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高齡化社會를 위한 老人健康增進公園 造成에 관한 硏究 : 운동시설을 중심으로
한미정 弘益大學校 建築都市大學院 2001 국내석사
최근 의학의 발달과 건강 수준의 향상으로 인간의 평균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노인인구 가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2000년대에는 고령화 사회가 도래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어느 나라보다도 고령화가 남은 기간 안에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사회적으로나 개인적으로 충분한 적응과정 없이 인구의 노령화로 인한, 사회·경제적 측면을 포함한 다양한 노인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사회전반의 준비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노인의 문제는 첫째 노화에 따른 육체적, 정신적 쇠약으로 인한 건강악화, 둘째 소득상실로 인한 빈곤, 셋째 가정이나 사회에서의 역할 상실, 넷째 고독과 소외의 문제로 분류될 수 있으나 이들 중 가장 큰 문제는 건강문제라고 많은 연구에서 일치된 결과로 제시되고 있다. 건강한 정신과 육체는 사회참여를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자신의 창조적 개발을 도모할 여가선용으로 멋지게 누릴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인에 대한 사회적 서비스의 일환으로 노인 종합복지회관, 실버타운, 노인휴양촌 등이 계획 되었지만 이러한 시설들은 경제적·입지적 문제로 이용자가 적다. 또한 이러한 시설들은 주로 건물이나 실내 공간 또, 시설물에만 편중되고 있어 답답한 것을 싫어하는 노인의 성향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의 노인들에게 건강을 증진시켜주고, 불안한 정서에서 만족과 안정을 주며 사회적 재 적응을 높이기 위한 신체적 활동과 활동 공간 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다가올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특성에 적합한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활성화와 사회생활에서 은퇴한 노인들에게 상호동질감 속에서 사회성 회복과 능동적 삶을 누릴 수 있는 오픈스페이스 개발에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로서 노인건강증진 공원의 조성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관련 문헌을 통하여 노인문제를 고찰하고 그 해결방안으로 도심지내 노인공원의 필요성을 정립 하였다. 둘째, 노인의 신체적·심리적·사회적 특성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하여 노인의 특성에 적합한 공원시설의 추출 및 공간조성의 방안을 모색하였다. 셋째, 노인의건강증진을위한프로그램들을제시하고그중에서설문조사에서노인들 이 건강증진을 위해 가장 원하는 운동 활동 프로그램 위주의 설계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노인들의 접근성이 좋은 도심지내 공원(보라매공원)을 선정하여 노인건장증진 을 위한 활동프로그램을 도입한 공원을 설계하였다. 노인건강증진을 위한 공원설계는 단순한 물리적·경관적 개선 및 조성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대안이 제시되어야 하며 이렇게 조성된 노인건강증진 공원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운영이 가능한 프로그램이 함께 필요할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건설된 노인건강증진 공원은 고령화 사회에서 발생하는 노인문제(노인건강, 노인여가 등)를 해결하고 노인들의 건전한 여가공간으로 활용되어 지역의 노인 커뮤니티 공간으로 그 활용도가 높을 것이다. Thanks to the prolonged average span of human life, which was triggered by development of medical science and improvements in general health conditions, populations of old people keep growing and growing and accordingly it is anticipated that aging society will come in 2000's. As regards the situation in Korea, various problems are being posed that is accompanied by aging of population with no enough adjustment procedure in both social and individual aspects, which is caused by rapid aging process of short duration compared to the cases in other countries. Thus, It is strongly required that preparation for old aging society on entire social level should be implemented. As for the problems concerning old people, the first is that bad health stems from both physical and mental weakness accompanied with aging, the second is that poverty caused by losing income source, the third is that loss of role in family and society, the fourth is that problem of isolation and alienation. But, many research agree to the conclusion that health problem is the most important matter among these problems involved. Sound body and spirit enables both social activities and enjoyment of S))are time which leads them to use their creativity.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plan for old people such as general welfare center for old people, silver town and recreation center for old has been drawn up, but due to the problems of financial and locational conditions, there are few old people who use these facilities. Moreover, these facilities mainly focuses on indoor space, equipments within building and structure itself, which is not so helpful to old peoples who don 't like choking sensation. So it is advised that providing old people with physical exercise and space where this can be realized that is intended for enhancing their adaptability to society, which can promote health condition of old people and offer them satisfaction and stability instead their current emotional disturbance, is desired. Thu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tivate health care program for old people fits their physical, mental and social property in an attempt to providing nearing aging society, and to develop open space where retired old people can enjoy positive life and restore (heir sociality in fellow feeling. From the results of above study, the plan for creation of health promotion park for old people is as follows. The first, posing the necessity of park for old people as a solution to the questions raised through investigation of concerning document which dealt with problems of old. The second, we tried to find adequate plan for creation of space and facilities attached to the park that fits property of old people based upon review in physical, met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old people. The third, Suggesting program intended for promoting health of old people and presented design plan focused on exercise program intended for health promotion that is most preferred by old people who replied to questionnaire survey. The fourth, we designed the park which employed exercise program for health promotion of old people by selecting the park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ity(Boramae park) which has good access to old people. As for designing the park for old people' s health promotion, various alternatives fits characteristics of old people need to be considered instead of mere improvements in creation of physical and scenic aspects, and it is advised that setting up the program that is needed for steady management of the park created by above procedure. We're sure that health promotion park for old people will be working as local community space for old people by resolving problems concerned with old accompanied with aging society(problems of health and leisure) and will be used as a place where old people enjoy their free time.
어머니의 신념과 유아의 인지능력 및 사회적 역량과의 관계
본 연구는 학령전 아동의 어머니가 자녀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반응하는 것이 자녀 교육에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지 알아보고 이러한 어머니의 신념이 유아의 인지 능력 및 사회적 역량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어머니의 직업 유무 그리고 아동의 성에 따라 어머니의 신념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상의 연구 목적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신념과 유아의 인지 능력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2. 어머니의 신념과 유아의 사회적 역량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3. 어머니의 신념은 관련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 어머니의 신념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어머니의 신념은 어머니의 직업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어머니의 신념은 아동의 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5, 6세 유아 81명과 이들의 어머니 81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 도구는 먼저 어머니의 신념을 측정하기 위해 Johnson과 Martin(1985)이 사용한 질문지를 번안,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유아의 인지 능력은 김재은(1991)이 제작한 표준화된 유아지능검사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역량은 Pease와 Clark 그리고 Crase(1979)가 개발한 아이오와 사회적 역량 척도(Iowa Social Competency Scales: Preschool Form)를 교사용으로 번안,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에는 일원변량분석, t 검증, 상관 관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신념은 유아의 인지 능력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또한 어머니의 신념은 유아의 인지 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의 높은 정신적 조작을 요구하는 표상유도(distancing) 반응이 자녀의 발달에 가장 적합하다는 어머니의 신념은 유아기 자녀의 인지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2. 어머니의 신념은 유아의 사회적 역량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또 어머니의 신념은 유아의 사회적 역량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이 정보를 종합하고 다양한 대안을 제안, 평가하도록 하는 표상유도(distancing) 반응이 자녀의 발달에 가장 바람직하다고 믿는 어머니의 신념은 유아기 자녀의 사회적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3. 어머니의 신념과 가정의 사회경제적지위와의 관계에서 가정의 사회경제적지위가 높은 어머니는 표상유도(distancing) 반응이 자녀의 발달에 가장 적합하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어머니의 신념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어머니의 직업 유무와 아동의 성은 어머니의 신념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beliefs and intellectual ability and social competence of child. It also was to find out mother's beliefs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and the presence of mother's job and the sex of the child. For these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beliefs and intellectual ability of child. 2.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beliefs and social competence of child. 3.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beliefs and the following variables. 1)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beliefs and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2)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beliefs and the presence of mother's job. 3)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beliefs and the sex of the child.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162 persons in total which were divided into 81 five or six year old children at day care center in Seoul and 81 mother of them. To measure mother's beliefs, the questionnaire used by Johnson and Martin(1985) was translated, modified and prepared. To analyze the intellectual ability of child, the standardized child intelligence quotient test by Jae-eun Kim was used and to measure the social competence of child, Iowa Social Competence Scales (Preschool Form) developed by Pease, Clark & Crase(1979) was also translated, modified and prepared To analyze the data gathered, one way ANOV A, Tukey Post Test, T-tes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beliefs and intellectual ability of child and the beliefs of mother was able to predict intellectual ability of the child. So mother's beliefs that distancing response which demanded high-level mental operation on the child was most suitable positively influenced on intellectual development of the child.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beliefs and the social competence of the child and the beliefs of mother was able to predict social competence of child. So mother's beliefs that distancing response which synthesized information internally and that proposed and evaluated various alternatives was most suitable positively influenced on social competence of the child.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beliefs and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and the mother who had higher socioeconomic status positively influenced on development of the child. But there was not any relation between mother's beliefs and the presence of mother's job or the sex of the child. In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beliefs and the mental development of the child.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mothers in need of information and experience about child education reconstruct their beliefs by the parent education and the following studies to analyze this relation more deeply are also expected.
동기유발 전략을 강화한 수업이 중학교 1학년 과학 학습부진아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미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1학년 과학 학습부진아를 대상으로 동기유발 전략을 강화한 과학 수업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의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소재 M중학교 1학년의 과학 부진 학생 중 학습동기가 특히 낮은 학생 6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었다. 학교 진도에 맞추어 기본 과학 개념 중심의 수업 주제를 선정하여 실험집단은 동기유발 전략을 강화한 수업을, 비교집단은 일반 부진 수업을 11주 동안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학습동기가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습동기 하위 영역 중 내재적 동기, 자아효능감, 과학에 대한 가치 영역에서 많은 향상이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수업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학습태도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개별 수업태도가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변하였다. 수업이나 활동 자체에 흥미를 가지고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교사나 동료와의 상호작용도 많아졌으며, 협동학습이나 과제를 발표할 때 더욱 자신감 있는 태도로 임하였다. 학업성취 석차 백분위 역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높게 나타나 학습동기 유발전략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동기유발 전략을 활용한 수업 내용의 이해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프로그램 종료 후에 실시한 학업성취 자체평가 역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수업 중 실험집단 학생들의 학습이해 정도도 점차적으로 변하였는데, 정답에 가까운 내용을 추리하여 말한다거나, 학습지의 빈 칸을 비워두지 않고 다 채웠으며, 자신의 학습 이해를 위한 질문이나 탐구를 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동기유발 중심의 수업이 과학 학습 부진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의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