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용전공학생의 정서지능과 무용능력성취의 관계에서 무용몰입의 매개효과

        최화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무용전공 학생의 정서지능과 무용능력성취의 관계에서 무용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 경기지역에 소재하는 4개 예술고등학교의 1~3학년 무용전공 재학생 460명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표집방법은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s)을 이용하였다. 회수된 422부의 설문지 중 자료가 누락되거나 응답이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제외하고 총374부가 채택되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 학생의 정서지능과 무용몰입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정서인식 및 표현, 감정이입, 사고촉진, 정서지식활용이 무용몰입에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여준 반면, 정서조절은 무용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 학생의 정서지능과 무용능력성취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정서인식 및 표현, 감정이입, 사고촉진이 무용능력성취의 하위요인 중 실기능력성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무용능력성취의 하위요인 중 이해능력성취에 대해서는 정서지능의 모든 하위요인(정서인식 및 표현, 감정이입, 사고촉진, 정서지식활용, 정서조절)이 유의하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 학생의 무용몰입과 무용능력성취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무용몰입의 하위요인 중 자기목적적 경험, 성취감과 자신감, 고도의 주의집중이 무용능력성취의 하위요인인 실기능력성취, 이해능력성취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여주었다. 넷째, 무용전공 학생의 정서지능과 무용능력성취의 관계에서 무용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3단계 매개회귀분석(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과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무용몰입은 무용전공 학생의 정서지능과 무용능력성취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무용전공 학생들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무용몰입의 수준도 높아지고, 무용몰입의 수준이 높아지면 무용능력성취 수준도 향상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무용몰입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게 된다. 즉, 무용전공 학생의 정서지능은 무용능력성취에 직접적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무용몰입이라는 매개를 통했을 때 보다 높은 수준의 무용능력성취를 이룰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tudied the mediating effect of immersion in dancing as i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dancing ability achievement of students in dance majo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paper, a survey was conducted on 460 students majoring in dance at 4 arts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mong the 460 questionnaires distributed, 422 were retrieved and 374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48 which had missing data or improper answers. The data processing includ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3-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all performed by SPSS v. 18.0, a statistical computer program. Also, Duncan test was applied for post verification.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this paper was as follows: First,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immersion in dancing of students in dance major revealed that emotional awareness and expression, empathy, thinking promotion and utilization of emotional knowledge as the sub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that show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hip to immersion in dancing; however, emotional regul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mmersion in dancing. Seco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dancing ability achievement of students in dance major found that emotional awareness and expression, empathy, thinking promotion as the sub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that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hip to the achievement of practical ability among the sub factors of dancing ability achievement. Besides, every sub fa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 emotional awareness and expression, empathy, thinking promotion, utilization of emotional knowledge and emotional regulation - had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hip on the achievement of understanding ability as the sub factor of dancing ability achievement. Thir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relation between immersion in dancing and dancing ability achievement of students in dance major found that autotelic experience, sense of achievement and self-confidence and heightened concentration as the sub factors of immersion in dancing that show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 to achievement of practical ability and understanding ability as the sub factors of dancing ability achievement. Fourth, the 3-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for the mediating effect of immersion in dancing as in 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dancing ability achievement of students in dance major revealed that immersion in dancing di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dancing ability achievement of students in dance major. In conclusion, as the higher the emotional intelligence, the higher the level of immersion in dancing; and the higher the level of immersion in dancing, the higher the level of dancing ability achievement. In this relationship, immersion in dancing has partial mediating effect. In other words, emotional intelligence of students in dance major has a direct effect on dancing ability achievement but it can be found that dancing ability achievement would be higher by the mediation of immersion in dancing.

      •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최화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에 관한 조사연구로 연구 대상자는 T광역시와 K도 소재 3년제 간호대학 2개교, 4년제 간호대학 4개교 등 6개교의 간호 대학생으로 간호윤리과목을 이수(3학점)하고, 임상실습을 경험한 3학년, 4학년 학생 670명을 대상으로 2011년 5월 16일부터 6월 8일까지 23일간 조사하였다. 생명의료윤리의식은 이영숙(1990)이 고안한 윤리적 가치관 설문지를 권선주(2003)가 수정・보완한 생명의료윤리의식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도구는 장기이식에 관한 간호사의 태도조사연구를 목적으로 사용한 주애은(1995)의 질문지를 권현주(2009)가 수정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SPS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 편차, t-test와 일원분산분석(ANOVA)로 검정하였고, 상관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명의료윤리의식 전체 평균평점은 2.94점으로 나타났고, 인체조직 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전체 평균평점 점수는 3.72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명의료윤리의식에서는 가족 중 질병 및 사망자(p=0.012), 헌혈경험( p=0.022), 종교(p=0.008), 종교참여정도(p=0.007), 형제자매 수(p=0.007)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에서는 가족 중 질병 및 사망자(p=0.002)와 헌혈경험(p<0.001), 가족 중 조직이나 장기 기증자(p=0.030)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 태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유의한 정적상관관계(r=.199, p<.001)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를 종합하면 간호 대학생들은 대체적으로 생명의료윤리의식이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인체조직 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또한 긍정적이었으며, 생명의료윤리 의식점수가 높으면 인체조직 기증이나 이식에 대한 태도 점수가 높음이 증명되었다.

      • Multivariate CUSUM Control Charts for Monitoring the Variance-Covariance Matrix : 분산-공분산 행렬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다변량 누적합 관리도

        최화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생산 공정에서 분산-공분산행렬의 최우추정량의 함수인 트레이스(Trace), 행렬식(Determinant)의 비, 우도비검정(LRT) 통계량을 사용한 다변량 누적합 관리도에 대한 연구이다. 그리고 다변량 누적합 관리도의 참조값(Reference value)은 세 가지의 관리통계량의 기대값에 0.5, 1, 1.5, 2를 더한 4가지 경우를 고려하였다. 이전의 연구에서는 분산변화에 많은 관심을 가졌지만, 이 논문에서는 공분산변화, 분산-공분산의 동시 변화에 대한 연구이다. 세 가지 통계량을 사용한 다변량 누적합 관리도의 공분산변화, 분산-공분산의 동시 변화의 효율성은 평균런길이(ARL)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전체적으로 ρ0=0.9 이고 참고값이 점차 증가하는 경우에 트레이스를 사용한 다변량 누적합관리도가 평균런길이 측면에서 효율적임을 보였다.

      • 탄성밴드 트레이닝이 초등학교 야구선수들의 견관절과 슬관절 등속성 근력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최화영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야구선수들을 대상으로 탄성밴드를 이용한 저항운동이 견관절과 슬관절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피험자는 현재 인천광역시 S팀 초등학교 학생 중 야구경력이 1년 이상인 선수14명의 학생 중 근 골격계 질환 및 신경학적 질환이 없고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하며 연구가 실시되기 전까지 탄성밴드 운동을 실시하지 않았던 선수14명을 선정하고, 각각 실험집단과 비 실험 집단으로 7명씩 나누어 분류 하였다. 운동프로그램 구성은 12주 동안 주 3회로 스트레칭을 포함한 준비운동 5분, 본 운동 40분, 정리운동 5분을 실시하였고 1-6주차까지 탄성강도가 낮은 노란색 탄성밴드로 실시하였으며, 7-12주차 까지는 탄성강도가 한 단계 높은 파란색 탄성밴드를 실시하였다. 집단별 견관절 및 슬관절의 근력을 측정하기 위해 등속성 기계장비인 Biodex system3 을 이용하여 견관절 근력의 측정과정은 내회전 에서 시작해 최대 관절 운동범위로 외회전 했다가 다시 내회전으로 돌아오는 것을 1회로 하여 각 속도60°/sec에서 반복횟수 4회로 실행하였고 슬관절 근력의 측정과정은 굴곡에서 시작해 최대 관절 운동범위로 신전했다가 다시 굴곡으로 돌아오는 것을 1회로 하여 각 속도60°/sec에서 반복횟수 4회로 실행하였다. 또 한 집단별 신체조성을 측정하기 위해 Inbody 3.0을 사용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Statis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집단 별 평균차이를 검증하는 통계적 방법 중 실험자간의 개인차를 배제하는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모든 통계처리에서 모든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 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12주간 탄성밴드 트레이닝은 초등학교 야구선수들의 견관절과 슬관절의 등속성 근력을 증가 시킨다. 둘째, 12주간 탄성밴드 트레이닝은 초등학교 야구선수들의 신체조성(체중, 체지방, 근육량)을 증가 시킨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탄성밴드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야구선수들의 견관절과 슬관절의 등속성 근력 및 신체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탄성밴드 트레이닝의 영향이라 할 수 있으며 야구훈련과 함께 탄성밴드 트레이닝을 추가적으로 실시 한다면 초등학교 야구선수들의 경기력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거라 생각된다. 향후 집단내의 표준편차가 적으며 참가하는 인원수를 많게 하여 탄성밴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 한다면 효율적인 근력운동 처방의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성인흡연자의 금연행동 예측모델 구축 및 평가

        최화영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urrent smoking rate among Korean males is the third highest among OECD member countries. With various smoking problems such as the increase of smoking rate among Korean females, and use of electronic cigarette, the need to do research on smoking has increased. Existing researches on smoking cessation behavior have mainly focused on 'elements affecting the intention and motive on smoking cessation', and 'necessity and evaluation of the program to support stop=smoking, etc. But, there have been not many longitudinal studies following the stages former smokers experience after quitting smoking. It is important to consider social environmental elements affecting smokers and their decisions to stop smoking. But, as smoking is personal behavior,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at elements affect different stages former smokers go through after quitting smoking. As researches on smoking cessation behavior are equipped with theoretical models with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machine learning predictive model based on such theoretical models. Accordingly, this study tried to predict smoking cessation behavior in each step using random forest algorithm,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m.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was national data on the Community Health Survey provided by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The targets were adults of 19 years old or over who had experiences of smoking. Dependent variable, smoking cessation behavior was sub-divided into three stages ― 'plan to stop smoking', 'trial to stop smoking', and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The number of those who planned to stop smoking was 37,933 persons, and the number of those who tried and succeeded in stopping smoking was 84,126 persons. Independent variables which were found in existing researches to affect intention to stop smoking and maintenance of non-smoking conditions were classified into 'smoking behavior', 'health and environment',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y were included in the model. Data was analyzed with the SAS 9.4 version to examin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targets. Using the SAS Enterprise-Miner 15.2, this study did modeling, comparison, and visualization of score graph. Major findings of the data analysis were as follows. the prediction model constructed using random forest algorithm predicts success in stop smoking with AUC value 0.7~0.8, which is stable. In predicting success in stop smoking ,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ose who have plans to do it and those who vaguely wish to do it. Second, for male smokers, the longer they smoked, the less they were likely to try to stop smoking, but, if they stopped smoking, they were more likely to succeed in it than female smokers. Third, for female smokers, the longer they smoked, the less they were likely to try to stop smoking than male ones, and, the longer they smoked, the less they were likely to succeed in stop smoking. Forth, for both males and females, those who said 'yes' to the statemen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anti-smoking policy' were more likely to try to stop smoking than those who said 'no' to the statement. And, those who were not married were less likely to succeed in stop smoking. As this study used the data for one year, there was limits to use the prediction model, because there was time lag between the time point when the survey was conducted and behavior to stop smoking. And, another limit of this study is that the data did not include socio-psychological factor and the variables on health and use of medical centers. But, this study proved that machine learning method can be used in social science, and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variables more in detail than general linear regression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contribute to developing policies to support smoking cessation programs. 우리나라의 남성 현재흡연율은 2018년 기준 OECD회원국 중 3번째로 높은 수준이며, 여성의 흡연율 증가·전자담배 사용 등의 다양한 흡연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금연행동과 관련한 선행연구는 ‘금연의도·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금연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평가’ 등을 살펴보며 많이 실시되었다. 그러나 흡연자의 금연행동을 변화단계별로 종단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제한적이다. 사회환경적 요인을 고려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흡연은 개인의 행동이기 때문에 행동변화 단계를 구분하여 과정에서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금연행동연구는 모델에 포함할 변수들의 인과관계가 이론적 모델에 기반하여 갖추어져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여 머신러닝 예측모델을 구축하는데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랜덤포레스트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성인흡연자의 금연행동을 각 단계별로 예측한 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에는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전국지역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대상자는 흡연경험이 있는 만 19세 이상 성인으로 하였다. 종속변수는 금연행동을 ‘금연계획, 금연시도, 금연성공’으로 구분하였고 금연계획은 현재 흡연자를 대상으로 하여 37,933명, 금연시도 및 금연성공은 과거흡연자도 포함하여 84,126명이다. 독립변수에는 선행연구에서 금연의도 및 금연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난 변수를 ‘흡연행태, 건강 및 환경,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모델에 포함하였다. 자료 분석은 SAS 9.4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처리, 일반적 특성 파악을 진행하였고, SAS Enterprise-Miner 15.2를 이용하여 모델링 및 비교, Score 그래프 시각화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랜덤포레스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축한 예측모델은 금연시도와 금연성공에 대해 예측할 때 AUC 값이 0.7~0.8이상으로 안정적이었다. 금연계획의 유무에 대해서 예측하는 것은 실제 금연계획 중에 있어서 준비하는 사람과 생각만 하고 있는 사람을 구분한 후 예측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둘째, 남성은 흡연기간이 길수록 금연시도를 할 확률이 줄어들지만 금연을 하게 될 경우 유지할 확률이 높았다. 셋째, 여성은 흡연기간이 길수록 금연시도 확률이 남성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하고, 흡연기간이 길수록 금연성공 할 확률도 감소하였다. 넷째, 남녀 모두 강화해야 할 금연정책에 없음이라고 응답한 경우보다 있음으로 응답한 경우에 금연시도 확률이 높았고, 미혼일 경우 금연을 유지할 확률이 낮았다. 단년도 데이터를 사용했기 때문에 조사시점과 금연행동에 시간차가 존재하여 예측모델을 바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고, 사용 변수에 사회·심리적 요인과 건강·의료이용 변수를 포함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었다. 그러나 연구를 통해 머신러닝 방법이 사회과학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중요변수의 특성을 일반적인 선형관계보다 더 자세하게 알 수 있었다. 나타난 변수의 특성과 예측결과를 활용하여 금연지원프로그램을 적시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Size and shape control of magnetic nanoparticle for chiral and fluorescent applications

        최화영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성플라즈몬 나노입자 Ag@Fe3O4 NP, Europium-doped magnetic nanoparticle (Eu-doped MNP) 그리고 Copper기반의 양자점 합성을 진행했다. 자성플라즈몬 나노입자 Ag@Fe3O4 NP 는 수열 합성방법으로 Fe shell 두께에 따라 크기별로 합성한 후 characterization을 진행했다. 먼저 플라즈몬 특성을 이용해서 각 입자에 대한 나노 필름을 deposition을 이용해 만든 뒤, 그에 대한 characterization을 진행했다. 또한 이 입자의 자성을 이용해 나선구조를 유도한 Ag@Fe3O4 NP assembly를 진행했다. 자기장에 의해 유도된 Ag@Fe3O4 어셈블리에 카이랄 분자를 첨가함으로써 카이랄 물질을 센싱 하는 것이 가능했다. Europium이 도핑된 자성나노입자는 sol-gel 방법으로 합성한 뒤 characterization을 진행해서 형광을 띄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이 입자를 서로 다른solvent에 dispersion을 시켜 시간이 지나면서 형광세기의 변화를 확인했다. DIW에서 안정한 것을 확인하고, ethanol에서는 형광세기가 역동적으로 줄어들었으며, Eu layer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형광세기의 감소가 줄어들어 오래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구리 기반 양자점은 수용액 상태에서 합성을 진행했으며 코어자체의 결함 때문에 쉘을 표면에 성장시켜 합성하는 방법도 같이 진행했다. 코어만 있을 때 형광이 없지만, 쉘이 표면에 생김으로 인해 형광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다.

      • 단체급식 조리종사원의 이직의도 연구

        최화영 학국산업기술대학교 산업기술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단체급식의 규모가 대형화되어 감에 따라 소요되는 인력과 예산의 비중이 늘어 효율적인 급식 관리의 필요성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단체 급식 업무는 인적 서비스를 중요시하는 노동 집약적 산업이다. 상품으로서의 식사는 기호적 판단의 영역이며, 기계화가 어려운 직무적 특성이 있으므로 조리종사원의 숙련을 통한 전문화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직원의 높은 이직률은 대체 비용을 증대시키고, 경험이 없는 인력의 배치로 인한 위생 및 안전사고 등의 문제와 고객만족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직 관리의 주체와 대상을 단체급식 영양사와 조리종사원으로 각각 구분하였으며, 조리 종사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현장 관리자인 영양사가 숙련된 종사원들이 지속적으로 근무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근무 중인 단체급식 조리종사원을 대상으로 160 부의 설문지를 가지고 실증연구를 실시하였고, 조사․수집된 설문자료는 연구목적에 따라 AHP 계층분석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동료와의 관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두 번째 임금, 세 번째 후생복지에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동료들과 협업하며 일하는 분위기 조성과 임금만족이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공간적 범위에 서울, 경기와 업태부분에서 관공서, 산업체, 오피스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직군은 사무직을 제외한 조리직군으로 한정 조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