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가톨릭교회의 가정호스피스 현황과 활성화 방안 : 서울대교구를 중심으로

        장인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거와는 달리 오늘날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병원에서 각종 첨단요법과 연명장치에 의존하여 고통스럽게 살아가다가 가족들과 작별인사조차 제대로 하지 못한 채 죽음을 맞는 경우가 많다. 뿐만 아니라 병원은 기술 중심의 의료를 제공하면서 환자의 죽음은 곧 치료 실패라는 강박감을 갖고 있고, 정부는 의료인에게 치료 실패에 대한 책임을 추궁하면서 진정 최선인지도 모르는 의료행위에 집착적으로 매달리도록 만든다. 이러한 의료 현실 속에서 인간은 배제 된 채 과학기술과 의료제도・관행만이 남아있을 수 밖에 없다고 보았다. 이처럼 죽음의 문화가 생명의 문화를 위협하고 있는 이 시대에 최약자에 속하는 말기환자들이 존엄함을 지닌 채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길에 대해 묻게 되었고, 호스피스에서 그 해답을 찾고자 했다. 무엇보다 가정은 ‘생명과 사랑의 요람’이면서, 임종자가 정서적인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 된다. 따라서 가정 호스피스 활성화가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생각들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 가톨릭교회 내 가정호스피스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논의로 주제를 한정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가톨릭교회 내에서부터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꾀하고, 궁극적으로는 세상에서 얼마 남지 않은 시간을 살아갈 수밖에 없는 말기환자들이 생명의 존엄함을 유지하면서 죽음을 잘 맞이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먼저 제1장에서는 국내 가톨릭 호스피스 기관에 대한 분석에 앞서 기본적으로 전제되어야 할 논의인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고자 했다. 가톨릭교회는 호스피스의 역사적 배경과 성장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으며 현대에 이르기까지 호스피스 발전과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해오고 있다. 호스피스는 치료(cure) 중심이 아닌 돌봄(care) 중심의 가치를 강조하면서 ‘여러 부분의 합 이상’이라는 총체주의 사상을 철학적 기반으로 삼고 있습니다. 또한 호스피스는 신체적・심리적・영적・경제적 고통들의 상호 연관성으로 인해 하나의 팀을 구성하여 상호학제적인 도움을 추구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호스피스가 교회를 중심으로 시작하여 발전해왔던 만큼, 성경과 교회의 가르침을 통해 호스피스의 출발점을 정초해 보고자 했다. 이와 더불어 임종자가 겪는 고통과 죽음의 실존상황을 그리스도교적 의미로 재해석해 보고자 했다. 예수님은 하느님께서 부여해 주신 인간의 존엄성을 구현하고자 인간생명을 구하는 일에 헌신하셨고, 자신의 목숨마저 바쳤다. 이 때문에 그리스도인들 또한 생명의 봉사자로서 인간의 존엄성을 수호해야 할 소명을 갖게 된다. 무엇보다 예수님은 병자와 소외된 사람들을 향해 더욱 특별한 관심을 가지셨다. 따라서 가장 소외되고 가난한 이들에 속하는 말기환자들을 정성껏 돌봐주는 호스피스 활동은 병자들과 함께하는 교회 활동에 큰 축을 이루게 된다. 한편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죽음과 부활은 인간의 고통과 죽음을 희망이라는 새로운 빛으로 받아들일 수 있게 한다. 제3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제도화의 과도기적 단계에 놓인 국내 호스피스 현실을 진단해 보고,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 천주교회의 호스피스는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시기별로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호스피스 단체들의 노력과 정부의 호스피스 전문기관 육성 사업의 결실로 국내 호스피스 이용률은 점진적으로 증가추세에 놓인다. 하지만 호스피스에 대한 일반국민과 의료진의 인식 부족, 수가제도의 미비, 호스피스 기관의 지역적 불균형 등은 아직까지 호스피스 성장에 큰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국내 현실 속에서 한국 천주교 호스피스는 1963년 갈바리의원의 설립을 시작으로 하여 현재에는 34개의 가톨릭 호스피스 기관이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제4장에서는 가톨릭 가정 호스피스 기관의 활동을 모현가정호스피스와 서울성모병원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가톨릭 가정 호스피스 기관 활동 분석 및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어서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들을 바탕으로 가톨릭 교회 내 가정 호스피스 활성화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무엇보다 병동형과 독립형기관의 상호 보완적 관계를 기반으로 하여 본당과의 접점을 만들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서는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병행되어야 하고, 교회에서도 호스피스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교육・상호학제적인 팀 구성을 필요로 한다. 특히 교육에 있어서는 수도회를 중심으로 호스피스 영성에 있어 차별화된 교육이 가능하리라고 본다. 한 인간이 생명을 다할 때까지 그의 곁에서 사랑과 정성을 다해 돌보는 호스피스는 병자들과 함께하는 교회의 사명과도 일치한다. 따라서 호스피스가 교회를 중심으로 하여 성장・발전해 온 것도 교회 사명의 충실한 실현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말기환자들에게 사랑의 마음으로 정성껏 돌봐야 하는 이유는 사랑은 한 인간의 고통과 죽음에도 의미를 부여해 주기 때문일 것이다. 결국 호스피스라는 것은 영적 영역과 의료적 영역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 Unlike the past, there are many people who depend themselves on several state-of-the-art medical techniques and equipments for life prolongation, and take their last breath while living painfully in the hospital without having a proper farewell with their family. Moreover, the hospital is providing technology-centered medical service and has the obsession that the death of the patient is a failure of patient care, and the government is forcing medical personals to overly obsessed on medical care without recognition on the best medical practice for patient. Within this reality of medical practice that exclude human beings, just remain science technology, and medical system and custom. Therefore, question has been arose to find a way to meet their death with dignity for terminally ill patients, who are weakest among the period that the culture of life is threatened by the culture of death, and was looking for the answer from the Hospice. Above all, home is the ‘cradle of life and love’ as well as a place for the emotional stability of dying person. Thus, this time has considered vitalization of the Home-based Hospice as prerequisite. Based on this idea, this thesis limits its subject within the discussion regarding the current state of the Home-based Hospice and the methodology about its vitalization. From this extends, this thesis sought the change of perspective in hospice from the Catholic church endogenically, and to provide help for the terminally ill patient, who just have a short period of time left on this world, to meet their death with maintaining their dignity. First of all, the theoretical background, which is required to analyze the Catholic hospice institution in Korea, will be provided in the chapter One. The Catholic Church has taken the key role of historical experience as well as development of the hospice, and its role has been taken until now. The hospice is focusing on care-centered value rather than that of cure-centered and has its philosophical base on the synopticism, which ends up with ‘More than the sum of various parts’. Moreover, the hospice organizes a team due to the inter-relationship of physical, psychological, spiritual and economical pains to provide interdisciplinary helps for patients. In chapter Two, the starting point of hospice has been defined through the Bible and the doctrines of the Church, since the hospice was revolved around the Church at its beginning. As well as this, re-evaluation of the dying person’s pain and status of their existence under Christian point-of-view has taken placed. Even Jesus devoted himself to save human life by practice human dignity and even sacrificed his own life. Thus, all the Christians are called for their vocation to protect human dignity as servants of life. Above all, Jesus has shown special interest towards the sick patients and those who has been marginalized. Therefore, the hospice activities, which takes care terminally ill patients who are poor and marginalized, has been becoming the great axis of the Church with patient. On the other side, the cross of Jesus Christ, his death and his resurrection helps to accept pain and death of the human being as a new light which is the hope. Furthermore, in chapter three, the reality of Korean Hospice, which is going through a period of transition, has been diagnosed, followed by the chronological analysis of the development of the hospice in Korean Catholic church. As result of the hospice organization’s endeavor and government’s professional hospice organization development project, usage rate of hospice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However, lack of general citizens and medical personals’ understanding about hospice, inadequate medical insurance policy and geographical imbalance of the hospice institution have hindered the development of hospice. Based on this reality, the hospice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has begun by establishment of the Calvary hospice in 1963 and 24 of the Catholic hospice institutions distributed throughout the nation. Next, in chapter four, activities of Home-based hospice in the Catholic institution has been analyzed centered on the cases from Mo-hyun Home-based hospice and St. Mary’s hospital in Seoul, and further study on institutional activities of the Catholic Home-based hospice as well as a suggestion of direction. Followed by this and based on this, method for Home-based hospice in the Catholic Church has been suggested. Overall, this review has suggested that there could be some merging point in between hospice and parish based on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Hospital type and independent institution type. However it also stated that the change of awareness about the hospice should come along, and organization of inter-disciplinary team of active advertisements and education is necessary. Beyond all, it seems possible to provide distinct spiritual education about hospice centered on the religious orders. The hospice takes care with love and heart until the end of one’s life is matching with the role of the church. Thus, the fact that hospice has been continually developed and grown centered on the church can be considered as the process of enhancement of the vocation of the Church. Thus, the reason that the terminally ill patient should be taken care with love is due to the fact that love provides meanings on even the pain and death of one human being. Thus, the ultimate significance of hospice could be found from the harmony of spiritual and medical areas that are assisting one life to die peacefully with Christian dignity. Overall, if the most marginalized and suffering human beings is excluded,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any efforts from states, religious organizations and hospice institutions for the vitalization of the Home-based hospice won’t have any meaning what so ever.

      • 사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한 상황 인지 학습 방법에 대한 접근

        장인우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센서 네트워크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이 확장되고 있다. 유비쿼터스 환경이 구축된 공간을 스마트 공간이라 하며 이와 같은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황인지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상황인지 시스템은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지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기존의 상황 인지 시스템은 사용자가 처한 현재의 상황을 센서로부터 상황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서비스를 추론해왔다. 그러나 시스템이 현재 상황에 대한 잘못된 결과를 도출했을 때 이를 시스템 스스로 수정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센서로부터 수집된 상황 정보를 변환하는 방법도 정립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위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상황인지 시스템 스스로 사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잘못된 결과에 대한 오류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센서로부터 수집된 상황 정보를 일련의 과정을 통해 신뢰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셋째, 상황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Ontology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재사용성 및 이 기종 시스템 간의 상호 운용성을 지원하고자 한다. 위의 방법은 제안하는 두 가지 형태의 에이전트인 CMA(Context Management Agent) 및 SRA(Situation Reasoning Agent)를 통해 이루어지며 CMA는 상황 정보의 변환, SRA는 상황의 추론 및 학습을 담당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방법의 동작과정 및 알고리즘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를 증명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알고리즘의 타당성 및 유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존 웨슬리와 현대 복음주의 신학의 역사 : 성화론을 중심으로

        장인우 감리교신학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존 웨슬리와 현대복음주의의 역사 및 성화론을 다룬다. 현대 사회와 교회는 영적 무기력함에 빠져 있다. 경건의 모양은 있으나 유익은 없고, 복음의 능력이 점점 보이지 않는 시대이다. 이러한 종류의 무기력함은 마치 18세기 영국사회와 닮아 있다. 당시 영국사회의 영적 무기력함을 극복하게 된 계기는 바로 웨슬리의 복음주의 부흥운동이었다. 웨슬리는 18세기 영국의 영적 무기력함을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성화’라는 주제를 평생 설교하였다. 그의 성화론은 동서방교 회의 신학을 통전적으로 이해한 것이었으며, 실천적인 성격을 가진다. 더 욱이 의도의 순수성, 사랑의 충만을 의미하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에까지 나아간다. 웨슬리의 부흥운동으로부터 출발한 복음주의 신학은 현대사회와 교 회의 영적 무기력함에 대하여 바로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해 답으로 성화의 삶을 말한다. 현대 복음주의 신학은 구원받은 신자에게 성 화가 필수적임을 말한다. 칭의와 성화의 연속성, 성화의 실천적 성격, 은 총의 수단을 사용하는 것 등은 웨슬리와의 공통점이다. 그러나 현대 복음 주의 신학은 그리스도인의 완전에 대하여 매우 소극적인 태도를 가진다. 현대 복음주의 신학이 더 나은 성화론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웨슬리 처럼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말해야한다. 복음주의 신학의 최우선은 성경이 다. 웨슬리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의 당위성을 성경에서 찾았다. 성경의 명 령은 능력을 포함하기에, 온전(완전)하라는 명령은 그리스도인이 온전해질 수 있음을 뜻한다. 현대 복음주의 신학이 그리스도인의 완전에 대한 합의점을 이룬다면 더욱 바람직한 성경적 성화론을 갖추게 되며, 이 시대에 복음의 빛을 비추는 바람직한 신학으로 세워질 것이다. 주제어(키워드, 색인어) 웨슬리, 복음주의, 성화론, 그리스도인의 완전, 제자도 This study deals with John Wesley and the history of Modern Evangelicalism and the Sanctification. Modern societies and churches are lost in spiritual lethargy. It is an age in which there is a shape of devoutness, but no benefits, and the power of the gospel is becoming invisible. This kind of lethargy resembles 18th-century British society. It was Wesley's evangelical revival movement that overcame the spiritual lethargy of the British society at that time. Wesley had preached the theme of "sanctification" all his life as a solution to overcoming the spiritual lethargy of Britain in the 18th century. His theory of sanctification was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theology of the Eastern and Western churches, and it has a practical character. Moreover, it approaches to the perfection of the Christ which means purity of intent and fullness of love. Evangelical theology which started from Wesley's revival movement, recognizes the spiritual lethargy of modern society and the church. And it means the life of sanctification as an answer for this. Modern evangelical theology means that sanctification is essential to saved believers. The continuity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the practical nature of sanctification, and the use of means of grace are consistent with Wesley. But modern evangelical theology has a very passive attitude toward the Christian Perfection. In order for modern evangelical theology to develop a better sanctification, it must speak of the Christian Perfection like Wesley. The Bible is the first priority of evangelical theology. Wesley found the reason of Christian Perfection in the Bible. Because the Bible’s commands include ability, so the command to be perfection means that the Christ can be perfect. If modern evangelical theology reaches an agreement on the perfection of the Christian, it will form a more desirable biblical sanctification, and it will be established as a desirable theology that illuminates the light of the gospel in these times. Topic (Keywords, Indexers) Wesley, Evangelicalism, Sanctification, Christian Perfection, Discipleship.

      • 조선초기 저고리의 복원적 고찰 : 충북대학교 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장인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 of actual dresses of early times of Yi-dynasty based on Joˇgori(저고리), the upper garment of Korean traditional dress(한복), which is conserved at Chungbuk University Museum. The social behaviour of dressing in the early times of Yidynasty was estimated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Joˇgori made in the vicinity of Imjinwaeran(임진왜란). The size of Joˇgori investigated was 1.6 times as large as that of modern Joˇgori except several parts such as sleeve length(화장), rear collar(고데) and collar lengths (동정길이). However, the ratios of each part relative to the whole length of Joˇgori were similar with those of modern Joˇgori. Although it has generally been reported on the material of ancient Joˇgori that the outer cloth is composed of silk and the line is solely composed of silk or cotton, it was found that blends of silk and cotton were also used as the line of Joˇgori which is supposed to be made in 16th and 17th centries. It was also found that inter-weaving of textile was carried out after dyeing of thread. 본 논문은 충북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한복중 조선초기에 만들어진 저고리를 통하여 조선초기 실물복식의 특징을 유추한 것이다. 고증학적으로, 어떤 사실의 확실한 연대기를 추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시간적·공간적으로 한정된 범위내에서 현상 또는 현상군에 대한 고찰에 의해 고도의 개연성에 도달하는 일은 가능하다. 따라서, 임진왜란 전후에 만들어진 저고리의 특징을 조사하여 조선초기의 사회적인 복식행위를 추정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환경의 불시의 결합의 일종인 무덤에 수맥이 형성되어 부식되기 쉬운 실물 복식이 보존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보존된 실물 복식을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구성적인 측면에서 보면, 조선초기에 만들어진 저고리는 현대의 저고리보다 약 1.6배 컸으나 신체적인 제한성이 있는 부분, 즉, 화장, 고데, 동정길이 등의 크기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저고리 전장에 대한 각 부위의 비율은 현대 저고리와 유사하였다. 봉재상의 특징에서는, 과거 저고리의 대부분의 경우 겉감은 명주로, 안감은 무명이나 명주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고되어 왔으나 16세기 내지 17세기에 만들어진 저고리의 안감에는 무명과 명주의 혼방도 사용된 것이 밝혀졌다. 또한, 통설과는 달리 선염후 제직한 사실도 발견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