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胚芽複製의 法的 規制方案에 관한 硏究

        정정일 京畿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9725

        최근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특히 과학기술과 기계문명의 발달은 인간 생활에 커다란 변화를 유발하고 있다. 특히 21세기를 生命工學의 時代라고 하며, 생명공학기술의 의학적 이용과 이를 둘러싼 倫理的 論爭은 세계적인 관심사로 등장한지 이미 오래되었다. 최근에는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성과인 인간유전자지도가 공개되었으며, 유전자조작·인간배아복제·동물복제의 성공 등 생명공학기술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명공학 기술의 이용은 有用性의 강조를 통해 긍정적인 측면이 우선적으로 다루어졌고, 생명공학 기술의 남용에 따른 윤리적인 문제 등 부정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논의가 없었던 게 그 동안의 우리 사회의 현실이었다. 지난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국내의 생명윤리 논쟁은 아직도 뚜렷한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동안 생명윤리에 관한 法律案이 몇 개 발표되었지만 오히려 심각한 갈등만을 드러내고 그 어떤 법률안도 國會의 審議조차 받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생명윤리에 대한 기본적인 합의가 형성되고 있지 못했을 뿐 아니라, 여기에 대한 宗敎界와 生命工學界, 그리고 市民團體와 政府, 그리고 政府의 部處內에서 까지 利害關係가 각각 相異하여온 결과이다. 이처럼 생명공학 기술의 남용이 초래할 위험에 대한 아무런 대응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이에 대한 논의가 종교계와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일고 있으나, 그 논의의 내용이 너무 추상적이고 그 대상 또한 人間複製나 胚芽實驗 등 몇 가지 경우에 한정되어 있었다. 수많은 우여곡절 끝에 정부의 生命倫理基本法制定案(正式名稱은 '生命倫理 및 安全에 관한 法律案')이 2003년 10월 7일 國務會議의 議決을 마치고 제16대 마지막 定期國會에서 통과되기 만을 기다리고 있는 게 우리나라의 실정이다. 이에 반해 주요 선진국들은 매우 신속하게 법적인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미 1990년 초반에 體細胞核移植 기술의 가능성이 현실화되자 유럽의 대부분의 국가들은 體細胞 複製에 의한 人間個體 발생과 수정된 胚芽의 실험을 금지하는 법률들을 제정하여 이 문제에 대해 대비하였다. 영국과 독일 프랑스, 스페인 등은 가장 先導的으로 人間個體複製를 반대하는 法律을 立法化하였다. 그 주된 論點들은 人間個體複製나 胚芽實驗이 人間의 尊嚴性에 반하는 행위라는 것이었다. 인간에 의한 인간의 手段化는 어느 법체계하에서도 용납될 수 없는 불가능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한 가지 前提가 될게 있다. 다름 아닌 受精이 이루어진 受精卵이나 胚芽가 人間인지 아닌지에 대한 법적 해석이다. 인간의 존엄성을 주장하기 위해서는 언제부터 인간으로 인정해야 하는가가 분명하게 설명되어야 했었다. 이런 첨예한 논쟁에서 과학계가 주장한 하나의 구분 기준은 바로 着床과 原始神經線이라는 기준이다. 하지만 精子와 卵子가 만나 수정을 이루는 수정시를 생명시작의 시점이라고 보는 종교계의 입장에서는 일체의 생명공학 실험과 조작은 헌법상 보장하는 연구의 자유를 남용하는 행위를 넘어서는 타인의 생명을 침해하는 犯罪行爲가 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타협안으로 제안된 것은 원시신경선의 출현 시점을 구분하여 파악하는 소위 '14일론'이다. 일반적으로 수정이후 약 14일이 지나면 原始線이 出現한다고 알려져 있다. 일부 의학자들은 14일 이후에야 비로소 인체의 근본이 되는 척추가 형성되며 각종 신체기관이 형성되므로 14일 미만의 배아를 인간개체로 볼 수 없다고 주장한다. 아직도 생명시작의 시점에 대한 논란은 진행중이며 명쾌한 결론을 유보하고 있지만 영국과 일부 치료용 배아복제를 허용하고 있는 국가들은 14일 미만의 배아에 대한 실험허용의 논거로 사용하고 있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기본적으로 줄기세포의 유용성에 대한 논의와 그 중에서 특히 ES세포를 보호하기 위한 배아의 법적 성격을 중심 내용으로 하고, 배아의 파괴가 없어 상대적으로 도덕적·윤리적으로 논쟁이 덜한 성체줄기세포의 활용방안에 대해 연구논의를 할 것이다. 또한, 조직배양을 통한 代替臟器의 생산과 形質轉換 동물을 이용한 新藥開發 등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산업의 창출뿐 아니라 거기에 特許權을 통한 연구결과의 상업적 독점 및 시장선점을 위한 주요 선진국들의 경쟁과 그에 따른 우리의 대처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해 보고자 연구했다. 끝으로 체세포핵이식과 인간배아연구를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내용의 정부의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안)'은 생명공학계와 종교·시민단체간의 많은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생명공학 남용규제에 관한 가장 現實的인 立法案이라고 생각된다. ES세포의 연구의 대안으로 성체줄기세포에 대한 연구를 비롯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할 때, 좀 더 시간을 두고 관계 전문가 집단의 논의와 국민여론을 수렴하여 다소 미흡한 부분은 차후에 개정해 나가는 걸로 하고 우선 시급한 人間個體複製에 대한 禁止를 법률로써 立法化하는데 국회는 최선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In rapidly changing society of present times, particularly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and mechanical civilization have brought about greater changes in human life. Since the 21st century is called as the era of biotechnology, medical applications of biotechnology and surrounding ethical controversy have already been in the center of international debate for a long time. Recently, the human genetic map was released as a result of the human genome project, and the biotechnology including genetic manipulation, human embryonic cloning, and successful animal cloning has ever developed day by day. However, the application of this biotechnology has been looked positively through stressing its usefulness, and its negative sides such as ethical problems due to abuse of biotechnology has not been actively discussed. Debates on bioethics started in the late 1990s have not reached to the clear agreement yet. In the meantime, several legislations on bioethics were proposed but only led to serious complications, and none of legislations have referred to the deliberation by the National Assembly. Reasons for this are not only because there has been no fundamental agreement on bioethics but because interests of religious circle, biotechnology circle, citizen's organizations, the government and its relevant departments were all different. Recently, the debate on this subject are rising in religious circles and citizen's organizations even in this country where countermeasures are not prepared yet for the danger of abusing the biotechnology, but the debates were too abstract and its targets were limited to only a few cases such as human cloning or embryonic experiments. The fact is that, after much complication, the legislation for bioethics (its formal name is 'legislation for bioethics and safety') was passed by the Cabinet Council on October 7, 2003 and has been waiting to be passed by the last regular session of the 16th National Assembly. On the other hand, other advanced countries proposed legal standards very promptly. With the realization of possibilities for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technology in the early 1990s, most European countries legislated to prohibit the development of human being by somatic cell cloning and the experiment on fertilized embryo, and prepared to this kind of problems. Most leading countries such as England, Germany, France, and Spain legislated against human cloning. Major points of the legislation were that human cloning or embryonic experiments were all against the dignity of human being. Making humans as means by human is impossible to be accepted under any legal system. For this purpose, there should be one premise. That is the legal interpretation whether or not a fertilized egg or an embryo is a human being. It should be clearly explained from when it is recognized as a human being to assert human dignity. In the middle of these intense debates, one standard for recognition suggested by scientific circle is implantation and primitive streak. But the standpoint of religious circle, in which the fertilization when a sperm and an ovum fertilizes is the starting point of life, suggests that all experiments and manipulations of biotechnology are criminal acts of violating other human's life exceeding the act of misuse of the freedom of research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Then, so called the '14-day theory' for recognizing the time when the primitive streak appears was proposed as a compromise.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primitive streak appears about 14 days after the fertilization. Some medical experts suggest that an embryo less than 14 days old is not recognized as a human being because the spine, the foundation of human being, is formed after 14 days of fertilization and so other parts or organs of the body. This debate on the starting time of life is still in progress and lucid conclusion is being reserved. But England and some other countries that allow the therapeutic embryonic cloning use this as the grounds of the authorization of experiments on embryos of less than 14 days. On the basis of the above debates, this study will basically investigate the debates on the utilization of stem cells, among which particularly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embryo to protect ES cells, and the utilization of adult stem cells that is relatively less controversial morally and ethically because it does not destroy human embryos. Not only this study will examine the creation of high value-added industry using biotechnology such as the production of substitute organs through tissue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new medicines using genetically modified animals, but also, it will review the competition of major advanced countries for commercial monopoly and the prior occupation of the market from results of the research through patent rights, and the following countermeasures of our country in various ways. Finally, the government's 'legislation for bioethics and safety' that partially allows the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and human embryo experiments is thought as the most realistic legislation on the regulation of the abuse/misuse of biotechnology, despite the intense debate between biotechnology circle and religious? citizen's organizations. By taking into account the actual circumstances in which researches on adult stem cells are being implemented as a substitute for ES cell researches,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try its best to legislate the urgent matter of the prohibition on human cloning first and then revise rather insufficient parts later by collecting consultations from relevant expert groups and public opinions.

      • 生命工學技術에 의해서 生成된 遺傳的 變異體(GMO_(s))의 安全性에 관한 硏究

        조성복 建國大學校 農畜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9695

        Modern biotechnology has now been developed and applied for over 20 years under contained conditions and over 8 years for applications in the environment. The development of new techniques of genetic modification in the early 1970s prompted a through discussion on biosafety in biotechnology which resulted in a number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recommendations, guidelines, and legistrations. By the mid-1980s it was widely considered that recombinant DNA techniques were an extension of conventional genetic procedures and that organisms produced by this technology presented risks that were the same in kind as those posed by any other organism. However, it was also recognised that while the potential benefits of biotechnology were increased because the new molecular techniques allowed a greater diversity of genes to be introduced into organisms, the relative lack of familiarity with such organisms indicated that it would be appropriate to develop the technology in a precautionary manner. The risks resulting from biotechnology and the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s) might be separated into two areas, health hazards and environmental risks. To prevent the potential hazards imposed to health and environment, many nations including United Kingdom, USA, and Japan developed the legal regulatory system under the different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s. Recently, the trend to regulate the biotechnology and GMOs in the regional and international level was appeared. The model case of regional regulation was made by European Community (EC) and it was focused on the contained use and deliberate release of GMOs. The member countries of EC are now implementing the EC directive to the national regulations. The most obvious international regulation is the Biosafety Protocol which are in preparation by UNEP. Under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a international framework on regulation of biotechnology are expected to be made until 1998. Eventhough the modality and legal level of Protocol was not fixed, it could be assumed that the Protocol would affect the capacity building at the national level. Through the survey and analysis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regulations on biosafety, it was assured that the national capacity building in our country and active involvement to the international trends were the urgent things. As the biotechnology have been expected to be the new pioneering industry at the near future, the biosafety as a supportive and fundamental mechanism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use of biotechnology should be enforced and well managed.

      • 고도 기술시대의 몸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김남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78

        본 연구의 대전제는 오늘날 우리의 몸이 정보체(情報體)로 환원되고 있음을 드러내는 일이다. 이는 정보기술, 생명공학기술, 나노기술 등 첨단 기술들의 등장과 기술간 수렴하여 시스템화하고 있는 새로운 기술 패러다임의 형성과 관련을 맺는다. 오늘날 우리의 몸들은 고정적․ 자연적․ 통합적인 유기체로 이해되기보다는 분해되고, 혼합되고, 조립되고, 변형되고, 새롭게 생산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기계와 유기체의 내파, 이종 유기체의 결합, 복제, 맞춤 생산 등은 오늘날 새롭게 재구성되고 있는 포스트-바디(Post-Body)의 양태들이다. 점차 인공적인 것과 자연적인 것이 내파․ 융합되는 ‘잡종’적 신체, 포스트 바디는 우리의 존재 조건이 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들은 우리의 몸을 정보로 환원시킨 결과이다. 우주의 일부인 유기체에서 기계로 환원되었던 몸은 이제 정보를 흡수, 저장하고, 그 정보의 결과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키며, 이 정보를 감지, 분류, 조직하기 위한 특수 기관을 가진 존재로 간주되는 것이다. 이것이 오늘날의 우리 몸이 정보 기술시스템의 관점에서 보아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정보 기술시스템은 생명공학, 나노기술, 로봇공학, 인지과학 등 오늘날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첨단 기술들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정보 발생’이라는 공통점 때문에 수렴되어 거대 규모의 시스템을 형성해나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정보를 이루는 기본 재료인 0과 1의 추상화된 메시지를 코드화하는 정보기술은 정보를 복제하고, 이질적인 것을 섞고, 창발하는 능력을 지닌다. 이러한 기술의 정보적 논리가 추상화된 메시지로 환원된 몸의 고유한 경계를 허무는 힘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이처럼 고도 기술은 생체를 분자 조각으로 해체하여 몸을 변형시키고 조작하는 등 생명 과정에 적극 개입해 개선시키고 통제능력을 갖는데, 그런 점에서 새로운 생체권력, 곧 기술생체권력(technobiopower)이 등장했다고 볼 수 있다. 근대의 생체권력이 지식의 조력을 받은 국가가 집행자라면 기술생체권력은 기술과학(technoscience)과 동맹을 맺은 자본이 집행자이며, 국가는 그 중개 역할을 담당한다. 이는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관련되는 것으로 몸 자체가 자본화할 수 있는 잠재력이 발견되면서 생체의 자본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예컨대 기술적으로 변형시킨 생명 자체 또는 유전자 조각에도 특허권이 부여되고 있으며, ‘환자는 많고 비용은 적게 드는’ 빈곤국가에서의 임상실험은 일반적인 현상이 된 것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새로운 자본주의에서 등장하는 ‘기술생체자본’과 자본주의의 상호작용으로 자본주의에 심대한 변형이 일어난다는 것인데, 그럼에도 이는 우리가 알고 있는 자본주의를 골동품으로 만들거나 획기적인 전환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이는 자본주의의 연장이자 진화이고 부속물이며 동시에 다른 형태인 것이다. 이처럼 인간의 몸을 최종 개척지로 삼는 첨단 기술들은 인류에게 혜택을 주는 것도 사실이지만 미래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 삶의 주체로서의 구체적인 몸을 추상화, 사물화시키는 문제점, 인간의 문제를 뇌나 유전자로 환원시키는 환원주의의 문제, 몸의 소외 또는 내부 식민화 등의 문제점을 들 수 있다. 특히 인간이란 종적 개념이 청산된 포스트 휴먼(Post Human) 시대가 도래할 지도 모르는 매우 불확실한 미래가 기술과학에 내재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위험’에 대한 성찰과 논의가 필요하다.

      • 동물특허의 보호에 대한 연구

        오인경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It was announced that Hwang Woo Suk and researchers had created embryos by cloning mature human cells and had grown some of them to the blastocyst stage of development. That could ultimately prove to be an even bigger deal of biotechnology. It is explicitly banned in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Although the biotechnology is making remarkable development, the disclaimer adds fuel to many legal and ethical debates on animal and human fields. This study is about the permissible range of patent right on animal inventions. The chapter One begins with the range of research, purpose and method of research to the introduction. The chapter Two contains the technique of the biotechnology which is chiefly applied to the animal invention with the basic technique. The chapter Three describes main legislation examples of Worldwide and focus on the requirement of animal patent and document. After reviewing a few requirements for animal patent, The chapter Four discuss debate each problem of the animal patent. The chapter Five considers an improvement plan for encouraging animal patents.It is inevitable that many legal and ethical problems bring about the invention of the animal because of living thing. The rapid growth in the biotechnology field has been worried about the hazards like the destruction of environment through the cruel oper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lives. Consequently, it is principally patentable, for it is valuated to be the one of the mans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the nature, but we must control the patenting of it by the proper application of the public order clause which is prescribed as the one of the reason for not patenting in the patent law .Even with sensible laws, of course, there''s always a chance that the law will be misused. It doesn''t mean that these are inherently bad. The trick is to Legislate against the misuse, not against technology. 2004년, 서울대학교 황우석 교수를 포함하는 국내 연구진이 인간의 성인세포를 복제한 배아를 만들었으며, 복제배아 중 일부는 배아의 성장단계까지도 배양하는데 성공했다고 발표하였다. 이것은 생명공학기술의 엄청난 성과로 이어질 수 있으나, 국내를 포함한 많은 국가에서는 인간복제를 명백히 금지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동안 인간 또는 살아있는 생명체를 대상으로 하는 동물특허에 대한 법적, 윤리적 문제가 활발하게 논의되어 왔다. 본 논문은 동물특허의 보호에 관한 것이다. 제1장은 연구의 목적, 범위, 방법을 설명하였다. 제2장은 동물발명의 기본내용과 동물발명에 적용되는 생명공학기술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제3장은 동물특허의 보호에 대한 외국의 기준 및 국내의 기준을 설명하였다. 제4장은 동물특허와 관련한 문제점을 발명의 유형별로 나누어 서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제5장은 동물특허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동물특허는 그 특성상 살아있는 생명체를 대상으로 하는 점에서 종교적, 윤리적 논란이 있으며, 생태계 보호에 대한 환경 문제와 안전성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연구용으로 이용되는 동물을 무분별하고 부적절하게 조작하는 행위를 규제할 수 있는 관련법을 제정 또는 개정하여야 한다. 또한 연구과정의 실험단계부터 적용할 수 있는 전문적이고 구체적인 세부지침과 이에 따른 책임기관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동물발명은 원칙적으로 산업발전을 위하여 특허권으로 보호하고 이용을 장려해야 한다. 동물발명의 효과는 경제적으로 의학적으로 엄청난 잠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아무리 훌륭한 법이 존재하거나 제정하여 시행하더라도 악용될 가능성은 있기 마련이다. 무조건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것보다 잘못 이용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입법이 필요하다.

      • 식물 인산수송자 유전자의 분자적 특성과 형질전환 벼 개발

        백소현 全北大學校 2003 국내박사

        RANK : 249611

        식물의 세포막에서 인산 수송 조절에 관여하는 인산수송자의 역할을 이해하고 인산 이용 고효율 벼를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뿌리에서 흡수된 인산은 각 조직으로 운반되어 세포내의 각종 물질대사를 조절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지상부 잎 세포에서 인산은 막을 경유하여 이동되는데, 이때 관여하는 인산수송자의 역할을 조사하기 위하여, 2,059bp 크기의 담배 NtPT1 cDNA를 분리하였다. NtPT1은 537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감자와 토마토의 뿌리에서 항상 발현하는 고친화성 인산수송자와 각각 91, 90%의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NtPT1 단백질은 중앙에 친수성 부위가 있는 12 membrane-spanning domains (MSDs)을 갖고, 다른 식물의 인산수송자와 같이 protein kinase C 인산화 부위, casein kinase Ⅱ 인산화 부위 및 N-당화 부위가 잘 보존되어 있다. NtPT1은 고친화성 인산수송자 돌연변이 효모인 NS219의 돌연변이형을 회복시키고 세포의 생장을 약 3배 촉진하였다. NtPT1 유전자는 인산결핍 상태의 잎에서 강하게 발현되었지만, 뿌리에서의 발현은 매우 낮았다. 이들 결과는 NtPT1 유전자가 정상적 기능의 인산수송자를 만들며, 잎과 뿌리에서 발현하는 고친화성 인산수송자 유전자 중 하나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산수송자 유전자는 담배에 다수의 동위형이 존재하여 소규모의 인산수송자 유전자군이 존재한다. 벼에서 인산의 이동을 조절하는 인산수송자의 역할을 조사하기 위하여 4개의 서로 다른 인산수송자 OsPTs (OsPT1, OsPT2, OsPT3, OsPT4)를 분리하였다. OsPTs는 담배 인산수송자 NtPT1과 72∼77%의 상동성을 나타내었고, 벼 인산수송자 서로간에는 70∼84%의 상동성을 보였으며, 그 중 OsPT1과 OsPT2는 84%의 가장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벼 인산 수송 단백질은 쌍자엽 식물 인산 수송 단백질과 구조적으로 상동성을 나타내었고, protein kinase C 인산화 부위, casein kinase II 인산화 부위 및 N-당화 부위 같은 아미노산 공통배열이 잘 보존되어 있다. 벼 인산수송자 OsPT1는 12 MSDs를 갖는 인산수송자군에 속하고, 다른 고친화성 인산수 송자 유전자와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OsPT1은 인산 결핍 뿌리에서 우선적으로 발현되었고, 잎에서도 약간 발현되었다. 유전자의 발현은 인산 결핍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여 결핍처리 5일째에 가장 높았다. OsPT1은 인산 결핍 조건에서만 발현되었고, N, K, Fe의 결핍 조건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OsPT1 유전자는 인산 농도 100 μM 이하에서 발현이 유도되나 인산 결핍 조건에 320 μM의 인산을 재공급하였을 때, 유전자의 발현은 24 시간째부터 감소되기 시작하여 2일째에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OsPTs는 고친화성 인산수송자 돌연변이 yeast MB192의 돌연변이형을 야생형으로 회복시켜 인산수송자 유전자로 확인되었다. OsPTs는 인산수송자 유전자군에 속하는 동위형으로서 벼에는 10개 이상의 동위형이 존재한다. 이상의 결과는 OsPTs는 벼의 인산 흡수 기작을 이해하고, 인산 이용 고효율 벼를 개발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인산 흡수 효율이 높은 벼를 개발하기 위하여 NtPT1이 도입된 벼를 Agrobacterium 형질전환을 이용하여 획득하였다. 선발된 식물체에 대한 PCR, Southern-blot 분석을 수행하여 벼의 genome에 담배의 인산수송자 유전자가 안정적으로 도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형질전환체 중 PT-1 line 에는 1 copy의 NtPT1 유전자가 되입되었고 도입된 유전자는 T_1 자식세대에 전달되어 발현되었다. 따라서, 형질전환 벼 식물체를 이용하여 인산이용 고효율 벼 품종개발과 인산 흡수와 이용과정에 대한 인산수송자의 역할을 구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ole of phosphate transporter (PT) in the regulation of phosphate transport across the membranes in the cell and to develope phosphorous-efficient rice. Phosphate (Pi) acquired by roots is translocated to and utilized by the upper part of the plant where PT in the cell is also important in Pi transport. In order to study the role of PT in regulation of Pi movement across the membranes in leaf cells, a 2,059bp tobacco leaf cDNA clone, NtPT1 was isolated and characterized. The 537 amino acid sequence deduced from NtPT1 exhibited 91 and 90% identity to one of the high affinity PTs constitutively expressed in potato and tomato roots, respectively. The peptide encoded by NtPT1 contains 12 membrane-spanning domains (MSDs) with a central hydrophilic region, domains highly conserved in plant transporters, and sites for protein kinase C- and casein kinase 11-mediated phosphorylation, as well as N-glycosylation. The expression of NtPTl in the yeast high affinity PT mutant strain, NS219, complemented the mutant and promoted cell growth which was about three-fold faster than that of the control cells. The expression of NtPT1 was markedly increased in plants grown under Pi-limiting conditions. NtPT1 is expressed at high levels in leaves but at very low levels in roots subjected to Pi starvation.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NtPTl encode a functional PT and that one of the high affinity PTs expressed in leaves is also expressed in roots. Southern-blot analysis indicates that tobacco PT genes are present as a small multi-gene family. Four rice PT clones (OsPTl, OsPZ?, OsPT3 and OsPT4) were also isolated and characterized. The OsPTs share from 72 to 77% identity of deduced amino acid sequence (DI) with tobacco NtPTl and from 70 to 84% with each other: the highest DI of 84% was found between OsPTl and OsPT2. The predicted rice polypeptides are structurally homologous to the PTs from dicotyledonous plants, containing the conserved sequence motifs such as phosphorylation sites for protein kinase C and casein kinase Ⅱ and a site for potential N-glycosylation. OsPTs belong to a family of 12 MSD proteins and show a high degree of sequence identity to the known high-affinity PTs. OsPTl is primarily expressed in the Pi-starved roots with a low level of expression in leaves. The transcript levels increased with the increased duration of Pi starvation, and reached a maximum after 5 d. Its expression was markedly induced by Pi starvation but not by starvation of nitrogen, potassium, or iron. The expression of OsPTl increased in the roots provided with 100 μM Pi, the transcript levels of OsPTl decreased within 24 h and reached a significantly lower level within 2 d. The expression of each OsPT in the yeast high affinity PT mutant strain, MB192, complemented the mutant and promoted cell growth, confirming the function of the clones as a phosphate transporter. Southern-blot analyses indicate that each OsPT present as a low copy number gene and are members of a small multi-gene family. Therefore, OsPTs will help understand the mechanism of Pi uptake in rice and lead to the development of phosphorous-efficient rice. In order to develop phosphorous-efficient rice using PT, transgenic rice plants containing the tobacco NtPT1 gene were obtained via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Multiplied calli were cultured on shoot induction medium (MS medium supplemented with 50 ㎎/L hygromycin B, 250 ㎎/L cefotaxime, 2 ㎎/L kinetin, 0.1 ㎎/L NAA). After 2 weeks, hygromycin B resistant shoots were obtained from the calli on the selection medium. Over two hundred regenerated plantlets were obtained and the stable incorporation of the tobacco NtPT1 gene into rice genomic DNA was confirmed by PCR and Southern-blot analyses. The T_(1) progeny of the transgenic line, PT-1, which contained a single copy I the primary transformant, segregated in the 3:1 ratio based upon PCR and Southern analysis. The progeny of PT-1 line expressed the expected size (1.7 kb) fo NtPT1 gene transcript. The transgenic rice plants can be used to examine the role of PTs in Pi uptake and P-use efficiency.

      • 과학기술의 사회적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 : 1980년대 이후 한국의 정보기술과 생명공학을 중심으로

        박금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33343

        과학기술이 한 사회에서 수용되는 과정은 그 사회의 사회문화적 요소에 크게 영향받게 된다. 사회문화적 요소는 그 사회의 특수성에 따라 과학기술에 대한 각 주체의 담론으로 반응하게 된다. 따라서 한 사회의 과학기술의 수용과정은 이를 매개하는 각 주체들, 즉 세계체제, 국가, 자본, 시민사회 등의 상호복합적인 역학관계 속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다양한 사회내의 주체세력의 결집장이 될 수밖에 없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수용과정이라는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각 세력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 사회의 정보기술과 생명공학의 사회적 수용과정과 관련된 사회 구성원의 인식 및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었던 가장 주요한 동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1980년 이후 정보기술과 생명공학에 대한 우리 사회의 수용과정의 주체라고 할 수 있는 국가, 자본, 지식의 장, 시민사회(시민운동), 지식의 장 등의 각 주체들이 가지는 역동적 관계를 분석틀로 삼았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980년대 이후 한국 사회에서 정보기술과 생명공학의 수용은 세계체제, 국가, 자본 영역의 역할이 두드러지는 특징이 발견되었다. 또 정보기술의 경우에는 시민운동과 비판적 지식인의 장에 별다른 저항 없이 수용되는 측면이 강하다. 물론 이러한 수용과정으로 인한 예상하지 못한 부작용들에 대한 대책에 있어서는 1990년대 중반이후 시민운동과 지식인 장에서 끊임없는 문제제기를 외면할 수 없는 상태에 직면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1990년대 중반까지는 한국 사회의 정보기술의 수용과정에서는 시민사회와 비판적 지식의 장 등의 동참자를 배제한 측면이 강한 것이 발견되었다. 또 생명공학의 경우에는 우리 사회에서 1980년대 초반부터 세계체제, 국가, 자본 등의 논리를 등에 업고 수용되는 과정을 발견할 수 있었다. 2)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 한국의 대표 과학기술은 정보기술이었다. 이때 우리 사회는 그 이면에 부여된 각종 이데올로기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문제제기의 과정도 없이 받아들이기에 급급하였다. 물론 1990년대 후반 인터넷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그 역할이 분명해진 정보시민운동으로 대별되는 시민운동의 등장이 있었지만, 1990년대 중반까지 우리는 끊임없이 차세대 국가경쟁력은 정보기술이라고 믿고 있었으며, 설득당하고 있었다. 이런 가운데 생명공학이 일반시민의 공간으로 갑자가 튀어나오게 된 것은 1990년대 중반의 차세대 미래전략산업이라는 국가의 논리와 1997년 이후 복제양 돌리의 탄생으로 인한 전세계적인 생명공학에 대한 문제제기가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3) 정보기술의 확산과 시민단체의 성장은 생명공학의 사회적 수용과정에서 낙관적 전망론이 득세를 부리던 정보기술의 도입과는 다른 분위기가 형성된다. 즉 1990년대 중반 이후 우리 사회에서는 생명공학에 대한 낙관적 분위기보다는 사회문화적 맥락 없이 무조건 수용하는 것에 대한 끊임없는 문제제기가 일게된다. 이러한 문제제기의 주요한 공간은 시민사회 영역에서의 시민단체들이었으며, 이러한 단체의 방향을 설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은 대항적 지식의 장으로 밝혀졌다. 1980년대 정보기술의 도입기만 하더라도 과학기술에 대한 전망은 발전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그것의 속도를 저울질하는 것이 주종을 이루었다. 그러나 생명공학의 도입과정에서는 과학기술과 사회적 수용능력의 조화가 큰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즉 우리 사회에서 정보기술의 경우 과학기술이 사회발전의 핵심 동력이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기술결정론적인 시각이 부상했다면, 생명공학과 1990년대 후반 정보기술의 부작용은 과학기술을 사회적으로 어떻게 조절ㆍ통제할 것인가에 대한 기술의 사회적 형성의 관점으로 이행하게 만들었다. 4) 1990년대 중반이후 한국 사회의 생명공학의 사회적 수용과정에서 부각되는 다양한 세력들의 참여는 맥락모형의 입장에서 이해된다. 즉 이전까지 국가와 자본이라는 어떻게 보면 단일주체적인 성격의 강조가 아니라 다양한 사회구성원들의 복합적인 맥락에서 수용되는 과정을 밟고 있는 것이다. 1990년대 후반 들어 한국에서 시도된 유전자조작식품과 생명복제란 주제로 열린 두 번의 합의회의, 생명윤리위원회의 활동 등은 이러한 맥락모형에 입각한 사회적 수용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5)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아직 기술의 사회적 형성론과 맥락모형의 접합점인 사회적 합의를 통한 과학기술의 민주화라는 용어 자체부터가 생소하게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1990년 후반 정보기술과 생명공학에 관련된 시민단체의 운동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의 민주화에 대한 문제의식이 확산되고 지지되고 있다. 정보기술과 생명공학을 통한 사회적 수용과정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과학기술과 일반시민의 관계가 이전에 유행했던 기술결정론과 결핍모형에서 기술의 사회적 형성론과 맥락모형으로 변화하는 움직임이다. This study presents the social adoption-proc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in Korea after the 1980’s. The most name of this studying subject is firstly, what social diagnosis is accompanied with the science and technology adoption in Korea after the 1980’s, secondly, what the origin should be if there exists new trends in science and technology adoption in the society. The adop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a society is advanced under the critical influence of its specific culture features normally. Theses features also respond to the adop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due to its social peculiarity. The social adop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achieved therefore under the dynamic relationship among international structure, government, companies and civil society. An important focu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perty of each bodies which occupied as the main forum for the social adoption-proc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 this examination. The searching study is deployed on the main point of its information technological and biotechnological aspect after the 1980’s in Korea. Another is to define the major motive which results in the various social understanding about the social adoption-proc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in Korea. Accordingly, this study starts at the approach of the dynamic relationship among international structure, government, intellectual sector, and civil society which functions as the social main bodies for the social adoption-proc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in Korea after the 1980’s. The 'intellectual sector' is defined herein as the group which raises the ideological issue such like bringing-up governmental, social and private competitiveness from the social adop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To resume this studying result is following; In case of social adoption-proc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in Korea, there exists obvious influential role of international structur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uch as companies) after the 1980’s. Taking global competitiven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angle of civil movement and intellectual sector is certainly possible without many side issues. This relative facility of course would bring about unexpected side effect after the middle 1990’s then we could hardly dodge this emerging new troublesome in civil movement and intellectual sector. However, it deems systematically impossible to play the leading part in the social adoption-proc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civil society and counter-intellectual sector in Korea. Furthermore, the introduction process for biotechnology has had strong tendency to come under the logical backing of international structure, government and companies since the early 1980’s. Due to for example, the possible disadvantage and unremunerative issue for the matter of benefit to lead the van of biotechnology introduction it was the governmental sector which foots the cornerstone of biotechnology introduction generally. This shows the same logical following to the undergoing proc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That is, once it obtains certain outcome in the governmental sector they changes the player as companies. The representative science and technology was informational technology in Korea between the 1980’s and the early 1990’s. In fact, the society was absorbed to promptly accomodate itself with information technology but for looking at its ideological side. Owing to the rapid increase of the internet, the civil movement starts to cover much ground of the society with definite characteristics as information civil movement. However, the continual thirst for information technology with great belief could be the key of national competitiveness for next generation till the middle 1990’s. While this syndrome for information technology continued, biotechnology came to new issuing point over the global raising argument in the middle 1990’s. The government also presents the biotechnology as the strategic industry of further generation and it results in biotechnological interest to the civil society. That is, biotechnology rested behind the black boxing ideology yet in the international sector, government and companies till the 1990’s. The real emerging of biotechnology on the civil ground is since the first successful cloning of sheep, Dolly, in 1997. The expans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growth of civil group at the time did not contribute to optimize the in the social adoption-process of biotechnology. This was originally different phenomenon in tha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ceaseless issue and argument claiming the random adoption without social filtering about biotechnology after the middle 1990’s. It surely seems far from the optimist point of view. Almost critical issue about came to discuss in civil sector or citizen group. The group nearly all would be characterized as counter intellectual sector.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 for the social adoption-proc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is, as shown here in previous, is arrived to harmonize the science and technology and social capacity for adopt this new scientific wave in the life of society. As the counter effect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could be harmful to human being increases despite its positive effect the harmonization between this science and the society seems indispensable. Mass medium has been concentrated its radar upon several considerable social argument related to science and technology directly and indirectly after 1980’s. There’s been various civil active concerning to information technology. The effort of civil movement to establish bio-ethics fundamental law which should control the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life cloning and biotechnology has been widely deployed after the late 1990’s. Indeed, speedy adop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has deemed as major social task so to overtake the vision of future science and technology. Biotechnology however, for its adoption the main social point of view is on its harmonization to social adoption capacity. To explain the social adoption-proc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was technological determinism mainly indicated under the public opinion saying science and technology. It is one of the essential dynamic feature to progress the society. But the ill effect which result about immaturely adopt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newly emerging issue of biotechnology make lay the social attention to the regulation and control about science and technology socially in the late 1990’s. The fact that broad participation of various group to the social adoption-process of biotechnology after the middle 1990’s could be understand in the position of the contextual model of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Means, the social main body would be understand from the moment as complexity of various constituent no more as singularity of state or capital. With the contextual model of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researchers do not select the methodology based on for example, massive survey and analysis often programmed for the public relation of the social adoption-process any more. But the researchers prefer to choose the local experimental study methode such like participation observation, long term panel interview, structured depth interview which enables the understanding of specific individuals or groups reaction above certain situation. The consensus conference about GMO and the life cloning in twice time and the active of the Korea bio-ethics advisory committee(in the year 2000-2001) in Korea merge into this methodology. The common point of social shaping of technology and the contextual model of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is described briefly the technological citizenship. This technological citizenship is recognized politically then is supported socially in several developed country. But this term do not have its popularity and understanding in Korea. In the means time, the civil movement makes expand, however social critical mind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gradually. The consensus conference, some studies, presents and introduces which led by the participation of citizen in policy making-process is coming out on social ground. The progress about social adoption-progr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is ultimately moving its base from the deficit model of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to the social shaping of technology and contextual model of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 생명공학 기술혁신에 관한 세 논문 : 기술혁신패턴, 규제영향, R&D가치평가를 중심으로

        박정민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생명공학의 기술혁신에 대한 독립된 세 개의 논문으로 이루어졌다. 생명공학기술의 혁신패턴, 규제의 영향 및 연구개발의 가치평가라는 다른 주제가 다루어 졌는데, 앞 두 편은 이미 학회에서 각각 발표되어 게재된 것이고 연구개발의 가치평가를 다룬 마지막 논문은 심사대기 중이다. 어떻든 본 연구는 생명공학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기술혁신의 특징, 산업화 과정, 시장과 정부의 상호작용, 나아가 시장에서의 가치원천을 결정하는 요인을 살펴본 것이다. 첫 논문에서 살펴 본 생명공학 기술혁신패턴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생명공학산업은 대표적으로 과학기반산업의 기술혁신 패턴을 반영한다. 혁신의 원천은 과학적인 활동에서 나오고, 그 혁신은 대학이나 연구실에서 이루어지며, 연구개발 투입이 크다. 한편 대학의 연구실과 같이 분산된 혁신체제를 가지므로 상업화에는 벤처기업이 주된 역할을 담당하고 본격적인 산업화가 진행될 때는 대기업의 역할이 커진다. 이외에 아직 산업의 규모가 그리 크지 않다는 것, 기술의 활용도가 다양하다는 것과 안전성과 윤리적인 문제 등 제도적인 측면이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된다. 또한 기술 및 산업에 국가별 특성이 존재하기는 하나 산업별 특성을 뛰어넘는 뚜렷한 차이점은 발견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도의 변화가 기술혁신을 유인하는 과정을 기능성화장품의 정보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생명공학기술은 기술 자체가 생명체와 직결되어 있어 사회적인 규제가 강하다는 특징이 나타난다. 최근 인간 배아의 복제 논란과 같이, 연구개발 자체의 진행도 문젯거리가 되고 연구불가의 결정이 내려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생명공학산업에서의 규제가 기술개발에 꼭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본 논문의 3장에서는 규제가 있음으로 해서 기술개발이나 시장의 성장이 더욱 커진 사례로 기능성화장품을 제시한다. 한국에서는 다른 나라와 달리 독특하게 화장품법을 제정하여 기능성화장품의 출시에 규제를 가함으로 해서,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과 시장의 확대를 기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생명공학 연구개발의 투자가치 평가에 적절한 모형을 찾기 위해 옵션트리 모형, 옵션반영DCF모형, 다이나믹DCF모형 등 여러 모형을 활용하여 평가하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현재가치법(DCF)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옵션트리 모형이 적합하고, 매출액의 크기 즉 시장규모에 가장 민감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른 요인들 중에서는 후보물질 수와 연구개발의 각 단계별 성공확률에 민감하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이론적인 논의는, 첫 논문에서 과학기반산업론과 산업별 혁신패턴론을 다루었고, 둘째 논문에서 유발혁신론을 다루었다. 셋째 논문에서는 여러 가치평가모형을 다루었고, 생명공학 연구개발과 실물옵션모형의 적합성을 재삼 확인하였다. 또한 이 분야 연구개발에서의 가치원천 결정론의 문제를 제기하였다. 생명공학 연구개발, 특히 신약개발에서의 가치결정요인은 매출액의 크기라는 점을 명확히 한 것이 이론적인 큰 수확이라 할 것이다. 한편 시장요인과 함께 후보물질 수와 단계별 성공확률이라는 기술적 요인 또한 중요한 가치결정요인임을 확인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