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구 환경과 환경윤리적 고찰

        박효원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07

        현대 과학기술 문명은 우리 인간에게 탐욕과 오만을 가져왔고, 인간과 자연을 대립시켰으며, 지구온난화와 환경파괴를 비롯한 심각한 생태학적 위기를 유발하였다. 인간의 과욕과 지나친 물질만능주의가 불러온 지구의 생태학적 위기는 인류의 생존 기반과 삶의 터전까지 위협하고 있어 현재 그 어떤 문제보다도 더 심각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의 환경에 대한 가치관이나 근본적인 생활방식이 바뀌지 않는 한 인류는 현재 지구의 환경위기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 자연을 무시하고 인간만을 위한 인간중심주의개발로 인해 생태계파괴는 지금도 계속 되어지고 있다. 인간의 잘못된 환경인식을 바로 잡고 생태계를 파괴하는 행위들을 중단하여야 하며, 미래 생명체의 생존까지 위협하는 핵폐기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고 상생할 수 있는 자연환경을 만들어가는 것이 현세대의 과제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 생태주의 철학자들의 인간중심주의윤리와 생명중심주의윤리의 주장을 들어 논의하고, 철학적 관점에서 환경문제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현대인들이 어느 입장에 서야할지 선뜻 결정이 내려질지 의문이다. 모든 생명체의 내재적인 가치를 알면서도 우리는 현실적으로 경제논리를 따지지 않을 수 없다. 복지나 분배 정책이 제대로 실현되지 못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인간의 삶을 더 불편하게 할 수 있는 원자력발전소 폐기와 같은 환경정책은 곧바로 실행하기는 힘들다. 하지만 현대인들뿐만 아니라 미래세대 사람들까지 위험에 빠뜨린다면 우리는 그 문제를 어떻게 감당할 수 있을지 도덕적으로 진지하게 고민하여야 한다. 현재 경제적이라는 이유로 원전을 계속 가동하고 있지만 풍족한 에너지를 쓰기 위한 현세대의 과욕의 결과가 앞으로 어떤 미래를 가져다 줄 것인지 이 시점에서 환경윤리 관점에서 깊이 검토해봐야 한다. 본고는 여러 이유를 들어 결국은 생명중심주의윤리가 아닌 인간중심주의윤리가 현실적이라고 결론을 내리지만 반드시 인간중심의 개발이 옳다고는 할 수 없다. 인간과 자연, 모든 생명체가 공존하고 상생할 수 있는 친환경 에코리즘만이 인류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이기 때문이다. 현대 과학기술 문명의 발달은 과학계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 가운데 환경이라는 중요한 문제가 있다. 고로 환경의 문제는 나의 문제이고 사회문제이며 인류의 문제임에 틀림없다.

      • 생명중심적 환경윤리에 관한 연구

        김우정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9679

        Biocentrism ethics resulted from reflection on anthropocentristic environmental ethics and it recognized the natural value. And it changed fundamental value syst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nature. Due to anthropocentrism, human beings had justified their rule over the nature. However, today their material affluence and benefits have resulted in ecosystem crisis beyond the loss of self purification.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plore various arguments for biocentristic environmental ethics and their possibility. For this, we tried reflective approaches to real ecosystem and environmental crisis and discussed the history and problems of environmental ethics. As environmental problems have resulted from complex sources, we need to review totally in term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philosophy to solve the problems. Among them, we focused on philosophical approach, which was very important to solve them. And then we examined the basic hypothesis of teleological and deontological ethics, which were the major theories in ethics, and we considered them in connection with environmental problems. Most of environmental ethicists classified environmental ethics into anthropocentrism, patheticism, biocentrism, holism ethics, which were decided by whether a natural being had independent and intrinsic value beyond other beings' values. Among them, biocentristic environmental ethics claims that all living things have their intrinsic values. Recognizing that living things have the values is respecting the nature. The thoughts that all living things have their inherent good mean that we can improve and protect other living things' good. The environmental ethics includes various problems; Firstly, theoretical problem is about who has moral obligation, duty and right. Secondly, the next problems are about the practical things; Ethical responsibility for the future generation, moral standing of other species except human beings, moral priority among the species, distribution of natural resource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variety of species and population. They are environmental ethicists' common concerns. We need to try to increase our interests in environment, to discuss actively environmental problem and to seek for biocentristic environmental ethics in order to establish the right environmental ethics. In addition, we have to carry out life-long education for which home, school, civic group and press should be organically connected to one another. Especially, we should not follow the problem awareness and solutions of Western Europe or advanced countries but on the basis of them, we should have our own viewpoint on nature, which is based on biocentristic environmental ethics. If we do so, we may live with humble and modest attitude for the nature through biocentristic environmental ethics, which is human beings' attitude for nature and their ethical foundation.

      • 자유주의 우생학에 관한 생태신학적 비판 및 재구성

        김광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33291

        Throughout history, people have recognized that “to be a superior race means to have extraordinary intelligence, appearance, healthy body and spirit” differentiating the ordinary. Since the criterion to determine a superior human entirely depends on the contemporary perspectives such as sociocultural values, a standard to be a superior gene also must be various. Although it does not form a social consensus in the definition, every human being’s desire to get a superior DNA is gradually coming to reality by means of eugenics. The eugenics has been developed in two ways: one is the‘negative eugenics’that eliminates recessive trait and/or disqualified character; the other is the‘positive eugenics’that takes only dominant trait through gene selection. As time passes, however, the eugenics finally is transformed into liberal eugenics which is going in accordance with bioengineering technology. The liberal eugenics, unlike the former theory, is to strengthen the superior gene only by means of DNA selection based on individual freedom of human right. The goal of liberal eugenics is to heal all the diseases and ailment, and to improve human species as well. When it comes to the first issue of ‘healing diseases’, it helps the pregnant pre-moms give birth a healthy baby by prenatal diagnosis to see if there is genetical problem and/or eliminating serious DNA, they would take prior action to avoid it when something wrong is found accordingly. Regarding the second issue of ‘improving human species’, it serves for the pregnant women to get superior baby having aid of gene selection. This technology recently leads to gene editing, DNA manipulation, personally customized baby, and even human cloning. Unlike the prenatal diagnosis aimed for healing ailment, artificial improvement of gene might cause a bio-hierarchy system, so-called ‘genetical discrimination’which has nothing to do with simple healing or genetical improvement. The appearance of spoon-class in modern society (new hierarchy in human dignity classifying human by inherent status) may bring about‘life-politics’causing acute struggles between the ruler and the ruled. It also leads to polarization in human society and finally brings side effects such as status adhesion, or unnecessary bias on human dignity innate. In many ways, the technology of gene editing and customized baby is closely connected with human basic right as well. By the emerging of gene manipulation skill,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has faced new challenges. Cloning technology in the age of liberal eugenics, is carrying out new experiments such as gene editing of embryo, customized baby, human cloning under the cloak of improving human species. In this chaotic situation, the needs of new stage about human dignity will soon rise to the surface. Though the eugenics has many appropriateness on theory, it has left variety of ethical problems behind as well.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ros-and-cons around gene editing, personally customized baby, and species improvement in human cloning. Based on many debates and arguments, it tries to provide some insight in a sound doctrine of human-centered biotechnology or the biblical/theological perspective of bioengineering. Having the above issues in mind, this dissertation is designed to establish a eco-centered view and its eco-theological critique of liberal eugenics in terms of the following four aspects. First,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especially in theological field is too outdated to criticize the rapidly developing view on liberal eugenics. In this context, a new counteraction is strongly needed to cope the huge upheaval of natural science with a competitive measure based on the communal responsibility of human dignity. As biotechnology is so uncertain in its essence and future result, the negative side of it is also clearly presented as much as positive one. Nobody can fathom the chaotic outcome that biotechnology might bring. Second, this study criticizes human-centeredness that recent biotechnology has in itself. On this groundwork, a new significance of human dignity will be highlighted in eco-theological perspective. This argument will proceed not only to defend the ontological ground but also for a new understanding of Christian anthropology. Third, this article shows a considerable countermeasure to make up for an aperture brought by communicational dissonance between natural science and religious doctrine. In comparison to the liberal eugenics showing a dazzling development, the corresponding effort of the theological area is still short to overtake. To make the gap narrow, this researcher provides a ground for mutual dialogue to discuss life-discourse. Finally, the study gives a negative comment on species discrimination and its side effect, so-called status dissension, from which it is suggested a life-egalitarianism, as Jesus says in the Sermon on the Mount as a universal command to all humankind“love your neighbor as yourselves.”The Lord Jesus lowered Himself even to the sinner comforting them. The incident of washing the disciples’feet was a typical example of life-egalitarianism. His caring for the socially marginalized can be a ground for rebuttal. The most urgent thing to be done is to reshape Jesus’s teaching. His love reaches every realm of nature in which all mankind live and breathe. As seen above, this study analyses some fabrications of modern technology in a critical way such as gene & embryo editing, gene-political issues, and liberal eugenics. Consequently, several findings will come up with a new countermeasure debated in context of‘ethical responsibility of community’and‘life-egalitarianism.’ Unlike the past, the future of biotechnology is very closely at hand. The age of human cloning will come shortly, and when it comes to reality, relationship between the cutting edge of technology and its ethical significance collectively might be shaken altogether. The future will come entirely depending on current technology and its ethical interpretation indeed. To cope with this huge challenge, the Christian community in this human cloning age has to take a corresponding countermove in advance not only in individual dimension but also en masse. For the reason, this dissertation strongly suggests a ground for mutual dialogue among bioengineering experts, legal scholars in medical treatment, bio-ethicists, and health care-ethicists etc. The Christian community as a whole has to cope with the huge challenge of natural science especially in biotechnology. A human clone is also a human having its own dignity. Albeit it has somehow disparate or repulsive feeling, The bioethics-centered community of Christian perspective has to rise to a higher ground in this hot and competitive debates. 과거에 사람들은“탁월한 인종이 된다는 것은 남들과는 다른 지능과 외모, 건강한 체형과 정신을 갖추는 것”이라고 알고 있었다. 탁월한 인종이란 기준은 어디까지나 그 사회나 문화 내에서 제시되어진 것이기 때문에 상대적일 수밖에 없고 가치관의 다양성 만큼이나 좋은 유전자의 기준도 각기 달랐다. 이런 상대적 기준에도 불구하고 좋은 유전자를 얻고 싶어 하는 인간의 소원은 우생학이 등장하면서 이룰 수 있게 되었다. 자유주의 우생학은 질병치료와 인간 종(種)의 개량을 목표로 한다. 먼저 질병 치료의 기능은 유전적 질환 여부를 사전에 검사하고 예방하는 차원으로 심각한 질환을 가진 유전자를 선별하여 특정 유전질환을 예방하는 것과‘산전 진단’을 통해 건강한 아이를 출산할 수 있게 해 준다. 다음으로 인간 종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자유주의 우생학은 인류에게 유전자를 선별하여 우수한 유전형질을 가질 수 있게 해주었다. 이 기술은 유전자를 조작하고 선별해서 유전자 편집과 맞춤아기는 물론 인간복제 기술까지 이어지는 실험이다. 유전적 질병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유전자 검사와 산전 진단과는 달리 복제 기술과 맞춤형 아기, 유전자 선별을 통한 개량은 단순한 질병치료와 종의 개선을 넘어 유전자 차별로 인한 생명계급을 초래할 수 있다. 생명계급의 발생은 지배와 피지배 사이의 격차를 낳게 하기 때문에 생명정치의 영역으로 이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계층 간의 심한 양극화로 야기되는 생명계급 발생과 위계는 사회적 신분의 고착화와 신분의 차별과 같은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생명공학 시대에 유전자 편집 기술과 맞춤아기를 만드는 기술은 단순한 종의 개량을 넘어 인간 존엄성과도 밀접하게 연결된다. 오늘날 유전자 조작과 관련된 실험이 등장하면서부터 과거 전통에서 다룬 인간 존엄성과 인간 이해의 방법들은 한계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자유주의 우생학 시대에 시행되는 복제 기술은 인간 출생 이전의 존재, 즉 유전자 편집, 디자이너 베이비(designer baby), 인간 복제 등 우수한 종의 개량을 목적으로 실험들이 진행되고 있어서 인간 존엄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방법들이 더욱 절실하게 되었다. 우생학은 분명 인간의 질병을 치료하고 생명을 연장시키는 데 명분을 가지고 있지만 이 명분 이외에도 많은 윤리적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를 염두에 두고 이 논문은 자유주의 우생학의 목표 가운데 하나인 유전자 편집과 맞춤아기, 복제 기술을 통한 인간 종의 개량에 나타나는 윤리적 문제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이‘생태중심’이 아닌, 인간의 편리성만을 추구하는‘인간중심성’과 연결되는 점을 인식하고, 생명공학 기술에 나타난 인간중심성의 출발점을 성서에서 발견하고 이에 대한 신학적 비판을 논의할 것이다. 이를 염두에 두고 논자는 자유주의 우생학 시대의 신학적 비판을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연구하고자 한다. 첫째, 자유주의 우생학 시대에 인간 생명을 대상으로 생명공학자들은 유전자를 조작하고 실험을 연구하고 있다. 심지어 복제 기술이 등장하면서 기존의 신학적 인간이해는 한계가 있다. 이에 논자는 생명복제 시대에 필요한 신학적 인간 이해와 생태윤리를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논자는 유전자 편집과 맞춤아기, 인간 종의 개량에 나타나는 윤리적 문제와 생명공학 기술의 이면에 자리 잡고 있는‘인간중심성’을 비판하고, 인간 중심성에서 비롯된 윤리적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생명공학 시대의 인간 이해를 살필 것이다. 인간 존재에 대한 생물학적 이해를 요구하는 시대에 논자는 인간 본성 회복과 인간 존엄성의 근거를 제시하여 인간 삶의 가치와 진정성의 중요성을 논의할 것이다. 셋째, 이 논문의 목표 가운데 하나는 신학과 생명공학 기술 사이의 소통의 부재에 대해 비판하는 것이다. 생명공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자유주의 우생학 시대가 열리면서 복제기술과 유전자 치료 및 조작 기술이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과학 기술의 발전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성찰들이 한국 사회에서 아직 부족하다. 이러한 상황을 주시하면서 생명공학 기술과 신학적 이해 사이의 소통과 서로의 학문에 대한 교류 및 상호협력의 필요성을 언급할 것이다. 그리고 이 논문은 생명복제 기술 시대에 유전자 조작 기술과 인간 본성 길들이기, 배아편집 기술의 문제, 유전자 정치 등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자유주의 우생학에 대한 생태신학적 비판을 제시할 것이다. 자유주의 우생학 시대에 필요한 윤리적 방법으로‘공동체의 생태윤리’와‘생명평등주의’를 제시할 것이다. 우선 공동체의 생태윤리를 제시하는 이유는 기존의 신학적 전통과 새로운 생명공학 기술의 접점을 이루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과학 기술의 발전 속도와 형이상학적이고 존재론적인 신학적 인간 이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복제 시대에 맞는 신학적 접근과 책임이 요청된다. 그렇기에 일부 과거 전통을 고집하는 신학적 이해에서 벗어나 새로운 과학 기술을 적용하는 신학적 비판이 뒤따라야 하고 복제 시대에 요구되는 윤리가 제시되어야 한다. 논자는 복제 시대의 종차별과 계급 사회에 따른 생명계급 시대에 필요한‘생명평등주의’를 제시할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과 정신에서 비롯된‘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생명평등의 가치들을 성서적 입장에서 제시하고, 이를 통해 생명평등주의와 생명담론의 필요성을 제시할 것이다. 기존의 생명윤리에 관한 신학적 논의가 학계와 종교계에서 논의되고 대화하는 과정에서 너무 다른 견해를 보여주었다. 논자는 이들의 의견이 마치 평행선처럼 서로 접점이 불가능했던 한계를 인정하고, 피할 수 없는 복제 시대에 새로운 생명윤리 공동체를 제안하고 싶다. 미래 생명공학 시대는 과거와 달리 그 발전 속도가 너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언젠가는 인간 복제시대가 도래하게 될 것이고 윤리적 성찰과 무관하게 과학 기술이 발전하게 되면 그 균형은 상실하게 된다. 미래의 어느 순간은‘갑자기’오는 것이 아니기에 다음 세대를 위해 현재의 과학 기술과 윤리적 성찰이 필요하다. 기독교 공동체는 생명복제 시대를‘지금부터’준비하고 어느 순간 복제 인간과 유전자 변형으로 태어난 존재가 등장하게 되면 준비된 자세로 공동체에서의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생명공학을 연구하는 과학자, 의료법학자, 생명윤리학자, 의료윤리학자 그리고 신학자들은 충분한 논의를 통해 생명윤리공동체를 만들어가야 한다. 이 공동체에서는‘생명담론윤리’를 제안하고 이 논의 과정에서 질병치료는 적극 권장하되, 인간의 지나친 이기심에서 비롯된 비윤리적인 실험과 인간복제 실험에 대해서는 비판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논자는 복제 시대는 언젠가 온다는 것을 전제로 미래 복제 시대에 대한 기독교 공동체의 준비를 요청할 것이다. 복제 인간은 우리와 동등한 존재를 가진 인간이다. 지금 당장 우리가 복제 인간에 대해 혐오감과 이질감을 가질 수 있지만‘기독교생명윤리공동체’가 구성되어 복제 인간에 대한‘거리두기’에서 그들을 따뜻하게 맞아주는‘가까이 다가가기’의 실천과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 인간의 '생명경시현상'에 대한 풍자적 표현을 주제로한 도자조형연구

        정은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3278

        논문개요 모든 생명체는 그 자체로서 절대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생명은 그 누구도 훼손할 수 없는 존엄한 것이며 그 자체로서 가치 있는 것으로 인정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인간은, 현대산업사회의 물질 만능주의와 동물을 도구화해도 된다는 인간중심주의로 인해 생명존중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가치의식마저 퇴색케 하여 생명의 소중함을 경시하는 ‘생명경시현상’을 초래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이 도구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고통 받는 지금의 동물의 모습이 미래에 인간이 그런 모습이 될 수 있음을 주지시킴은 물론, 동물이 단순히 인간을 위한 도구적 가치만 지니는 존재가 아니라 본질적인 가치를 지니는 존재라는 것을 일깨우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인간중심적 시각으로 보면 단순한 미물에 불과할 동물들을 인간과의 공존을 넘어서 오히려 인간보다 상위범주로 설정하여 사실적 형태를 위주로 풍자적으로 표현 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대중들로 하여금 인간중심적인 입장이 아닌 생명 중심적인 입장에서 동물들이 느꼈을 고통과 공포, 두려움 등의 감정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고, 현대사회에 만연해있는 생명경시 풍조의 폐해와 함께 생태계 속에 있는 모든 생명들과 인간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유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많은 사람들의 동물에 대한 잘못된 관점을 바로 잡고 나아가 ‘생명경시 현상’의 폐해에 대한 심각성을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 해본다.

      • 중등 도덕과 교육에서 동물윤리교육의 현황 및 개선방안

        유인재 부산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33244

        동물에 대한 도덕적 고려 논의는 고대 시대부터 존재했다. 서양의 유대교와 기독교적 전통에서는 동물을 자비롭게 대할 것을, 중세 시대의 아퀴나스는 동물을 대할 때 동정심을 가질 것을, 근대 시대의 벤담은 동물이 받게 될 고통에 주목하였으며, 유·불·도의 사상을 중심으로 하는 동양의 전통에서는 자연과 생명에 대한 존중과 배려로부터 동물에 대한 도덕적 고려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오늘날에는 동물의 복지, 권리와 관련한 다양한 철학적 이론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수많은 동물보호단체가 설립되었으며, 이들은 동물의 도덕적 지위 향상을 위해 사회 곳곳에서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고 있다. 아울러 국제사회에서도 동물 학대를 금지하고, 무분별한 동물실험에 제약을 두는 등 동물보호를 세계적으로 권고하고 있다. 이미 많은 국가에서 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법률이 제정되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동물에 대한 도덕적 권리에 대한 논의뿐만 아니라 사회계약적, 법적 권리까지 논의되고 있다. 이제 현대 사회에서 동물을 도덕적으로 대우하는 것은 하나의 이론이 아니라 세계적인 흐름으로서 우리에게 요청되는 의무이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는 다양한 동물윤리이론 및 입장을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물윤리교육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동물윤리에 대한 동·서양의 전통적, 현대적 논의를 통해, 동양과 서양,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다양한 동물윤리이론 간의 합의 가능한 최소한의 기초적인 내용으로 ‘자연·생명에 대한 존중과 배려, 인간과 동물의 공존 지향, 동물을 대하는 인간의 잔혹성에 대한 경계’로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 사회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동물윤리이론과 관련 쟁점, 구체적인 사례들을 중·고등학교 도덕교육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덕과 교육에서의 동물윤리교육 현황을 분석하여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에서 나타난 동물윤리교육의 문제점으로 1.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통합사회 교과에서의 동물윤리 내용 부재, 2. 동물윤리에 관한 동·서양 전통적 관점의 활용 부재, 3. 동물윤리에 관한 다양한 최근 담론의 활용 부재, 4. 동물윤리에서 제시되어야 할 기초적인 내용의 부재를 지적하였으며, 문제점 개선을 위한 실행 방안으로 1.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통합사회 교과에서 동물윤리교육 실시, 2. 동물윤리에 관한 동·서양 전통적 관점 활용, 3. 동물윤리에 관한 최근 담론 및 심화 내용 반영, 4. 동물윤리에서 다루어야 할 기초적인 내용에 대한 교육 실시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동물윤리교육을 통해 청소년들이 학교 현장에서 동물윤리의 배경이 되는 철학적 이론들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물을 도덕적으로 배려하고자 하는 마음을 가지며, 동물윤리와 관련한 도덕적 실천능력을 기를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discussion of moral considerations for animals has existed since ancient times. Western Judaism and Christian traditions focused on treating animals with compassion, Aquinas in medieval ages with compassion, and Bentham in modern age focused on the suffering that animals would suffer, and in Eastern traditions based o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t thought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moral consideration for animals from respect and consideration for nature and life. Today, various philosophical theories related to the welfare and rights of animals are proposed. Based on this theory, a number of animal protection organizations have been established, and they are making active voices in various parts of society to improve the moral status of animals. In additi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lso recommends the protection of animals worldwide, such as prohibiting cruelty to animals and placing restrictions on indiscriminate animal testing. Many countries have already enacted laws to protect animals, and some countries are discussing social contractual and legal rights as well as moral rights to animals. Now, the moral treatment of animals in modern society is not a theory but a duty required of us as a global trend. Therefore, animal ethics education is needed to effectively convey various animal ethics theories and positions to students in the school field. In this thesis, the minimum basic content that can be agreed between various animal ethics theories encompassing East and West, tradition and modernity through the traditional and modern discussions on animal ethics in the East and the West is `respect and consideration for nature and life, the coexistence of humans and animals, and alert to human’s cruelty toward animals', and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in this thesis applied various animal ethics theories, related issues, and specific examples occurring in modern society to moral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To this end, the current status of animal ethics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problems of the 2015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related to animal ethics education are as follows. 1. Absence of animal ethics contents in middle school morality and high school integrated society curriculum, 2. Absence of utilization of traditional Eastern and Western perspectives on animal ethics, 3. Absence of use of various recent discourses related to animal ethics, 4. Absence of basic contents to be presented in animal ethics. Implementation plans to improve the problems of animal ethics education pointed out i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are as follows. 1. Conducting animal ethics education in middle school morality and high school integrated social studies, 2. Using traditional Eastern and Western perspectives on animal ethics, 3. Reflecting recent discourses and in-depth contents on animal ethics, 4. Basic animal ethics Conduct education on the contents. I hope that through the above animal ethics education, adolescents will have a mind to consider animals morall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hilosophical theories that are the background of animal ethics in the school, and to develop moral practical skills related to animal ethics.

      • 宋代 詩文에 나타난 생명의식

        김송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84111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f Song dynasty elite writings on the importance of animal life at a time when Chinese thought and society were steadily marching towards anthropocentricity and respect for nature was in a sharp decline. A tendency towards the intemperate destruction of animal life for human satisfaction and potential profit came into conflict with the inherited values of the elite. Common contempt for animals as unintelligent and weak beings further caused people to kill them without remorse, encouraging the elite to address the situation. Song elite, including Confucians, Buddhists, and other literati, criticized these actions and perspectives and engaged in efforts to save animal life based on their belief systems. They reviewed the tenet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and reinterpreted opposing ideologies based upon their own, all in relation to the treatment of animals. This often led to conceptual flow between the three schools of thought on this subject, as concepts were reimagined, such as the Confucian adoption and reinterpretation of the Buddhist principle of not killing, jiesha. Song elite, ranging from Shi Zunshi to Lü Benzhong to Lu you, discussed animal experiences of pain and emotion, especially the sentiment to cherish their own lives, just like human beings. These elite often emphasized animal intelligence, amazed that animals were able to communicate with human being sin both the corporeal world and dreams in order to save their lives. Also, they insisted that animals were able to appeal against their wrongful death in the afterlife. They criticised the preconception that humans are superior and animals are inferior, particularly in terms of morality, and the idea that humans can eat animals as the weak are the prey of the strong. They did not think that it was reasonable for humans to either hate or look down upon creatures such as rats, bugs, snakes, flies, and mosquitoes, insisted on the need for coexistence.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particular strongly influenced popular attitudes on environmental issues throughout the Song period. Although Confucians and Buddhists could not avoid conflict over these issues, they influenced each other in their common goal to save these lives and limit the destruction. This research shows that, although Song literature’s connection of environmental concerns to traditional belief systems is distant from what we have called ecological literature in recent decades, these various multifaceted arguments and discussions indicate the formation of a life awareness in Song dynasty society. Centered upon the societal elite, but inevitably influencing all society, this awareness was firmly opposed to the march towards anthropocentri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