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술노동시장에서의 겸업 행태에 관한 연구 : 예술단체와 예술인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슬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831

        ‘예술인은 왜 겸업을 하는가?’라는 오래된 질문을 새로운 관점에서 답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예술인의 겸업 행태에 관한 기존 논의는 겸업의 원인으로 시장적 위험에 주목하거나 예술인 개인의 소득 수준에만 한정해 구조적 요인을 간과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술인 개인 수준의 논의를 넘어 예술인을 둘러싼 예술 생산체계 관점에서 이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예술 생산체계에 관한 논의에서 예술단체는 예술인과 함께 창작의 주체이기도 하지만 예술인 또는 예술인이 창작한 작품을 ‘선별’하는 게이트키퍼 역할을 담당한다고 본다. 여기서 선별은 결국 예술인의 고용 그리고 소득과 관련이 있는 의사결정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예술단체가 어떠한 메커니즘으로 ‘선별’, 즉 고용·임금에 대한 의사결정을 조정하는지 살펴보는 것은 예술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예술단체의 행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예술 생산체계에 제도적 자극이 예견되는 상황에서 주요 행위자인 예술단체와 예술인은 어떤 행태 변화를 보일 것인가에 주목해, 겸업 행태에 미치는 요인을 크게 예술인 개인적 요인과 예술단체의 조직적 요인으로 구분해 살펴본다. 이를 위해 예술인 개인 수준, 예술단체 조직 수준, 개인과 조직 수준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다수준 분석(multilevel analysis)으로 구분해 세 가지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각각의 연구목적과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는 예술인의 취약한 경제적 지위에 관한 기존 논의를 불안정 노동 관점에서 체계화하여 예술노동시장 안에서 예술인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예술인의 겸업 행태를 겸업 여부와 겸업 유형으로 구체화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는데, 이를 위해 예술인을 대상으로 3년 주기로 수행하는 국가승인통계인 「예술인실태조사」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불안정 노동이 겸업 여부와 그 유형에 미치는 구체적 방식이 불안정한 지위에 있는 예술인들을 예술계 밖에서 일자리를 찾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 측면에서는 비정규직, 기타 지위 예술인들이 전업보다 겸업을, 겸업 중에서도 이종 겸업을 하게 된다는 분석 결과가 대표적인 예라고 볼 수 있다. 또, 계약 특성을 계약 건수, 기간, 금액으로 구분해 살펴본 결과, 예술계 내부에서의 계약 건수가 많을수록 겸업을 할 가능성이 증가하였고, 특히나 동종 겸업할 가능성을 커졌다. 한편, 계약금이 클수록 겸업의 가능성은 감소하였고, 겸업 예술인 중 예술계 내에서 맺어진 계약 기간이 긴 예술인일수록 동종 겸업의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정한 소득 역시 예술인을 예술계 밖으로 밀어내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소득이 낮은 경우 겸업의 가능성과 이종 겸업의 가능성이 모두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두 번째 연구의 목적은 예술단체의 행태 자체를 구체화하고자 재정압박 상황에서 예술단체가 보일 수 있는 조정행태를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고용과 임금 조정으로 구분해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재정압박 중에서도 내부 운영으로 인한 수입, 지출의 압박보다 정부 정책이 지출압박으로 작용해 예술단체의 행태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예술인의 사회적 위험을 완화하려는 정책이 도출할 수 있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에 대해 간접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매년 실시되는 「전문예술법인․단체 운영현황조사」의 원자료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정책으로 인한 지출압박이 있을 때, 예술단체가 양적 측면에서 고용 규모를 축소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정책으로 인한 지출압박의 수준이 커질수록 고용 규모를 축소할 가능성 역시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책에 의한 지출압박이 비정규직 규모 조정행태에 미치는 영향은 측정방식에 따라 그 추정 결과의 통계적 유의미성이 달라졌다. 정책에 의한 지출압박 가능성 유무에 따른 비정규직 규모 조정은 고정효과 추정 모형에서만 유지할 가능성이 컸다. 한편, 예상 지출압박의 강도가 강해질수록 예술단체가 비정규직 규모를 축소할 가능성이 확률효과와 고정효과 추정 모형에서 모두 커졌다. 마지막으로, 정책에 의한 지출압박이 예술단체의 임금 조정행태에도 영향을 주는지 살펴본 결과, 확률효과 모형에서만 임금 인상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정된 수입 구조하에서 기존 인력 규모를 유지하기보다는 축소하고, 축소하는 과정에서 조정이 상대적으로 쉬운 비정규직을 축소한 결과, 소수의 정규직 인력만이 남게 되고 이로써 평균 임금은 오히려 상승하는 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세 번째 연구는 예술단체의 고용 조정행태가 예술인 개인의 겸업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예술단체와 예술인 특성이 함께 수집된 실제 자료의 부재(不在)로 본 연구는 「예술인실태조사」와 「전문예술법인․단체 운영현황조사」의 원자료를 결합하여 재현자료로 구축하고, 이를 활용해 예술단체와 예술인의 위계적 관계를 고려한 다수준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예술단체의 고용 조정행태, 구체적으로는 인력을 감축할 가능성이 클수록 예술인 겸업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예술인이 처한 개별적 불안정 노동 상태와 인적 자본을 고려한 상황에서도 그 영향이 일관되게 유지되었다. 이는 재정압박으로 인한 예술단체의 조정행태가 예술인에게도 영향을 미침을 의미하며, 결국 예술단체가 겪는 재정적 어려움이 예술인에게도 전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예술단체의 고용 감축 가능성 역시 예술인의 이종 겸업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는 예술단체의 조정행태를 추정하는 단계에서 고정효과를 가정해 추정한 고용 감축 변수를 포함한 모형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의의는 이론적, 방법론적 차원으로 나뉠 수 있는데, 먼저, 이론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겸업 행태에 대한 논의의 범위를 확장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겸업에 관한 기존 논의가 ‘어떤 사람이 겸업하는가?’ 또는 ‘왜 겸업을 하는가’라는 질문에 머무르지만, 본 연구를 통해 ‘어떤 사람이 왜 동종업계보다 이종업계에서 겸업할 가능성이 큰가?’와 같은 질문으로 확장하고 겸업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풍성하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둘째, 예술단체의 예산제약 또는 재정적 어려움을 재정압박으로 개념화하고 이를 수입압박과 지출압박으로 구분해 동시에 고려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예술단체의 재정과 관련해서 기존 논의는 수입 측면의 재정압박에 주로 관심을 두고, 이를 심화하는 요인을 탐색하거나 또는 완화하려는 방안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재정압박은 수입 측면 이외에도 지출 측면의 재정압박이 존재하고, 한정된 재원 내에서 어떤 방식으로 재정 자원을 분배하는지에 따라 예술단체가 환경에 대처하는 방식 또는 반대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 기존 연구와의 차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기존 연구는 그동안 예술인의 취약한 경제적 지위에 관해 빈번하게 다뤄왔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응하려는 예술인의 겸업 행태를 직업적 특성으로만 이해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예술노동시장에서 예술인이 보이는 겸업 행태가 직업적 또는 시장적 특수성에 의한 개인 행태로만 이해되기보다는 예술 생산체계 관점에서 예술단체와 예술인의 위계적 관계에 기반한 구조적 요인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해 다층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크게 두 가지 차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다. 우선, 앞서도 언급했듯이 예술인 겸업 행태에 대해 시장적 특수성 또는 개인의 위험관리 방식 중 하나로 이해하려는데 그친 기존 논의를 예술노동시장의 행위자 행태 차원에서 중범위 논의로 재구조화하였다는 점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예술 사회학에서 논의된 예술 생산체계 관점을 이론적 분석틀로 차용해 예술단체-예술인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모형화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불안정 고용을 이해하는 기존 방식이 비정규직을 넘어 비정형 고용 형태가 만연한 노동시장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보여준다. 이러한 한계는 불안정 노동에 대한 기존 논의의 범위 확장 또는 관점의 수정이 불가피함을 제기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단일 계약의 영속성보다는 다중 계약의 지속가능성이 중요한 비정형 노동 특성이 만연한 예술노동시장에 주목하여 계약 특성과 경력단절 요인에 따른 고용 불안정성을 측정함으로써 관련 논의의 새로운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방법론적 차원에서 본 연구는 서로 다른 분석 단위(예술단체와 예술인)의 개별적 자료를 통합해 새로운 재현자료(synthetic data)를 구축하고, 자료의 위계적 특성을 고려해 다층분석을 진행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재현자료 구축 차원에서, 본 연구는 기존의 정확매칭(exact matching) 또는 확률매칭(statistical matching)이 주로 공통변수를 기준으로 동일 분석 수준의 동일 개체 또는 유사 개체를 결합하는데 적용되었다면, 본 연구는 분석 단위가 다른 개인과 단체를 결합해 위계적 자료를 구축하고자 층화임의할당방식을 매칭과정에서 차용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재현자료 구축은 예술단체와 예술인에 대해 개별적으로 이루어진 조사 자료를 결합하여 분석의 범위와 이론적 논의의 범위를 확장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이러한 위계적 자료를 활용해 다수준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예술 생산체계 관점에서 예술단체와 예술인의 위계적 관계가 예술인의 겸업 행태에 미치는 메커니즘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도출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는 예술지원정책 차원과 노동정책 차원으로 구분해 제시할 수 있다. 먼저, 예술지원정책 차원에서는 정책 대상을 예술인, 예술단체로 구분해 접근할 것이 아니라 예술 생산체계(또는 예술 생태계) 차원에 대한 포괄적·연계적 접근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특히, 정책 차원에서 예술노동시장의 개별 행위자가 아닌 예술 생태계 관점에서 행위자 사이의 역학관계를 고려한다고 할 때, 예술노동시장의 게이트키퍼 역할을 하는 예술단체의 행태를 먼저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를 확장하자면 문화정책 거버넌스 체계 안에서 예술단체의 의미와 역할을 정책 차원에서 고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최근 예술지원정책은 단순히 예술활동 자체를 지원하는 것을 넘어 노동자로서의 지위 인정 및 예술인 삶의 질 향상 등 노동정책과 사회정책 등 다양한 정책 영역과도 날실과 씨실처럼 겹쳐져 정책의 복잡성이 가중된 상황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말하자면 정책간의 정합성 또는 상보적 관계 구축이 요구된다. 특히,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책의 차별적 효과 문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 문제가 중요한 이유는 정책의 사각지대를 만들어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예술인고용보험제도의 정책효과 역시 두 개의 집단에서 차별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예술인고용보험제도가 예술인의 잦은 실업에 대한 사회적 보호 장치로 역할을 하더라도 예술단체와의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협상력이 세거나 예술계에서 이미 평판과 경력이 구축된 숙련 예술인을 위주로 정책이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 이는 반대로 말하면 예술단체가 고용을 축소하는 대상이 미숙련 예술인에게 집중될 개연성이 크고, 결국 예술노동시장 내에서 실질적으로 이들에게 정책 비용의 부담이 전가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일반 고용보험제도와 달리 현행 예술인고용보험제도에서는 빠져있는 직업훈련에 대한 부분을 정책적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특히, 청년·신진 예술인이 실업 기간에도 발생하는 교육 또는 생활비의 압박을 해결하기 위해 선택할 확률이 높은 이종 겸업으로의 전환과 이로 인한 경력단절 등과 같은 기회비용을 줄여주는 방향으로 고안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불안정 예술노동과 예술인의 겸업 행태, 그리고 이를 둘러싼 예술노동시장의 메커니즘에 주목한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예술지원정책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예술노동의 특성은 노동시장의 노동 형태 스펙트럼 관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노동시장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은 고숙련(high-end) 노동자의 경우 노동의 양 또는 질과 관계없이 근로시간을 기준으로 산정되는 임금(wage) 중심의 정규직 고용 형태를 띠지만, 저숙련(middle, low-end) 노동자는 주어지는 작업량에 따라 결정되는 임금(piece-rate)으로 구분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공식이 더이상 성립하지 않게 되었는데, 최근 숙련도와 관계없이 비정규직·비정형 고용과 일감(task) 중심의 임금체계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애초에 오랜 시간 동안 그러한 노동 특성을 보인 예술노동시장의 메커니즘과 이에 대응하는 주요 행위자인 예술단체와 예술인의 행태는 플랫폼 노동 등과 같은 신흥 노동 형태의 등장과 함께 변화하는 노동시장에 대한 정책을 설계하는데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연구 각각이 갖는 한계와 이를 통해 향후 연구과제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4장에서 수행한 연구 1의 한계로 첫째, 횡단면 자료 활용으로 인과적 추론까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을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해석상의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내생성 문제에서 벗어날 수 없다. 다만, 이는 예술을 업(業)으로 하는 예술인을 대상으로 하는 전국구 조사 자료로 「예술인실태조사」가 유일하다는 점에서 더 적절한 분석 자료를 확보하는데 선택지가 없었다. 따라서 향후 예술인의 노동환경과 경력 형성 과정에 대한 종단 또는 패널 자료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겸업 속성을 예술시장과 비예술시장에서의 노동 공급으로 구분할 뿐, 부업의 직업적 특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지 못하였다. 특히나 장르별로 예술직업의 근로 시간대와 근로시간 양 측면에서 차이가 있고, 이는 또 예술직업에 맞춰 조정할 수 있는 부업의 노동 특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향후 겸업 유형을 넘어 부업에서의 노동 형태 및 직업적 특성이 심층적으로 연구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부업이 불안정 노동속성을 유지한다면, 이것이 주업인 예술노동의 지속성과 역량계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제5장에서 수행한 연구 2의 한계로 정책으로 인한 지출압박의 측정 문제를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예술인고용보험료 부담 가능성과 수준은 관찰값이 아닌 가설적 상황을 가정한 값이다. 따라서 예술인고용보험제도가 도입된 이후 예술단체가 부담하는 보험료에 대한 미시 자료 구축을 통해 본 연구모형의 현실 적합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제6장에서 수행한 연구 3의 한계로 예술단체-예술인의 다수준 자료가 실제 수집 자료가 아닌 재현자료를 활용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예술인고용보험제도로 인한 예술단체의 행태, 그리고 고용 또는 도급계약에 기반한 예술단체-예술인 사이의 상호작용이라고 해석하는데 제한적일 수 있다. 또, 예술단체의 조정행태를 실제 관측값이 아닌 추정값으로 측정했다는 점 역시 해석의 범위를 제약한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이는 향후 예술단체와 예술인 관계를 고려한 구체적인 자료 구축과 축적으로 모형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swer the old question of "Why do artists have multiple job holding?" from a new perspective. The previous literature has focused on market risks as the cause of the artist's multiple job holding, overlooking structural factors, and being limited to the individual artist's income level.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answer this ques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duction system surrounding artists beyond the discussion at the individual level of artists. In the discussion on the art production system, art organizations are also the subject of artistic creation with artists, but, at the same time, they can be gatekeepers in "selecting" artworks or artists. In other words, the selection means decision-making related to the employment and income of artists. Therefore, it suggests that examining how art organizations coordinate their 'selection,' that is, their decision-making on employment and wages, will help understand art organizations' behavior that affects artists. In particular,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what behavioral changes the main actors(art organizations and artists) show in a situation where institutional stimuli are predicted in the art production system.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multiple job-holding are divided mainly into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To this end, three studies were conducted by dividing (1) the individual level of artists, (2) the organizational level of art organizations, and (3) the multi-level considering with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at the same time, summarizing each research purpose and main results as follows. The first study empirically analyzed how artists respond in the artistic labor market by systematizing the existing discussion on the vulnerable economic status of artists from the perspective of precarious work. Mainly, this study tried to explore whether the artists have multiple job holding or not and which types as their secondary job the artists have.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Survey Report on Artists & Activities」 in Korea for 2015, 2018.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f the artistic job is a form of precarious work, it is likely that artists have multiple job holding and find secondary jobs outside the artistic labor market. In order to measure precarious work, this study divided it into two-dimension: precarious employment and income. In terms of employment, there are two findings of the analysis. First, non-regular and non-standard artists are more likely to be multiple jobholders. Moreover, these types of employment increase the probability of finding secondary jobs which are non-related to the art among multiple jobholders.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ract by dividing it into the number, period, and amount of contracts, the higher the number of contracts within the artistic labor market, and in particular, the greater the possibility of having multiple jobs.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payment is, the lower the possibility of having multiple jobs is. Furthermore, among multiple jobholders, the longer the contract period concluded within the art world is,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having jobs related to the art is. Precarious income also affects pushing artists out of the art world. When art income is lower, the possibility of both having multiple jobs and having heterogeneous jobs as secondary jobs increases relatively. The purpose of the second study is to theoretically review the adjustment behaviors that art organizations may see in the situation of financial stress to make concrete the art organizations' behaviors and analyze it empirically by dividing it into employment and wage adjustment. In particular, this study indirectly examines the unintended consequences of policies to mitigate artists' social risks by showing that government policies may act as fiscal stress on the expenditure side rather than internal operations. To this end,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the annual Survey on the Operation of Professional Arts Organizations」 by the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First, when there is fiscal stress on the expenditure side due to policies, art organizations are likely to reduce the size of employment in terms of quantity. In addition, as the level of expenditure pressure caused by policies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reducing the size of employment also increases. Seco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estimation results varied depending on the measurement method of the effect of expenditure pressure by policy on the behavior of adjusting the size of non-regular workers. For example, if art organizations are under expenditure pressure by policy, the size of non-regular workers would likely be reduced only in the fixed effect estimation model. On the other hand, the stronger the intensity of expected spending pressure is, the greater the likelihood that art organizations reduce non-regular workers' size in both the random and the fixed effect estimation models is. Finally, policy-based fiscal stress on the expenditure side only affects the possibility of wage-push increases in the random effect model. It can be interpreted as reducing non-regular workers who are relatively easy to adjust in reducing the size of existing workers under a limited income structure, leaving only a small number of regular workers, resulting in raising the average wage. The third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employment coordination behaviors of art organizations on the individual artist's multiple job-holding behaviors. With the absence of actual data collected together with art organizations and artists' characteristics, this study used synthetic data by combining 「Survey Report on Artists & Activities」 and 「the annual Survey on the Operation of Professional Arts Organizations」 and conducted a multi-level analysis considering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art organizations and artists. As a result, the greater the possibility of reducing the labor adjustment behavior of art organizations is, the greater the likelihood of artists' multiple job-holding behaviors is. Even considering individual precarious work conditions and human capital, the result is consistently maintained. It means that the adjustment behavior of art organizations due to financial stress affects artists, and in the end, the financial difficulties can transfer from art organizations to artists. On the other hand, it indicates that employment reduction also affects the possibility of having non-related to artistic jobs as a secondary job. However, the result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model, including the employment reduction variable estimated by assuming a fixed effect at the stage of estimating the adjustment of art organizations.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sist of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dimensions. As for the theoretical significance, this study has expanded the scope of discussion on multiple job-holding(dual-job) behavior. Existing discussions on multiple job-holding are still in the question of "Who works multiple jobs?" or "Why?" but this study expands to questions such as "Who is more likely to have another job in the non-artistic labor market than in the artistic labor market?" and enriches theoretical discussions on multiple holding jobs. Second, this study conceptualized art organizations' budget constraints or financial difficulties as financial stress and divided it into revenue and expenditure stress. Existing discussions on the finances of art organizations have mainly focused on paying attention to fiscal stress in terms of revenue and exploring ways to mitigate revenue stress. However, fiscal stress on the expenditure side is also critical for art organizations. In order to overcome their limitation, this research tries to consider the expenditure side. Furthermore, it examines two parts: (1) the way how art organizations allocate limited resources within expenditure stress and (2) what their behaviors affect the environment(artistic labor market). Third, although existing studies have frequently dealt with artists' weak economic status, there has been an aspect that understands artists' multiple job-holding behaviors only as an occupational characteristic. However, this study examined structural factors based on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art organizations and artis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rt production system rather than understanding the individual behavior in the artistic labor market. These approaches have theoretical significance in two dimensions. First of all, as mentioned earlier, the existing discussion, which only tried to understand artists' multiple job-holding as one of the specificities of the artistic labor market or risk management methods at the individual level, was restructured into a middle-range discussion in terms of interaction among actors in the artistic labor market. Next, this study borrowed the perspective of the art production system discussed in art sociology as a theoretical analysis framework to understand and model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organizations and artists. Finally, it shows that the existing method of understanding precarious employment cannot explain the labor market where non-standard employment types are prevalent beyond non-regular. These limitations suggest that the inevitable expansion of the scope of existing discussions on precarious work or changes of perspectives is necessary. For example, this study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non-standard employment are dominant in the artistic labor market, and the continuity or sustainability of multiple contracts is more important than the permanence of a single contract. In this respect, this study suggests that when measuring precarious employment contract characteristics and career disconnection factors are considered. At the methodological level, this study is meaningful. It integrated each data of different analysis units (art organizations and artists) to build new synthetic data and conducted multi-level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the hierarchical characteristics of the data. This study differs from general data matching methods in synthetic data construction. If existing exact or statistical matching was mainly applied to combine similar(or the same) individuals based on common variables at the same analysis level, this study borrowed a stratified allocation method to construct hierarchical data. The construction of such synthetic data helps expand the scope of analysis and theoretical discussions by combining survey data conducted individually on art organizations and artists.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the mechanism by which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art organizations and artists affects the artist's multiple job-hold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rt production system by conducting multi-level analysis using such hierarchical data. Based on these analyses, in this study, we were able to find some policy implications, dividing them into cultural and labor policy. As for cultural polic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erspective on policy target into a comprehensive and linked approach to the art production system (or art ecosystem) dimension, rather than separately dividing it into artists and art organizations.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dynamics between a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rt ecosystem, not individual actors in the artistic labor market, it is preferentially necessary to understand the behavior of art organizations serving as gatekeepers in the artistic labor market. In other words,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meaning and role of art organizations in the cultural policy governance system at the policy level. Next, it is required to keep in mind that the cultural policy has not just supported art activities itself but also overlaps various policy areas such as labor policy and social policy for recognition of workers' status and improvement of artist quality of life. Therefore, the government needs to establish a consistent or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polici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discriminative effects of policies that may arise in this process. This problem is crucial because it will likely create a blind spot for policy. The policy effect of the artist's employment insurance system is also likely to be differentiated between the two groups. Even if the artists' employment insurance system serves as a social protection device for artists' repeated(or frequent) unemployment, it may be applied mainly to skilled artists who have relatively strong bargaining power or have already established reputations and careers in the art world. To put it the other way, this means that it is highly likely that art organizations will set targets at unskilled artists to reduce employment, and in the end, they may transfer the burden of their costs to low-skilled artists. In order to alleviate the problem,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part of vocational training that is missing from the current artist employment insurance system, unlike the general employment insurance system. Specifically, the policy needs to reduce opportunity costs such as a transition to non-artistic jobs and career breaks, which are more likely to be chosen by young and new artists to solve the pressure on education or living expenses even during unemployment. Finally,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which focused on the precarious artistic work and the multiple job-holding behaviors of artists, and the mechanism of the artistic labor market surrounding it, are not limited to cultural policy. The characteristics of artistic labor have implic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abor type spectrum in the labor market. The traditional view of the labor market is that high-end workers take the form of waged-oriented full-time employment, regardless of the amount or quality of work, but low-end workers take the form of wage rates based on the amount of work given. However, this existing formula has no longer been established because non-regular and non-standard employment and the wage system based on tasks have recently expanded regardless of skill level. Amid these changes, the mechanism of the art labor market, which initially has shown such labor characteristics for a long time, and the behavior of art organizations and artists could serve as references to designing policies for the changing labor market with emerging labor forms such as platform labor. However, each study'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tasks are as follows. Concerning the limitation of Research 1 conducted in Chapter 4, first of all, the causal inference cannot be attained because of cross-sectional data. Therefore, it is required to be careful of interpretation. In particular, it cannot escape from the endogenous problem. However, there was no choice in getting more appropriate data in that 「Survey Report on Artists & Activities」 was the only one.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building longitudinal or panel data for artists' working environment and career formation. Second, research 1 divided the attributes of secondary jobs into labor supply in the art market and non-art market, but it could not consider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in detail.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tudy in-depth labor types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in secondary jobs in the future. It can be a crucial issue because if the second job is precarious work, there is room for affecting the sustainability of artistic work(careers) as a primary job. Regarding the limitations of Research 2 conducted in Chapter 5, it might have a problem measuring expenditure stress from the policy. This research did not use observed values but hypothetical values for measuring the possibility and level of employment insurance premium. Therefore, after the employment insurance for artists is settled,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is research model by establishing micro-data on insurance premiums paid by art organizations. The limitation of Research 3 conducted in Chapter 6 is that the multi-level data of art organizations and artists were synthetic, not actual collected data. Since, in addition, this study did not use actual observed values, but estimated values as the arts organizations' adjustment behavior, the scope of interpretation is limited. Therefore, it is required to be careful about interpreting the behavior of art organizations stemming from the employment insurance for artist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art organizations and artists based on employment or contract. In order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this study suggests verify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odel by constructing and accumulating detailed data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organizations and artists in the future.

      • 여성 프리랜서 예술인의 정체성 갈등 :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무용·연기 분야 예술인의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정회정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814

        본 연구는 다양한 예술 장르 중 무용·연기 분야의 여성 프리랜서 예술인을 중심으로 정체성의 특징과 그 변화의 계기를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코로나19가 그들의 예술활동에 미친 영향과 여성 프리랜서 예술인의 예술활동과 돌봄의 경험에 대한 탐구이다. 프리랜서 예술인들은 제도권 교육을 통해 예술 장(field)에 진입한 후 오랜 기간 훈련과 학습의 과정을 거치며 예술인의 정체성을 형성해 간다. 하지만 제도권 교육은 예술인으로서의 정체성 형성과 성장에 도움은 되지만 엄격한 도제식 교육 방식과 권력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 예술 참여 경험을 통해 예술노동의 왜곡된 인식을 갖게 한다. 한편, 예술계에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예술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는 한정적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예술인들은 프리랜서로 단발적인 예술·소위 비 예술활동을 하며 생존을 이어간다. 이들은 창작·실연(實演)을 위한 경제적 기반과 생계를 위해 대부분의 수입을 예술적 능력을 기반으로 한 예술교육을 통해 창출하지만 예술교육이 비 예술로 구분됨으로 인해 예술인으로서의 정체성에 갈등을 겪게 된다. 특히, 여성 프리랜서 예술인의 경우 출산·양육 시기 소위 비 예술로의 전환으로 인해 예술계의 주변적 위치에 있을 수밖에 없는데 이 과정에서 예술인으로서의 소외, 모성보호의 복지정책에서 소외를 경험한다. 프리랜서 예술인은 다양한 형태의 예술노동으로 인해 정체성 갈등의 순간들을 경험하고 이러한 갈등은 그들이 자신을 예술인이나 근로자로 인식하는데 장애를 일으킴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시기 시행된 예술인고용보험의 시행을 통해 발견되고 있는 예술계 현장 적용의 어려움과 현실성 부재의 문제를 해결하여 다양한 예술노동 형태와 상황에 위치한 예술인을 위한 사회제도로 발전되길 제언한다. 더 나아가 여성 예술인들이 예술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며 문화 예술적 경제발전을 위한 인력자원으로 인정받는 사회에서 일·가정 양립을 균형있게 실천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 반영되어 예술계를 성장·발전시키는데 의미있는 연구가 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female freelancer dancers' and drama actresses' identity and its changes. To be more specific,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COVID-19 on their arts activities and their conditions of bringing up their children. The freelancer artists enter into the field of arts through the institutional education, and then, they would undergo training and learning for a long time, and in this course, they would form their identity as artists. Anyway, the institutional education would be helpful to their identity-building and growth, but through the stern apprenticeship and power relation, the candidate artists would experience some distorted perception of the arts labor. On the other hand, as the opportunities for the artists to be engaged in the arts activities stably and continuously are limited, most of the artists tend to involve the arts and non-arts activities as part-time freelancers, scraping their living. Most of them earn their living through sporadic arts and non-arts activities. Although they earn the money for their financial cost regarding creation and performances as well as for living cost through the tutorship based on their artistic competence, they would suffer from their identity as artists because art education is regarded as non-arts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female freelancer artists would exist in the peripheral position of the arts circle due to their child-birth and rearing of their children, and therefore, they would experience alienation as artists and moternity welfare policy beneficiaries. It has been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female freelancer artists would experience the conflicts of identity due to diverse types of art labor and therefore, that they would not well admit themselves as artists or workers. Hence,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it would be essential to develop the artists' employment insurance system operated during the COVID-19 period to solve the difficulties suffered by the female artists and thereby, establish an actual social security system for the female artists suffering from diversified arts labor and various difficulties.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help the female artists to maintain their identity as artists and their roles as mothers and wives, being recognized as the useful human resources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rtistic and economic development of the nation, while suggesting some realistic alternatives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our arts circle.

      • 한국교회의 섬김문화와 노동소외 : 청년 창의·예술노동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노희영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33

        In Korean churches, believers are willing to volunteer for their church to serve God. In these serving works, various types of art/media works are included and most of them are carried out by experts among the church’s believers. Usually, the experts have to work for their own daily job and serving work for their church for the whole week. Thus, the volunteers overwork usually. However, the rewards are rarely afforded from the church. Some of them regard the serving process as a kind of labor exploitation and feel burn-out, which is related to labor alienation. This phenomenon is observed in the case of serious labor exploitation happened in a Korean business company whose top management claims that their company is based on Christianity. Thus,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such phenomena in Korean churches. Twelve church volunteers who are majoring or working in art/media fields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 includes three major questions. First, are they really experienced any type of alienation while serving art/media works in churches? And if it exists, what is the cause and characteristics of the alienation? Second, how are the volunteers affected by the institutionalized criterion of Christian culture as a cause of labor alienation? Lastly, how is the conflict between labor ethics and serving ethics generated and solved? The analysis of the twelve depth interview showed that the labor alienation is found commonly. Most of the interviewees are found to be stressed by the church serving works without enough appreciation. It seems hard for them to complain to the church because of church’s institutionalized criterion based on Christian culture and running system to emphasize efficiency and quantitative growth like business companies. The labor alienation from the serving process is appeared as a form of burn-out, isolation from the group, self-alienation, and depression. These patterns are similar to the labor alienation appeared in ordinary labor sites. To solve the labor alienation from the serving process, some of the interviewees are stick to their faith within God, and others try to make the pastors and other believers understand the art/media labor proces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in Korean churches, labor alienation in serving art/media works may exist and affect the church volunteers in diverse ways. Patterns of such labor alienation may be similar to those of business companies and seems to occur in ordinary workplaces and other religions. To avoid such labor alienation, it is highly important to offer respectful atmosphere for the workers in the churches and other places. 한국교회에서‘섬김’이란 개인의 신앙적 표현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교회를 섬기는 성도들은‘신앙이 좋은 사람’이 되기도 한다. 최근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창의노동자와 예술가들이 교회에서 해당 분야의 기독교 콘텐츠를 제작하는 일이 증가했다. 그러나 이들이 교회에서 자신의 전문성을 활용해 섬김을 하는 것에 대해 당연시 여기는 일부 성도들이나 목회자들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섬김이(교회 봉사자)들은 교회에서 어떤 종류의‘섬김’은 착취적 요소가 있음을 인지했고 번아웃(burn-out)되기도 하였다. 한국교회의 섬김문화는 조선말, 최초의 한국교회가 설립되면서 생긴‘개교회주의’와 1970년대 이후‘교회성장학’에 따른 비즈니스 체제로 교회가 제도화되면서 성도들의 헌금이나 섬김 횟수로 계량화된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교회에서 섬김활동으로 인한 번아웃을 노동소외 현상으로 보고 이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했다. 보다 효과적인 분석을 위해 교회 섬김활동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일과 노동의 개념구분을 통해‘섬김노동’으로 재정의하게 되었다. 방법은 심층 인터뷰와 눈덩이 표집을 사용하였다. 인터뷰 분석 결과, 섬김이들 사이에서 섬김으로 인한 노동소외가 관찰되었다. 그들은 교회 안에서 섬김을 하며 기독교적 가치관과 이익을 우선시하는 비즈니스적 체제가 의식적으로 상충하는 것을 느꼈다. 그래서 섬김노동에서 과잉노동이나 강제성이 발생할 경우, 노동으로 간주할 것인지 하나님을 위한 봉사로 여길 것인지 고민했다. 섬김이들에게 있어서 좋은 섬김이란 자율성과 심리·물질적 보상이 어느 정도 보장되며, 의뢰인이 그들의 노동을 존중해주는 것이었다. 이미 일상에서 착취적인 노동 형태를 경험하는 청년 섬김이들은 비즈니스 모델로 제도화된 현대 한국교회에 와서 또 다른 착취적 형태의 노동을 보게 된 것이다. 이처럼, 교회에서의‘헌신페이’는 사회 속에 만연한 착취적 노동 형태가 우리의 삶에 어떤 방식으로 녹아 들어있는지 보여주고 개선 촉구에 대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 예술강사의 고용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학교예술강사지원사업 중심으로

        김광중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19

        The School’s Teaching Artists support project started in 2000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ors’ pool and has expanded into 8 fields including theater, film, dancing, comic animation, design, photography and craft. In 2016, 5,106 teaching artists gave 1.5 million hours worth of classes in 8,776 schools and the number of students who benefit from such classes has reached 2.87 million annually. It has in deed as well is in name grown into Korea’s representativ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ject. However, teaching artists, who are the main agents of schools’ teaching artists support projects, are poorly treated that they are not even able to receive four major public insurances, and crippling continues as many cultural foundations pull out of schools’ teaching artists support project due to conflict between the government and regional cultural foundations over the principal agent of employment. This research has its purpose in mitigating the controversy regarding and in finding a solution for the form of employment and the principal agent of employment. Recent issues regarding employment have been organized based on reviewing general contents related to schools’ teaching artists support project on thesis, academic journals and government reports, and court sentencing and National Assembly debate materials. As for research metho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find ways in which interested parties can form a consensus. Prior to in-depth interview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n teaching artists and teacher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verify whether there were any distortions or errors in the preceding researc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17 individuals selected through target sampling including a public officer from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taff from Korea Culture & Arts Education Agency, staff from regional cultural foundation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operative organization, university professor, policy specialist, teacher and arts instructor,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ly, plans for job security and betterment of labor conditions for teaching artists must be established for quality improvements in arts education. As the proposition ‘quality of education cannot exceed the quality of the teacher’ says, job security will have positive effect on quality of eduction. Discussions should begin with realistic measures such as basic social security and minimum expense of living. Secondly, in order to solve the issue related to principal agent of employment, the government should approach more responsibly. It is time to discuss whether to unify actual user and principal agent of employment to the Education Agency or to transfer all authority to the region for decentralization. Thirdly, an institutional device is required in order to improve schools’ teaching artists support project. Arts instructor should clearly be stated in the law by amending labor related law and Support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Act, and legal modification should be made for the protection of rights. Fourthly, a social conference involving all parties from the government to teaching artists is needed. Through such conference, central and region, and institutions and teaching artists will recover faith and provide new visions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Finding a solution for teaching artists’ form of employment and principal agent of employment is not a problem related to regional cultural foundation or teaching artists only but is a necessary process to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s’ teaching artists support program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government should now accept arts instructor as an occupation, and establish an environment for teaching artists to focus on arts education. Purpos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uch as diversity and creativity, will come to faster realization once arts education centered around performance and numbers stops and a thorough review on whether schools’ teaching artists support program is in accordance with qualitative value of arts education is conducted.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has focused on dealing with the employment issues of teaching artists unlike preceding studies which have been focused on budget expansion, wage increase and level of satisfaction or limited to teaching artists’ requests. Specifically, this study deals with the form of employment and the principal agent of employment, and sought to establish improvement plans that can form a consensus with related personnels of teaching artists support program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at a working level by providing guidance to system improvement of teaching artists support program in the future. 학교예술강사지원사업은 2000년 국악강사풀제로 시작해 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메이션, 디자인, 사진, 공예 총 8개 분야로 확대됐다. 2016년 기준으로 8,776개 학교에 5,106명의 예술강사들이 총 150만 시간에 달하는 수업을 진행했으며, 연간 수혜학생 수는 287만 명에 달했다. 명실공히 우리나라의 대표적 문화예술교육 사업으로 괄목할만한 성장을 한 것이다. 하지만 학교예술강사지원사업의 중요한 주체인 예술강사들은 4대보험도 적용받지 못할 정도로 처우가 열악하고, 고용주체에 대한 정부와 지역문화재단의 갈등으로 다수 문화재단이 학교예술강사지원사업에서 철수하는 사태까지 벌어지는 등 파행을 거듭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학교예술강사지원사업을 둘러싼 논란을 불식시키고 고용형태와 고용주체에 대한 해법을 찾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학위논문과 학술지 그리고 정부보고서를 통해 학교예술강사지원사업의 개괄적인 내용을 살펴보고, 법원 판결문과 국회 토론회 자료 등을 통해 최근 고용과 관련한 쟁점을 정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학교예술강사지원사업 이해관계자들이 공감하는 방안을 찾기 위해 개별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면접에 앞서 선행연구에 왜곡이나 오류는 없었는지 참고하기 위해 예술강사와 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진행했다. 심층면접은 목적표집으로 선정한 문화체육관광부 공무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관계자, 광역문화재단 및 국악운영단체 관계자, 대학교수, 정책전문가, 교사, 예술강사 등 17명에게 실시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예술교육의 질적 도약을 위해 예술강사의 고용안정, 처우개선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는 명제처럼 고용안정은 교육의 질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본적인 사회보장과 최저생계비 보장이라는 현실적인 방안에서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부가 고용주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더 책임있는 자세로 임해야 한다. 실질적 사용자와 형식적 고용주체를 교육진흥원으로 일치시킬 것인지, 지역분권 측면에서 지역에 모든 권한을 이양할지 진지한 논의를 해야 할 때이다. 셋째, 학교예술강사지원사업의 개선을 위해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지원법과 노동관련법을 개정해 예술강사를 법에 명확히 명시하고, 권리보호를 받을 수 있는 법적인 정비를 해야 한다. 넷째, 정부부터 예술강사까지 모든 주체가 참여하는 사회적 협의테이블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중앙과 지역이, 그리고 기관과 예술강사가 신뢰를 회복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비전을 내올 수 있을 것이다. 예술강사의 고용형태 및 고용주체에 대한 해법을 찾는 것은, 지역문화재단이나 예술강사만의 문제가 아니라 학교예술강사지원사업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이 질적으로 도약하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제는 정부가 예술강사를 하나의 직업으로 존중하고, 예술강사들이 예술교육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숫자늘리기 실적 중심의 예술교육을 내려놓고 학교예술강사지원사업이 예술교육의 질적 가치에 부합하고 있는지 곰곰이 돌아볼 때, 다양성과 창의성이라는 문화예술교육의 목표 구현도 앞당겨질 것이다. 본 연구는 예산확대나 임금인상, 만족도에 초점을 맞추거나 예술강사의 요구만으로 한정돼 있던 선행연구와 달리 예술강사의 고용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용형태와 고용주체에 대한 내용을 다루며, 심층면접을 통해 예술강사지원사업 관계자들과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했다. 향후 예술강사지원사업의 제도개선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실무적인 기여를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1990년대 장정일의 소설가소설 연구

        장원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99

        본 연구는 1990년대 장정일의 소설이 문제의식으로 삼은 자기부정이 소설가소설의 형식을 통해 형상화됨에 주목하였다. 소설가소설은 소설가를 주인공으로 하는 소설을 가리키는데, 대개 소설 창작에 적대적인 생활환경과 사회적 현실에 대한 성찰을 내용으로 삼는다. 그러나 소설가소설은 동시에 소설을 어떻게 쓸 것인가라는 질문의 과정이 결과로서의 소설과 일치한다는 점에서 자기성찰의 범위가 형식의 차원으로 확장되는 형식이다. 나아가 이러한 미학적 자기성찰은 소설의 허구성에 대한 자의식을 기반으로 한 메타픽션의 자기반영성과 접점을 형성한다. 장정일의 소설가소설은 동구권 몰락과 자본주의의 확대라는 1990년대 초의 현실에 유행처럼 생산된 사소설적 소설가소설이나, 작가의 소설론을 드러내는 알레고리적 소설가소설과 구분되는 독자성을 보여준다. 특히 전자는 혼란스러운 현실 속에서 개인의 진정성 있는 내면의 고백 형식으로 주목받으면서 1990년대의 주류적 비평 담론으로까지 확장되었는데, 이 경우 텍스트 밖 작가와 텍스트 속 주인공-화자의 일치를 전제하는 사소설적 형식의 특성과 근대소설 일반의 성찰적 속성이 과잉해석된 결과로 보인다. 내면과 진정성의 키워드로 명명된 이러한 성찰은 오히려 성찰의 불충분함을 노출하면서 소설 속 소설가는 자신이 본래 가지고 있던 환상으로 회귀한다. 한편 장정일의 소설은 허구성을 자기반영함으로써 소설가소설이 갖는 성찰성을 심화시킨다. 그것은 액자식 구성이라는 형식적 특성을 통해 효과적으로 구현되고 있다. 소설 속 소설가는 대개 완전히 허구적이지도, 또 작가와 동일시되지도 않은 인물로 설정되어 있는데, 그는 자기부정을 수행해나감으로써 그것이 모두 소설 혹은 거짓말에 불과했음을 스스로 폭로하게 된다. 이렇듯 주체의 자기부정 자체가 부정되는 전도되는 지점이 소설 속에서 내화와 외화가 단락되는 메타렙시스를 통해 표현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장정일의 미학적 시도를 급진적 자기부정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여기서의 급진성은 자기동일적인 교조주의가 아니라 자기부정의 불가능성이 자기부정 자체에 반영되는 현상을 지시한다. 이를 통해 장정일의 소설 속 주체는 문학과 예술에 대한 환상을 가로지름으로써 자신이 구속되어 있던 지배 질서를 중지시키며 환상을 재구성하는 새로운 주체가 등장할 수 있는 공간을 연다. 특히 슬라보예 지젝의 정신분석적 주체 이론은 성찰의 불가능성을 성찰이 작동할 수 있는 조건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장정일의 시도와 공명한다. 지젝은 대타자의 불가피성을 수용하는 동시에 그 불가능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이때 주체는 대타자를 구성하면서 동시에 중지시키는 지점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장정일이 보여준 급진적 자기부정이 주체의 환상을 재구성함으로써 지배 질서에 대한 저항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시도임을 설명해준다. 이러한 성찰성의 관점을 따라 먼저 2장은 첫 장편 『그것은 아무도 모른다』와 이후 1990년 발표된 중편 「아담이 눈뜰 때」를 대상으로 소설 속 소설가가 직면하는 소년원 체험이 기억이나 가난의 문제에 주목한다. 이들은 자신이 쓰는 소설 속 인물을 착취하는 방식으로 자기확인에 이르거나 글쓰기의 의미를 과장함으로써 문제에 대응하는데, 장정일은 이러한 소설화 과정에서 드러난 소설가 주체의 위치와 허구성의 문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의식하면서 재조정하여 새로운 소설가소설의 형식을 고안한다. 3장에서는 단편 「아이」와 장편 『너에게 나를 보낸다』를 중심으로 액자식 구성이라는 미학적 장치를 통해 내용적 차원의 자기부정이 형식적 차원으로 확장되는 양상을 분석한다. 「아이」는 앞선 노동자를 주인공으로 한 텍스트를 자기성찰의 형식으로 전도한다는 점에서 『그것은 아무도 모른다』에서의 시도와 관련이 있다. 한편 『너에게 나를 보낸다』에 나타난 소설가의 자기부정은 표절 논쟁과 관련해 베끼기로서의 소설쓰기라는 작가 자신의 소설론을 소설화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데, 작가는 소설의 허구성을 적극적으로 의미화하여 급진적 자기부정을 통해 문학 창작에 관한 환상을 파괴하고자 한다. 4장에서는 각각 『너희가 재즈를 믿느냐?』, 『내게 거짓말을 해봐』, 『보트 하우스』를 중심으로 급진적 자기부정 이후의 잔여물로서 맞닥뜨린 글쓰기를 통해 소설가/예술가의 노동 및 정동의 문제를 다룬다. 『너희가 재즈를 믿느냐?』에서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무의미한 노동을 형상화한 이후, 『내게 거짓말을 해봐』는 급진적 자기부정의 형식을 통해 무의미한 노동이 되어버린 예술을 부정하고자 한다. 그 결과 ‘아버지’로 상징된 지배 질서와 예술의 관계를 재정립하여 예술의 저항성이 작동하는 조건에 다가간다. 그러나 외환위기와 필화 사태를 거치면서 이러한 자기부정 작업을 추동한 적의가 피로의 정동으로 회귀하여 소설가 주체에게 반영되는데, 그는 다시 한번 자기부정을 통해 적의를 넘어선 글쓰기를 통해 이전 작업에서 암시되어온 타자에 대한 책임을 보다 선명히 의식하는 한편 적의와 분리된 허구성을 추구하고자 한다. 이전의 적의로부터 자유로워진 허구성과 서사성의 추구는 2000년대 이후 새로운 허구의 문법을 모색하는 작가들에게로 연결된다. ‘캐릭터’ 중심의 서사를 내세우는 작가들뿐 아니라 소설 장르에 대한 자의식을 바탕으로 형식 실험을 시도하는 작가들까지 장정일의 소설과 관련성을 갖는다. 그러나 현재에 이르러 장정일이 밟아 온 행로를 고려하면 소설보다도 ‘독서일기’라는 형태의 글쓰기가 주축이다. 그의 독서 체험은 소설에도 많은 영향을 미쳐왔다. 그러나 독서 체험을 바탕으로 소설을 쓰는 것과 ‘독서일기’를 쓰는 것의 분명한 차이는, 그에게 있어 소설 장르가 갖는 허구성이 급진적 자기부정을 위한 하나의 방법론이었음을 보여준다. 장정일에게는 오히려 소설가소설이라는 형식이 갖는 성찰적 속성이 그의 본령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 소설가소설의 관점에서 그의 소설을 읽는 작업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self-negation that Jang Jeong-il's novels of the 1990s explored by the form of the novelist-novel. The novelist-novel refers to a novel with a novelist as the protagonist, and it is usually a reflection on the living condition and social reality that is hostile to novel crea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novelist-novel embodies introspection not only in its content but also in its form, in that the process of the question of how to write a novel is consistent with the novel as the result of it. This can be seen as an expansion of self-reflection to the aesthetic dimension, or the self-reflexivity. Furthermore, the aesthetic self-reflection of these novelist-novels has relation with metafiction, which shows a self-reflective character based on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novel's fictionality. Jang Jeong-il's novelist-novels show the uniqueness by distinguishing themselves from the autobiographical novelist-novels produced in the early 1990s in response to the collapse of the East-European Bloc and the expansion of capitalism, as well as the allegorical novelist-novel which expresses the author’s own novel discourse. The former, in particular, has gained critical attention as an individual's authentic inner confession in the midst of a chaotic reality and been accepted into mainstream literary discourse of the 1990s, but in this case, the aspect of the autobiographical form, which presupposes the unity of the out-of-text author and the in-text protagonist/narrator, as well as the form of modern novel genre in general, seem to have been somewhat overinterpreted. Therefore, discourses such as authenticity and interiority actually expose the insufficiency and incompleteness of introspection, and the novelist in the novel reverts to his primary fantasy. On the other hand, Jang Jeong-il’s novel deepens the reflective function of the novelist-novel via self-reflexivity of its fictionality as such. This is effectively realized through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framed narrative. The novelist character in his novel performs self-negation, which is oriented to self-humiliation and introspection, to end up exposing himself to the fictionality of the novel. In other words, he undergoes a reversion in which self-negation itself is negated, which is expressed through metalepsis in which internal narrative and external narrative are short-circuited. In this study, I will refer to Jang’s aesthetic endeavor as radical self-negation. Radicality here does not refer to a self-identical dogmatism, but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self-negation is redoubled. The subjects in Jang’s novels, through this mechanism, traverse the fantasy about the literature and art, suspending the ruling order to which they are bound and opening a space for new subjects to emerge who reconstruct the fantasy. In particular, Slavoj Žižek’s psychoanalytic theory of the subject resonates with Jang’s work in that it makes the impossibility of reflection the condition under which self-reflection can operate. Žižek recognizes the inevitability of the Other while proving the impossibility of the Other. However, the subject of Žižek is the crack point at which this Other is both constituted and suspended, which explains why Jang’s radical self-negation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sistance to the ruling order by reconstructing the subject’s fantasy. Following this perspective of reflexivity, the first two chapters focus on the first novel, “Nobody Knows It”, and the later middle-length novel, “When Adam Opens His Eyes”, published in 1990, to examine the issues of poverty or the memory of his juvenile detention center experience. They respond to their problems by exploiting the characters in his own novel to achieve self-affirmation or by exaggerating the meaning of writing, but Jang becomes more conscious of the problem of the novelist’s position and fictionality in this process of novelization and devises a new form of novelist-novel by readjusting it since then. Chapter 3 analyzes the ways in which self-negation at the content level is expanded to the formal level through the aesthetic device of framed narrative, focusing on the short story “Child” and the novel “To You From Me”. “Child” is related to the attempt in “Nobody Knows It” in that it converts former texts with a blue-collar worker as the protagonist into a form of self-reflection. On the other hand, the novelist's self-negation in “To You From Me” is noted for its novelization of the author's own theory of fiction as copying in relation to the plagiarism debate: the author seeks to destroy the fantasy of literary creation through radical self-negation by actively signifying the fictionality of the novel. Chapter 4 focuses on “Do You Believe in Jazz?”, “Try Lying to Me”, and “Boat House” respectively, to address issues of the novelist/artist’s labor and affect where the subject encounters with the aspect of writing as a residue of radical self-negation. After representing meaningless labor as a social phenomenon in “Do You Believe in Jazz?”, “Try Lying to Me” seeks to deny art as meaningless labor through the form of radical self-negation. As a result, it re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the dominant order symbolized by ‘father’ and approaches the conditions under which resistance of art works. However, through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and the ‘Pilhwa’(legal scandal related to sensationalism of literature and censorship of authorities), the enmity that drove this self-negation regresses into the emotion of fatigue and is revealed in the novelist subject, who again seeks to write to pass the enmity through self-negation, becoming more conscious of his responsibility to the others, which has been implied in his previous work, and pursuing new fictionality that is separate from the hostile affect. The discovery of narratives that are free from previous enmity leads to writers who try to find a new grammar of fiction after the 2000s. Jang’s novels are relevant not only to writers who present ‘character’-oriented narratives, but also to writers who attempt formal experiments based on their self-consciousness of the novel genre. However, considering the path Jang has taken up to the present, his ‘Reading Diary’ series is more prominent writing work than his novels. His reading experiences have influenced his novels, but the clear difference between writing a novel based on his reading experience and writing ‘Reading Diary’ shows that for him the fictional nature of the novel genre was a methodology for radical self-negation. It could be said that the reflectiveness of the novelist-novel demonstrates his essential aim of writing. That is why it is important to read his novels as novelist-novel.

      • 비상임 시립예술단원의 고용불안요인이 노조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LMX조절효과

        오대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는 비상임 시립예술단원의 고용불안요인이 노조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LMX(리더-멤버간 교환관계)의 조절력을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예술단원의 고용불안을 해결하는데 전략적 방안모색 학술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연구 수행을 위해서 서울·경기도에 속한 비상임 시립예술단 중 노조에 가입된 예술단원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 18일부터 11월 1일까지 설문지 조사법을 이용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410부를 발송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314부였고 불성실한 답변 15부를 제외한 299부를 본 연구의 통계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 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알 수 있었다. 첫째, 선행변수(정리해고보편화, 경제적의존성, 절차적불공정성, 향후조직변화)들은 노조참여행동에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둘째, 선행변수(정리해고보편화, 경제적의존성, 절차적불공정성, 향후조직변화)들은 고용불안정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용불안정성은 노조참여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용불안정성은 고용불안정성 선행변수와 노조참여행동에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용불안정성이 노조참여행동의 관계에서 LMX(리더-구성원간의 교환관계)에 의해 조절되는지 검증한 결과,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basic data on strategic measures to solve the problem of employment non-executive art members, which is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by confirming the effect of employment insecurity factors of non-executive art members on union participation.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an empirical study using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as conducted from October 18 to November 1, 2021 for non-executive art members belonging to the labor union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A total of 41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sent, and 314 copies were collected, and 299 copi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excluding 15 copies of unfaithful answer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21.0, a statistical package program.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the preceding variables (generalization of layoffs, economic dependence, procedural unfairness, and future organizational changes)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union particip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receding variables (generalization of layoffs, economic dependence, procedural inequality, and future organizational changes) had a positive (+) effect on employment instability. Third, it was found that employment insecur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union participa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employment insecurity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ceding variable of employment insecurity and the union participation movement. Fifth, as a result of verifying whether employment insecurity is regulated by LMX (Leader-Member Exchange) in the union participation consent relationship, the moderating effect was shown.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예술의 창작 행위로서 노동성에 관한 연구 : 연구자의 작업을 중심으로

        정경이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447

        예술 개념은 역사와 시대를 동시에 관통하면서 예술에 대한 범주가 세분화되면서 다양해진다. 시대성과 역사성은 예술작품의 주체가 예술가라는 주장과 더불어 생산수단과 사용 목적의 긴장 관계에 대한 성찰의 과제도 선사한다. 지역을 막론하고 예술의 역사는 인간사회의 중심축을 이루는 시대성과 관계를 맺으면서 창작 행위의 결과물로서 예술작품에 대한 미술사와 더불어 미학적·철학적 인식도 담보한다. 예술과 시대성 사이의 인식론적인 탐구는 미술사에서 양식개념으로 발현되었고, 동시에 예술가의 창작 행위가 유일성이라는 미학적 주장이 확산된 이유가 되었다. 근대에 들어와 태동한 산업화와 분업화에 대한 철학적 비판은 전통=과거와 시대=현재라는 연관관계에서 생산수단으로서의 노동과 예술의 자율성을 후험적으로 고찰한다.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는『윌리엄 모리스 노동과 미학』에서 19세기 산업화를 위한 분업화가 노동의 본질을 훼손시켰다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노동의 본질에 속하는 의사 결정권과 선택권이 산업화에 따른 강제적인 분업화로 인해 산업 사회 노동은 노동자를 단지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내몰리게 했고, 기계적이자 수동적인 노동환경에 처해지게 만들었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그의 주장은 현대의 철학과 미학에서 탐구된다. 철학자 테오도르 아도르노(Adorno, Theodor Wiesengrund)는『미학이론(Aesthetische Theorie)』에서 노동을 은폐시킴이 없이 어떠한 예술의 자율성도 생각할 수 없다고 주장한 반면에, 미학자 베르톨트 힌츠(Berthold Hinz)는『예술의 독립성(Autonimie der Kunst)』에서 노동의 분업화가 시민사회 이후에도 예술가가 수공업적 생산방식을 고수했다고 화답한다. 모리스가 수공업적으로 회귀하자는 주장에 대해 아도르노는 역사적 예술 개념에서 현대 사회의 노동 개념을 비판적으로 파헤친다. 힌츠는 역사적으로 분업화가 가속화됨에도 불구하고 예술가의 생산수단과 방법을 고수하여 예술의 독립성을 견지한다고 보았다. 다시 말해, 힌츠는 산업화 시대에 노동자가 자신의 노동수단으로부터 분리된 것과 달리 예술가가 산출한 결과물들이 특수한 것이자 자율성이 획득된다는 주장을 펼친다. 즉, 사회의 분업화에도 불구하고 예술가의 수공업적 생산은 예술을 특수한 것으로 파악하는 조건이자 사회적 시대성을 관찰하는 기제로 작용한다. 또한 예술가의 창작 행위는 역사와 시대적 범주에 관한 논점을 포괄한다. 왜냐하면 예술 창작에서 생산수단은 역사의 진행 과정에서 변화된 문화와 사회적 규범을 그 결과물에 반영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말하는 수공예품·순수예술작품·산업제품에 오롯이 반영된다. 아도르노와 힌츠가 주장하듯이 사회적 생산수단이 분업화·자동화로 전환됨에도 불구하고 예술가가 자신의 생산방식을 수공업적으로 고수한다면, 예술의 생산수단은 인간 생활의 총체적인 부분과 대립하면서도 예술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인식 대상으로서의 독립성을 견지한다. 우리가 보고 감상하는 모든 예술작품은 노동이라는 행위를 통해 산출된 결과물이다. 그 중 수공업에 의존하는 공예품이 가진 특징인 유일성이 현대예술에 자리하여 자율성을 획득하였듯이 아도르노의 노동 개념은 노동 선택의 자율성이 수공업에서의 예술성을 전제한다. 그것에는 시민사회가 독립시킨 예술의 자율성이라는 범주에 따라 작품의 생산과 수용이 공존한다. 예술의 자율성이란 실생활과 분리되거나 전통과 단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예술가와 예술작품, 그리고 그것의 생산수단도 자율성의 영역에 속한다. 즉, 생산자가 예술가라는 것과 생산수단과 노동의 분리는 예술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파악하는 실체다. 노동의 가치에 대한 탐구는 예술 수단이 개인 생산이라는 제작방식과 표현 방법이라는 자율성을 인식하는데 선행조건이다. 따라서 예술에서의 창작 행위는 인간의 노동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이며 수공예적인 생산수단은 모리스가 주장한 노동의 본질에 속하는 선택권과 의사 결정권을 포괄한다. 또한 예술작품은 사회적 노동에 대한 비판과 창작 행위로서의 노동성을 담보한다. 수공업적 생산수단은 사회적 분업화나 기계화에 속한 것이 아니라 그것을 넘어서는 예술적 창작 행위의 근원이다. 본 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예술에서의 노동성은 과거의 고착화된 개념을 넘어 현대에 이르러 재해석되고 재정립되어야 할 과제이다. 따라서 현대에 구현된 예술작품에서 육체적인 노동과 정신적 노동 사이를 매개하는 옻칠 기법, 나무 재료에서 형상으로 도출되는 예술성에 대한 범주도 연구되어야 하는 타당함이 있다. 본 연구는 예술에서 수반되는 노동성과 더불어 특히, 칠예(漆藝)를 주요하게 다룬다. 칠예는 수공예적 전통과 대량생산을 요구한 현대라는 갈림길에서 선택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옻칠, 수공업적 제작방식과 기계화된 자동화시스템 사이의 경계를 넘나든다. 그 경계에 칠예는 재료로서의 나무, 추상성과 형상성을 아우르는 동시에 시각적 도구로서 색채에 대한 이해를 요구한다. 칠예의 창작과정에서 노동은 공예가 가지는 유일성에 대한 정체성을 전제하며 작가의 심미적인 활동으로서 정신적 노동을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예술의 창작 행위로서 노동성은 칠예가 요구하는 주요한 분석의 과제이며 노동 선택의 자율성과 노동 생산의 주체로서의 작가 자신의 독립성을 요구한다. 본 연구는 현대공예의 과제로 남아 있는 창작 행위와 노동성의 관계에 천착하여 옻칠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예술적인 창작 행위로서 노동성에 대한 담론은 옻칠공예의 전통적인 기법과 더불어 정신적 노동의 성격을 포괄하는 자연미, 여성성 그리고 기능미로 종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예술적 창작 행위가 전통적인 제작방식과 현대적인 감성 미학이 상호 간 유영한다는 사실에서 출발했다. 연구자에게 있어 제작 수단으로서 옻칠공예의 노동 가치를 탐구함으로써 예술작품의 가치에 내포된 노동의 가치와 그에 관한 범주를 구체화하는 데 의의가 있다.

      • 한국 문화예술노동조합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주연경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32446

        한국의 노동운동은 1960년 출범한 대한노총(한국노총의 전신)과 95년 출범한 민주노총의 양대 산맥에서 발전돼 왔다. 우리나라 최초의 예술인 중심 노동조합은 1999년 설립된 세종문화회관 노동조합으로 세종문화회관 법인화 과정에서 신분상 불안을 느낀 서울시 산하예술단체 예술가들로 조합이 구성됐다. 그 후 2003년 전국 국공립 예술단체 14개 예술노동조합과 대학로 직가입 지부 1곳을 포함한 총 15개 지부의 연합노조, 전국문화예술노동조합이 민주노총 산하 공공연맹 밑에 설립된다. 서구에서는 약 백여 년전에 예술노동조합이 건설되어 이미 미국, 프랑스, 영국 등에서는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 세 나라의 대표적 예술노동조합인 미국 배우조합, 프랑스 FNSAC, 영국 배우조합을 비교분석하여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찾아냈다. 그 세 노동조합은 첫째 재정적 기반이 튼튼하였고, 둘째 조합원들에게 제공되는 복지혜택이 탁월하였다. 셋째 조합원과 비조합원 사이의 유대와 신뢰가 강하였고, 넷째 투쟁의 방법이 공격적 파업에서 실리위주의 정책추진으로 변화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는 인적자원의 능동적 조합 활동으로 조직이 활성화 돼있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전국문화예술노동조합은 출범 3년째인 현재 여러 문제점을 드러낸다. 우선 외부 단체·예술인과 단절돼 있고 둘째 폐쇄적 지부위주의 운영과 공감대를 얻지 못하는 투쟁방식으로 조합원의 결속력이 약해져 있다. 셋째 인적·물적 자원의 부족으로 제대로 사업계획을 추진하지 못하며, 넷째 선례가 없는 예술노동조합의 활동에 초창기 노사 양측의 신뢰가 손상을 입었고, 다섯째 상부조직의 지시에 따른 조합의 목표설정으로 진정 예술인들이 원하는 조합의 설립목적의 방향성을 잃었다는 것이다. 이에 따른 전국문화예술노동조합의 발전방안으로 본 연구는 다섯 가지 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조합운영의 목적을 선택과 집중을 통해 재정립하여 외부 예술가도 활동할 수 있는 신뢰적 연대를 구축하여야 하며, 문화예술노동조합의 활동이 국민의 문화향수권 확대와 연결된다는 믿음을 줄 수 있는 정책과 사업이 동반되어야 한다. 셋째, 안정적 재원확보를 위한 기틀을 마련하여 조합원과 비조합원의 상생을 도모함이 필요하며, 분별력 있는 정책활동의 강화로 조합원에게 신뢰받는 조직으로 발돋움함과 동시에, 내·외부 예술인의 실태와 원하는 바를 정확히 파악하여 정책으로 추진하는 인식의 재정립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