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물복지를 위한 디자인분야에서의 접근 방법에 관한 연구 : 한우 축사공간을 중심으로

        주학곤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criterion. In the T2 (6X6m/4heads/9㎡) experiment, which is narrower than the standard area for animal welfare, accidents such as bruises due to the narrow space occurred frequentl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fertility rate and reproductive interval were disadvantageous. The experiment with the minimum breeding area of ​​7 square meters for fattening cattle suggested in the certification standards for Animal Welfare Korean cattle and beef farms could not be carried out. However, considering the breeding environment (4X8m) used by general farms, it was confirmed that the T4 (4X8m/3 heads/0.7㎡) would gain 0.9kg per day, which would be advantageous in terms of shipment weight and price. T5 (4X8m/4heads/8m2), a similar environment, had severe quarrels with emissaries, had a higher litter moisture content than T4 (3 heads), spent a lot of time standing, and had a lot of cows that ruminate while standing. The daily weight gain is 0.86 kg, which will be unfavorable in terms of shipping weight and price. There are general farms that raise cattle standing upright with 4X8m/5heads/6.4m2, the breeding environment is worse than that of T5 (4X8m/4heads/8m2), so it would not be desirable as a farmhouse application standard. In the certification standards for animal confirmed Korean cattle and beef farms, which is the standard presented by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Livestock Quarantine Headquarters, 7㎡ per head for Korean beef (fed cattle) is suggested. But considering the breeding environment of general farmhouses (4X8m, 6X6m, 6X9m), it was confirmed that the environment was difficult to apply. According to this study, the appropriate breeding area for Korean cattle in general farms is expected to be appropriate for 6x6(m) small cattle, 5 heads or less, 4x8(m), 4 heads or less, and 4x8(m), 4 heads or less. However, overseas animal welfare standards suggest the stocking rate per unit area as a mixed type according to the cow’s weight and breeding stage.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the feasibility of the rearing area. Through this study,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in the large livestock part of the domestic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standards were recognized, and the current domestic livestock environment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ther than the livestock area were analyzed. In addition, as elements to be considered in the animal welfare approach in the design field, the form, structure, and movement in consideration of animal behavior were presented through examples, and design elements that could be improved for the convenience and welfare of animals (space planning, lighting, facilities (feed container, water tank, toilet, stall, back scraping, floor material, etc.) were derived. In this way, through design R&D in various field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livestock environments and facilities, the livestock environment is improved, and when the public's perception of animal welfare changes, it will be established as an animal welfare standard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and various animal welfare policies and designs could be proposed. 본 연구는 과거, 생산성 위주의 축산 방식에서 탈피하여 소의 행태와 국내 실정 및 정책에 부합하는 축사의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생산성 확대를 위해 과거 국내 축산 방식은 밀집 사육을 진행하였고, 생산성 증대와 함께 여러 가지의 부작용도 증가하였다.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동물복지 정책이 발전하였고, 동물복지에 근거한 축종 별 사육시설이 설계되어 농가에 적용되었다. 동물복지 등급에 따라, 가치가 달라지는 시장이 확립되어, 동물복지 제품 시장이 보편화되어있는 상황이었다. 이에 반해, 국내는 동물복지 정책과 농가 간 수준 차이가 심했으며, 동물복지 인증기준에 부합하는 한우농가는 전국에서 1건이었다. 2016년에 이르러 국내에서 한우에 대한 동물복지 인증기준이 마련된 이유도 있으나, 국토 대부분이 산지이거나 개발허 용지역이 아닌 점, 동물복지 사육시설 도입 시 발생하는 비용으로 인한 농가의 외면이 국내 동물복지 농가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다만, 동물복지 인증 제품의 가치가 있는 그대로의 가치로 인정을 받도록 정책이 뒷받침된다면, 농가의 부담은 줄어들 수 있는 만큼, 동물복지 인증기준에 맞는 농가 조성이 더욱 확대되어야 하며, 본 연구를 통해 현 동물복지 인증기준이 국내 실정과 소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었다. 실험연구는 농촌진흥청 연구과제(PJ0148632021 과제번호) [대가축(젖소, 한우) 축종 별 동물복지형 축사시설 및 축사환경 개선 기술 개발] 과제의 실험을 토대로 진행된 연구 결과를 기준으로 하였다. 또한 ‘한국가축사양표준’의 우사 시설 사육밀도를 기준으로 하고 한우의 증체량, 등급, 행동에 대한 다양한 단위 면적당 방목율(이하 Stocking Rate)의 영향을 파악하여 적절한 먹이, 사육 환경이 가능하도록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전제로 실험하였다. 경산우 12두, 비육우 7두, 육성우 7두가 사용 됐으며, 1차(2020년 10월 19일~11월 24일), 2차(2021년 3월 1일~7월 4일) 한우농장(충청북도 증평군 심우농장)에서 현장실험을 진행하였다. 총 7개의 실험축사를 설정하고 각 축사마다 소의 개체수 또는 축사면적을 다르게 설정하고 CCTV, ATTN(야간 칼라 촬영 카메라_저조도 카메라)을 통해 24시간 동안 계속해서 소의 행동을 녹화하였다. 녹화 된 영상을 통해 소의 상대적 행동특성을 4가지 누운 시간(LD:Lying down resting), 서 있는 시간(ST:Standing resting), 자기손질(SG:Self-Grooming), 싸움(FT:Fighting)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경산우는 Stocking Rate가 발정 주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승가행위(MT:Mounting)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일반 축산농장의 사육공간 면적을 기준으로 할 때 한우(경산우)는 동물복지 기준(10㎡/head)으로 제시하고 있다. 일반 농가 적용 실험을 통해 가장 적합한 기준은 T1(6X6m/3두/12㎡) 가장 적합하며, 사육 환경에 따라서 T3(6X9m/5두/10.8㎡)이 대안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동물복지 기준 면적 보다 좁은 T2(6X6m/4두/9㎡) 실험에서는 공간 협소로 인한 타박상 등 사고 빈번히 발생하고, 수태율과 번식 간격에서 불리함을 확인하였다. 동물복지 한우·육우 농장 인증기준에서 제시하는 비육우의 최소 사육면적인 7㎡ 실험은 실시하지 못하였다. 다만, 보통 일반 농가에서 활용하는 사육환경(4X8m)을 고려할 때 T4(4X8m/3두/10.7㎡)가 일당 증체량 0.9kg로 출하체중 및 가격에서 유리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사한 환경인 T5(4X8m/4두/8㎡)은 밀사에 의한 다툼이 심하고, T4(3두)에 비해 깔짚 수분함량이 높고, 서있는 시간이 많으며, 되새김도 서서하는 소가 많았다. 일당 증체량 0.86kg으로 출하체중 및 가격에서 불리할 것이다. 4X8m/5두/6.4㎡의 입식 사육을 하는 일반 농가들이 있는데, T5(4X8m/4두/8㎡) 보다 사육환경이 나빠서 농가의 적용 기준으로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제시한 기준인 동물복지 한우·육우 농장 인증기준에서는 한우(비육우)는 두당 7㎡를 제시하고 있는데, 일반 농가의 사육환경을(4X8m, 6X6m, 6X9m) 고려할 때, 적용하기 어려운 환경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일반 농가에서 한우 적정 사육면적은 경산우 6x6(m)에서 5두 이하, 비육우 4x8(m), 4두 이하, 육성우 4x8(m), 4두 이하가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해외 동물복지의 기준은 단위 면적당 방목율(Stocking Rate)을 소의 체중과 사육단계에 따라서 혼합형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국내 동물복지 인증기준에서는 축사 사육면적을 사육단계로만 제시하고 있어서, 향후 체중에 따른 사육면적의 타당성도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동물복지 인증기준 중 대가축 부분에 나타나는 한계점 및 문제점을 인식하고 현재, 국내 축사환경과 축사면적 외 대내·외적인 환경을 분석하였다. 또한 디자인 분야에서의 동물복지 접근 방법으로 고려돼야 할 요소로 동물의 행태를 고려한 형태, 구조, 동선 등은 사례를 통해 제시하였고 동물들의 편의와 복지를 위해 개선될 수 있는 디자인 요소(공간계획, 조명, 시설물(사료통, 물통, 화장실, 스톨, 등 긁기, 바닥 소재, 등))를 도출하였다. 이처럼 축사환경 및 시설 개선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디자인 연구개발을 통해 축사환경을 개선하고 동물복지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변화되면 국내 현황에 맞는 동물복지 기준으로 정착시켜 다양한 동물복지 정책과 디자인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 대가축 동물복지 수준평가 고도화를 위한 동물기반 프로토콜 개발에 관한 연구

        장세영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일반대학원(GLOCAL)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동물복지 수준평가 항목의 요소는 자원 기반(resource-based), 관리 기반 (management based) 동물 기반(anmal-based)이 있다. 동물 기반 평가는 가 축에게 제공한 사료, 시설과 같은 자원에 대한 결과를 동물에게 확인하는 직관적인 방법이다. 동물복지 수준평가는 단순히 자원을 제공하는 것을 확 인하는 방식에서 동물에게 나타난 결과를 확인하는 동물 기반의 평가 프로 토콜 활용이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 동물복지축산인증제도의 평가항목은 자 원 기반과 관리 기반 항목의 비율이 높아 동물 기반 측정기준이 부족하다. 객관적인 동물복지 수준평가는 평가항목의 적절한 균형과 신뢰성 확보가 필 요하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 동물복지축산인증제도의 평가항목에 유럽의 동물 기반 복지수준 평가 프로토콜의 적용과 고도화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유럽에 Welfare Quality Network(2009)는 축종별 동물 기반 복지수준 평가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활발하게 활용하고 있다. 프로토콜은 공통적으로 4개 원칙인 좋은 사료와 물(Good feeding), 편한축사 환경(Good housing), 양호한 건강 상태(Good health), 적절한 행동(Appropirate behaviour) 그리고 9개 세부 기준으로 나눈다. 유럽 여건에 맞도록 개발된 기준을 국내 동물복지축산인증제 평가항목에 적절하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국내 사양방식과 환경에 적합한 개발과정이 필요하다. 연구는 3단계 절차로 진행했다. 1단계는 유럽의 기준을 국내 실정에 적합하도록 프로토콜을 개발· 보완하여 초안을 확정하는 것이다. 2단계는 국내 한·육우, 젖소 농가를 대상 으로 현장 실증을 거쳐 초안에서 제안한 평가항목을 검증·보완하여 최종안 을 확정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2단계에서 개발한 최종안을 활용해 국내 동물복지축산인증제도 평가항목의 고도화와 방향성에 대한 방안을 제언했 다. 이번 연구를 통해 동물기반 복지수준 측정 프로토콜의 중요성과 필요성 을 검증했고, 최종적으로 국내 동물복지축산인증 평가항목의 한계점을 극복 하고 실질적인 동물복지 수준평가의 제고를 기대할 수 있다. 주제어: 동물복지, 동물복지 수준평가, 한·육우, 젖소, 동물복지축산인증제

      • 우리나라 양돈농가의 동물복지 실태와 동물복지에 대한 농장주에 이해 및 대응방향 조사 : 경기도 지역 양돈농가를 중심으로

        홍승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세계적으로 동물복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농장 동물복지는 축산업에서 해결해야 할 또 하나의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양돈산업은 동물복지 관점에서 열악한 사육환경과 항생제 남용이 문제시 되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 이러한 사실들이 여러 매체를 통해 알려지면서 소비자들도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요구가 고조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경기도 지역의 양돈농가를 대상으로 동물복지 실태조사 및 동물복지에 대한 농장주의 인식 수준을 조사함으로서 우리나라 양돈업의 동물복지 정착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자료서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연구방법은 경기도 지역 양돈업을 하는 농가를 대상으로 설문지는 총 120부를 배부 하였고, 배부한 설문지중 회수되지 않거나 불완전한 응답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100부를 통계처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교차분석(Chi-square)과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 지역 양돈 농가를 대상으로 동물복지에 대한 인식도와 실태조사를 한 결과 농장주들의 동물복지에 대한 개념 인지도는 대체적으로 낮았고 불필요하다는 의견이 높은 결과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농가교육과 동물복지 홍보를 통하여 동물복지가 동물만을 위한 불필요한 생각이 아니라 앞으로 양돈산업의 미래를 위해서 질병을 줄이고 친환경 축산으로 가는 길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동물복지의 동향에 관련된 문항 조사에서 양돈농가들은 동물복 As concern about animal welfare in the world grows, farm animal welfare has become another issue to be solved in the livestock industry. Among them, the pork industry are being questioned by poor breeding conditions and the abuse of antibiotics in terms of animal welfare. In recent years, as many of these facts are known through the media, a consumer demand for safe food also has been escalat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lay an important role as a basis for animal welfare settlement of pork industry in Korea by examining animal welfare status of pig farms in Korea and famers' perception level of animal welfare. To answer the questions, 1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argeting pig farms in the Gyeonggi-do Area. Among distributed questionnaires, except for uncollected or incomplete questionnaires 10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program and ANOVA analysis(One-way ANOVA), analysis of the cross (Chi-square) and frequency analysis(Frequency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a survey of famers' perception level and actual condition of animal welfare targeting pig farms in the Gyeonggi-do Area, the concept awareness of animal welfare in general were lower and the opinion that is unnecessary was higher. In order to improve this,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need to change the way the animal welfare is not only for animals but also the method of reducing disease and reaching to the eco-friendly livestock industry in the future through farmhouse education and animal welfare promotion. Second, according to the survey of questions related to the trend of animal welfare, pig farms have only a little information about animal welfare trends at home and abroad. To meet global trends in animal welfare, the animal welfare guidelines should be established to fit realities in Korea and also animal protection laws and animal welfare act will have to be amended for the realities systematically to be applied to the farm. Third, regarding the action plans on the farm animal welfare the pig farmers were the most selective on subsidies on facility investment and in the future, so as to change the breeding system into animal welfare type the rise of production costs are inevitable, so government support and the benefit for animal welfare farms are needed.

      • 동물복지형 축산에 대한 국내외 정책 동향 및 소비자인식에 관한 연구

        신동민 강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공장식 축산형태의 대량생산에 따른 사육환경 문제점의 대안으로 지속가능한 친환경 축산과 동물복지형 축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물복지형 축산에 대한 정책과 인증제도, 소비자 인식 등을 종합적으로 아우르고 국내 축산여건에 부합할 수 있는 동물복지형 축산 제도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동물복지형 축산 선진국과 국내의 제도 및 정책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본 후, 각국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고 동물복지형 축산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국내 동물복지형 축산 정책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해외 농장동물복지 정책을 살펴본 결과, 축산업의 산업화로 인한 공장식 밀집사육에 대한 문제점들로 농장동물복지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고, 각 국가별로 정부가 문제 해결에 접근하기 시작했다. EU 등 해외정책의 특징은 정부가 강력한 입법을 통하여 생산자들이 농장동물복지 기준을 지킬 것을 요구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는 다소 느슨한 편이지만 대부분의 농장동물복지 선진 국가들은 중앙정부 차원에서 입법을 추진하고 정부와 민간단체가 힘을 합쳐 농장동물복지를 구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외의 동물복지 정책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면, 동물보호단체 및 소비자단체와 정부의 협력과 더불어 생산자들과 소비자들의 자각이 동시에 이루어져 동물복지형 축산물에 대한 인증제도와 시장진입이 가능할 수 있었다. 최근 국내의 농장동물복지와 동물복지형 축산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각 축종별로 인증제도가 도입되고 있다. 국내 축산업은 EU 등 해외 국가들처럼 동물복지를 시행할 환경적 여건 및 시설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국제 기준의 무분별한 도입보다는 국내 여건에 맞는 동물복지 인증기준의 도입과 기존에 있던 인증제도와의 조화가 필요하다. 또한, 국내 축산업의 동물복지 향상을 위한 시설 투자 및 동물복지형 축산물에 시장진입을 위해 유통망 확보가 필요하며, 동물복지형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제고시켜야 할 것이다. 농장동물복지에 대한 인증제도가 아직 도입 초기인 만큼 생산자들의 자각과 소비자들의 인식이 필요한 실정이며, 이를 위해 생산자들과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동물복지형 축산업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해야할 것이다. 이미 수많은 인증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축산농가는 새로운 인증제도를 도입하려고 하는 것에 주저할 것이다. 동물복지형 축산에 대해 초기 투자비용 부담과 생산비 증가를 염려하는 농가들이 많아 앞으로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도의 인센티브 및 동물복지형 축산물 가격 프리미엄에 대한 경제성 등을 교육하고, 직불제 등의 도입을 통해 축산농가들이 자발적으로 동물복지형 축산업으로 전환하게끔 유도하여야할 것이다. 국내의 여건 상 동물복지 인증제도의 정착을 위해서는 정부의 주도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 동물복지형 축산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게끔 유도해야한다. 이러한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립되어야지만 동물복지 인증제도가 제대로 정착할 수 있으며, 동물복지형 축산물에 대한 안정적인 유통망의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동물복지형 축산에 대한 소비자인식을 분석해보기 위해 자계식 설문조사 방식을 통해 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동물복지형 축산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동물복지에 대한 인지도와 동물복지형 축산물 소비의향에 따라 축산물 구입 시 고려사항에 차이가 있는지 Levene의 등분산 검정과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축산물 구입 시 고려사항 항목들을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통해 요인을 추출하고, 동물복지 축산물 소비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속성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자들은 동물복지에 대한 인지도는 떨어지지만, 동물복지에 대한 관심과 소비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들은 소, 돼지, 닭 등 사육방법에 대한 인지 정도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물의 자유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보통 이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비자들의 동물복지형 축산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조사한 결과, 건강과 식품 안전성이 가장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해외 소비자들과 마찬가지로 국내 소비자들도 축산물을 구입할 시 건강에 대한 측면과 식품의 안전성을 중요시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소비자들의 동물복지형 축산 인지 정도에 따라 축산물 구입 시 고려사항에 대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동물복지형 축산 인지 여부에 따라 축산물 구입 시 고려사항에는 대체적으로 차이가 없었지만, ‘유기 또는 친환경 축산물 여부’와 ‘동물복지의 적용 여부’는 동물복지형 축산을 인지하고 있는 응답자들이 인지하고 있지 않은 응답자들보다 신경을 더 쓰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동물복지형 축산에 대해 정부와 축산 업계가 소비자들에게 충분한 홍보와 교육을 통해 인지 수준을 제고하여 축산물 구입 시 자발적으로 동물복지형 축산을 고려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동물복지형 축산물 소비 의향에 따라 축산물 구입 시 고려사항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 t-검정의 결과를 살펴보면, 축산물 구입 시 고려사항 중 유통기한, 구입장소, 가격, 신선도, 맛, 품질 등 6가지의 항목만이 동물복지형 축산물 소비의향에 따라 고려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통기한은 동물복지형 축산물을 소비할 의향이 있는 응답자들이 소비할 의향이 없는 응답자들보다 신경을 더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구입장소, 가격, 신선도, 맛, 품질에서도 동물복지형 축산물을 소비할 의향이 있는 응답자들이 소비할 의향이 없는 응답자들보다 신경을 더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물 구입 시 고려사항이 동물복지 축산물 소비의향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축산물 구입 시 고려사항의 변수들을 요인화 시킨 후 명명한 ‘내적속성’과 ‘외적속성’ 요인들을 독립변수로 사용, 동물복지 축산물 소비의향을 종속변수로 사용하여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내적속성(판매장의 위생, 품질, 맛, 신선도, 유통기한, 안전 및 안심)만이 동물복지형 축산물 소비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적속성이 1단위 증가할수록 동물복지형 축산물을 소비할 의향이 증가할 확률은 평균적으로 10.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국내 소비자들은 축산물의 품질과 맛뿐만 아니라 축산물의 안전성 또한 중요시 여기는 것을 알 수 있다. 안전한 먹거리와 축산물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공장식 밀집 사육 방식에 의한 가축질병의 발생은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소비심리를 크게 위축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의 대안으로 동물복지형 축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동물복지형 축산물도 일반 축산물과 마찬가지로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기 위해선 내적속성요인에 대한 항목과 같이 안전한 축산물을 소비하려는 소비자들의 의식을 고려하여 알맞은 동물복지 축산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일반 축산물과 동물복지형 축산의 차별성을 소비자들에게 인식시켜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going to analyze the systems and policies of nations advanced in animal welfare-oriented stock farming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ir application to Korea and hindrance factors and also suggest political implications about animal welfare-oriented stock farming systems appropriate for domestic stock farming conditions. In addition, this study is also intended to analyze consumers’ awareness of animal welfare-oriented stock farming and suggest plans to develop animal welfare-oriented stock farming policy in Korea. Lately, people are showing more and more interest in farm animal welfare and animal welfare-oriented livestock products in Korea, and certification systems are being induced for each of the livestock species. Unlike overseas countries like EU, stock farming in Korea is not properly equipped with environmental conditions or facilities to practice animal welfare. Instead of introducing international standards recklessly, it is needed to introduce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standards appropriate for Korea and harmonize them with the certification systems we already have. Also, to make investments for facilities to improve animal welfare in domestic stock farming and enter animal welfare-oriented livestock products into the market, it is necessary to secure distribution networks and also enhance consumers’ awareness of animal welfare-oriented livestock products. Concerning domestic conditions, the government should take the initiative in settling down the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system and induce both producers and consumer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nimal welfare-oriented stock farming. Once people are equipped with firm recognition on the importance of it, the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system can be properly established, and distribution networks for animal welfare-oriented livestock products can be expanded stably. This study has analyzed if what customers consider when purchasing livestock products may differ according to their intention or awareness about animal welfare through Levene's test for equality of variance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examined how what they consider when buying livestock products influences the intention of consumers buying animal welfare-oriented livestock products through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findings about consumers’ recognition, consumers show low awareness of animal welfare but keen interest in animal welfare, and they have intention to buy livestock products produced in the way to realize animal welfa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 by their awareness of animal welfare and intention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there is generally no difference found between those aware of animal welfare and those not in terms of their consideration in buying livestock products. Regarding difference by consumer intention, those intending to consume animal welfare-oriented livestock products pay more attention than those not. Likewise, in the place of purchase, price, freshness, taste, and quality, too, those intending to consume animal welfare-oriented livestock products pay more attention than those no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mong the two factors of internal and external attributes about their consideration in buying livestock products, only internal attributes influence consumer’s intention. Therefore, domestic consumers put emphasis on not only livestock products’ quality and taste but also safety. In the current situation that consumers prefer safe food and livestock products more and more, the occurrences of livestock diseases resulted from factory-like concentrated raising considerably affect consumers’ sentiment to buy livestock products. As a solution for this, people are showing more and more interest in animal welfare-oriented stock farming. Like other livestock products, for animal welfare-oriented livestock products, too, to enhance consumers’ credibility, we will have to consider consumers’ intention to buy safe livestock products as in the items of internal attributes in order to make proper marketing strategies for animal welfare livestock products and allow consumers to recognize how animal welfare-oriented stock farming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one that we have.

      • Research for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Standards for Cattle

        백동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Recently, consumers' interest in animal welfare livestock products is increasing. This, combined with the sustainable livestock policy, has established itself as a trend for consumption of livestock products in Korea. In Korea, starting with the certification of laying hens in 2012, the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system began to be promoted, and the certification standards were established for pigs in 2013, broilers in 2014, Korean/beef cattle, dairy cattle and goats in 2015, and ducks in 2016. Looking at the certification status of major livestock breeds such as laying hens, pigs, broilers, and ruminant cattle farms, there are 90 laying hen farms, 100 broiler farms, and 20 pig farms. As of March 2021, there are no more than 10 dairy farms and no beef cattle farm certified as of March 2021, so the certification rate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livestock breeds. Therefore, in this study, I compared and analyzed the certification standards for animal welfare of cattle farms in Korea with the certification standards of the UK and the United States, which are advanced countries in animal welfare internationally. Based on the results, it is intende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activation and stable settlement of the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system for cattle in Korea. Chapter 3 compares and analyzes the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standards of the UK and the United States (OIE 2016), where animal welfare studies are actively conducted currently, in order to establish the direction for the Korean cattle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standards to go forward. In terms of basic structural design, the certification standards for cattle animal welfare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UK and the United States. In relation to biosecurity such as cleaning and disinfection of farms, although Korean certification standards are designed more precisely than the UK and US certification standa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certification criteria related to animal-base measurement, which the OIE considers important in the evaluation of animal welfare, were inadequate compared to the UK and US standards. Among the certification standards, it was possible to suggest a method for improvement, such as revision of the grass feed standard. In Chapters 4 and 5, comparative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cows raised according to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standards in actual field and cows raised under conventional livestock conditions. In Chapter 4, in order to identify and utilize objective indicators of the dairy cow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standards, internal pH value (maximum value, minimum value, etc.), rumination time, milk production efficiency (milk fat milk protein corrected flow rate/plasticized total nutrients), blood physiological components (liver function, energy balance, etc.) were compared and analyzed between certified farm that complies with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standards and feeds 90% of the grass feed rate and the general practice farm that feeds grass feed less than 50%. Cows raised in animal welfare certified farms with a higher feed rate of grass feed were confirmed to have positive results in rumen pH stability, rumination time, milk production efficiency, and some blood physiological components compared to cows of general farms,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grass feed ratio as an objective indicator for animal welfare evaluation was presented. In Chapter 5, to confirm and utilize objective indicators of the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criteria for fattening cattle, pH value (maximum value, minimum value, etc.) in rumen, rumination time, increase in live weight, and carcass grade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etween animal welfare farms that supplied 15% of grass feed in accordance with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standards for about 5 months after the end of fattening, and general practice farms that fed less than 10% of grass feed during the late fattening period. The pH stability and rumination time in the rumen of cattle at animal welfare farms with a high rate of feeding grass feed showed positive results,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change, meat content, and meat quality grade. As a result of the study on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nvironment and milk production characteristics in the rumen according to the grass feed ratio, an important control point in cattle with ruminant characteristics, positive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confirmed in animal welfare farms that apply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standards. In particular, the mandatory provision of grass feed for proper rumination is a special criterion for cattle, a ruminant that cannot be found in other livestock breed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ealth status of the rumen could be used as a good index to evaluate the welfare status of cattle. However, since the standards presented by quantifying the ratio of grass feed vary from country to country,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important to establish a scientific basis for advancing the domestic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system through additional research.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will be usefully applied to the animal welfare livestock farm certification system to ensure that the animal welfare livestock farm certification system is recognized and trusted by the people, and to help improve the welfare of cattle and grow into a system that contributes to the harmonious coexistence of humans and animals. .최근 동물복지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지속 가능한 축산정책과 맞물려 우리나라 축산물 소비 트렌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국내에서 2012년 산란계 인증을 시작으로 동물복지 인증제도를 추진하기 시작하여 2013년 양돈, 2014년 육계, 2015년 한‧육우‧젖소‧염소, 2016년 오리 인증기준 마련되면서 7개 축종별로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주요 축종인 산란계, 돼지, 육계, 반추동물인 소 농장의 인증 현황을 보면 산란계 90여 개소, 육계 100여 개소, 돼지 20여 개소로서 이런 축종들은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도가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았으나, 반추동물인 소는 젖소 농장 10여 개소, 비육우 농장은 2021년 3월 기준으로 인증 받은 농장이 한 군데도 없을 정도로 다른 축종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인증 비율이 낮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소 농장 동물복지 인증기준을 국제적으로는 동물복지 선진국인 영국, 미국의 인증기준과 비교분석하고, 국내 소 동물복지 급이 관련 인증기준과 일반 관행 농장의 급이 수준 간 비교분석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소 동물복지 인증제도의 활성화 및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한국 소 동물복지 인증기준이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현재 동물복지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인 영국, 미국(OIE 2016)의 동물복지 인증기준을 비교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로 우리나라 소 동물복지 인증기준은 기본 구조 설계적인 측면에서는 영국, 미국의 동물복지 인증기준과 차이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농장의 청소, 소독 등 방역(biosecurity)과 관련하여서는 우리나라 인증기준이 영국과 미국의 인증기준보다 정밀하게 설계되어 있었으나, OIE가 동물복지 평가에서 중요시하고 있는 동물-기반측정(animal-base measurement} 관련 인증기준의 경우 영국, 미국 기준과 비교해 미흡한 점을 확인하였고, 인증기준 중 풀사료 급여 기준의 개정 등 개선할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제4장과 제5장에서는 실제 필드에서 동물복지 인증기준에 따라 사육하는 소와 일반 관행 축산조건으로 사육하는 소에 대해서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제4장에서는 젖소 동물복지 인증기준의 객관적 지표 확인 및 활용을 위해 풀사료 동물복지 인증기준을 준수하여 풀사료 비율 90% 급여하는 인증농장과 풀사료를 50% 이하로 급여하는 일반 관행 농장 소의 반추위 내 pH 값(최대값, 최소값 등), 반추 시간, 유 생산효율(유지방 유단백 보정 유량/가소화 총영양소), 혈액 생리학적 성분(간 기능, 에너지 균형 등)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풀사료 급여 비율이 높은 동물복지 인증농장 소의 반추위 내 pH 안정성, 반추 시간, 유 생산효율과 일부 혈액 생리학적 성분들에서 일반농장의 소에 비해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하였고, 풀사료 비율을 동물복지 평가 시 객관적 지표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제5장에서는 비육우 동물복지 인증기준의 객관적 지표 확인 및 활용을 위해 비육 후기 약 5개월간 동물복지 인증기준에 따라 풀사료를 비율 15% 로 공급한 동물복지 농장과 같은 비육 후기에 풀사료를 10% 이하로 급여한 일반 관행 농장 간의 반추위 내 pH 값(최대값, 최소값 등), 반추 시간, 생체중 증가량, 도체 등급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풀사료 급여 비율이 높은 동물복지 농장의 소의 반추위 내 pH 안정성, 반추 시간은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체중 변화량, 육량, 육질 등급에는 유의적인 차이점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반추동물의 축종 특성을 가진 소에서 중요 관리 포인트인 풀사료 비율에 따라 반추위 내 환경과 우유 생산 특성 등을 비교 분석한 결과 동물복지 인증기준을 적용하는 동물복지 농장에서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차이점이 확인되었다. 특히, 적절한 반추를 위한 풀사료 의무 제공기준은 타 축종에서는 볼 수 없는 반추동물인 소의 특별한 기준인데, 반추위의 건강 상태가 소의 복지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좋은 지표로 활용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풀사료 비율을 수치화하여 제시한 기준은 나라마다 차이가 있어서 이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국내 동물복지 인증 제도를 고도화하는데 과학적 근거 마련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가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도에 적절하게 적용되어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도가 국민들의 인정과 신뢰를 받고, 대상 동물인 소의 복지를 개선 시켜 사람과 동물의 조화로운 공존에 이바지하는 제도로 성장해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 동물복지정책에 관한 국가비교연구 : 7개국 동물복지법과 제도를 중심으로

        박연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ain by categorizing and comparing characteristics of the animal welfare policy in 7 countries to seek the qualitative differentiation and to analyze the origin of dissimilarity in each type. This study focuses on the animal welfare policy since the animals began to attract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o the variety of problems in human society as the welfare policy was transformed under the theme of substantiality according to social change. However, despite the rapid changes in social recognition and economic significance of animals, the level of the Animal Welfare Law and the systems which constitutes the framework underlying the animal welfare policy has not reached this level.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nimals, specifically research related to the animals, dates back not too long ago worldwide, and has not been studied enough. Considering the long history that humans cohabitated with animals on earth, the knowledge on the ‘animals’ that surfaced recently as an alternative for the survival and sustainability of human beings seemed almost non-existing. The literature review to contradict the above revealed that the precedent studies investigated primarily on the legal and philosophical debates on animal welfare and animal rights, the legal status of animals, legislation on animal protection, and the economic and emotional benefits of animal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addition, even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where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animals is practiced, researchers have shown a lukewarm attitude to contemplate animal welfare academically. Social welfare refers to a nation’s operating system that meets the basic needs of its society members and solves social problems through socially formed institutions. Basic needs consist of physical security needs as well as high-level needs such as self-realization, protecting quality of life, and recognizing the dignity for life. In the same context, animal welfare should accompany institutional development intervened by the government so that the animals as the subject of life that are socially weak in economy-centered human society can coexist with humans. Therefore, ideologically, welfare state policy and animal welfare policy can be seen as having the similar aspiration. The welfare policy of one society shows an important marker for welfare level or the quality of life in that society. Now, it is time to consolidate the standard framework for blissful coexistence of humans and animals under the umbrella of legislations and institutions. Hence, this study rectifies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literature that mainly discussed discourse on animals, and foresees the necessity to examine the animal welfare law and the animal welfare system, which constitute 2 axes of the animal welfare policy,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each type. The reason for the typification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divergence that animal welfare policies portray in countries with diverse historical, 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backgrounds, and, by doing so, to explore how Korea should pursue in this race. In this study, we used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for categorization. 7 countries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Sweden, Denmark, Germany, Austria, and South Korea) from OECD nations tha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Espring-Andersen’s 3 welfare regimens and actively performed animal welfare policy were chosen. Results revealed 4 types of animal welfare policy. First, the ‘economic value type’ was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These two countries illustrated liberal welfare regime, and their animal welfare laws focus primarily on the prevention of animal abuse. Institutionally, the guarantee for private ownership of animals and the pursuit for economic efficiency in animals appeared throughout the policy, and the government’s role was limited to the passive coordinator among interest groups. Second, the ‘social value type’ applied to the United Kingdom. This type was taking the position of pursuing animal welfare to be mindful of animal well being under the efficient improvement of social institutions which was based on capitalist economy. Third, the ‘extended right type’ was exhibited by Sweden, Denmark and Germany. This type of countries accepted animal welfare as a method to improve the animal’s living environment and to reduce suffering through the animal rights belief that animals had intrinsic values that could not be violated. Furthermore, the social awareness of animals having sentience was widely disseminated that animal welfare is predicted to head toward more active direction. Lastly, the ‘ecological type’ belonged to Austria. In Austria, animal protection was specified in the Constitution, and animal welfare administrative system had enhanced the quality of policy through extensive consultation with stakeholders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This type seeked the balance between human welfare and animal welfare in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context. The results of this paper demonstrated that, including South Korea, the animal welfare policy of a welfare states was substantially homeogenous to the ideological attributes of welfare policy in its country. This will enable us to evaluate the desirable animal welfare policy model and meaningful requirements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that South Korea should pursue. 이 논문의 목적은 7개 국가 동물복지정책을 유형화하여 비교함으로써 유형별 질적인 차별성을 찾고, 각 유형 간 차이점이 나타나는 이유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 동물복지정책에 주목하는 이유는 사회 변화에 따라 복지정책이 지속가능성을 테마로 변환해나가는 시점에서 인간사회의 사회적 위험들을 타계할 대안으로 동물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동물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경제적 의미의 급속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동물복지정책의 근간을 이루는 동물복지법과 제도의 수준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지금까지 인간과 동물의 관계, 특히 동물에 관한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그리 오래되지 않았고, 많이 수행되지도 못 했다. 지구상에 인간과 동물이 공존해왔던 오랜 역사를 돌이켜 볼 때, 최근 인류의 생존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동물’에 대한 지식은 거의 부재하다. 이에 대한 반증으로 동물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국내외적으로 동물복지나 동물권리에 대한 법적·철학적 논쟁, 동물의 법적 지위와 동물보호에 관한 법제정과 동물의 경제적·정서적 효용성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더욱이 사회복지 분야에서조차 인간과 동물의 상호작용에 관한 여러 실천들이 이루어져 왔음에도 동물복지를 학문적으로 포섭하는 것에는 미온적 태도를 보여 왔다. 사회복지는 사회적으로 형성된 제도를 통해 사회구성원의 기본 욕구를 충족시키며 사회 문제들을 해결하는 국가의 활동체계를 뜻한다. 기본적인 욕구에는 생리적 안전 욕구 이외에 자아실현, 삶의 질 보장과 생명에 대한 존엄성 인정과 같은 고차원적 욕구가 포함된다. 그렇기 때문에 동물복지는 경제중심의 인간사회에서 사회적 약자인 동물들이 생명주체로서 인간과 상생하기 위해 정부의 개입에 의한 제도적인 발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념적으로도 복지국가정책과 동물복지정책은 그 지향점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한 사회가 어떠한 복지정책을 갖고 있는가는 그 사회의 복지수준 또는 삶의 질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이제는 법·제도적 측면에서 인간과 동물의 행복한 공존을 위해 규범적 틀을 공고히 다져야 할 때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로 동물에 대한 담론을 논의했던 기존 연구의 한계성을 보완하여 동물복지 정책체계를 구성하는 동물복지법과 동물복지제도의 양 축을 결합한 유형별 특성과 차이점을 탐구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유형화를 하는 이유는 다양한 역사, 문화, 경제와 정치적 배경을 가진 국가들의 동물복지정책이 어떤 특성을 지니고, 서로 어떤 차이를 지니는 지 탐구함으로써 한국이 구체적으로 어떤 노력을 경주해야 하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형화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퍼지셋 이상형 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대상은 OECD회원국 중에서 에스핑 앤더슨(Esping-Andersen)의 3가지 복지모델 특성을 드러내고 동물복지정책을 활발히 수행하고 있는 7개 국가(미국, 영국, 스웨덴, 덴마크, 독일, 오스트리아, 한국)를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동물복지정책에 관한 네 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첫째, ‘경제적가치형’에는 미국과 한국 사례가 속하였다. 이 두 사례국가들은 자유주의 복지체제의 성격을 지니며 동물복지법은 주로 동물학대방지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제도적으로는 동물에 대한 사적소유권 보장과 경제적 능률성 추구가 정책 전반에 확산되어 있었으며, 정부는 이해집단 간 소극적 조정자의 역할에 국한되어 있었다. 둘째, ‘사회적가치형’에는 영국이 해당되었다. 이 유형은 자본주의 경제를 근간으로 사회체계의 효율적인 개선을 통해 동물의 안녕을 고려하여 동물복지를 추구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셋째, ‘권리확장형’에는 독일, 덴마크, 스웨덴이 포함되었다. 이 유형에 속하는 사례국가들은 동물에게도 내재적인 가치가 있어 이를 침해할 수 없다는 동물권의 주장을 동물의 생활환경을 개선하여 고통을 줄이자는 동물복지적인 방식으로 받아들였다. 또한 동물이 지각력(sentience)을 지닌 주체라는 사회적 인식이 보편적으로 확산되어 있어 동물복지가 더욱 적극적인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마지막으로 ‘생태주의형’에는 오스트리아가 속하였다. 오스트리아에는 헌법에 동물보호가 명시되어 있었으며, 동물복지 집행체계에서는 과학적 증거에 기반 한 자료를 토대로 이해관계자들과 폭넓은 협의를 통해 정책의 질을 높여나가고 있었다. 이 유형은 사회·문화·환경적 맥락 속에서 인간복지와 동물복지의 조화를 추구하고 있었다. 이러한 논문의 결과는 한국을 포함한 복지국가들의 동물복지정책 역시 각 국가별 복지정책의 이념적 특성과 매우 닮아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한국이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동물복지정책 모형은 무엇이며, 어떤 요건이 제도 정비에 의미 있는지 평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 동물복지 인증제의 효율성 분석 : 양돈 임신스톨을 중심으로

        김정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동물복지에 대한 요구가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커져가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축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2012년부터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축산 선진국의 경우 인증제 보다 법적 규제를 통해 농장동물의 복지를 보장하고자 노력하고 있어, 인증제만으로 국내 시장에서 축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선택형 실험을 이용하여 양돈 분야에서 동물복지 인증제의 시행이 국내 시장에서 효율성을 가질 수 있는지 확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환경에 적합한 동물복지형 축산 도입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어, 향후 동물복지 정책에 관한 의사결정과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동물복지형 축산의 제약요인 분석 : 한우농가를 중심으로

        곽민하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restrictive factor in introducing animal welfare by checking the change in productivity and initial investment due to introduction of animal welfare and the increasing production cost through investigation of management of farmhouse and analyzing the factor that affects their change. For this objective, the 27 farmhouses in animal welfare scattered in the region of Jeollado, Chungcheongdo and Kyungsangdo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the findings. The findings of management situ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difficult to compare with general farmhouse, because the productivity of cattle varied due to large gap in breeding technique among farmhouses in the case of Korean cow in animal welfare. However, the appearance rate of 1st grade meat quality and A grade meat quantity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farmhouse, which suggests that the breeding technique of Korean cow in animal welfare is higher. While productivity of capital of general farmhouse is in minus, that of farmhouse of Korean cow in animal welfare is 12.4%,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farmhous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nitial investment cost to produce 1 beef cattle in farmhouse of Korean cow in animal welfare i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farmhouse of Korean cow by 25.4%. This may be inevitable result from purchasing land to build wide cowhouse, the fundamental of animal welfare and newly repairing the cowhouse faciliti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roduction cost of 1 beef cattle i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Korean cow by 7.9%. This may be due to increasing cost of provender in the livestock of animal welfare as more additives are used in the provender instead of reducing the use of animal medicine and increasing cost of purchasing materials like litter to provide cattle with rest area. Next,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requirements to introduce animal welfare such as productivity, investment amount and production cost and the regression analysis of production cost as dependent variable and animal welfare requirement as independent variable show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productivity of cattle was affected by blocking quarantine, rest area, separation of imported cattle, prohibition of antibiotic, treating cattle in disease, cowhouse and preventive inoculation. However, the factors affecting productivity of cattle were not drawn. Second, the investment amount was affected by knowledge in animal welfare, cowhouse and rest area. Third, the production cost was affected by sterilizing breeding field.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animal welfare could be considerable burden to the management of livestock farmhouse by affecting its productivity, investment amount and production cost.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identifying that animal welfare affects the management of farmhouse.

      • 돼지 및 肉鷄의 屠畜 時 動物福祉 向上을 위한 實態調査 硏究

        이황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동물복지의 중요성은 최근 급속히 부각되고 있어 주요 문제점으로 인식되고 있다. 세계동물보건기구는 운송 및 도축과정에서의 동물복지기준을 제정하였고, 최근에는 가축생산시스템에 대한 복지기준의 제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동물복지에 대한 세계적 추세에 발맞추기 위하여 우리나라 정부도 지속적인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나, 현장의 실태파악 및 과학적 기반의 부족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EU는 우리나라와의 FTA 협상과정에 동물복지를 비교역적 관심사항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010년 10월 6일 서명된 한-EU FTA 협정문에는 도축 시 동물복지에 대한 공동연구 등의 조항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조사는 도축 시 동물복지에 대한 국·내외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도축 시 동물복지 실태를 파악, 분석하고 수준을 향상시키고자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규모와 위치에 근거하여 23개소의 돼지 도축장과 10개소의 육계 도축장을 현지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현지방문조사를 통하여 돼지와 육계의 운송, 계류, 도축에 관한 평가요소를 조사, 분석하였다. 농장에서 도축장까지의 평균 운송거리는 돼지의 경우는 71.2km, 육계의 경우는 106.5km로 나타났으며, 평균 운송밀도는 각가 0.37㎡/두, 167㎠/kg으로 조사되어, 돼지의 경우 동물운송 세부규정의 운송밀도 기준인 0.51㎡/두보다 과밀운송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운송밀도가 낮을수록 멍이나 상처 등의 발생으로 인한 이상육의 발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현행 운송밀도 기준의 개정이 요구된다. 운송 중 폐사율은 1톤 트럭으로 운송된 경우와 60km 이내의 농장에서 출하된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 이는 돼지의 건강이 좋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하게 출하하기 때문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돼지 도축장에서는 하차 및 계류시에 전기충격기 및 몰이막대를 사용하고 있었다. 돼지의 기절 후 의식회복 의심개체 비율은 전기 기절방식의 경우 12.3%, 이산화탄소 기절방식의 경우는 1.7%로 나타났다. 육계의 기절을 위하여 사용된 전압, 전류 및 시간은 각각 40~70V, 80~200mA, 6.6~10초였으며, 평균 8.9%(1.1%~16.5%)의 육계가 기절 후 의식회복 의심개체로 분석되었다. 운송과 도축과정에서의 동물복지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운송자, 동물취급자 등 업무 종사자들에 대한 교육과 훈련, 운송차량의 개선 및 적합한 바닥재의 개발, 기절 및 도축설비의 정기점검, 그리고 도축시설의 현대화, 동물복지 연구 등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동물보호법의 개정을 통하여 운송 및 도축과 관련된 조항을 신설하고 위반 시 처벌규정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동물복지와 관련된 현안사항에 대한 논의 및 정책건의를 위해 동물복지위원회의 설립도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동물복지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축산 및 수의학과를 대상으로 현행 커리큘럼에 동물복지 강좌를 도입하는 것도 향후 동물복지 수준향상을 위해 필요하다. 본 조사연구의 결과를 동물복지 선진국들과 비교할 때, 좋은 성적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우리나라의 도축시 동물복지를 위한 선도적인 현장조사 결과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것이다. The importance of animal welfare has rapidly become conspicuous and is now considered a global issues. The OIE established the standard for animal welfare in transporting, slaughtering and killing livestock and has recently put forth an effort to standardize animal welfare of livestock production system. The Korean government strives to put for a continuous effort in following the trend for global animal welfare however, due to the lack of field investigation and scientific basis, these efforts have been difficult. During the Korea-EU FTA negotiation, the EU suggested including animal welfare in the Non-Trade Concerns (NTCs), and Korea and EU have finally signed the FTA that includes an article regarding their co-operation on animal welfare. This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learn and understand the actuality of farm animal welfare at slaughterhouses in Korea due to the global interest in animal welfare. Twenty-three pig slaughterhouses and 10 broiler slaughterhouses were investigated and was chosen by size, location and vehicles used to transport the livestock. The average distance from farm to slaughterhouse is 71.2 km (pig) and 106.5 km (broiler), and the stocking density is 0.37 ㎡/head and 167 ㎠/kg, respectively. Although the transported distances of both livestock are not too long when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the stocking density of the pig is higher than the standard density in the 'animal transport notification' of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When the pigs were transported at low stocking density (>0.5 ㎡/head), the quality of the pork was reduced because of the increase of wounds, bruises and blood splashes, therefore the standard of the stocking density for pig transport will be amended. When the pigs were transported by a 1-ton truck or less then 60km in distance, the rate of DOA's (dead on arrival) was higher than other conditions. After investigation, the result was due to injured or unhealthy pigs sent by pig producers. Most pig slaughterhouses used electric goads and prods to guide the pigs to the slaughterhouse. The proportion of pigs that were determined to have ‘regained consciousness’ after stunning was 12.3% (electric stunning) and 1.7% (CO2 stunning). The electric voltage, current and time duration for stunning of broilers were 40~70 V, 80~200 mA, 6.6~10 sec., respectively. The average percentage of broilers that were determined to have ‘regained consciousness’ was 8.9% (1.1%~16.5%). To improve the welfare of animals in transporting and slaughtering, political and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s needed. Training and educating drivers, animal handlers and slaughterhouse workers, changing decrepit vehicles and facilities, developing proper flooring material in vehicles transporting animals, regularly inspecting and maintaining of stunning and bleeding devices, modernizing slaughterhouses, and furthering research in animal welfare are all aspects that need attention from the government. Moreover, articles of animal welfare in transporting and slaughtering would be inserted in the animal protection act by amending and strengthening punishment for illegal treatment of animals. An Animal Welfare Committee would be established to manage and discuss important animal welfare issues to the government. Integrating animal welfare into the curriculum of animal science, veterinary medicine and other related studies would be needed to improve animal welfare in the near futur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survey are not significant when compared to other leading animal welfare countries but is meaningful because it is the leading investigation of animal welfare in the slaughterhouses of Korea.

      •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초등동물복지 교육 교수·학습 방안

        김가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 구현 전략을 개발하고 실행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초등학교 현장에서 동물복지 교육을 체계적으로 구현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반영한 1∼6학년(군) 통합교과·실과·도덕·사회·과학 교과서의 동물복지 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동물복지 교육 관련 내용영역과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초등동물복지 교육을 위한 사례기반용 교수·학습 전략을 제안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전략은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동물복지 교육 내용 영역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교과 간 통합으로 수업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실행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한 통합교과·실과·도덕·사회·과학 교과서의 동물복지 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한 결과, 각 교과의 특성에 맞는 동물복지 교육 내용이 반영되어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동물복지 교육 내용 영역에 따라 적절한 동물복지 문제 사례를 선정하고 사례기반학습용 교수·학습 전략을 수립하였다. 둘째,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초등동물복지 교육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방안으로는 동물복지 관련 사례와 연관이 있는 여러 교과를 동물복지 내용 영역을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지도하는 방안이 있다. 여러 교과를 재구성하면 통합적 관점에서 동물복지 문제를 다룰 수 있어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학습이 가능할 것이다. 셋째,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초등동물복지 교육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방안으로 학생 주도의 적극적인 학습이 이루어져 동물복지에 관한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동기유발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일회성 교육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동물 문제에 꾸준한 관심을 가지며, 생활 속에서 동물복지를 실천하고자 하는 동물복지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 얻은 시사점을 종합해 보면,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초등동물복지 교육은 체계적으로 구성된 사례를 통해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을 통해 비판적 사고력, 합리적 문제해결력 등 고등사고능력과 미래 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동물복지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해 다양한 사례를 개발하고 실제 활용하는 활발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ed to contribute to the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animal welfa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field by developing and exploring the execution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using case-based learning. To achieve this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tents related to animal welfare education in integrated subjects, practical arts, ethics, society, and science textbooks for 1st to 6th grade(group) reflecting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the content areas and implications related to animal welfare education were analyzed. Based on this, a case-bas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for elementary animal welfare education was proposed.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the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in the school field, a teaching and learning implementation plan was proposed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centering on the content area of animal welfare education so that classes can be integrated between subjects.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related to animal welfare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tegrated subjects, practical subjects, morality, society, and science textbooks, the contents of animal welfare education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were reflected. Based on this, appropriate cases of animal welfare problem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animal welfare educ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case-based learning were established. Second, as a way to effectively teach elementary animal welfare education using case-based learning, there is a plan to reorganize and guide various subjects related to animal welfare-related cases, focusing on the animal welfare content area. Reconstructing several subjects will enable systematic and in-depth learning by dealing with animal welfare issues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Third, elementary animal welfare education using case-based learning is a learner-centered educational method, and active student-led learning is made possible to continuously motivate students based on their interest and interest in animal welfare. Furthermore, it will help to achieve the goal of animal welfare education that does not stop at one-time education, but has a steady interest in various animal problems and practices animal welfare in life. To sum up the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elementary animal welfare education using case-based learning achieves learner-centered active learning through systematically constructed cases, and through this process, higher thinking such as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rational problem-solving ability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develop capabilities and future capabilities.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up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various cases to achieve the goal of animal welfare education and to activate them by applying them in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