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ole of the Neutrophil-lymphocyte Count Ratio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Pulmonary Tuberculosis and Bacterial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박수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폐결핵과 세균성 지역사회폐렴의 감별 진단에 있어 중성구-림프구 수 비의 역할 Role of the Neutrophil-lymphocyte Count Ratio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Pulmonary Tuberculosis and Bacterial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의 학 과 박수민 지도교수 엄수정 배경 ; 결핵 유병률이 높은 국가에서 폐렴으로 내원한 환자를 폐결핵과 세균성 지역사회폐렴으로 감별 진단하는 것은 어렵다. 중성구-림프구 수 비(NLR)는 염증의 지표이자 세균혈증을 예측하는 데 유용한 지표로 알려져 있다. 목표 ; 중등도 결핵 감염 국가에서 세균성 지역사회폐렴과 폐결핵의 감별 진단시 NLR의 역할을 연구하였다. 방법 ; 2009년 3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동아대학교 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폐결핵 혹은세균성 지역사회폐렴이 의심된 환자 206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검사실 소견을 분석하였으며, NLR을 비롯한 검사실 소견은 치료를 시작하기 전의 결과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 특성 곡선 분석을 통해 기존의 염증 표지자와 NLR의 진단적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통계분석은 p-값이 0.05 이하일 때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다고 판단하였다. 결과 ; 폐결핵과 세균성 지역사회폐렴 환자 간에 NLR과 C-반응단백질의 평균값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NLR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는 폐결핵이 3.67 ± 2.12, 세균성 지역사회폐렴은 14.64 ± 9.72이었고 ( p-값<0.001), C-반응단백질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는 폐결핵이 6.57 ± 7.31, 세균성 지역사회폐렴은 18.23 ± 10.64이었다( p-값<0.001). 검사 특성 곡선(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분석은 NLR이 7미만인 것이 두 군의 환자를 구별하는 최적의 절단값임을 나타냈다. NLR의 곡선 이하 영역 (area under the curve)은 C-반응단백질보다 높은 값이었다(0.83; 95% CI, 0.76~0.88, p = 0.0003). 결론 ; 진단 초기 단계에서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구한 NLR 값은, 중등도 결핵 감염 국가에서 세균성 지역사회폐렴과 폐결핵 환자를 구별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어 : 결핵, 폐렴, 중성구, 림프구, C-반응단백질

      • 노인환자 벤조디아제핀계약물 장기처방률 관리도입이 비정신과 의사의 처방양상에 미친 영향

        박수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항불안제인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노인환자에게 위험이 증가할 수 있어 주의를 필요로 하는 약물로 알려져 있다. 국내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처방은 비정신과 의사에 의한 처방이 주를 이루며 65세 이상 노인환자 처방량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16년 12월 ‘65세 이상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장기처방률(환자안전지표)’을 도입하여 30일 이상 벤조디아제핀계 약제를 처방한 비정신과 의사를 대상으로 분기별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피드백을 자율주의적 개입(Nudge)으로 보고, 비정신과 의사의 처방양상에 미친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환자안전지표는 도입 이후 요양기관들이 빠르게 순응하여 장기처방률 기준초과 대상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장기처방률 변화와 별도로 본 연구는 지표의 도입이 노인환자 처방비율 감소에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하고, 기존 처방일수 30일에서 1~2일만 감소하는 방식으로 표면적 정책 순응을 보인 것은 아닌지 살펴보아 향후 정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자료는 비정신과 서울시 의원급 4,224개소의 건강보험 외래 청구 명세서로, 2015년부터 2018년까지 도입 전 2개년, 도입 후 2개년으로 구분하여 처방양상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은 패널데이터로 Pooled OLS, 임의효과모형, 고정효과모형을 추정하였고, 설명력과 유의성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최종 모형을 선택하였다. 아울러 건당 처방일수의 범주별 변화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모형을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자안전지표 도입은 노인환자 처방비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자안전지표 도입 이후 건당 처방일수는 장기처방 기준이 되는 30일 바로 아래인 ‘28-29일’ 처방이 증가하였고, ‘60일이상’ 장기처방의 감소보다 ‘30일’ 처방의 감소가 큰 것으로 나타나 표면적 정책 순응을 의심할 수 있었다. 셋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각 지원에서 시행하는 개별 피드백(유선, 문서, 대면) 횟수는 노인환자 처방비율과 건당 처방일수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적시성과 구체성이 낮은 분기별 문서안내보다 구체적으로 실행 가능한 노력에 중점을 두는 유선, 대면, 문서 중재가 보다 효과적인 피드백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안을 할 수 있다. 우선 현재 제공되는 지표값이 최소 4~6개월 전 진료분이므로 보다 ‘현재’와 가까운 지표 값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동일 평가군의 처방률을 제공하여 해당 기관이 현재 위치를 알 수 있게 한다면 적정진료 유도에 보다 효율적일 것이다. 이 밖에도 단기처방의 무분별한 반복 등 표면적 정책순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진자당 연간 총 처방일수 등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분석 대상을 서울시 의원급에 한정하였고, 동일 수진자의 연속적인 처방일수 합산 결과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에 한정된 처방률 피드백 효과분석으로 동일 조건의 타 약제와 비교하지 못했으며, 양적연구의 한계로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을 처방하는 의사의 심리적·환경적 요인 등을 알 수 없어 실제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넛지’의 관점에서 보건의료정책인 지표연동자율개선제를 최초로 분석 하였으며, 적은 비용으로 적정진료를 높이기 위한 더 나은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요양기관들이 빠르게 순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지표연동자율개선제의 환자안전지표의 표면적 정책 순응 가능성에 대해 건당 처방일수의 변화를 통해 밝혔다는 의의가 있다. Benzodiazepines(BDZs) are known to require caution because they may increase the risk in elderly patients. However, in Korea, it was found that benzodiazepines were mainly prescribed by non-psychiatric doctors and the largetst proportion of patients who were prescribed BDZs were aged 65 or older. In December 2016,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HIRA) introduced the “Long-term Prescribing Rate of benzodiazepines to aged 65 or older(also called 'Patient Safety Indicator')” and provided quarterly feedback to high prescribers. This study considered the feedback a gentle push(Nudge) and tried to confirm the effect it had on prescribing patterns of non-psychiatrists.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Patient Safety Indicator, non-psychiatrists have readily adapted to it and the number of long-term prescriptions that exceed 29days have rapidly decreased. This study analyzes whether the Patient Safety Indicator also had an effect on reducing prescribing rate of BDZs to the elderly not only reducing the prescription period and examines whether or not they showed superficial policy compliance in a way that shorten the prescription period by only 1 to 2 days from '30days' which belong to the long-term prescribing definition. The data for this study are medical billing collected by HIRA from 4,224 non-psychiatric clinics in Seoul, and the comparison was made before and after each two years from the introduction of the Patient Safety Indicator. For the analysis method, pooled OLS, random-effects model, and fixed-effects model were estimated with panel data, and the final model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aring explanatory power and significance. In addition, a multinomial logistic model was used to effectively analyze the change in prescription period categorie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ntroduction of Patient Safety Indicator did not affect the prescribing rate for the elderly. Secon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indicator, '28-29 days' prescriptions increased, which is just below the 30days long-term prescription standard, and the decrease in '30days' prescriptions was more significant than that of '60days or more'. This could lead to suspicion of superficial policy compliance. Third, the number of HIRA branch's individual feedbacks (phone consultation, letter, and face to-face consultation)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prescribing rate and the prescription period. This means that HIRA branch's interventions that focus on concretely actionable efforts were more effective feedback than quarterly document guides with low timeliness and specific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can be made.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most recent prescribing rate, since the current data is from billing at least 4 to 6 months ago. And peer comparison feedback to high prescribers would be more effective to induce appropriate treatment.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superficial policy compliance problem such as repeat prescribing BZDs in short-term,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total prescribed amount per patient for a yea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analysis target was limited to the clinics in Seoul, and it did not reflect the sum of consecutive prescribing days per patient. In addition, it didn't compare benzodiazepine with other medications under the same conditions, and as this study is a quantitative research, it couldn't find out psychological or environmental factors of doctors.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Patient Safety Indicator for the first time from the perspective of ‘Nudge’, and suggested a better direction to increase appropriate treatment at a low cost. And It also revealed the superficial compliance possibility of the feedback through the change in prescribing days per case.

      • 인체유래 피부 진피세포와 표피세포에서 바랭이 꽃 앱솔루트의 피부재생 및 상처치유 효과

        박수민 호서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kin is largely composed of epidermis, dermis and subcutaneous fat layer. It has various functions such as moisture retention, body temperature control and long-term protection. Wound healing is a very dynamic and complex process that includes many events such as the production of various growth factors (EGF and FGF) and inflammatory factors (TNF-ɑ, IL-β and IFN-γ), the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keratinocyte or fibroblast cells, and the synthesis of various ECM components. Recently, increasing researches on skin regeneration and wound healing through natural products have been replaced synthetic medicines and cosmetics. Natural products have been reported to have fewer side effects and less resistance than synthetic drugs, among which essential oils are important in the food, pharmaceutical and cosmetic industries. Essential oil extraction methods include various methods such as methods in which plants are boiled or extracted using steam, compression methods to reduce heat loss, enfleurage that uses the contact of plants with lard and solvent extraction using nonpolar organic solvent. Digitaria ciliaris (Retz.) Koel., which is a perennial plant belonging to the crested family, and we can easily see everywhere around us. It is reported as a serious weed in agriculture. The plant is common in corn and cotton fields in China. Currently, the plant is used as an indicator plant for the development of herbicides, However, its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of cosmetics and pharmaceutical raw materials, for skin regeneration and wound healing has not yet been perform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gitaria ciliaris (Retz.) Koel. flower absolute on proliferation, migration, and collagen biosynthesis in human embryonic fibroblasts and keratinocytes. Absolute (1.4 g) was isolated from Digitaria ciliaris (Retz.) Koel. flower (3 kg) by solvent extraction method. In GC/MS analysis, the absolute contained 19 compounds. The absolute (1-100 µg/mL) did non affect the viability of human embryonic fibroblasts and keratinocytes. The absolute increased keratinocyte and fibroblast proliferation, showing maximum level at 100 µg/mL of treatment concentration (185.32 ± 5.13% and 127.20 ± 4.46%, respectively). Treatment with the absolute showed increased migration in fibroblasts, but not keatinocytes. The maximum migration effect in fibroblasts showed at 100 µg/mL of treatment concentration (156.83 ± 9.07%). Type 1 and 4 collagen synthesis were increased in fibroblasts, but not keratinocytes, which reached maximum at 100 µg/mL of treatment concentration (169.40 ± 11.96% and 196.33 ± 17.37%, respectively). Wound healing and skin regeneration-associated the intracellular signal transduction pathway analysis showed that the absolute induced phosphorylation of ERK 1/2 up to 100 µg/mL (205.79 ± 28.431%) and phosphorylation of p38 at 100 µg/mL (212.34 ± 9.90%). In addition, this study searched for the effect compound of Digitaria ciliaris (Retz.) Koel. flower absolute, and 1-nonadecene induced the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fibroblasts and the maximum proliferation and migration effect at 100 µg/mL (151.84 ± 4.12%, 210 ± 4.14%).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Digitaria ciliaris (Retz.) Koel. flower absolute increased proliferation, migration, collagen synthesis in fibroblasts and proliferation in keratinocytes, probably resulting in stimulation of wound healing and skin regeneratio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Digitaria ciliaris (Retz.) Koel. flower absolute may be used as potential cosmetics and pharmaceutical ingredient for wound healing and skin regeneration. 피부는 크게 표피, 진피,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신체의 가장 큰 기관으로 수분유지, 체온조절, 장기보호 등의 다양한 기능이 있다. 상처 치유는 다양한 성장인자 (EGF, FGF)와 염증인자 (TNF-ɑ, IL-β, IFN-γ)의 생성과 keratinocyte 및 fibroblast 세포의 증식 및 이동 그리고 다양한 ECM 구성성분들 (collagen, elastin)의 합성 등으로 이루어지는 매우 역동적이고 복잡한 과정이다. 최근 합성 의약품 및 화장품을 대신 하여 천연물을 통한 피부재생 및 상처치유에 관련된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천연물은 합성 의약품과 비교하여 부작용과 내성이 적은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그중 에센셜오일은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산업에서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에센셜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식물을 물에 넣어 끓이거나 증기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증류법, 열에 의한 손실을 줄이기 위한 압착법, 돼지기름 등에 식물을 접촉하여 추출하는 냉침법, 비극성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용매 추출법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바랭이는 볏과에 속하는 1년생 식물로 우리 주위 어디서나 쉽게 볼 수 있으며 농업 지역에서 심각한 잡초로 보고되어 있고, 중국에서는 옥수수 및 면화 밭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예로부터 바랭이는 동물들의 사료 등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현재는 제초제 개발을 위한 지표식물의 용도로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피부재생, 상처 치유 등과 같은 화장품 및 제약 원료로서의 연구는 아직 수행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바랭이 꽃 3 kg으로부터 바랭이 꽃 앱솔루트 1.4 g을 얻었고 GC/MS 분석을 통해 19가지의 단일성분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바랭이 꽃 앱솔루트를 사용하여 인체 유래 fibroblast와 keratinocyte에서 세포의 증식과 이동, 콜라겐 생합성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였다. 바랭이 꽃 앱솔루트는 농도 0, 1, 10, 100 µg/mL에서 keratinocyte와 fibroblast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바랭이 꽃 앱솔루트는 100 µg/mL농도에서 keratinocyte 증식의 최대증가효과 (185.32 ± 5.13%)를 나타내었고, fibroblast 증식의 최대증가효과 (127.20 ± 4.46%)를 나타내었다. 또한 바랭이 꽃 앱솔루트는 100 µg/mL농도에서 fibroblast 이동의 최대증가 효과(156.83 ± 9.07%)를 나타내었으며, fibroblast에서의 type Ⅰ collagen 합성의 최대효과 (169.40 ± 11.96%) 및 type Ⅳ collagen합성의 최대효과 (196.33 ± 17.37%)를 나타내었다. 바랭이 꽃 앱솔루트는 100 µg/mL농도에서 상처치유 및 피부재생과 관련된 세포내 신호전달 과정과 관련된 신호단백질들인 ERK1/2의 인산화를 205.79 ± 28.431% 까지 유도하였으며, p38 MAPK의 인산화를 212.34 ± 9.90%까지 유도하였다. 뿐만 아니라 바랭이 꽃 앱솔루트의 single compound 중 1-nonadecene이 fibroblast의 증식과 이동을 농도 의존적으로 유도하였으며 100 µg/mL (151.84 ± 4.12%, 210 ± 4.14%)에서 최대 증식과 최대 이동 유도효과를 나타내었으며, 1-nonadecene이 바랭이 꽃 앱솔루트의 fibroblast 증식 및 이동 활성의 lead compound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keratinocyte의 증식과 fibroblast의 증식 및 이동, 콜라겐 합성 등에 바랭이 꽃 앱솔루트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것은 피부재생 및 상처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타겟물질로서 바랭이 꽃 앱솔루트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바랭이 꽃 앱솔루트가 상처 치유 및 피부재생을 위한 잠재적인 화장품 및 제약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콩에서 싸리수염 진딧물 저항성 후보 유전자 탐색

        박수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Foxglove aphid, Aulacorthum solani (Kaltenbach), is a Hemipteran insect that infected a wide variety of plants worldwide and caused serious yield losses in crops In this study, to identify the genes for foxglove aphid resistance. Identification of foxglove resistance was used to count the aphid number and generation in five germplasm. Foxglove aphid behavior patterns were analyzed by EPG (Electronical penetration graph) waveform. foxglove resistance genetic segregation anaylsis is used the Sown cross PI 230977 F2 534 individuals through choice test with total plant damage (TPD). one F4-derived F8 recombinant inbred lines, developed from across of susceptible Williams82 and resistant wild soybean PI 366121 (Glycine soja Sieb. and Zucc.) were used to QTL and gene. The phenotyping of antibiosis and antixenosis was done through choice and no-choice assays with total plant damage and primary infestation leaf damage (PLD) a genome-wide molecular linkage map was constructed with 169,028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markers utilizing a 180K soyaSNP array. After identification the foxglove aphid resistance QTL, we use the physical map based Wiliams 82 to research the foxglove aphid resistance gene. Foxglove aphid number doesn’t be able to not observed the foxglove in foxglove aphid resistance soybeans, PI 366121, PI 230977. The phloem EPG waveform is separated susceptible and resistance soybean. Period of feeding the phloem is susceptible plant longer than resistant. The result of genetic analysis was foxglove aphid resistance gene was recessive inheritance through genetic ratio resistance 1: susceptible 3 . one major candidate QTL on chromosome 7 showed both antixenosis and antibiosis resistance responses. The major QTL mapped to a different chromosome than the previously identified foxglove aphid resistance QTL, Raso1, from the cultivar Adams. Also, the responses to the Korea biotype foxglove aphid were different for Raso1, and the gene from PI 366121 against the Korea biotype foxglove aphid were different. Thus the foxglove aphid resistance gene from PI 366121 was determined to be an independent gene to Raso1 and designated to Raso2 corresponding to 76kbp the Williams 82 genome assembly (Glyma2.0) including 8 annotated genes. Glyma 07g.077700 gene identified NB-ARC gene in plant genomes that convey plant disease resistance against pathogens by producing R proteins. Also the resistance gene of aphid Rag1, Rag2, Raso1 identified the NB-ARC gene. We predict the foxglove aphid resitance gene, raso2, glyma.07g077700. In addition, these results provided useful information not only for marker-assisted selection for foxglove aphid resistance soybean 지구 환경 변화에 따른 지구 온도 상승으로 돌발 병해충이 증가함과 동시에 식엽해충에서 흡즙해충으로 해충의 발생양상이 변화하고 있다. 흡즙해충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식물체를 가해하여 작물의 심각한 수량감소를 야기시킨다. 본 연구는 콩에서 싸리수염 진딧물 저항성 유전자 탐색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싸리수염 진딧물 저항성 여부은 Williams 82, PI 366121, PI 230977, 소원을 이용하여 진딧물의 마리 수 및 진딧물의 한 세대 일수를 측정을 통해 확인하여다. 전기 섭식 패턴 분석을 위하여 EPG (Electronical Penetration Graph) test를 대풍, 태광 PI 366121에 실시하였다. 싸리수염 진딧물 저항성 유전분석은 소원과 PI 230977를 교배하여 얻은 F2 534개체를 Choice test하였다. 저항성 유전자 탐색을 위해 Williams 82와 PI 366121를 교배하여 얻은 F4:8 RIL (Recombinant inbred lines)을 표현형 조사를 위하여 Choice test와 No-choice test를 실시하고 Genotyping은 AxiomⓇ 180K soyaSNP array를 이용하였으며, Soybase를 이용하여 싸리수염 진딧물 후보 저항성 유전자를 탐색하였다. 싸리수염진딧물 저항성 확인 결과 PI 230977과 PI 366121에서는 진딧물이 식물체를 흡즙한 후 죽는 현상을 보여 저항성과 감수성 간의 차이를 확연히 볼 수 있었다. 전기섭식 신호 분석을 통해 감수성과 저항성 개체에서 체관부 파형의 지속시간이 차이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싸리수염 진딧물이 저항성 개체를 흡즙하는 것도 확인 되었다. PI 366121에 존재하는 싸리수염 진딧물 저항성 유전분석 결과 저항성과 감수성의 분리비가 1:3으로 단인자 열성 유전하는 것을 밝혔다. 싸리수염 진딧물 저항성 QTL은 7번 염색체의 73,5cM, AX-90334585 AX-90462843 마커 사이에 위치하였으며 QTL은 싸리수염 진딧물 저항성에 대해 높은 상관을 보였다. QTL 탐색 결과 선발된 마커 사이에 존재하는 후보 유전자는 총 8개였다. 8개의 유전자 중 Glyma.07g077700 유전자는 NB-ARC Domain 유전자로써 싸리수염 진딧물 저항성 유전자로 추정된다. 본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콩에서 싸리수염 진딧물 저항성 유전자를 기반으로 분자 마커를 개발하고, 그에 따라 다양한 싸리수염 진딧물 저항성 유전자원을 발굴해야 할 수 있을 것이다 . 또한 싸리수염 진딧물 저항성 개체를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여 쉽게 저항성 자원을 선발할 수 있으며, 선발 된 자원을 싸리수염 진딧물 저항성 품종육성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애니메이션 자막번역 전략 연구

        박수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번역을 통해 다양한 영상매체를 접하고 있다. 따라서 영상번역이 가지는 역할 및 중요성은 날로 증가할 것이라 예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영상번역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나 분석은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영한 자막번역, 즉 출발어가 영어이고 도착어가 한국어인 자막번역을 다루며 연구 대상은 국내에서 개봉된 후 DVD로 출시된 애니메이션으로 한정하였다. 연구 텍스트로는 애니메이션 흥행순위를 기준으로 하여 <슈렉 2>, <니모를 찾아서>, <인크레더블>, <아이스 에이지 2>, <몬스터 주식회사>로 선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다섯 편의 애니메이션을 대상으로 출발어 텍스트에서 도착어 텍스트로의 전환과정에서 어떠한 번역현상들이 발생하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방법들이 자막 수 축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일반 인쇄물 번역과는 달리 영상번역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따른다. 또한 영상번역이 가지는 시간과 공간적 제약 이외에도, 일반 문학과는 달리 영화라는 매체적 특성에 기인하여 텍스트 축소나 생략이 일어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영화는 영상 화면, 음성 그리고 자막이 합쳐져서 복합적으로 원문의 의미와 내용을 전달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 따른 생략이나 축소 이외에도 영상이나 소리 같은 비언어적인 정보에 의해 원문이 축소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다섯 편의 애니메이션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는 한 번에 보는 일회성이 강하기 때문에 관객에게 쉽고 빠르게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서 도착어 문화권의 언어 표현을 적극적으로 반영함으로써 텍스트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였다. 둘째, 전체적 축약은 자막 수를 축소하는데 큰 효과를 낼 뿐만 아니라 도착어 텍스트를 축소하는데 가장 일반적인 번역 전략으로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부분적 축약 중에서 주어, 호칭, 조사의 생략은 출발어에서 도착어로 번역시에 우리말 구어체에서 쓰이는 언어적 특징을 고려하여 생략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일상적인 대화의 생략이나 반복되는 출발어 텍스트를 단문으로 처리한 경우는 영화가 영상, 소리, 음악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수용자와 소통하는 장르라는 점과 연관되어 나타났다. 애니메이션 자막에 나타나는 번역전략들을 분석한 결과, 일반화(chunking up)와 대체(sideways chunking)같은 포괄하기(chunking)와 축약, 생략 등의 번역현상들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번역가는 축약과 생략을 통해 자막번역에서 언어의 경제성을 실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번역전략들을 통해 영화가 가지는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함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era of technology, we are exposed to various kinds of multimedia resources through translation and sometimes these multimedia resources characterize the nature of our life as well. In this sense, the importance of multimedia translation has become far bigger than before. Nevertheless, less attention and systematic researches have been done in regard to multimedia translation. This thesis aims to study and analyze English-Korean translation of animation subtitles. For the selection of animation, I have chosen the following five movies, <Shrek 2>, <Finding Nemo>, <The Incredibles>, <Ice Age 2> and <Monsters, Inc> for subtitle analysis. The selection has been based on the box office ranking.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analyze what kind of changes took place in the process of subtitle translation as well as how these changes affect the economy of words in subtitle translation. Unlike ordinary text translation such as manual or novel, multimedia translation involves the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Also, considering the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itself, this thesis proposes a hypothesis that the reduction or omission is to be inevitable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As film delivers the meaning and contents through the complex combination of picture, sound and subtitle, sometimes the reduction or omission is possible not only due to the limitation by time and space, but also with the help of non-linguistic information embedded in picture or sound. Based on this hypothesis, the analysis of the five animations result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because of the film's inherent characteristic of instant communication with children audience, animation is expected to deliver meanings to the audience in a fast and easy way. Thus, film subtitle translation often actively incorporates the target culture's linguistic patterns in order to maximize the lively effect of subtitle text to the target language audience. Second, condensation of more than two sentences into one is most effective and popular in subtitle translation. Third, in the process of partial condensation, the omission of subject, calling term and postposition marker is widely practiced in the subtitle translation from English into Korean. This is mainly due to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colloquial dialogue. The omission of clich? or patterned dialogue, or omission of repeated expression or dialogue are possible because of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film, an art form of a combination of picture, sound and music. This study has discovered that in the process of animation subtitle translation, strategies such as chunking including chunking-up and sideways chunking, condensation and omission have taken place. In addition, translators effectively realize the economy of words in subtitle translation through condensation and omission and by means of these strategies films can accomplish its mission of communication with audience.

      • 중학교 통합학급 음악수업 지도안 연구 : 중학교 1학년 중심으로

        박수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교 통합학급 음악수업 지도안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수교육대상자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지적장애학생을 포함한 중학교 1학년 통학학급을 대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통합교육의 이론적 토대와 지적장애와 관련된 배경들을 연구하였고, 통합학급 내에서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상호 의존성과 협력성을 기를 수 있으며 학급 전체가 참여 할 수 있는 활동을 목적으로 통합학급 음악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수업지도안은 교수적 수정과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를 적용하여 교육목표부터 평가까지 교육 과정들을 구체적으로 구성하였다. 감상, 가창, 합창, 신체표현, 악기연주 등 다양한 활동으로 이루어진 4개의 지도안을 총 6차시로 이루어진 수업으로 설계하였다. 먼저 통합교육의 개념과 우리나라 통합교육의 실태를 조사하여 음악 교수학습 방안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교육적 통합을 위한 방법으로 교수적 수정과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해 알아보고 음악교육에 적용시켜 교수 환경, 교수 방법, 교수 자료, 교수 내용, 혹은 평가 영역에서 구체적인 방안을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문헌을 통해 지적장애 학생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수업 방안을 모색하였다. 2015 개정 일반-특수 음악 교육과정을 검토 비교하여 모두의 교육적 목표를 충족하고 보다 실천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교수·학습지도안과 학습 자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통합학급을 담당하는 교사들은 대부분 전문성과는 별개로 배정이 되었으며 교육과정 수정과 특수교사의 협력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와의 인식 차이를 좁히는 노력이 필요하고 이것을 뒷받침할 수 있는 행정적인 지원이 강구되어야 한다. 중·고등학교 통합학급에서는 국어, 영어, 수학을 제외한 교과로 수업을 지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부족한 교과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교사의 교육 능력이 요구되며, 교수 지원과 후속조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인의 특성에 따라 교육적 요구가 달라지는 여러 환경 속에서 다양한 지도방안을 마련하는 계기로 이어지기를 바라며 통합학급을 대하는 일반교사들과 학생들의 인식 또한 긍정적인 영향이 미쳤으면 하는 바람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usic lesson plans for integrated classes in middle school. The study targeted seventh-grade integrated classes in middle school in which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eld the biggest percentage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After examin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integrated education and backgrounds related to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investigator proposed a music lesson plan for integrated classes designed to help both common student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develop mutual dependence and cooperation in an integrated class and to provide them with activities that the entire class could participate in. By applying the principles of instructional adaptation an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e investigator organized a specific lesson plan to cover the educational process from setting a goal to conducting an evaluation. Consisting of diverse activities, including appreciation, singing, chorus, body expression, and instrument playing, four lessons plans were used to design a six-lesson program. The study first examined the concept of integrated education and the actual state of integrated education in the nation to raise a need for teaching and learning plans for music. It also looked into instructional adaptation an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s methods of educational integration between common student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pplied them to music education, figuring out specific plans in the areas of teaching environment, methods, materials, and content and evaluation. Furthermore, the study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ased on literature and searched for lesson plans that were suitable for them. After reviewing and comparing the general and special music curriculums revised in 2015, the investigator provided a series of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al plans and learning materials to meet all the goals of education and to propose more practical plans. The findings show that most of the teachers responsible for integrated classes were appointed regardless of their professional background, and there were only a few cases of curricular revision and collaboration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m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ed to make a greater effort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ir perceptions, and there should be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eir effort. In most cases, Korean, English and Math are excluded from lesson plans for integrated classes in middle and high school, which raises a need for teachers to develop their educational abilities to support insufficient subjects along with instructional support and follow-up measur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opefully lead to a variety of instructional plans in many different environments where educational needs will vary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perceptions of integrated classes among common teachers and students.

      • 약품자동화시스템이 응급간호 적시성 및 간호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수민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Automated Dispensing Cabinet(ADC) on the timeliness of emergency nursing and nurses’ satisfaction.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medical records collected according to the Case Report From. The indicator of the timeliness of emergency nursing in this study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Quality evaluation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and literature review and refers to ‘order-to-antibiotic time’ and ‘door to antibiotic time’ for the pneumonia group, ‘order-to rtPA(recombinant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time’ and ‘door to rtPA time’ for Acute stroke group.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733 pneumonia patients, and 25 Acute stroke patients aged 18 years or over who visited the regional emergency center located in U city for 12 month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For the satisfaction survey, 60 nurses who use the ADC complet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n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 and χ2-test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t was observed that the average time from the door-to-antibiotic administration decreased(218.30±150.32 vs. 183.94±151.61, p=.004)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ADC. The order-to-antibiotic administration time also showed a decrease(60.16±61.98 vs. 37.24±36.50, p<.001) in the pneumonia group. 2. It was observed that the average time from the door-to-rtPA administration time decreased(68.62±33.79 vs. 49.28±23.96, p=.035)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ADC. The order-to-rtPA administration time increased, but it was no significant results(12.81±14.17 vs. 14.92±16.80, p=.229). The rtPA administration time ≤ 60 min(%) was significantly increased(57.1% vs. 73.9, p=.018) in the acute stroke group. 3.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mergency nursing timeliness with the severity of the pneumonia group, the average time from the door-to-antibiotic administration time decreased significantly in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KTAS) Level 1 (Z=-2.80, p=.005) and 3(t=3.97, p<.001). In KTAS Level 2 increased slightly after ADC implement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t=-0.08, p=.939). The average time from the order-to-antibiotic administration tim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KTAS Level(Level 1: Z=-2.72, p=.007, 2: t=3.29, p=.005, 3: t=4.49, p<.001). 4. Nurses' satisfaction with the Automated Dispensing Cabinet was 31.63 out of 40, the average satisfaction score of nurses who worked before ADC implementation was 30.63, and the average satisfaction score of nurses who worked after ADC implementation was 32.48. It showed that nurses who worked after ADC implementation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system.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cores of the two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Z=-1.36, p=.102). 5. The question with high satisfaction score was 'ADC system is easy to use and understand.', 'It is easy to find the drug location in the ADC.', and 'ADC helps to reduce medication errors.‘ 6. Satisfaction with the ADC was significantly higher as the nurse's clinical career in ED was shorter(χ2=9.67, p=.022) and the number of times of use was higher(Z=-3.98, p<.001).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Automated Dispensing Cabinet is a way to improve the timeliness of emergency nursing and increase work efficiency. In addition, enhancing patient safety by preventing medication errors.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by expanding and applying the Automated Dispensing Cabinet to the field of nursing. Keywords: Automated Dispensing Cabinet, Timeliness of Emergency Nursing, Nurse Satisfaction 본 연구는 약품관리자동화시스템이 응급간호 적시성과 간호사 만족도에 미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2018년 1월부터 2018년 12월, 2020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U광역시 소재 권역응급의료센터로 내원한 성인 환자 중 폐렴군 733명, 뇌졸중군 25명의 의무기록과 해당 응급실에 근무 중인 간호사 60명이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와 문헌고찰을 토대로 구성한 응급간호 적시성 지표는 증례 기록지 양식에 따라 의무기록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약품관리자동화시스템 만족도는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 및 χ2-test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품관리자동화시스템 도입으로 폐렴군의 입실부터 항생제 투여까지의 시간이 218.30분에서 183.94분으로(t=2.87, p=.004), 항생제 처방부터 투여까지의 시간이 60.16분에서 37.24분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t=6.26, p<.001). 2. 약품관리자동화시스템 도입으로 뇌졸중군의 입실부터 정맥내 재조합 조직플라스미노젠 활성제(recombinant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이하 rtPA) 투여까지의 시간이 68.62분에서 49.28분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Z=-2.11, p=.035), rtPA 처방부터 투여까지의 시간은 12.81±14.17분에서 14.92±16.80분에서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Z=-1.20, p=.229). 60분 이내 rtPA 투여율은 52.7%에서 73.9%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5.636, p=.018). 3.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 도구(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이하 KTAS)에 따라 폐렴군을 중증도별로 분류하여 응급간호 적시성 지표를 확인한 결과, 입실부터 항생제 투여까지의 시간은 1등급(Z=-2.80, p=.005), 3등급(t=3.97, p<.001)에서 약품관리자동화시스템 도입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KTAS 2등급은 시스템 도입 후 소요 시간이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0.08, p=.939). 항생제 처방부터 투여까지의 시간은 KTAS 1등급(Z=-2.72, p=.007), 2등급(t=3.29, p=.005), 3등급(t=4.49, p<.001)에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간호사의 약품관리자동화시스템 만족도는 40점 만점에 31.63점이었으며 만족도가 높았던 문항은 ‘약품관리자동화시스템은 사용하고 이해하기 용이하다.’, ‘약품관리자동화시스템 내 약품 위치는 찾기 수월하다.’ 그리고 ’약품관리자동화시스템은 투약오류 감소에 도움이 된다.‘이었다. 5. 약품관리자동화시스템 만족도는 간호사의 응급실 근무경력이 낮을수록(χ2=9.67, p=.022), 약품관리자동화시스템 이용 횟수가 많을수록(Z=-3.98, p<.001)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시스템 도입 후부터 근무한 간호사의 만족도는 도입 전부터 근무한 간호사보다 높았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Z=-1.36, p=.102). 이상의 연구 결과 통해 약품관리자동화시스템의 도입이 응급간호 적시성을 개선하고 업무의 효율을 높이며, 투약오류를 예방하여 환자안전을 증진 할 수 있는 방안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간호 실무현장에 약품관리자동화시스템을 확대 적용함으로써 응급의료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약품관리자동화시스템, 응급간호 적시성, 간호사 만족도

      • 조선궁궐단청 머리초양식 연구

        박수민 한서대학교 국제디자인융합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단청은 목조 건축의 내구성 강화와 동시에 권위의 상징 및 종교적 장엄에 목적을 둔다. 아울러 조선시대 궁궐의 단청은 양식적으로 웅건하면서도 절제된 장식의 특성을 잘 보여주는 바, 이는 권위와 부귀, 장수를 상징하는 문양채색이 주류를 이루며, 간결하면서도 조화로운 채색을 통하여 그 품격이 더해짐을 알 수 있다. 한편 현전하는 조선시대 궁궐의 단청은 한국단청양식의 전모를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므로, 조선의 5대 궁궐 중 경희궁을 제외한 나머지 4대 궁궐은 그 영역이 각기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조선궁궐 건축물 중 역사성과 예술적 가치가 인정된 국보 · 보물의 지정 문화재는 25건에 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단청이 전해지는 총 21동 조선시대 궁궐 건축의 주요 단청머리초를 대상으로 하여 조선궁궐 건축단청의 머리초양식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서, 시대적 변천에 따른 양식 특성 및 건축 품계에 따른 등급별 단청머리초 양식의 특징에 대해 고찰하는데 있는 바, 그 내용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존하는 조선궁궐 단청유산을 제 1기(17~18C), 제 2기(19C), 제 3기(20C 전반)의 3기의 시기로 구분하고, 이들 약 3백 년 동안 영건된 건축단청 유물을 분석해 봄으로서, 조선궁궐단청의 각 시기별 변천 및 양식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조선궁궐의 각종 건축의 위계에 따른 머리초양식의 변화와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궁궐의 건축은 정전 · 편전 · 내전 · 궐내각사 · 누각 · 대문 등 위계에 따른 건축의 품계가 상이하다. 이에 따라 궁궐건축의 등급별로 장식된 머리초구성의 양식차이가 명확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조선궁궐의 단청머리초 양식은 각 시대마다 당대의 불교사찰 단청머리초 양식과 기조를 같이 하면서도 창의성이 다분한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19세기 중반 이후 조선궁궐의 상징성과 특수성이 반영된 창의적인 양식의 머리초가 창출된 점이 조선궁궐 단청머리초양식의 대표적인 특징이라 결론지을 수 있다. Dancheong aims to strengthen the durability of wooden architecture and to symbolize authority and religious majesty. In addition, the dancheong of the Joseon Dynasty palace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stylistically majestic and restrained decoration, which shows that the color of patterns symbolizing authority, wealth, and longevity is mainstream, and its dignity is added through simple and harmonious coloring. Meanwhile, the Dancheong of the Joseon Dynasty palaces is very important for grasping the full picture of the Korean Dancheong style, so the remaining four palaces except Gyeonghui Palace were designated as historic sites, and 25 of the Joseon palace buildings as national treas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oricho style of Dancheong in Joseon Dynasty palace architecture in a total of 21 buildings, and the characteristics of Dancheong according to the times and architectures. First, the existing Dancheong Heritage Site of Joseon Palace was categorized into three periods as follows: the first (17-18C), the second (19C), and the third (20C overall), and by analyzing the relics of the Dancheong, which were built for about 300 years, the changes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of Joseon Palace Dancheong could be clearly identified. Second, we looked at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eoricho style according to the hierarchy of various architectures of the Joseon palace. The architecture of the Joseon palace differs according to the hierarchy of the architecture, such as the Main Hall of Royal Palace(正殿), pyeonjeon(便殿), the inner palace(內殿), Gueolnaegaksa(闕內各司), pavilion, and palace gate. Through this, the difference in style of the meoricho composition decorated by grade of palace architecture could be clarified. Consequently, the Dancheong meoricho style of the Joseon palace has a lot of creativity in each era along with the Buddhist temple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reation of unique styles which reflected the symbolism and distinctiveness of Joseon palaces after the mid-19th century was the representative feature of the Dancheong meoricho style of Joseon pala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