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효율적 지도방안 연구 : 동국대학교 글쓰기 센터 글쓰기 상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박솔잎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n effective guideline for improving college students' writing skill by analyzing education programs and writing consulting sessions provided by university writing centers. As writing skill has become ever more important in the society recently, many universities have established writing education institutions. Most universities have provided writing courses in their liberal arts curriculum, and such courses have been improved due to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writing skill. The reason why universities pay attention to writing education is because the modern society requires each individual to have a sufficient level of writing skill. In the modern society, writing serves as a means to express one’s thoughts and is an important tool to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In other words, writing skill is required not just for writing college admission essays and academic papers. Rather, it has become a new communication tool in our daily lives. Acknowledging this change, each university tries to provide systematic writing education. However, despite such an effort, they have failed to produce satisfying results so far. This is because most college writing courses are given in a large lecture class when a small group session is proper for efficient writing education. Facing such a problem, universities have established and operated college writing centers as an alternative in order to offer more practical wiring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opened a writing center in August 2007, and has provided writing consulting and writing lecture programs, etc. ever since. Especially, writing consulting is a basic program where consultants offer customized advice on undergraduate student's writings. This paper focuses on the role of the writing center as a college writing education institution, and proposes effective guidelines for teaching writing to university students such as systematic consultant education and training, establishing a consulting manual, consulting evaluation and feedback, and diversifying programs, based on student survey on their consulting and writing experience. Most of all, writing consulting should not be a one-off event. Rather, repeated revisions and consulting will have a bigger effect. Also, the program should focus on revisions through a one-on-one session with consultants. Result-oriented writing education will not help students to develop their writing proficiency. Writing education accompanied by consulting at the writing center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students' writing skill through repeated revisions based on discussions and debates.

      • 중등학교 생물임용시험과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교과과정의 관련성 분석

        나기선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ppointment in Biology and Biology Education curriculu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questions of Teachers' Appointment in biology are based on the biology education curriculu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refore the curriculums should consist of contents covering overall courses of study in secondary school, which would be fundamental for students to study in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This study is about whether the questions in current Teachers' Appointment correspond well to requirements in the curriculums. In this study, I used three different approaches to address these questions as follow: First, I analyzed all the questions in biology Teachers' Appointment given last 5 years from 2003 to 2007. Second, I analyzed 6 biology education curriculums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hich are represented each province. Third, I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the questions and curriculums and studied how to improve the teachers' appointment in the future. When the questions in biology were analyzed, the number of questions were not enough to cover all the contents suggested in the 7th Version of National Curriculum. In addition, the questions were not related to the modern environmental biology and biotechnology. In conclus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t develop unique curriculum for biology major because it aims at train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the curriculums should be standardized to be connected with secondary school of biology. Teachers have great responsibility which they must develop future leaders who lead our society. Therefore, it is crucial that we select right people for the position.

      • 중학교 컴퓨터 보안교육의 현황 및 활성화 연구

        경미연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정보화 사회로 발전하면서 청소년들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학습 및 과제를 수행하고, 웹을 통해 친구들과 의사소통 하면서 자신이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세계를 접한다. 그러나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음란물 유통, 명예훼손, 사기, 해킹, 바이러스 유포, 스팸메일 전송 등 각종 사이버 범죄를 발생시키고 있다. 전문가들은 인터넷의 익명성과 가상성 때문에 사이버 범죄가 확산된다고 말한다. 익명성은 ‘탈 억제(Disinhibition)'적인 행동을 부추기고, 가상성은 현실의 규제에서 풀려나 자신의 마음대로 무엇이든지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컴퓨터를 조금 안다고 하는 학생들은 공공기관이나 기업의 시스템을 해킹하는 것에 대해 조금의 죄의식도 갖지 않으며, 해킹이라는 범죄임에도 불구하고 ‘그 정보를 이용해 나쁜 짓을 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범죄가 아니다’라고 생각한다. 최근에는 대기업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으로 언론에서는 컴퓨터 정보보안의 필요성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언급하였으나 학교에서의 컴퓨터 보안교육은 정보통신 윤리교육 안에 포함되어 채팅, 인터넷 중독, 게임 중독 등 대중적인 주제에 가려져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아 청소년들의 컴퓨터 정보보안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 그러므로 청소년 시기에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컴퓨터 보안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시기에 컴퓨터 보안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중학교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컴퓨터 정보보안에 대한 지식 습득을 위하여 학생별, 교과서별, 학교별, 교과별로 현황을 분석하여 체계적인 수업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정보통신 윤리교육 안에서 컴퓨터 보안교육을 활성화 시키고자 하였다. 학생별, 교과서별, 학교별 현황은 사전 설문을 통하여 학생들의 보안의식과 기초 지식을 알아보고, 각 출판사별 컴퓨터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며, 서울시 북부 39개의 공 · 사립학교에서의 컴퓨터 보안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교과별 현황은 도덕, 국어, 사회, 기술 · 가정 교과에서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컴퓨터 보안교육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조사하였고, 그에 맞는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수업방안을 제시하고 실제 수업을 진행하여 평가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체계적인 교육을 위해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지도방법을 바탕으로 제시 한 수업지도안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고 평가함으로써 학생들의 보안의식 향상과 정보화시대의 문제점으로 야기되는 악성댓글, 개인정보 유출, 해킹 등 청소년 사이버 범죄에 대한 예방효과가 기대된다. As we move to information super-highway society, our youth do homework and daily affairs by accessing internet, and they make a friend and new experience in web. On the other side, IT technology causes many cyber crimes, like pornography circulating, libel, fraud, scam, hacking, virus dispersion, and spam mail. The experts say that all crimes of cyber world is spread by anonymity and assumption. While anonymity causes behavior of disinhibition, assumption make them to behave freely beyond restriction of reality. By doing this, some juveniles do hacking without guilty by apologizing and saying that 'we did nothing wrong with that information'. Albeit press media underscores of internet security problem recent days, present situation that focuses only for netizen etiquette, chatting, and internet game addiction cannot affect our youth who are thoroughly indulged in internet. Because most juveniles have no knowledge about information security significance, we need to carry out computer security education. So,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activate computation security system for the youth especially middle school students, by underscoring its significance, and by giving systematic teaching based on classification by students, text books, schools and subjects. The present condition classified by students, text books, schools, and subjects was examined by test questionnaires that related with basic knowledge and data taken from various computer textbooks by publications, and index from 36 public and private schools of northern part of Seoul. In terms of present condition classified by text books, I examined how some subjects like morals, Korean language, public society, technology and engineering, homemaking affect on computer security, and from which I draw out some strategies concerning what is the most effective and systematic method. Accordingly, this research came up with some ideas to protect our youth from this information superhighway society such as malign replies, personal information disclose, hacking, and other juvenile cyber crimes by teaching with guidelines based on cyber world etiquette.

      • 중학생의 가정환경과 진로의사결정 유형과의 관계

        이영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research thesis attempted to be instrumental in letting middle school students use reasonable career choice decision patterns.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home environment and their future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will be analyzed, with a specific focus to determine what factors in 3r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home environment have the greatest effect on their rational decision-making capacit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ly,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s’ expectation of their children according to students’ gender and parents’ education level? Secondly, are there differences among the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s according to students’ gender and parents’ education level? Thirdly,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and parents’ education level? Fourthly,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uture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rational, intuitive, and dependent) according to students’ gender and parents’ education level? Lastly, in what ways do students’ gender, parents’ education, parents’ expectation, and parents’ child-rearing style affect students’ future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rational, intuitive, and dependent)?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are 311 3r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both male and female, living in the Dongdaemun District of Seoul, South Korea. The measures for this study include questionnaires evaluating the students’ parents’ expectations of them,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students’ home environment traits, and students’ future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Materials for this study include the use of the programs spss 12.0, ANOVA, and the use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and results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section. First, the higher the students’ (both male and female) parents’ education levels, the higher the expectations they had toward their children. Second, parents with at least a college degree showed a “monitoring” child-rearing attitude, which is makes strict considerations of their children's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frequencies of these activities, and their individual life schedules. Also, the students’ gender and fathers’ education level were influential factors in fathers’ “high-expectation” child-rearing attitude. Gender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fathers' “high-expectation” child-rearing attitude, which were more highly perceived among male students compared with female students. In particular, fathers’ education leve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xpectation level, meaning highly educated fathers with at least a college degree were prone to expect too much of their children. In addition, highly-educated fathers showed “affectionate” child-rearing attitudes toward their children. Thir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gender, their parents' education level, and their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students’ gender and their mothers' education level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others’ “high-expectation” child-rearing attitudes. Compared with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perceived a higher degree of mothers’ “high-expectation” child-rearing attitude. Fourth, parents' expectation, fathers’ “monitoring”, “affectionate” child-rearing attitudes and mothers' “monitoring”, “passive” child-rearing attitude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s’ rational future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Fifth, parents’ expectation, fathers' “passive”, “affectionate” child-rearing attitudes and mothers' “monitoring”, “passive” rearing attitude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s’ intuitional future career decision-making. Sixth, parents’ expectation, fathers' “passive”, “affectionate” child-rearing attitudes and mothers' “abusive”, “passive” and “affectionate” child-rearing attitude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s’ dependent future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Lastly,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parents’ expectations have the most influence on students’ future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Students’ future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seem to be influenced by how they perceive their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while parents’ education level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ir students’ future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In conclusion, a significant relationship has been found between students’ family environment and future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Among the variables researched in this study, parents' expectation shows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s’ future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Parents' “monitoring”, fathers’ “affectionate”, and mothers' “passive” child-rearing attitudes have the most influence on rational future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Hence, Parents need to respect their children's opinions, help them feel independent in their choices and accountable for their own activities, and show moderate love to their children, rather than being overprotective of them. Thes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the basic data useful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forming their future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본 연구는 중학생의 가정환경과 진로의사결정 유형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진로 결정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 변인을 규명하여 학생들의 합리적인 진로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 문제는 첫째, 자녀의 성별,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부모의 기대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자녀의 성별,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자녀의 성별,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자녀의 성별,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진로의사결정 유형(합리적, 직관적, 의존적 유형)에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자녀의 성별, 부모의 교육수준, 부모의 기대, 부모의 양육태도가 진로의사결정 유형(합리적, 직관적, 의존적 유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로 설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동대문구에 있는 중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남·여학생들 총 311명으로, 이들에게 부모의 기대 검사, 부모의 양육행동 척도 검사, 가정환경특성 검사, 진로의사결정 유형 검사를 설문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ANOVA와 중다회귀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부모는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둘째, 아버지와 어머니는 대졸이상의 집단에서 자녀의 방과후 활동이나 자녀의 개인 생활시간 및 외출에 대한 파악 정도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감독형 양육태도를 보였으며, 자녀의 성별과 아버지의 교육수준은 아버지의 과잉기대형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아버지의 과잉기대형 양육태도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높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대졸이상의 교육수준이 높은 아버지들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교육수준이 높은 아버지가 애정형 양육태도를 보였다. 셋째, 자녀의 성별과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에서는 자녀의 성별과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과잉기대형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그래서 여학생들보다 남학생들이 어머니의 과잉기대형 양육태도를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자녀의 합리적인 진로의사결정 유형에는 부모의 기대, 아버지의 감독형, 애정형의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감독형, 방치형 양육태도가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섯째, 자녀의 직관적 진로의사결정 유형에는 부모의 기대, 아버지의 방치형, 애정형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감독형, 방치형 양육태도가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여섯째, 자녀의 의존적 진로의사결정 유형에는 부모의 기대, 아버지의 방치형, 애정형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학대형, 방치형, 애정형의 양육태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의 기대가 자녀의 진로의사결정유형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며, 자녀가 부모의 양육태도를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자녀의 진로의사결정유형은 다르게 나타나며, 부모의 교육수준은 자녀의 진로의사결정 유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결론적으로 중학생의 가정환경과 진로의사결정 유형과의 관계는 가정환경 변인 중 부모의 기대가 진로의사결정 유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부모의 감독형 양육태도와 아버지의 애정과 어머니의 지나치지 않은 관심과 역할이 합리적인 진로의사결정 유형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므로 합리적인 진로의사결정을 위해서는 부모의 자녀에 대한 과보호보다는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고 자기 행동에 대한 책임과 자립심, 적당한 사랑이 적절하게 조성되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 연구의 결과가 중학생의 합리적인 진로의사결정을 형성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유아미술교육 현황조사 및 효과적인 지도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

        김혜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aims at groping the scheme of effective fine art education by examining the actual state of general management such as recognition of teachers for fine art activity, teaching-study method of fine art education, and physical environment etc. as the scheme to be able to heighten the effect of baby fine art education on the spot of baby educatio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1 teachers to work at baby education institutions(kindergarten, children's house, & fine art institute) located in the area to be adjacent to Kyoungsang Northern Provinc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constituted by correcting and supplementing under the help of advisor suitably for the goal of study by refer-ring to preceding study of Kang, Heui Soon (1998), Kim, Hyun Jung(1999),Han, Yoon Kyoung(2001), Cha, Keum Ann(2006), and Kim, In Heui(2007). Data collected in this survey were analyzed by utilizing the statistical package program of SPSS 12.0 for Windows after passing through the course of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So as to grasp the general feature of sample, frequency was executed. And, so as to grasp actual state and recognition difference to be based on general fact of institution and teacher,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by executing cross verification(X2 verification, and One-Way ANOVA. Results clarifi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bout baby fine art education, all 3 institutions of baby education institutions were recognizing that fine art education is very important education activity. And, opinion that physical environment for the diverse experience of babies should be created was most as the fact to be most necessary for fine art education. In all 3 institutions, opinion that teachers who majored in baby education and fine art education are proper was most about teachers to be proper for baby fine art education. Thus, it emerged that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stage of baby and general understanding for fine art should be together. It emerged that all wanted the reeducation of teachers. And, the contents showed difference by institutions. Teachers at fine art institute hoped the environment constitution for fine art education most. And, in case of teachers at kindergarten and children's house, case to hope integrated fine art education was majority opinion. Second, in the actual state of management of baby fine art education, this researcher examined by classifying into the actual state of environment and the actual state of teaching-study method. As for the answer of teachers for the question related to the actual state of environment constitution, they answered that physical environment to be proper for fine art activity is insufficient and appreciation data are insufficient. It could be seen that diverse data should be fully equipped and physical environment, facilities equipment, and teaching media should be equipped properly for effective fine art education. Answer for question related satisfaction degree for fine art education that baby education institution is executing showed with common level. Opinions to be dissatisfactory are many, as interest induction is not made properly due to the insufficiency of the understanding for development stage or individual difference etc. of baby. Ability insufficiency of teacher and inferiority of environment were counted as reason. Opinion that curriculum by level which considers development stage and individual difference of baby should be prepared was most as the fact that necessity to supplement is most. To arrange the desirable development direction of baby fine art education on the basis of this opinion, fine art education to be able to foster originality should be made, and whole study for fine art education should be active. Much interest for fine art education connected with human and cultural resource of community is necessary, and execution should be made as integrated education of daily life experience and baby curriculum which corresponds with the interest of baby, and fine art education to be able to foster appreciation power and understanding for traditional fine art culture should be executed. With this, study on diverse application and research of fine art material and medium should be reinforced.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미술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미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미술교육의 교수학습방법, 물리적 환경 등 전반적인 운영 실태를 알아봄으로써 효과적인 미술교육의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북도 인근 지역에 소재해 있는 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린이집, 미술학원)에 근무하는 교사 2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는 강희순(1998), 김현정(1999), 한윤경(2001), 차금안(2006), 김인희(2007)의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게 지도교수의 도움을 받아 수정, 보완하여 질문지를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 과정을 거쳐 SPSS 12.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을 실시하였고, 기관 및 교사의 일반적 사항에 따른 실태 및 인식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교차검정(X² 검정),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미술교육에 대하여 유아교육기관 세 기관 모두 미술교육이 매우 중요한 교육활동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미술교육을 위해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 유아들의 다양한 경험을 위한 물리적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세 기관 모두 유아미술교육에 적합한 교사는 유아교육과 미술교육 모두를 전공한 교사가 적합하다는 의견이 대다수로써 유아의 발달단계를 이해하는 것과 동시에 미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 함께 해야 한다고 나타났다. 교사 재교육을 모두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내용으로는 기관별로 차이를 보였다. 미술학원 교사는 미술교육을 위한 환경구성을 가장 희망하였으며,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들은 통합적 미술교육을 희망하는 경우가 대다수 의견이었다. 둘째, 유아미술교육의 운영 실태에서는 환경 구성 실태와 교수 학습 방법의 실태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환경 구성 실태와 관련된 질문에 대한 교사들의 답은 미술활동에 적합한 물리적 환경이 미흡하고 감상 자료가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효과적인 미술교육을 위해서는 다양한 자료를 구비하고 물리적환경과 시설설비, 교수매체가 제대로 갖추어져야함을 알 수 있었다.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미술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관련된 질문에 대한 응답은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발달단계나 개인차 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흥미유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불만족 한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교사의 능력부족과 환경의 열악함을 이유로 꼽았다. 이러한 의견을 바탕으로 나타난 현 미술교육과정에서 보완해야할 필요성이 가장 큰 사항으로는 유아발달 단계와 개인차를 고려한 수준별 교육과정을 마련해야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의견을 바탕으로 유아 미술교육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정리해 보면, 창의성을 길러줄 수 있는 미술교육이 되어야 하며 총체적인 미술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져야 한다. 지역사회의 인적 문화적 자원과 연계한 미술교육에 대하여 많은 관심이 필요하고, 유아의 흥미에 부합되면서 일상생활 경험 및 유아교육과정의 통합교육으로 실시되어야 하며, 전통미술문화에 대한 감상 및 이해력을 길러 줄 수 있는 미술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미술재료와 매체의 다양한 활용 및 탐색에 대한 연구가 강화되어야 한다.

      • 통합 교육을 바탕으로 한 효율적인 논술 교수 학습 방안

        정연정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eaching-learning method of essay writing that realizable in schooling. I suggest to practical use a text book and based on integrated education. Essay Writing is not only the active writing for revealing own opinion or self-assertion to other people, but also one of the ways of living. So, this course stimulates students' creative idea and makes them thought and behaved actively, and then, they will internalize right their values and faith. A school model of Essay Writing education conforms to the process of theory of constructivism. A interrupted subject model is evidence to be able to apply for a common education techniques in a Essay Writing aiming a pan-curriculum, but the blending subject model needs to correct itself by accepting a concept of learners and tools. A interrupted education was researched in the lights of integrated languages, a cooperating instruction, and unification of forms. They are full of suggestions in terms of using of Essay education. Although there are difficulties to apply for a education field, they will be corrected gradually. This study research workable interrupted educations on the basis of these theories, and tries to the Essay Education model.

      • 중등학교 미술교육의 새 방향 모색 : 미술 개념의 확장을 중심으로

        이은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It is called that 21 century is the age of culture, media and information. The 21 century the students ourself will be an owner is an age of culture and art, it is a society that would be national power and competitive power substantially. So, a purpose of this study is like these; it searches preferableness how the art education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with change of recognition being suitable to modern society, not teaches knowledge and skill to students only. We examined that an art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have been the biggest turning-point, and Korean art and the history of art education was based for an education, to study in this chapter 3. Existing post-modernism emphasizes big description focusing on custom made art, a man, the white man and the western that only some group of power has enjoyed, with conversion from modernism to post-modernism; impacts lots of to the expansion and change of art's concept. Due to this, post-modernism art has been separated, and features less descriptive, being undetermined, being multiple, paradox and mixture imitating contrary to an original post-modernism art. This post-modernism art can be considered as a concept; that is being whole tendency of art from conceptive art to being temporary. The concept of art has been expanded through change of recognition to an art after post-modernism, impacting to an art and education in Korea. Our art and education also would be need; to upgrade thinking power about media material, exact comprehension to the tendency of temporary art and unification of each area in an art, this to combinate with an expansion and change of art's concept. On the other hand, it is not yet attained to change of recognition to art-teaches art focusing on expression skill and unified education, being ingrained in art and education, adding to misunderstanding to temporary new concept of art. From this, it is still hard that our education of an art trains the citizen who are being suitable with 21 century. We suggest new lecturing method; to be cultural citizen by studying actively, and to solve the problem has been in our art and education by aiding students express their desire without restriction, in the chapter 4 and 5. For the art and education by the concept of art expanded, we have to solve bias that art subjects is being, adding to vary the teaching method with deviating from traditional method. Namely, it means that we have to educate to upgrade the skill of criticism to art and aesthetic with deviating from original art education, formal, to the preferable way for educating art. So, we have studied diversly to enjoy the art in our life by educating an art integrated, a visible cultural art and a multi cultural art. Therefore, it seems to be prepared to concrete practical plan for teaching art and education by expansion of art's concept, at the schools.

      • AI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 기반의 인공지능 이해 중심 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정재은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literacy, which is mentioned as a necessary basic skill for future generations, is expected to be enhanced through current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But research on artificial intelligence classes linked to regular elementary school subjects aimed at enhancing AI literacy is very lacking. In addition, existing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pproaches only as an extension of Practical subjects, uses already created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s, or focuses only on developing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s, failing to promote even a basic understand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I literacy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centered AI understanding consisting of play and experience suitable for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embodied cognitive theory.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effect centering on AI literacy, I trie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 who want to apply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s for AI literacy development to the field.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such as follows. First, what contents should be composed of the 'AI Understanding program based on embodied cognition for AI literac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how should the 'AI Understanding program based on embodied cognition for AI literac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 structured? Thirdly, what effect does the 'AI Understanding program based on embodied cognition for AI literac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on improving AI literacy?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on what contents should be composed of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e 'AI Understanding program based on embodied cognition for AI literac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as follows. (1) Artificial intelligence should be treated as a 'target of learning', not a tool for subject learning. (2) Learning topics should be set through 'chemical convergence' that fuses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each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with the expectation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performance. In addition, learning problems that can satisfy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each subject and meet the expectation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performance, learning activities that allow learners to create knowledge while interacting with surrounding learners and learning environments, and evaluation of the process as well as the results of learning Classes should be structured with process-oriented evaluation that are possible. (3) In order to increase AI literacy, even if the area of understanding artificial intelligence is taught, not only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e covered, but the existing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 can be us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r real-life problems are taught on the premi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It should be taught in a 'comprehensive' way, including the process of thinking procedurally to solve real world problem or to develop competencie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development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on how the 'AI Understanding program based on embodied cognition for AI literac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be structured are as follows. (1) It is necessary to promote understand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the method of 'play and experience using the body organs of senses and movements'. (2) As a learning method that encourages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understand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promoted. The environment here encompasses the world to which the learner belongs, the learning environment, teachers, learners around him, and virtual reality (VR). (3) The program should be structured in the way of 'convergence of other subjects'.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convergence study involving several disciplines, and it is not possible to understand artificial intelligence by learning about one or two specific subject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Finally, looking at the effect of the third research question, 'AI Understanding program based on embodied cognition for AI literac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improving AI literacy, it was found tha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standing-centered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AI literacy.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AI literacy had a positive effect on AI basic knowledge, development capability, and application ability, and in specific areas,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on AI basic knowledge and AI understanding, AI use, AI attitude and ethics. In the detailed test results by area,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in the area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al valu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ttitudes and ethic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educational practitioners who want to apply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for AI literacy enhancement in elementary school are (1) introduc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learning subject while considering the ethical aspe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2) to guide in connection with the existing curriculum of various subjects, (3) even if it is guided in the area of understand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play and experiential activities that utilize the senses and motor organs of the learner's body, (4) to promote for modeling an knowledge by interactions with learners and teachers, learners and other learners, (5) it was suggested to try classes aimed at enhancing AI literacy so that knowledge can be created based on interaction wit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ith this program as the cornerstone, research 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based on cognitive theories that will be embodied in the future has been widely conducted, an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for lower, middle, and upp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for the development of AI literacy have become active, resulting in many learners I hope that through the process of personal implementation, I will be able to create artificial intelligence knowledge related with each subject. 인공지능 시대, 미래 세대에게 꼭 필요한 기본 소양으로 언급되는 AI 리터러시는 현재의 인공지능교육을 통해 신장되리라 기대되고 있지만, AI 리터러시 신장을 학습 목표로 한 초등학교 정규교과 연계 인공지능 수업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초등학생 대상 인공지 능교육은 실과 교과의 연장선상에서만 접근하여 이미 만들어져있는 인공 지능 플랫폼을 활용만 하거나,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만 초 점을 두어 인공지능에 대한 기초적 이해조차 도모하지 못하고 있다. 이 에 본 연구는 체화된 인지 이론을 기반으로 초등학교 6학년에게 적합한 놀이와 체험으로 이루어진 인공지능 이해 중심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 발하여 AI 리터러시를 두루 신장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AI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그 효과를 분석하여, AI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하고자 하는 교육실천가들에게 시사점을 제시하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초등학생을 위한 ‘체화된 인지 기반 이해 중심 인 공지능융합교육 프로그램’은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하는가?’, ‘둘째, 초등학생을 위한 ‘체화된 인지 기반 이해 중심 인공지능융합교육 프로 그램’은 어떤 방법으로 구성되어야 하는가?’, ‘셋째, 초등학생을 위한 ‘체 화된 인지 기반 이해 중심 인공지능융합교육 프로그램’은 AI 리터러 시 향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와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먼저 첫 번째 연구 문제인 초등학생을 위한 ‘체화된 인지 기반 이해 중심 인공지능융합교육 프로그램’은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하는가 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을 교과 학습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 ‘학습의 주제’로서 다루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의 각 교과 성취기준과 인공지능 수행기대를 융합하는 ‘화학적 융합’을 통해 학 습주제를 설정해야 한다. 또한 각 교과의 성취기준을 만족시키면서 인공 지능 수행기대도 충족시킬 수 있는 학습 문제와 학습자가 주변의 학습자 및 학습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지식을 창발할 수 있는 학습활동, 학습의 결과뿐 아니라 과정도 평가할 수 있는 과정중심평가로 수업을 구성해야 한다. 셋째, AI 리터러시를 신장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 이해 영역을 가 르치더라도 인공지능에 대한 개념, 원리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인공지능 윤리를 전제로 기존의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인공지능 활용)하거나, 실 생활 문제를 절차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사고하는 과정(인공지능 개 발)도 포함하여 ‘포괄적’으로 지도해야 한다. 두 번째 연구 문제인 초등학생을 위한 ‘체화된 인지 기반 이해 중심 인공지능융합교육 프로그램’은 어떤 방법으로 구성되어야 하는가에 대 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 및 운동의 신체 기관을 두루 사용하는 놀이와 체험’의 방법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를 도모해야 한 다. 둘째,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장려되는 학습 방법으로 인공지능에 대 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환경은 학습자가 속한 세계, 학습 환경, 교사, 주변 학습자, 가상현실(VR)을 모두 포괄한다. 셋째, ‘타 교과 융합’의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한다. 인공지능은 여러 학문이 연 관된 융복합적 학문으로, 특정 한두 교과에 대해서 배운다고 인공지능에 대해 파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교과 융합적 접근을 할 필요 가 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연구 문제인 초등학생을 위한 ‘체화된 인지 기반 이해 중심 인공지능융합교육 프로그램’은 AI 리터러시 향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를 살펴보면, 인공지능 이해 중심 융합교육프로그램은 유 의미하게 AI 리터러시를 신장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AI 리터러시 중 인공지능 기초지식, 개발 역량, 활용 능력에 긍정적 효과가 있으며, 세부 영역으로는 인공지능 기초지식과 인공지능 이해, 인공지능 활용, 인 공지능 태도 및 윤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영역별 세부 검사 결과에서는 인공지능 윤리적 가치관 및 인공지능 태도 및 윤리 영역에서 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공지능 효능감 측면에서 유의미하게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에서 AI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이해 중심 인공지능융합교육을 적용해보고자 하는 교육실천가들에게 첫 째, 인공지능의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면서 학습주제로서 인공지능을 접 하게 하며, 둘째, 기존의 여러 교과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지도하고, 셋째, 인공지능 이해 영역을 지도하더라도 학습자 신체의 감각과 운동기관을 활용하는 놀이와 체험활동을 통해, 넷째, 학습자와 교사, 학습자와 다른 학습자, 학습자와 교육환경과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지식을 창발할 수 있도록, 다섯째, AI 리터러시 신장을 목표로 하는 수업을 해보기를 제안 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초석으로 향후 체화된 인지 이론 기반의 인공지능교육 연구가 널리 이루어져서 AI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초등학교 저학년, 중 학년, 고학년 대상의 인공지능융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활발 해지고, 이에 따라 많은 학습자가 몸소 체현의 과정을 통해 인공지능 및 각 교과에 대한 지식을 창발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특목고 미술교육을 위한 표현기법 실기프로그램 사례연구

        여새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에서는 어떤 미술을 교육하여야 하는가? 과연 지금의 미술교육은 이 시대의 요구에 부흥하고 있는가? 만약 바람직하지 않다면 그것의 대안은 무엇인가? 또 그러한 미술교육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인가? 현장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라면 누구나 이러한 질문을 자문해 보았을 것이다. 해마다 우리의 미술대학은 입학시험 응시생 작품의 순서를 매기는 일을 되풀이 하고 있다. 장래 미술전문인이 되려는 학생들은 이 같은 행사를 위해 수년간 같은 대상을 같은 기법으로 훈련했을 것이다. 이것은 학생들에게 기능과잉과 사고력 부재의 교육의 결과를 낳는 것과 다름없다. 우리가 사는 시대는 미술의 끝없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우리의 시대착오적인 미술전문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 추상미술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왜 추상미술인가? 21세기를 살아갈 우리 학생들은 20세기의 문을 열었던 추상미술의 조형원리와 그 의미를 학습해야한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추상미술은 오늘을 사는 인간이 내일을 향한 삶의 의지의 발로이고 그러한 변혁 의지는 바로 21세기를 살아야 할 우리 학생들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비젼이라고 확신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추상미술이 우리 학생들에게 ‘시각예술의 원리를 생각하고 탐색하게 하는 장르’라는 이유에서였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생각과 탐색은 조형적 성찰을 말한다. 20세기 추상미술이 등장하면서 조형예술은 비로써 성찰과 분석의 대상이 되었다는 것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 추상미술의 제작과정은 본질적으로 시각 재료에 의한 조형 원리를 과학적으로 탐색하고 이론적으로 정립하는 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본다. 따라서 필자는 조형에 대한 사고력 배양은 현재의 모사 중심의 재현적 조형보다는 추상적 조형의 실습과 분석, 그리고 평가의 과정을 통해서 얻어질 수 있다고 본다. 본고에서 조형적 원리 탐색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추상미술 수업모형을 제시한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미술의 역사는 추상미술이 순수 조형적 성찰과 의미 있는 미술 교육의 대상이 된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20세기의 빛나는 교육적 성과를 이루어 냈으며 지금도 여전히 현대 미술교육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바우하우스의 교육과정은 그 좋은 예이다. 공예품의 제작과 장인적 기술을 목표로 하는 바우하우스의 설립자 그로피우스는 모든 실기 반을 두 반으로 나누고 한 개 반은 장인 교육을 담당할 공예가에게 맡기고 나머지 반은 당대의 최고 조형 이론가들인 추상미술 화가들에게 가르치게 했다. 그로피우스는 학생들이 모더니즘 대가들이 가르치는 창조의 이론과 신비를 전수 받길 원했고 바우하우스의 추상화가 교수들은 단순한 장인 공예가가 되려는 학생들에게 부족할 수 있는 현대 조형이론과 실습과정에 있어서 현대미술의 요체를 각기 독창적인 교수법으로 가르쳤다. 그리고 수업에 관한 일련의 지침서를 책으로 출간했다. 본고에서는 5가지 수업모형을 제시했다. 그것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구상과 추상의 병치, 조합이다. 미술의 역사를 더듬어 보면 추상미술의 양식은 원시미술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오리엔탈 미술이나 중세시대에서 우리는 추상적 편린을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것들을 추상미술이라 부르지 않는다. 그것은 예술가들의 의식적인‘조형의지의 발로’가 아니기 때문이다. 철학적 성찰 속에 태어난 ‘추상미술’은 20세기에 들어서부터이다. 그러한 추상미술은 현대미술의 주류를 이루다 1970년대 이후 다시 형상의 기운이 가세를 보이기 시작하고 현재는 구상과 추상이 접목되는 양상으로 보여 진다. 이러한 구상과 추상의 병치 양식을 수업모형으로 선택한 것은 이러한 추세도 의식했기 때문이다. 두 번째, 추상화를 위한 시작(試作)과 몽타주 기법이다. 이것은 제시된 사진 이미지에 해체와 결합을 반복한 다음 거기서 얻어지는 추상적 이미지를 보고 다시 그려나가는 프로그램이다. 추상적 이미지를 주어진 자료를 반복적으로 해체, 조합하면서 인위적으로 만들어가는 제작 과정이다. 세 번째, 파피에 콜레(콜라주)를 이용한 추상적 회화 표현이다. 이것은 어떤 구체적인 이미지에 또 다른 이미지의 인쇄물을 부착하면서 화면에 추상적 이미지를 도출한 다음, 그 도출된 이미지 위에 다시 그려나가면서 2차, 3차의 추상적 표현을 하는 수업이다. 네 번째, 제시된 구상적 사진을 색채와 형태의 작은 형태소로 파악하고 그것을 색채분해와 형태분해의 과정을 거치며 추상 이미지로 전환하는 제작과정이다. 이 수업은 어떤 이미지-그것이 추상이든 구상이든-를 ‘평면적인 시각적 요소(재료)’로 이해하는 눈의 훈련이다. 그것은 조형예술가에게 반드시 요구되는 자질이며, 따라서 수업 실습에 앞서 꼭 사진이나 그림의 이미지를 보고 하나의 추상적 총체로 인식하는 연습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사물의 이미지를 추상적 총체로 인식하는 시각적 훈련은 음악에 있어서 음표가 만들어내는 소리의 화음 분석의 연구와 다르지 않다. 다섯 번째, 하드에지 추상으로 공간의 깊이를 표현하는 수업이다. 학생은 주어진 몇 가지 대상물을 정밀묘사나 제시된 한 장의 실내풍경 사진을 하드에지적 추상화로 전환하여야 한다. 이 수업에서 교사는 이른바 차가운 추상과 뜨거운 추상의 특징을 학생에게 개괄 설명해야하고 각 장르의 대표작과 스타일의 차이점에 대해 토론하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 수업의 요체는 복잡한 형태와 공간을 단순하고 명쾌한 평면 공간으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상의 다섯 가지 추상미술 수업 프로그램은 한 학기 동안 미술대학 입학을 준비하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습하였는데 수업 결과물은 전반적으로 기대 이상의 교육적 결과를 냈다. 특히 첫 번째의 구상(재현)과 추상의 병치 수업에서 그러했다. 물론 재현적 기법에 익숙한 이유도 있었겠지만 그보다는 학생들이 화면의 반을 차지하는 재현적 묘사 표현의 색채와 형상에 대비해서 추상의 균형감과 색채 조화를 본능적으로 드러냈다. 그리고 그러한 병치된 결과물에서 자연스럽게 뿜어내는 ‘추상적 표현성’은 세련된 미학적 표현력과 함께 나름대로 화면상의 조화를 이루어내는 성과를 냈다. 이는 우리 학생들이 모더니즘 미술에 대한 자질과 정서가 이미 내재화 되어 있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과 다름없다. 그러나 무엇보다 이 추상미술 프로그램 수업의 최대의 성과는 우리 학생들이 비로써 ‘조형’을 하나의 과학적인 조형의 법칙과 원리로서 받아들이게 되었다는 점이다. 더욱 고무적인 현상은 미술은 본래 조형의 요소인 점, 선, 면 형상 그 자체에 대한 천착과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 그리고 그것들의 비례감, 무게감, 균형감, 통일감 등에 대해 연구와 탐색 또한 질문과 토론의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우리 학생들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미술인의 자질로 인식하였다는 점일 것이다. What type of art education is to be done in today’s world? Indeed, is our contemporary art education satisfying this generation’s demands? If inappropriate, what should be the alternatives? Any instructor who is teaching at the scene would have asked himself such a question. Each year, applicants' works of art are ranked by art colleges in order. For this annual day event, students, or future professional artists, would have endlessly practiced the same technique with the same subject for many years. This is no more than resulting in excessive technique and lack of thinking in students. However, our world is simultaneously demanding the infinite changes in the art paradigm. This paper is to suggest abstract art program as an alternative for today’s anachronistic, professional art education. Why abstract art? Students living in the 21 century believe in the importance of studying the principle and meaning of abstract art that has opened the 20st century. It is because abstract art is the manifestation of the will for tomorrow’s life and such revolutionary will is an indispensable vision for students of the 21st century. Also, it is because for students, abstract art is a ‘genre that stimulates people to contemplate and search for the principles of visual art’. The process for abstract art is essentially not too different from that for scientific search and theoretic erection of molding principles done by visual materials. Therefore, cultivating the thinking skills for molding will be obtained from the practice, analysis and evaluation process of abstract molding, rather than the present depiction-centered, representational molding. 5 types of class models are suggested in this paper. The first type is the juxtaposition and association of figuration and abstraction. When tracing back the history of art, the format of abstract art goes all the way back to primitive art. A portion of abstraction can be witnessed in the oriental art or medieval ages. However they are not considered an abstract art because they are not part of artists’ conscientious ‘manifestation of will for molding’. Second is experiment(試作) and montage technique for an abstract painting. This program repeats deconstruction and association of image from a given photograph and draws again on that newly created image. In other words, it is a process through which an abstract image is artificially created by repeatedly deconstructing and combining given sources. Third is an pictorial expression technique using papier colle(collage). This deduces abstract image on canvas by attaching another image to a specific image and draws again on the deduced image, displaying the secondary and tertiary abstract expression. Fourth is a process in which given figurative photograph is segmented as color and shape morpheme and later transformed into an abstract image by color and shape disintegration. This class is an eye training to understand certain image -whether it is abstract or not- as a plane, visual factor (material). This is a necessary skill for plastic artists and before class students will be required to practice perceiving certain images from painting or photograph as one abstract whole. Fifth is expressing the depth of a space with hard edge abstraction. In this class, students have to transform a precise delineation or given painting of indoor scenery into a hard edge abstract painting. The key to this class is reconstructing complex shape and space into a simple and clearly plane space. Aforementioned five abstract art class programs were practiced for one semester with sophomore students in high school preparing to enter an art college and the educational outcomes were generally more than what was expected. It was especially the case with the first, representational (reproductive) and juxtapositional abstraction class. Of course, students are more familiar with representational technique, but moreover, students instinctively demonstrated the balance and color harmony of abstraction in contrast to representational color and shape of descriptive expression which takes up almost half of the canvas. In addition, the ‘abstract expressiveness’ that is naturally secreted from the juxtaposed outcomes was in its own way successful in harmonizing on the canvas with the refined aesthetic expression. This demonstrates the internalization of our students’ talent and feelings toward modernism art. Most importantly however, the biggest accomplishment from this abstract art class is that students are finally able to accept ‘molding’ as one scientific law and principle. A more inspiring phenomenon is that students have recognized that art should be delved and analyzed with molding factors themselves such as point, line, and plane and that they have understood the necessity as an artist of further study and research or questioning and discussion about proportionality, gravity, balance and uniformity of such factors.

      • 개별화 스마트기기 활용 및 Freudenthal의 수학화 이론 기반 중학교 수학 수업설계와 효과 : 디지털-AI리터러시 중심으로

        안성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As there is a saying that education is a hundred-year-old generation,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predict the future. We live in a world that is constantly changing and developing. The educational field should also continue to track and keep pace with these social changes. COVID-19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have changed our society and educational field since 2020. Due to COVID-19, our society has often remotely converted things that were previously conducted face-to-face, and schools have undergone major changes in breaking the existing classroom instruction system and accepting the remote instruction system due to this change. Smart devices are the media that enables and leads these social change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lso distributed smart devices to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2022 due to this social background and educational need. The name of the project is "Divot," and the fact that smart devices were distributed to all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mart device policy.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is 'Divot', a student education environment using individualized smart devices was created in the educational field. Therefore, research is needed to effectively utilize this educational environment. In addi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it is necessary to set up and help students improve their smart device utilization capabilities to reflect social changes in the increasing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In this study, digital literac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were presented as necessary smart device utilization capabilities for students who will live in the future society, and digital-AI literacy was newly defined as a parallel combination of the two literacy. Based on these contents, this study aims to organize math classes using individualized smart devices for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received smart devices, and to find out what changes are made in students' digital-AI literacy through classes. Freudenthal's mathematical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was used for the composition of mathematic subject classes. The research questions set by synthesizing this are as follows. First, how should the math curriculum for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be designed based on the use of individualized smart devices and Freudenthal's theory of mathematic? Second, can digital-AI literacy be improved through the use of individualized smart devices and Freudenthal's mathematical theory-based mathematic curriculum? As suggested in the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aims to effectively design classes using individualized smart devices linked to mathematic subjects and improve students' digital-AI literacy.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selected as one class in the first grade of M Middle School in Seoul, and guidance and consent procedures were conducted to students and parents before selecting the research subjects. The class design was based on the Backward design method and ASSURE model based on Freudenthal's mathematical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and reflected mathematic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sub-factors of digital-AI literacy. Through the learner analysis and media selection process, the 9th individualized smart device math curriculum was organized, and digital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test sheets were used as a tool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Effectiveness verification was conducted in parallel with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s using statistical figures and qualitative evaluation through learner counseling and observation. In terms of quantitative evaluation,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class using individualized smart devices, and in terms of qualitative evaluation, student counseling and questioning were conducted on the smart device program, class effective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us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SPSS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quantitative stud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 and post-data of the study participants, learners' understanding of all sub-factors of digital literac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individualized smart device utilization program organiz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increasing learners' digital-AI literacy. In addition to statistical results, an in-depth analysis of the cause of significant increases in all literacy sub-factors is also needed. The first cause for statistical results is the lack of prior experience in digital-AI literacy among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the learner analysis stage, learners' prior experience in subject-related digital and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s was found to be somewhat insufficient. As various digital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classes using smart devices were conducted without prior experience, digital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was improved by expanding the range of programs that learners can use and encountering new functions and methods of smart devices. It is vaguely difficult to learn new programs that have not been experienced in the learner's response content. Responses such as the fact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used to be thought of only, is easier than expected can be presented as the basis for the change. The second cause is learners' recognition of the need for digital-AI literacy. During the learner interview process, most learners responded that they learned that digital literac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were necessary competencies for future society. It can be analyzed that learners'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learning influenced learning motivation, which led to learning effects.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to this study. First, since the research period is relatively short, it may be difficult to generalize to the long-term effectiveness of classes using individualized smart devices. Second,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1 students in one class of M Middle School in Seoul, it may be difficult to generalize the effectiveness to the situation of other schools with different educational environments. Third, there may be limitations in controlling variables of statistical figures because divot was used in other subject classes during the study period. Fourth,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composition of digital-AI literacy is a simple parallel combination of digital literac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sub-elements. Based on instructional design model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that were not often used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presented instructional design methods using individualized smart devices and revealed their effectiveness by converging digital-AI literacy elements into subject classes. As the scope of use of smart devices gradually expands, research on the contents of classes in other grades using individualized smart devices needs to be continuously conducted. I hope this study will be the keynote study for this study. 교육은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라는 말이 있듯,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적 환경을 반영하고 미래의 모습을 예측하여 실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끊임없이 변화하며 발전해 나가는 세상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교육 현장도 이러한 사회적 변화를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발맞춰 나아가야 한다. 2020년부터 우리 사회와 교육 현장을 변화시킨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COVID-19이다. COVID-19로 인해 우리 사회는 기존에 대면으로 진행하던 일들을 원격으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학교도 이러한 변화의 영향으로 기존의 교실 수업 체제를 타파하고 원격수업 체제를 받아들이는 큰 변화를 겪었다. 이러한 사회적인 변화를 가능하게 하고, 주도하고 있는 매체가 바로 스마트기기이다. 서울시에서도 이러한 사회적 배경과 교육적 필요성에 의해 2022년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를 보급했다. 이 사업의 이름은 ‘디벗’이며, 중학교 1학년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를 보급했다는 점에서 기존에 시행되어 오던 스마트기기 정책과 차별화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디벗’의 특징으로 인해 교육 현장에서는 개별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학생 교육 환경이 조성되었다. 따라서 개별화 스마트기기 교육 환경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교육 현장에서는 스마트기기 활용도가 점점 높아지는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기 위하여 학생들에게 필요한 스마트기기 활용 역량을 설정하고, 이러한 역량을 향상할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필요한 스마트기기 활용 역량으로 디지털 리터러시와 인공지능 리터러시를 제시하고, 두 가지 리터러시의 병렬적 결합으로 이루어진 디지털-AI 리터러시를 새롭게 정의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를 보급받은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별화 스마트기기 활용 수학 교과 수업을 구성하고,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디지털-AI 리터러시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수학 교과 수업의 구성에는 Freudenthal의 수학화 교수·학습 이론을 사용한다. 이를 종합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화 스마트기기 활용 및 Freudenthal의 수학화 이론 기반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 수업은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가? 둘째, 개별화 스마트기기 활용 및 Freudenthal의 수학화 이론 기반 수학 교과 수업을 통해 디지털-AI 리터러시를 향상시킬 수 있는가? 본 연구는 연구 문제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수학 교과 연계 개별화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의 효과적 설계와 학생들의 디지털-AI 리터러시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한 대상은 서울특별시 소재의 M 중학교 1학년 1개 반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 대상 선정 전 학생 및 학부모에게 연구 진행에 대한 안내 및 동의 절차를 실시하였다. 수업의 설계는 Freudenthal의 수학화 교수·학습 이론을 근거로 Backward 설계 방법과 ASSURE 모형을 기반으로 진행하였으며, 수학과 성취기준 및 디지털-AI 리터러시 하위 요인들을 반영하였다. 학습자 분석 및 매체 선정 과정을 통하여 9차시의 개별화 스마트기기 활용 수학 교과 수업을 구성하였으며, 수업의 효과성에 대한 검증 도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계발 및 검증이 완료된 디지털, 인공지능 리터러시 검사지를 이용하였다. 효과성 검증은 통계적 수치를 이용한 양적 평가 방법과 학습자 상담, 관찰 등을 통한 질적 평가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양적 평가의 측면에서는 개별화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전, 후로 리터러시 검사를 실시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진행하였으며, 질적 평가의 측면에서는 연구 기간 중 사용된 스마트기기 프로그램, 수업 효과성, 학업성취도 등에 대한 학생 상담과 설문을 진행하여 연구참여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양적 연구의 통계 분석에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사전, 사후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디지털 리터러시와 인공지능 리터러시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구성한 개별화 스마트기기 활용 프로그램은 학습자들의 디지털-AI 리터러시 상승에 효과적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통계적 결과에 대한 질적 분석의 측면에서는 학습자들의 디지털-AI 리터러시 향상의 원인을 학습자들의 다양한 디지털, 인공지능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 경험 부족, 디지털-AI 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으로 파악하였다. 학습자 분석 단계에서 학습자들의 교과 관련 디지털, 인공지능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 경험은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수업을 진행하며 학습자들은 디지털-AI에 대해 본격적으로 접하게 되었고, 그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학습자들은 면담 과정에서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을 통해 스마트기기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되었으며, 기존에 어렵다고만 생각하던 인공지능이 실제 배워보니 어렵지 않다는 등의 내용을 진술하였다. 이러한 진술은 디지털-AI 리터러시 역량 증진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 연구에는 몇 가지 한계점들이 있다. 첫째, 연구 기간이 비교적 짧으므로 개별화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에 대한 장기적인 효과성으로 일반화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서울 소재 M 중학교 1개 학급 2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이므로 교육 환경이 다른 타학교의 상황으로 효과성을 일반화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셋째, 연구 기간 중 타교과 수업에서 디벗이 사용된 경우들이 있어서 통계적인 수치의 변인 통제에 제한점이 있을 수 있다. 넷째, 디지털-AI 리터러시의 구성이 디지털 리터러시와 인공지능 리터러시 하위요소들의 단순 병렬적인 결합이라는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자주 사용되지 않았던 교수설계모형과 교수전략을 바탕으로 개별화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설계 방법을 제시하고, 디지털-AI 리터러시 요소들을 교과 수업에 융합하여 그 효과성을 밝혀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교육 현장에서 스마트기기의 활용 범위가 점점 확대됨에 따라 개별화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연구 또한 타 학년, 타 교과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이러한 후속 연구의 기조 연구가 되었으면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