정적 기대일치 집단이 유의하게 높았고, 부정적 기대일치 집단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신뢰에서는 긍정적 기대일치/긍정적 기대불일치 집단이 유의하게 높았고, 부정적 기대일치/부정적 기대불일치 집단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혜택요인에 대한 집단은 구매 전 혜택기대의 평균(3.66)과 구매 후 혜택성과의 평균(3.57)을 기준으로 긍정적 기대일치 집단 176명, 부정적 기대일치 집단 148명, 긍정적 기대불일치 집단 45명, 부정적 기대불일치 집단 31명으로 분류하였다. 혜택요인에 대한 집단 간의 고객만족, 고객신뢰, 고객충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고객만족과 고객신뢰에서 긍정적 기대일치/긍정적 기대불일치 집단이 유의하게 높았고, 부정적 기대일치/부정적 기대불일치 집단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충성도에서는 긍정적 기대일치 집단이 유의하게 높았고, 부정적 기대일치 집단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상품요인에 대한 집단은 구매 전 상품기대의 평균(3.43)과 구매 후 상품성과의 평균(3.26)을 기준으로 긍정적 기대일치 집단 128명, 부정적 기대일치 집단 140명, 긍정적 기대불일치 집단 79명, 부정적 기대불일치 집단 53명으로 분류하였다. 상품요인에 대한 집단 간의 고객만족, 고객신뢰, 고객충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서 긍정적 기대일치/긍정적 기대불일치 집단이 유의하게 높았고, 부정적 기대일치/부정적 기대불일치 집단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신뢰에서는 긍정적 기대일치 집단이 유의하게 높았고, 부정적 기대일치/부정적 기대불일치 집단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전반적으로 성과가 높은 집단(긍정적 기대일치 집단, 긍정적 기대불일치 집단)이 고객만족, 고객신뢰, 고객충성도가 높았으며, 성과가 낮은 집단(부정적 기대일치 집단, 부정적 기대불일치 집단)은 고객만족, 고객신뢰, 고객충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객들이 인터넷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한 후 기대가 일치되었건 불일치되었건 성과가 충족되면 만족, 신뢰, 충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기대보다 성과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인터넷 쇼핑몰 마케터들은 고객들이 구매 후 상품, 서비스, 쇼핑몰에 대해 성과를 낮게 지각하지 않도록 마케팅 전략 수립을 모색하여 실행해야 할 것이다.

      • 인지불일치에 대한 소비자 반응

        김현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공동마케팅과 같이 소비자들이 두 항목을 동시에 고려하여 제품을 평가해야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인지불일치가 평가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하였다. 기업들은 공동상표, 공동마케팅, 협력판촉 등의 다양한 제휴의 형태를 통하여 시너지 효과를 얻고 아울러 경쟁력을 갖추려는 노력을 하지만, 이러한 유형의 전략들은 제휴의 형태에 따라 두 제품 혹은 상표간에 인지적으로 불일치하는 상황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지금까지 심리학에서의 연구들은 이와 같은 인지불일치는 심리적 갈등을 일으키며 이로 인하여 부정적인 평가 결과를 낳는다고 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소비자 행동 연구에서는 인지불일치의 정도 및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처리 결과들을 제시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결과를 얻기 위하여 불일치의 차원을 제품군과 관련된 기술적 불일치와, 상표개념과 관련된 평가적 불일치로 나누어 이를 기준으로 불일치의 유형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에서의 공동마케팅은 특히 우수한 사이트간의 공동마케팅에 대해서는 온라인을 통한 정보유출 등에 대한 우려로 이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평가가 좋지 않은 사이트간의 공동마케팅에 대해서는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동화현상이 나타났다. 둘째, 패션제품의 경우, 우수한 상표간의 공동마케팅은 개성을 저해하고 위화감을 조성한다는 이유로 이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평가가 좋지 않은 상표간의 공동마케팅에 대해서는 온라인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동화현상이 나타났다. 셋째, 평가적으로 불일치하는 제품 혹은 사이트간의 공동마케팅은 일반적으로 부정적 하위항목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일한 조건에서 서비스의 경우는 긍정적 하위항목화보다 기술적 일치로 인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평가의 결과는 같지만 그러한 평가에 이르는 인지과정은 제품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넷째, 제품의 경우, 기술적 차원 및 평가적 차원 모두에서 불일치가 발생하는 경우는 공동마케팅을 매우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대조현상이 나타났다. 다섯째, 서비스에 대해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모두 기술적 차원 뿐 아니라 평가적 차원에서도 불일치하는 경우, 오히려 소비자들은 이러한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동마케팅의 원인을 추론함으로써 긍정적 평가를 유도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일반적으로 서비스에 대한 공동마케팅은 온라인 서비스 혹은 일반적인 제품의 공동마케팅에 대한 평가보다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인지불일치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소비자들은 기술적 차원과 평가적 차원을 다르게 구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오히려 평가적 차원에서 불일치가 일어나는 경우는 기술적 차원에서의 일치 및 불일치를 평가의 기준으로 보다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였기 때문에 연구에 많은 제한이 있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제품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하며, 관여도, 친밀도, 지식 등과 같은 개인차 변수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행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gnitive inconsistency on performance evaluation when consumers has to evaluate two items concurrently, as in case of co-marketing. Firms exert great efforts on co-branding, co-marketing, and joint promotion to benefit from synergy effects as well as to gain competitive edge, However, such strategy may result in cognitive inconsistency on two products or brands, pending on the type of alliance, collaboration, or partnership. Meanwhile, researches in the field of psychology thus far have asserted that cognitive inconsistency results in psychological conflicts, and thus negative evaluation, On the same line, researches in the field of consumer behavior have suggested that information process may result in different outputs, pending on the degree and type of cognitive inconsistency. To realize an output that is systematical and comprehensive, this study has distinguished between descriptive inconsistency on product level and evaluative inconsistency on brand level. The same criteria were applied in analyzing the result by the type of cognitive inconsistenc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n-line co-marketing, especially that among positively evaluated or outstanding sites, was perceived negatively, as on-line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was of concern. On the hand, co-marketing among negatively evaluated sites was considered positively, exhibiting assimilation effect. Second, in case of fashion goods, co-marketing among symbolic products was evaluated poorly, as it was expected to dilute individuality or promote a sense of incompatibility. Third, in general, co-marketing among products or sites that are evaluated differently resulted in negative subtyping, Nevertheless, service goods were evaluated fairly or positively due to descriptive consistency, rather than positive subtyping, when given conditions were the same. Accordingly, the result from evaluation could have resulted from varying cognitive processes for different product lines. Fourth, in case of manufactured goods, cognitive inconsistency in both descriptive and evaluative dimension resulted in negative evaluation of co-marketing, exhibiting contrast effect. Fifth, in case of service goods, cognitive inconsistency in both descriptive and evaluative off- or on-line resulted in positive evaluation of co-marketing, as it was perceived by customers as means to resolve such inconsistency. Sixth, co-marketing of services in general was evaluated fairly, when compared to that of on-line services or general goods. Seventh, on the evaluation of cognitive inconsistency, consumers seemed to distinguish between descriptive and evaluative dimension. Moreover, in case of cognitive inconsistency in evaluative level, consistency or inconsistency on descriptive dimension was used as an evaluation criteria. This study has many limitations, as it has been investigative. Future researches should be extended to a greater variety of products, and empirical studies on the effec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involvement, familiarity, and knowledge will prove to be a worthwhile endeavor.

      • 교회일치를 위한 세계교회협의회(WCC) 교회론 연구

        최승호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WCC의 교회일치의 방향성을 과제로 삼아 ‘코이노니아’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그리스도교는 그 시초부터 다양한 종파로 나뉘어져 왔다. 이천 년의 시간동안 서로 다른 교회론과 신학을 바탕으로 자기들만의 교단을 구성해가고 있는 교회들은 끊임없이 일치점보다는 차이점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후로 교회들은 서로의 공통점을 발견하고 확인하며 화해와 일치의 길로 나아가고자 한다. 그리스도교는 그리스도의 명령에 따라, 성에 따라 하나의 길로 걸어가야만 한다. 이에 프로테스탄트를 중심으로 세계교회협의회(이하 WCC)가 창설하게 되었다. 그리고 WCC는 교회 일치 운동을 펼치며 다양한 교회들의 하나됨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런데 교회의 하나됨에 있어서 가장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은 바로 교회론에 관한 부분이다. 본 논문은 WCC의 총 10회차에 걸친 총회와 여러 중요 문서에서 발표된 일치문서를 통해 WCC의 교회론적 이해와 일치의 방법론을 연구하고자 한다. WCC는 제1차 암스텔담 총회를 시작으로 다양한 교회론적 방법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로 비교교회론을, 그 다음으로 협의회적, 가시적, 그리고 코이노니아로 이어지며 끊임없이 일치의 방법론을 변경해왔다. WCC는 이 과정의 작업을 이루어 내기 위해 신앙과 직제 위원회의 계속되는 연구와 WCC 전체의 의사를 반영한 여러 성명서와 문서 등을 통해서 다양성과 통일성을 겸비한 일치를 모색해왔다. 필자는 토론토 성명서를 시작으로 2012년 교회: 공동의 비전을 향하여(이하 CUV)에 이르기까지 여러 교회들의 다양한 이해가 기반이 된 교회론을 정리하면서 일치를 찾고자 한다. 그리고 필자는 WCC가 코이노니아를 중심으로 한 일치를 촉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코이노니아가 배제되거나 약화된 상황에서의 일치는 매우 미약하며 흔들리는 배와 같다. 코이노니아는 교회의 하나됨을 발견하도록 도우며 이 교제와 연대에서 교리적, 신학적인 논의에 심도를 기여한다. 지금 WCC의 에큐메니칼 운동은 코이노니아를 우선으로, 최선으로 삼고서 교회들의 화해와 일치를 위해 더욱더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일치성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와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유일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자녀를 둔 부부들을 대상으로 일치성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와 부모역할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유자녀 부부 290쌍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도구는 일치성 척도, 결혼만족도 척도, 부모역할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2.0과 AMOS 16.0을 활용하여 t-검정, ANOVA,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일치성의 경향을 살펴보면, 남편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거나 전문직일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 부인의 경우는 교육수준이 높을 때 일치성이 높게 나타났다.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결혼만족도의 경향을 살펴보면, 부인의 경우 연령이 적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남편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부모역할만족도의 경향을 살펴보면, 남편의 경우 연령이 적거나,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역할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부인의 경우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부부의 일치성, 결혼만족도, 부모역할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부부의 일치성, 부모역할만족도는 모두 비슷함을 알 수 있었으나, 일치성의 하위영역 중 심리내적 차원의 경우에만 부인이 남편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결혼만족도의 경우는 남편이 부인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역할만족도의 하위영역인 배우자의 지지는 남편이 부인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부모역할갈등은 부인이 남편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의 지지 경우에도 부인이 남편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일치성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와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부부 각자의 일치성이 부모역할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부부 각자의 일치성이 결혼만족도를 통해 자신의 부모역할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인의 경우는 남편의 일치성이 부인의 결혼만족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자신의 부모역할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일치성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와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경로를 규명함으로써 남편과 부인의 일치성이 자신의 결혼만족을 통해 부모역할만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부부의 일치성이 결혼생활과 부모역할에 대한 만족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오늘날 대부분의 가족치료 모델이 부부 또는 가족관계의 단순한 의사소통 차원이나 부모의 행동적인 차원의 역할만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결혼만족도와 부모역할만족도에 부부의 심리내적 요인인 일치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므로 행복한 부부생활과 부모역할에 대한 만족을 위해서는 부부의 일치성을 높아지도록 역량을 강화시키고, 이에 따른 가족치료·상담과 부부치료교육에서 부부의 일치성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개입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e Effect of Congruence on the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effect of congruence on the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For this study, 290 couples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who had children were surveyed a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directly and collected by using Congruence Scale, Korean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Scale. Using SPSS WIN 12.0 and AMOS 16.0 for analysis of gathered data, this study practised paired t-test, ANOVA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ollowing is the trend of congruence by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ngruence is affected by high educational level and professional classes of husbands. In the case of wives, congruence is affected by high educational level. The following is the trend of marital satisfaction by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wives, marital satisfaction is affected by young age. However, in the case of husbands, there is not significant. Also, parental role satisfaction is affected by young age and salaries in the case of husbands. In the case of wives, there is not significant. Second, after reviewing among congruence, martial satisfaction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congruence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are to be similar. In martial satisfaction, husbands' is affected more than wives'. Third, The following is the effect of congruence on the couples' martial satisfaction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e study shows that parental role satisfaction has a direct effect on congruence for themselves and that congruence for th has an indirect effect on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rough martial satisfaction. Also, husbands' congruence has a direct effect on wives' marriage satisfaction and it results in influencing indirectly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is study confirms that by investigating the path of the effect of congruence on the couples' martial satisfaction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congruence has a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rough their martial satisfaction. That is to say, congruence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marriage life and parental role. Today, most of the family therapy model is providing simple communication dimension for either couples or family relationship and parental behavioral rol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congruence of couple's psychological internal factors is known to be a critical factor for the marriage satisfaction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erefore, strengthening a capacity to enhance congruence is thought to be needed for happy marriage life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Accordingly, it suggests that practical ways to enhance congruence should be needed in family therapy and couple therapy education.

      • 자아일치성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고객만족의 매개효과

        왕싸이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has a purpose to show how consumer’s word-of-mouth intention was affected by self-congruity (actual self, ideal self). This research surveyed students of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from Keimyung Universit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5th to September 28th of 2014. 221 surveys were distributed and 211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9.0 Statistical Program, which executed population statistical analysis of sample, liability analysis, valid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In this research,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satisfaction of customers is affected by self-congruity (actual self, ideal self). Second, when satisfaction is high after purchasing a product or service, consumers showed high word-of-mouth intention. Third, ideal self-image congruity affect word-of-mouth intention directly but actual self-image congruity did not. Fifth, when comparing actu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ideal self image showed higher influence in word-of-mouth than actual self-image. Based on the study results, consumers show high satisfaction when buying something that corresponds to self-image when selecting product or service, and consumers talk positively. Also, when selecting a product that corresponds with actual self-image, consumers do not talk about it, but they talk positively to others when selecting products that correspond with ideal self-image. Especially, through chi-square difference test, actu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have a clear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n word-of-mouth. This gives implications on executing marketing strategi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소비자 자아일치성(현실적 자아, 이상적 자아)이 어떻게 구전의도를 높이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계명대학교에서 경영학과 학생들이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설문 기간은 2014년 9월 25일부터 2014년 9월 28일 까지4일간 실시하였으며, 총 221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11부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표본의 인구통계학 분석, 신뢰도분석, 타당성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가설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소비자들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자아 이미지(현실적, 이상적)와 일치한다고 응답한 고객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들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후에 만족도가 높으면 구전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현실적 자아일치성이 높다고 해서 소비자들이 해당 제품을 구전하려는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이상적 자아일치성이 높은 제품에 대해서는 소비자들이 구전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현실적 자아일치성과 이상적 자아일치성이 비교하면 현실적 자아일치성보다 이상적 자아일치성가 구전의도에 영향을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소비자들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할 때, 자아와 일치하는 제품은 선택하면 고객만족이 높고, 고객이 만족하면 고객은 긍정적인 구전을 한다. 현실적 자아와 일치하는 제품의 경우, 구전하지 않고 이상적 자아와 일치하는 제품의 경우 긍정적인 구전한다. 특히, 카이 자승 검증을 통해 현실적 자아일치성과 이상적 자아일치성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한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는 점은 향후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 교회일치를 위한 교부문헌 연구 : 2세기 교회 교부문헌과 종교개혁시대의 성공회 교회 이해를 중심으로

        이민우 성공회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하느님을 아버지로, 같은 예수 그리스도를 주님으로 고백하는 같은 신앙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외형적인 요소들과 저마다의 교리와 교회 이해가 다름으로 인해 많은 교파들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오늘날 교회의 현실이다. 신약성서에서도 찾아 볼 수 있듯이 예수 그리스도께서 모든 이들이 하나가 될 것을 바라셨음(요한 17,11)에도 불구하고 교회는 분열을 거듭하면서 오늘에 이르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일치를 향한 움직임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세계교회협의회(WCC)는 1948년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창립총회에서 "교회의 분열은 그리스도의 뜻에 명백히 어긋나며, 세상에서 걸림돌이 되고, 모든 사람들에게 복음을 선포하여야 할 지극히 거룩한 대의를 손상시키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로마가톨릭교회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회기 중 1964년 11월 21일에 발표한 '일치의 회복(Unitatis Redintegratio)' 이라는 제목의 교령에서 "교회의 분열은 그리스도의 뜻에 명백히 어긋나며, 세상에서 걸림돌이 되고, 모든 사람에게 복음을 선포해야 할 지극히 거룩한 대의를 손상시키고 있다"고 했다. 이러한 세계교회의 일치에 대한 노력과 아울러 한국교회에서도 일치를 위한 움직임이 일기 시작했다. 1967년 1월 18일 이래로 가톨릭의 교회일치위원회와 한국기독교협의회가 주관하여 '교회일치 기도주간'을 지키기 시작했으며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성서의 공동번역 작업(1977년 발간)을 추진했다. 또한 학자들 간의 신학적 대화 모임도 개최되어 1979년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와 한국신학연구소가 공동으로 '하나인 믿음:새로운 공동신앙고백서' 를 출간하기도 했다. 이와 같은 노력들은 그동안 오랜 세월 반목과 대립으로 일관하던 모습에서 벗어나 화해를 이루어 가시적 일치를 위한 움직임이었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 할 수 있다. 필자가 본 논문을 작성하게 된 동기는 세계교회의 일치에 대한 노력들의 중심에 성공회가 있었다는 점을 주목한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저명한 성공회 주교 월리엄 템플이 세계교회협의회의 발족에 기여한 바가 컸었다는 사실, 즉 세계 교회에서 일치의 중심에 성공회가 있었다는 것이 직접적인 동기로, 성공회의 관용적이고 포괄적인 태도가 세계교회 뿐만 아니라 한국교회에서도 일치를 위한 중요한 중재자 역할을 감당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 간접적인 동기로 작용했다. 그러한 가운데 교회 일치에 있어서의 관심은 초대교회의 연구가 공통 분모로 작용할 수 있으리라는 것으로 확장되었고. 가시적인 일치를 이루었던 초대교회와 오늘날 세계교회 안에서 일치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성공회의 교회 이해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싶었다. 말하자면 초대교회와 성공회의 교회 이해에 대한 연속성에 대한 발견이 교회 일치에 대한 전망에서 유용하리라는 생각이 본 논문의 동기로 모아진 것이다. 초대교회는 사도행전에서 볼 수 있듯이 예수 그리스도의 승천 이후 성령강림 사건으로부터 시작되었다(사도 2). 오순절에 성령을 받은 사람들 가운데는 실제로 예수의 죽음과 부활을 직접 목격한 사람들도 있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해서 당시 초대교회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기억과 그의 가르침을 생생하게 간직할 수 있었다.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시작된 하느님 나라의 선포는 초대교회의 시작과 함께 예수와 함께 한 사도들과 그의 후계자들에 의해서 구체화되고 계승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이 가르침과 전통들에 있어서 그 중심에 위치했던 사도 이후의 인물들을 우리는 통상 '교부' 라 부르며 그들은 교회사 속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왜냐하면 교부들은 "성서에 대한 가장 탁월한 주석가들이며, 교회 전통에 있어서 타당한 대표자인 동시에 증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서의 올바른 이해와 전통의 지식을 위해서는 교부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눈을 그 시대로 돌려 그 시대에 존경할 만한 문헌들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교부들의 정신과 그들의 살아 숨쉬는 신앙, 그리스도와 교회를 위해 그들이 몸소 보여준 제적들을 살피려는 노력과 함께 교부학적 지식도 함께 요구된다. 이와 같은 교부학적 연구와 성공회 교회 이해를 어떻게 연결지을 수 있겠는가? 종교개혁 시대 영국성공회에서 가장 중요한 문헌으로 공도문(the Book of Common Prayer)과 39개 신조를 꼽는다. 이 문헌들은 성공회가 가진 정체성을 잘 보여주고 있는 문헌으로 꼽을 수 있으며, 이 문헌들에 따르면 성공회는 "하나이요, 거룩하고, 보편성을 가졌으며, 사도로부터 이어오는 교회"이다. 또한 이와 같은 성공회의 정체성은 19세기 영국에서 발흥했던 성공회의 고교회파들이 주류를 이루었던 옥스퍼드 운동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옥스퍼드 운동의 지지자들은 사도적 계승과 교부시대의 교의를 중요시 하면서 성사생활과 엄격한 신앙 규율의 회복을 갈망하였다. 그리고 이 시기에는 희랍 교부들의 저작이 영어로 번역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소개되면서 교부시대의 가톨릭 전통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키기도 하였다. 옥스퍼드 운동가들의 표현을 빌자면 성공회는 초대교회로부터 지금까지 "단절됨 없이 같은 전통을 계승해 오고 있는 교회" 이다. 그들은 첫 5세기 동안의 교회가 "교리적 일치에 기초를 둔 통일된 초대교회"에 관심하였다. 초대교회에 대한 옥스퍼드 운동가들의 관심과 함께 교부들은 그들에게 살아 있는 현실로 다가올 수 있었고, 그들은 "교부들에 대한 연구로 교회가 주장하는 교리의 중심으로 삼고자"했다. 그러므로 초대교회의 교회 이해, 특별히 당시에 활동한 교부들의 문헌을 통해 그들의 교회 이해를 알아보는 것은 옥스퍼드 운동 이후의 성공회가 추구하는 교회 이해와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에 유용하다. 본 논문의 방향은 지금까지 언급한 바와 같이 옥스퍼드 운동가들이 주장했던 "초대교회를 계승한다" 는 말에 착안하여, 과연 초대교회가 어떤 교회였는지, 성공회는 어떤 교회 이해를 추구하고 있는지, 그리고 양자가 그 맥을 같이 하고 있는 부분은 어떤 것인지를 비교하여 밝혀 보기로 한다. 궁극적으로 시도하려는 바는 물론 일치를 위한 공통분모로서의 교부들의 교회 이해에 대한 연구가 될 것이며 또한 일치를 위한 우리의 관심을 어떤 방향으로 설정해야 할지를 고민해 보려는데 그 목적을 둘 것이다.

      • 브랜드 확장 시 컨셉 일치성이 광고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모 브랜드이미지와 자아이미지 일치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호영설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actically discover the role of consumer self image and the effects of brand image and brand concept consistency on the consumer brand extension purchase intention. For this research, the consistency and low degree of the idea of brand expansion were selected, and the correlation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this research, the concept consistency of the brand and extension product is referred as independent variables, extension of the brand image and consumer self image referring as control variable, 2(concept type : high/ low) x 2 (image consistency: high/low)factorial design was formed between the subjects. Experimental objects, certain brand for normalization, cloth and cosmetic product groups, extension product of symbolic concept and functional concept were selected. The results show that when brand expansion is relatively low,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s positive. In addition, when the concept of high expansion and low expansion and brand image and self image of the combination of the concept of consumers,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will become better,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nd consumer identity of the identity of the consumer has a coordinated effect. The research shows that, compared with the brand expansion, the consumer's advertising concept and purchase intention are more valuable and the purchase intention is more in line with the brand image, while the consistent identification of the brand concept also plays a role in regulating the brand image.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consumer group with high brand self generality is the center, the appropriate target market is set up, the appropriate brand image is guaranteed, and the appropriate expansion possibility is provided, thus providing academic practical enlightenment. 본 연구는 브랜드 확장 시 컨셉의 일치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모 브랜드 이미지와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브랜드 확장 시 컨셉 일치성의 높음과 낮음을 선정하여 그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하여 브랜드 확장 시 컨셉 일치성을 독립변수로, 브랜드이미지와 자아이미지 일치성을 조절변수로 하는 2(컨셉 일치성: 높음/낮음)×2(이미지 일치성: 높음/낮음)의 집단 실험설계를 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확장 시 컨셉 일치성이 낮을 때보다 일치성이 높을 때 소비자의 구매의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컨셉의 높은 확장 또는 낮은 확장과 브랜드이미지 및 자아이미지의 컨셉 일치성이 높을 때, 소비자의 구매의도가 더욱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모 브랜드 이미지와 소비자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조절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브랜드 확장 시 컨셉 일치성이 낮은 확장보다 소비자의 광고태도 및 구매의도가 더 호의적이라는 주 효과와 더불어 브랜드 컨셉의 일치성이 브랜드 이미지와 자아이미지 일치성에 따른 구매의도에 조절적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모 브랜드에 대한 높은 자아일치성을 지니는 소비자 집단을 중심으로 적당한 목표시장을 설정하고, 적절한 브랜드 이미지를 확실히 보장하여 낮은 확장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