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엘레나 알메이다(Helena Almeida)의'신체성' 연구 : '거주' 개념을 중심으로

        김효영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엘레나 알메이다(Helena Almeida, 1934년생, 리스본)는 개념미술 여성작가이다. 작가는 회화를 공부했으나, 초기에 모더니즘과 회화의 평면성을 극복하고자 다분히 노력했다. 이후 알메이다는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예술의 경계를 넘나들며 작업을 해오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작가의 신체가 중요하게 위치해 있다. 알메이다의 신체는 작품으로서 제시되고, 자신의 신체를 담기 위한 개념적 방법으로 사진과 비디오를 채택한다. 본 논문은 알메이다가 작업에서 지속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거주’ 개념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작가는 드로잉과 페인팅 행위를 드러내고 그 행위 안에서, 더 나아가 작품 안에서 ‘거주’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식적 표현들을 사용한다. ‘거주’는 작가 작업 대부분을 관통하는 것이다. 수잔 로버슨(Susan Roberson)에 의하면 집은 ‘돌아가야 할 이상적인 곳이거나 재배치되어 새롭게 되어야 할 곳'이거나 '감금되어 도망쳐야 할 곳'으로 이중성을 내포하고 있다. 알메이다는 자신의 신체를 집으로서 표현한다. 이는 결국 작가의 신체가 집이자 작품으로 현시된다. 여성의 신체를 작품과 집으로 표현하는 동시대 작가들이 많이 있으나, 알메이다가 ‘거주’ 개념을 가지고 이를 제시한다는 것은 다른 이들과 구분되는 지점이다. 연구자는 여기에 주목하였고, 이것이 본 논문의 출발점이다. 작품을 관통하는 ‘거주’의 개념과 ‘거주’하기 위한 표현 방법들 그리고 드러난 신체는 작품 안에서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알기 위해서 ‘거주’의 의미를 짚어보고 작가의 작품에서 지니는 ‘거주’의 의미를 재고한다. 일반적으로 알메이다의 작품은 신체미술, 과정미술, 개념미술, 행위미술 등의 다양한 맥락들이 통합되어 있어 정확하게 어떠한 맥락으로서 집어내기 어렵다. 하지만 연구자는 알메이다의 신체에 주목함으로써 다양성을 포괄적으로 분석해 본다. 또한 작가는 개념이 깃든 과정의 마지막 작업으로서 사진, 비디오를 사용하는데, 이와 같은 완결된 작업은 신체를 드러낸다. 작품에서 드러나는 신체성에 관한 부분들을 신체미술로 짚어보고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1939)의 언캐니, 자크 라캉(Jacques Lacan, 1901-1981)의 거울단계 논의를 바탕으로 작품 해석을 시도한다. 알메이다의 많은 사진에서는 회화, 조각, 퍼포먼스, 영화적 특성이 혼성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사진과 비디오 작업을 프로세스의 마지막으로 사용하는 전개 방향은 포스트미니멀리즘 미술경향들과 방법적 유사성을 공유한다. 본 논문은 국내에 아직 많이 알려지지 않은 작가의 작품을 ‘신체’와 ‘거주’라는 키워드로 이해하고, 다양한 정신분석학적 논의를 통해 분석하고 소개하며, 동시대 주요한 예술가로서 위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표이다. Helena Almeida(born in 1934, Lisbon) is a female conceptual artist. She studied painting but at the beginning she has strived to overcome the planarity of modernism and painting. Since then, Almeida has been working on different types of art crossing artistic boundaries through various media and her body stands at the center of her art. Almeida presents the body as an art work and chose photography and video as a conceptual method to capture her own body. This thesis focuses on the concept of ‘inhabitance’, a topic which continuously appears on Almeida’s artworks. The artist shows acts of drawing and painting and used various conventional expressions in order to inhabit in those acts as well as in the artwork itself. ‘Inhabitance’ is what penetrates most of the artists’ artworks. According to Susan Roberson, home is a place of an ambiguous meaning ‘an ideal one attempts to return to or recreate with each relocation’ or ‘an imprisonment from which one attempts to flee’. Almeida represents her body as a home. This, eventually, displays the artists’ body as a home as well as an artwork. Numbers of contemporary artists represent women’s body as an artwork and a home but Almeida differentiates her artwork from others’ by presenting it with a concept of ‘inhabitance’. Researchers were attracted to this and this was the beginning of this thesis. The concept of ‘inhabitance’ which penetrates the artwork, expressing methods to inhabit in the artwork and the body which has been revealed has organic relationships within the artwork. In order to understand this, the artist goes over the meaning of ‘inhabitance’ and revisits the meaning of ‘inhabitance’ within the artwork. Generally, since Almeida’s artworks are integrated into various contexts such as Body art, Process art, Conceptual art and Performance ar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her artwork in a certain context. But the researcher analyzes the diversity by focusing on Almeida’s body. Moreover, the artist uses photographs and videos as the last process containing the concept and this complete process reveals the body. This attempts to interpret the artwork by going over the bodily characteristics in the artwork using the concept of body art and through discussing the concept of ‘The Uncanny’ by Sigmund Freud(1856-1939) as well as ‘The Mirror stage’ by Jacques Lacan(1901-1981). The artists’ photographs have heterogeneous characteristics of drawing, sculpting, performance and motion pictures. Almeida’s way of using photographs and videos as the last process of her artwork shares methodological similarities with artistic trends of the Post-Minimalis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terpret artworks of an artist who is lesser-known in Korea, through using key words which are ‘body’ and ‘inhabitance’ to analyze and introduce the artwork through psychoanalytic discussions and to propose the possibility of making the artist stand at the center of the contemporary art scene.

      • 기독청년들을 위한 결혼예비교육에 관한 연구

        김효영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결혼 또는 가정은 독특하게 기독교 질서에 속해있는 것이 아니라 자연 질서에 속해 있다. 즉 결혼과 가정에 대한 하나님의 목적과 법칙은 신자뿐만 아니라 불신자의 결혼에도 적용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들은 성경적인 결혼관의 의미를 바로 깨달아, 세상을 향해 결혼생활에서 본을 보여야 할 것이다. 결혼의 성경적 진정한 의미는 ‘불완전한 두 개체가 만나서 하나의 성숙한 그리고 완전한 개체를 이루기 위한 노력하는 과정’이다. 그런데 이 성숙하고 완전한 개체를 이루기 위한 과정은 결코 거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두 남녀의 부단한 노력과 인내가 없이는 결코 성숙한 결혼과 원만한 가정을 이룰 수 없다. 결혼생활을 영위해 가는 과정에서 그야말로 ‘자신의 모든 것을 드리는 헌신의 자세’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결혼은 내가 누리는 것이 아니고 섬기는 것이며, 철저하게 사랑으로 헌신하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 사회는 이러한 성경적 결혼에 심각한 위기가 발생하고 있다. 통계청 통계자료에 의하면 한국 남녀의 절반 가까이(47%)는 다시 태어나도 현재 배우자와 결혼할 의사가 없다고 했으며, 44.2%는 이혼을 고려한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이것은 우리 사회와 교회가 결혼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생각하도록 경종을 울리고 있다. 이혼을 고려할 정도로 심각한 갈등을 겪고 있는 가정들의 문제는 기독교 가정에서 겪고 있는 문제와 별반 다를 게 없다. 오늘날 기독교 가정의 결혼생활에서 발생하고 있는 대표적 문제들을 네 가지측면에서 정리되었다. 그것은 성적인 문제, 고부관계의 문제, 부부관계의 갈등, 자녀양육의 문제 등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결혼예비교육’을 제시했다. 결혼예비교육은 결혼에 필요한 실질적인 지식과 정보를 갖게 되며, 배우자와의 의사소통기술과 창조적인 갈등해결 방법, 그리고 이상적인 이성교제와 바른 배우자를 선택할 수 있는 지침서이다. 그 내용들을 살펴본다. 오늘날 왜곡된 성 지식은 가정을 파괴하고 있다. 인간의 '性'(성)은 心(마음)과 生(몸)이 결합된 형성문자로 전인격(全人格)의 의미를 지닌다. 전 인격적인 성은 합법적이고 정당한 혼인관계 안에서 이루어진다. 그렇지 않으면 옳지 못한 결합이며 ‘음행’이다. ‘음행’의 원어적인 의미에는 미혼자들의 성행위, 기혼자들의 혼외정사 그리고 온갖 비윤리적인 성행위가 포함된다. 고부갈등은 시어머니가 아들을 제대로 떠나보내지 못하고 ‘정신적인 탯줄’을 달고 다닐 때 고부간의 갈등은 필연적인 것이다. 고부갈등의 해결 열쇠는 먼저 시어머니의 의지 여하에 달려 있다. 우선 시어머니는 아들과의 공생적 관계를 해체하고 아들을 떠나보내야 한다. 그래서 모자관계를 떠나 부부관계로 전환해야 한다. 고부 갈등 해소를 위한 또 다른 측면은 부부는 시어머니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인생의 가을이라고 하는 이 시기의 시어머니는 자녀를 떠나보내면서 심한 공허감을 느끼며 건강이 위협받는 시기이므로 부부는 따스한 가슴으로 시어머니의 마음을 헤아려야 할 것이다. 부부갈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첫째로 부부의 의사소통 기술이 필요 하다. 의사소통 기술에서는 신체 언어를 들어야 한다. 상대의 참 뜻은 언어로 7%만이 전달되고 나머지는 그 사람의 음성 높낮이 38%, 몸짓언어가 55%를 차지한다. 부부간의 차이는 나와 다르다고 해서 나쁜 것, 틀린 것이 아니다. 그 갈등의 해결 방법은 상대를 이해하고 인정하는 능력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에 있다. 부정적인 자아상은 ‘한 몸’을 이루지 못하게 하는 아주 심각한 문제이다. 자아상 회복을 위한 주요소로는 자기이해, 자기수용, 자기개방, 피드백이 있다. 평생을 키워가야 하는 조화로운 사랑은 에로스, 필레오, 아가페의 균형 잡힌 사랑이다. 자녀와의 갈등에서, 자녀는 부모의 ‘소유물’이 아니라 양육하고 돌봐 주어야 하는 하나님의 선물이다. 내가 맡아 돌본다는 ‘청지기’ 정신이 성경의 가르침이다. 아이는 태어나면서부터 평생 동안 사랑을 받으며 성장해야하는 존재이다. 영아시절 어머니의 사랑을 시초로 하여 아버지의 사랑, 교사의 사랑, 친구의 사랑, 배우자의 사랑으로 내면에 이러한 사랑이 충만하면 아이는 언제 어디에서나 누구에게든지 사랑을 베풀며 살아가게 된다. 내면에 축적된 충만한 사랑은 자연스럽게 외부로 넘치게 된다. 이 역할은 어머니 몫이다. 결혼예비교육의 실제적 접근에서, 이상적인 이성교제에는 데이트와 구혼과정을 구분 짓는다. 데이트는 결혼에 관한 언질을 내포하지 않으며, 넓게 두루 두루 이성과 사귀면서 다양한 성격과 종교 및 가치관을 지닌 이성을 만나서 차차 구혼과정을 밟아간다. 구혼과정은 결혼을 전제로 만나는 친밀한 교제이며, 자신의 말과 행동에 책임이 따른다. 성경적인 배우자는 대조자 또는 반대자, 대칭자로서 자신과는 라이프스타일이 반대의 성향이며, 자신의 부족한 면을 채워주는 상호 보완자이다.

      • 초등사회과 지도개념의 교수학적 변환에 관한 연구

        김효영 부산교육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사회과 지도개념과 관련된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과정의 양상을 알아보는 것이다. 교수학적 변환이란, 학문적 지식을 가르칠 지식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특히, 교육적 의도에 의한 지식의 변형을 의미한다. 학교에서 사회과의 지리 지식은 지리학 및 지리교육에서부터 교육과정, 교과서를 거쳐 학생에게 전달되고 각 과정에서 교수학적 변환을 하는 주체는 교육과정 개발자, 교과서 저자, 교사이다. 이에 대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시적 측면에서 지도 개념에 관련된 내용의 교수학적 변환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 지리학 및 지리교육에서 교육과정으로 옮겨지면서 변환된 내용은 무엇인가? ․ 교육과정에서 교과서로 옮겨지면서 변환된 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미시적 측면에서 지도 개념에 관련된 내용의 교수학적 변환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 교사가 수업에서 지도 개념을 가르칠 때 어떻게 교수학적 변환을 하는가? ․ 교사가 수업에서 지도 개념을 가르칠 때 극단적으로 교수학적 변환을 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1차부터 7차까지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3명의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수업 관찰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지리학 및 지리교육에서 교육과정으로 옮겨질 때 지도의 여러 가지 주요 개념 중에서 지도읽기(독도) 내용 위주로 변환되었으나 교육과정 개정을 거듭하면서 해석하기(판독), 그리기(작도)로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또, 환경 확대법의 원칙에 의해 세계수준(1차)과 국가수준(2차)에서 지역수준(3차부터)으로 범위가 축소되었다. 둘째, 교육과정에서 지도읽기(독도)위주로 선택된 지식이 교과서로 옮겨지면서 축척, 방위, 기호, 등고선/등심선라는 구체적인 개념으로 변환되었다.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제시되는 개념의 수와 범주, 제시 순서는 교육과정 개발자의 교수학적 의도에 따라 다르게 변환되기도 한다. 그리고 1~2차의 교과서에서는 개념에 대한 정의를 사용하고, 3~5차에는 정의는 생략되고 보충설명을 상세하게 하며, 6~7차에는 구체적인 설명보다는 그림이나 표와 함께 학습자의 활동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서술되는 경향성을 보인다. 그리고 7차 교육과정에서 7차 교과서로의 변환을 유형별로 나누어 보았을 때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던 ‘지도의 요소와 표현 방법’은 교과서로 대부분 일치되어 변환되었으나 ‘백지도에 지역의 생활 모습 나타내기’는 간접적이거나 축소되어 변환되었다. 셋째, 교과서의 내용을 교사들이 ‘가르칠 지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상에서 공통적으로 변환시키는 부분이 있으며, 이 때 주로 사용하는 교재가 같으면 공통적인 내용이 더욱 많아진다. 그리고 다르게 변환할 때는 교과서 이외의 내용 중에서 교사의 판단에 의해 내용이 추가되거나 혹은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지만 삭제된 경우이다. 또, 교사가 교수학적 변환 과정에서 교과서의 내용을 잘못 변환시키는 오류가 발생하기도 한다. 넷째, 교사들의 교수학적 변환의 방법에서 개인화/배경화 측면에서는 교사들은 교과서에서 유도되어진 교수학적 변환의 진행 방식을 그대로 따르기도 하고 교사만의 독자적인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탈개인화/탈배경화 측면에서 교사들은 교과서에서 제시되고 있는 교수학적 변환들을 충실하게 따르는 경향을 보인다. 그리고, 교사는 수업에서 탈개인화/탈배경화 측면보다는 개인화/배경화의 측면에 더 많은 시간적 할애를 하였다. 다섯째, 극단적 교수학적 변환의 측면에서 초등학교 사회과 지도개념 수업에서 ‘형식적 고착’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토파즈 효과’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극단적 교수학적 변환 현상은 특정 교사에게 편중되어서 나타나므로 이것은 교사의 개인적인 습관과 성향이 반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과 교과서의 구성과도 관련이 있는데, 교과서에서 그림이나 표, 내용 서술이 생략되고 활동만 제시되어 있는 개념일수록 교사들은 극단적 교수학적 변환을 한다. 각 단계에서 지식이 어떻게 변환되는지의 과정을 살펴본 이 연구는 좋은 수업을 위해 각 교수학적 변환 주체의 반성적 실행을 이끌어내어 긍정적인 방향으로 교수학적 변환의 주체가 될 수 있게 노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학생들에게 개념을 전달하는데 있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교사가 교수학적 변환의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가르쳐야하는 개념에 대한 안목과 시각을 확대하는데 도움을 준다. 즉, 개념을 한층 더 넓고 깊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교육과정, 교과서, 교사 자신의 의도가 있는 방향성을 가진 수업을 할 수 있게 된다.

      • 발주자 수행형 CM의 요소기술과 그 정착방안에 관한 연구 : 공공발주기관을 중심으로

        김효영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건설산업은 지난 10여년간 꾸준히 GDP의 15∼20%를 차지하는 등 국가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산업으로서 건설산업의 효율성 제고는 국가경제 발전의 차원에서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내적으로 부실시공으로 대변되어온 건설산업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극복하고 건설산업 전반에 걸친 품질향상을 이룩하여야 하는 당면과제를 안고 있으며, 외적으로는 시장개방과 국제화, 세계화시대를 대비하며 기술발전과 개발을 통한 경쟁력 향상과 활로개척에 주력하여야 할 때이다. 건설프로젝트의 성패는 발주자의 역량에 비례한다고 한다. 발주자의 능력과 안목이 프로젝트의 성공을 좌우하며 CM 활성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고 하겠다. 발주자 수행형 CM의 요소기술은 필연적으로 건설프로세스에 따른 단계 별 수행내용과 밀접한 연관관계가 있으며, 다른 유형의 CM과 마찬가지로 건축기술, 조직, 관리 등에 관점이 형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성공적인 CMr로서의 활동을 위해서는 건축기술 측면에서 공법, 장비, 계약 및 관련 세부기술에 능통해야 하며, 건설계약 및 관리조직 구성 등에 있어 리더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고, 프로젝트가 정해진 기간 및 비용, 품질의 범위 내에서 완성 될 수 있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각종 문헌을 통하여 CM의 개념과 주요업무 및 역할, 국내외 운영 실태, 발주자 수행형 CM의 요소기술 특성을 분석하였고, 공공발주기관의 건설사업 추진 현황 및 문제점 분석을 위하여 주요 발주기관의 건설사업 수행을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발주자 수행형 CM의 요소기술 정착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발주자 수행형 CM의 요소기술은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핵심기술로서 타당성 조사기법, 공정관리기술, 클레임관리 등이 중요한 요소 기술로 인식되고 있으며, 건설 프로젝트가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완성 될 수 있도록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둘째, 공공발주기관의 CM 경쟁력은 개인기업보다 우수하다고 보며 이와 같은 상황에서 발주자 수행형 CM 체계를 위주로 운영하고, 발주자의 업무 능력을 초과하는 공사에 대하여 사업특성과 여건을 감안하여 특정의 용역을 차용하므로써 능력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경쟁력 강화를 위한 CM 시스템 구축 방안으로서 경영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인재육성전략 실행 및 기업의 총체적 능력 선진화, 신속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문제해결 능력 향상, 계약문화의 올바른 정착이 필요하다. 넷째, CM 요소기술의 효과적인 정착을 위하여 기획능력 향상, 설계부실 방지, 내실있는 VE 추진 및 LCC 검토, 품질경영 시스템의 운영 내실화, 클레임 및 분쟁의 예방, 공사정보관리 시스템의 효율적 활용이 요구된다. For the last decade,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has steadily grown, accounting for 15 ∼ 20% of GDP only to contribute remarkably to the national economy. Hence, it may well be very important in terms of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Our construction industry faces a challenge of overcoming the negative view of them and improving their quality across their whole businesses internally, and responding to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the construction markets externally. So, now is the time when our construction industry should sharpen their competitive edge and explore the markets through continued technological development. It is said that the success of a construction project may depend on owner's capacity. In other words, owner's ability and perspective will determine whether a project will succeed or not, and in this regard, owners may play an essential role in activating CM. The elementary technologies in owner CM are necessarily and closely associated with the phased implementation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processes, and like other types of CM, they are focused on architectural technologies, organization and management. Namely, in order to be a successful CMr, he should be well versed in processes, equipments, contract and other technologies, and thereby, should be able to play a leading role in construction contracting and organization, and furthermore, should be able to manage the construction to meet the delivery time, cost limit and quality criteria. For this study, various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to examine the concept, major credits and roles of CM, conditions of CM in domestic and foreign markets, and elementary technologies of owner CM. Thereupon, in order to analyze public owners' construction projects and their problems, public owners' officials in charge of contracting were survey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an interview. Based on such reviews and surveys, the following reform measures for establishment of the elementary technologies in owner CM are suggested; First, the elementary technologies in owner CM are recognized as core technologie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 project, and in particular, feasibility survey technique, process management technology and claim management are recognized much. So, such elementary CM technologies need to be actively used to have the construction projects completed in a scientific and reasonable way. Second, the public owners' CM seems to be more competitive than private companys'. Hence, it is deemed necessary to operate the owner CM system primarily and outsource the private CM secondarily in consideration of project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in case the owner CM is overloaded. Third, as a way to construct a competitive CM system, it is necessary to use the managerial resources effectively, bring up CM professionals, enhance companies' total capacity, solve the problems quickly through reasonable decision-makings, and establish a correct contracting culture. Fourth, in order to effectively establish the elementary CM technologies, it is deemed desirable to enhance the planning capacity, prevent poor designing, pursue a practical VE, review LCC, operate a quality management system, prevent claims or disputes and use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effectively.

      • 지역사회 허약노인과 비허약노인의 신체기능, 건강관련 삶의 질 및 자아통합감

        김효영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을 허약성 판단기준에 따라 허약노인과 비허약노인으로 분류하고 두 집단의 신체기능, 건강관련 삶의 질 및 자아통합감을 비교함으로써 허약노인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심리적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허약상태의 예방과 허약노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수집은 2008년 8월 1일부터 2008년 9월 2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소재 14개 경로당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환자 196명을 대상으로 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2.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 191명 중 허약성 판단기준에 따라 분류된 허약노인은 37.2%, 비허약노인은 62.8%이었다. 2. 허약노인과 비허약노인의 평균 만성질병수는 각각 평균 2.17개, 1.59개로 허약노인이 비허약노인보다 유의하게 많았고(t=3.68, p=0.000), 주관적 건강상태(p=0.000), 동년배와 비교한 건강상태(p=0.000), 건강상태에 대한 만족감(p=0.000), 걷기운동(p=0.000), 유연성 운동(p=0.000), 근력운동(p=0.000)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신체기능에서 허약노인과 비허약노인의 운동능력(p=0.000), 양손 악력(p=0.000), 보행속도(p=0.00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0), 시력(p=0.000), 청력(p=0.018), 씹기(p=0.000)상태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ADL/IADL 제한 항목수에서 허약노인이 비허약노인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p=0.000). 4. 허약노인과 비허약노인은 건강관련 삶의 질은 운동능력(p=0.000), 자기관리(p=0.000), 일상활동(p=0.000), 통증/불편(p=0.000), 불안/우울(p=0.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건강상태 총 평균점수는 각각 47.89점, 81.58점으로, 허약노인이 비허약노인보다 유의하게 낮았다(t=-9.53, p=0.000). 5. 허약노인과 비허약노인의 자아통합감 총점의 평균점수는 각각 89.68점, 112점으로 허약노인이 비허약노인보다 유의하게 낮았다(t=-11.90, p=0.000).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지역사회 노인 중 허약노인이 37%로 나타났으며, 비허약노인보다 낮은 건강상태, 신체기능, 건강관련 삶의 질 및 자아통합감을 보였다. 따라서 지역사회 노인 중 허약노인을 분류하여 신체적, 정서적, 사회·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허약상태의 예방과 허약노인 관리를 위한 적절한 중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ategorize the elderly of a local community into the frail and non-frail groups based on the definitions of frailty and to compare the two groups in terms of physical function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ego-integrity. It also aimed to examine the physical, emotional, and soci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rail elderly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prevent the state of frailty and monitor the frail elderly. Data were gathered from August 1 to September 20, 2008, and research design followed that of a descriptive study. And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196 elderly people that were aged 65 or older and visited one of 14 halls for the aged in D Metropolitan City. Using the SPSS WIN 12.0 program,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est, and t-test. The research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Of the 191 subjects, 37.2% were categorized into the frail group and 62.8% into the non-frail group according to the definitions of frailty. 2. The mean number of chronic diseases the frail and non-frail elderly had was 2.17 and 1.59, respectively, which means the frail elderly had significantly more chronic diseases than the non-frail elderly(t=3.68, p=0.000).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subjective health state(p=0.000), health state compared to peers(p=0.000), satisfaction with health condition(p=0.000), walking exercise(p=0.000), flexibility exercise(p=0.000) and muscle exercise(p=0.000). 3. As for the physical function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observed between them in physical performance(p=0.000), grip strength(p=0.000), walking speed(p=0.000), eye sight(p=0.000), hearing(p=0.000), and chewing(p=0.000). The frail elderly had significantly more ADL/IADL items than the non-frail elderly(p=0.000). 4. As fo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mobility(p=0.000), self-care(p=0.000), usual activity(p=0.000), pain/discomfort(p=0.000), and anxiety/depression(p=0.000). The mean total scores of health condition were 47.89 and 81.58 for the frail and non-frail elderly, respectively, which means the former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latter group(t=-9.53, p=0.000). 5. The mean total scores of ego-integrity were 89.68 and 112 for the frail and non-frail elderly, respectively, which indicates that the former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latter group(t=-11.90, p=0.000). In short, 37% of the elderly of the local community turned out to be frail and were lower than the non-frail elderly in terms of health condition, physical function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ego-integrity. Thus there is a need to identify the frail elderly in a community, understand them in the physical, emotional, and sociopsychological aspects, and provide them with proper interventions to prevent frailty and monitor the frail elderly.

      • 릴리안 메이 밀러(Lilian May Miller, 1895-1943)의 생애와 작품 연구 : 한국 소재 작품을 중심으로

        김효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20세기 초 동양을 소재로 작품 활동을 한 미국인 화가 릴리안 메이 밀러(Lilian May Miller, 1895-1943)의 생애와 활동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한국을 소재로 다룬 그림들을 중심으로 작품을 분석한 글이다. 릴리안 밀러는 일본 도쿄(東京)에서 태어나 아홉 살에 가노파(狩野派) 화숙에 입문하면서 화가의 길로 들어섰다. 밀러는 근대 일본화풍의 수묵화와 수묵담채화를 중심으로 작품 활동을 전개했다. 일본화풍으로 한국을 그린 풍경화를 제2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하여 입선하기도 했다. 1920년경 일본 다색 목판화 기술을 배워 일본화와 목판화 작품 활동을 병행하며 활동 분야를 넓혀갔다. 밀러는 한국의 풍속과 인물, 풍경에 주목하여 이를 소재로 본격적인 목판화 작품 제작과 판매 활동을 전개하였다. 작품에 나타나는 소재들은 전근대적인 한국의 모습을 한정적으로 보여준다. 동시대 일본에서 활동하던 서양인 신판화(新版畵, Shin-hanga) 작가 버사 럼(Bertha Lum)과 엘리자베스 키스(Elizabeth Keith)와 교유하며 영향을 주고받았다. 밀러는 이들을 경쟁자로 인식하여 이들의 작품과는 차별화되는 목판화를 제작하기 위해 노력했다. 작품에 직접 디자인한 액자를 덧대거나 그림에 대한 글을 함께 전시하기도 했다. 목판 조각과 인쇄 기술을 배워, 작가가 밑그림과 조각, 인쇄의 모든 과정을 담당하는 자가 출판(self-publication) 방식으로 작품을 제작하며 독창성을 꾀하였다. 한편 서양인 신판화 작가들에 대한 지나친 경쟁심으로 자신이 이들에게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을 은폐하고 부정하기도 하였다. 밀러가 서양인 신판화 작가들의 영향 관계를 숨기려 한 것과는 달리 일본인 화가들과의 교유 사실은 적극적으로 드러내고자 했다. 밀러는 스승이었던 시마다 보쿠센(島田墨仙)을 비롯해 요시다 히로시(吉田博), 도이 사이호(土居彩畝) 등과 교유하며 그림을 배웠다. 시마다 보쿠센의 경우 밀러의 일본화 화풍 정립에 주요한 역할을 했던 스승이었다. 요시다 히로시에게는 수채화를 배웠으며 목판화 제작에도 크게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도이 사이호의 경우 뚜렷한 화풍 간 교류는 없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다만 밀러가 도이 사이호의 화가로서의 유명세와 영향력을 의식하여 교유 사실을 과시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밀러는 한국 주재 미총영사(美總領事)를 지내고 미국 외교부서에서 장기간 근무한 아버지의 인맥을 이용하여 사회적 영향력과 경제력을 가진 인사들과 친분을 맺어 이들과 후원관계를 형성하였다. 밀러의 후원자들은 일본에 거주하는 지인부터 미국의 아트 딜러나 수집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였다. 현전하는 밀러의 일본화 작품은 그 수가 매우 적다. 그러나 밀러가 일본화 화가로서의 정체성을 중요시했으며 일본화를 통해 처음 미술에 입문하였기 때문에 일본화 작품은 밀러의 작품연구에 큰 의미를 지닌다. 이에 작품과 활동 기록을 함께 검토하였으며, 확인한 결과, 밀러는 사생적(寫生的) 태도를 바탕으로 습윤한 느낌의 일본 고유의 자연을 묘사하는 표현법을 구사하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어려서부터 오랫동안 일본화를 배웠기 때문에 묵의 표현과 붓의 운용에 능숙한 면모를 보인다. 목판화는 주제에 따라 한국의 인물·풍속과 풍경으로 분류된다. 인물·풍속 소재의 목판화는 1920년대 초반에 집중적으로 제작하였으며 화풍에서는 버사 럼의 영향과 당시 협업하였던 인쇄 장인 니시무라 쿠마키치(西村熊吉)와 조각 장인 마츠모트(松本)의 영향이 확인된다. 또한 에도·메이지 시대 우키요에 작가들의 작품을 참고하여 작품을 제작하기도 했다. 인물 도상의 연원은 근대기 유통되었던 사진엽서 속 전근대적(前近代的)이고 후진적인 한국 이미지에서 찾을 수 있다. 밀러는 목판화 작품과 이미지를 설명하는 글을 함께 보여주는 독특한 전시 방식을 취하였다. 풍경 소재의 목판화는 농촌 풍경이나 금강산이나 한강과 같은 명승지를 그린 작품으로 나누어진다. 1920년대 후반에 제작된 작품이 다수를 차지하며 자가 출판 방식을 도입하면서 이전보다 독자적인 화풍을 구사하였다. 우키요에와 신판화, 사진, 일본화 등에서 자주 구현되었던 구성이나 표현기법을 차용해 이를 적절히 재구성한 양상을 보인다. 일본 다색 목판화로 한국을 그린 서양인 작가들을 일류 작가로 볼 수 없으며 이에 이들의 작품도 순수 미술 작품으로 보기 어렵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밀러의 작품 활동을 살펴본 바에 의하면 작가 스스로 예술가라는 확고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동시대 활동한 서양인 신판화 작가들과는 달리 가노파 화숙 출신의 일본화 화가라는 점을 자신만의 강점으로 보고 이를 과시하고자 했다. 서양인 신판화 작가들의 영향을 부정하고 자신을 지나치게 포장하는 뒤틀린 방식으로 표출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밀러가 계속해서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고 추구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동시에 자신의 독특한 정체성을 작품 홍보에도 효과적으로 이용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밀러의 목판화는 주로 판매를 목적으로 제작되었지만 다양한 화풍이 복합적으로 반영되었다는 점에서 미술사적 가치를 지닌다. 일본과 서구에 의해 타자화된 한국의 이미지를 주로 다루었다는 한계를 지니지만 근대기 한국의 모습과 생활상을 일부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는 역사적 사료로써 가치도 가진다. 나아가 밀러에 대한 연구는 한국 근대 미술사에서도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밀러는 근대 일본화풍으로 한국을 그린 <조선식정(朝鮮式亭)>과 <금강산(金剛山)> 두 작품을 1923년 제2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하였다. 서양인 여류화가의 동양화부 출품은 출품 사실만으로도 화단의 주목을 받았으며 <조선식정>으로 입선하였다. 이는 밀러가 근대 한국 화단의 일본화풍 유행에 일조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논문은 그간 주목받지 않았던 밀러의 작품 활동과 교유 관계를 새롭게 조명하고 한국을 그린 일본화와 목판화를 중심으로 한 작품 분석을 통해 미술사적 가치를 밝힌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examining life and activity of American artist Lilian May Miller (1895-1943) who produced artworks of the East in early 20th century, especially focusing on the works based on Korea. Lilian Miller was born in Tokyo and enrolled Kano school atelier(畵塾, juku) at the age of 9. Miller started her career focused on modern Japanese ink and wash painting style. Her work, Korean landscapes drawn in Japanese style, was also selected in 2nd Joseon Art Exhibition(朝鮮美術展覽會) in 1923. Around 1920s, she learned Japanese woodblock printing technique and broadened her field to woodblock prints along with Japanese painting. Miller started production and sales of woodblock prints focused on Korean custom, character and landscape. Subjects used in the works present limited premodern images of Korea. Miller interacted with western shin-hanga(新版畵) artists, Bertha Lum and Elizabeth Keith and mutually influenced each other. Miller recognized them as competitors and tried to produce differentiated woodblock prints by putting self-designed frames and scripts about the prints. She further developed the originality by adopting self-publication style which artist oversees entire steps from initial sketching, carving to printing. Meanwhile, she struggled to deny the fact that she was influenced by other western artists due to excessive rivalry. On the other hand, Miller eagerly tried to advertise relationship between Japanese artists. She interacted and learned from Yoshida Hiroshi(吉田博), alssong with Doi Saiho(土居彩畝) and Shimada Bokusen(島田墨仙). Shimada Bokusen had a major influence on Miller's Japanese painting style. She learned watercolor painting from Yoshida Hiroshi and assumed to be heavily influenced in woodblock printing.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was no clear relationship in painting style between Doi Saiho. It seems that Miller simply wanted to advertise relationship with Doi Saiho due to her popularity and influence as an artist. Miller exploited social network of her father, who was an American Consul General in Seoul, Korea and worked in Department of State, to form a network of key patrons with social and economic power. Miller had wide range of patronage from friend in Japan to American art dealers and collectors. There are only few Nihongas(Japanese painting) of Miller that are currently available. Miller emphasized her identity as a Japanese style painter and started her career with Nihonga, thus Nihonga is a core importance in examining Miller's works. Accordingly, we examined her works alongside with her activity and concluded that Miller described humid Japanese intrinsic nature in realistic(寫生的) basis. Additionally, she showed competent handling of ink and brush since she practiced Japanese art from early age. Miller's woodblock printings a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Korean characters, custom and landscape classified by subject. Woodblock printings of characters and custom were produced mainly in early 1920s. Printing style was confirmed to be influenced by Bertha Lum and painter Nishimura Kumakichi(西村熊吉) and block-carver Matsumoto(松本). Furthermore, Miller produced printings inspired by works from Ukiyo-e artists from Edo and Meiji era. An origin of characters and images can be found in underdeveloped images of Korea in postcards distributed in modern period. Miller adopted unique exhibition method by displaying woodblock printing with explanatory script. Landscape woodblock printing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scenery of farming villages and scenic spots such as Mt. Geumgang(金剛山) and Han river. Majority of works were from late 1920s and demonstrated unique style by adopting self-publication. (It appears that) Miller adequately reconstructed the composition and expression techniques frequently used in woodblock printings, photographs and Nihongas in her works. Western artists who painted Korea during the modern period with Japanese woodblock printing technique were considered as second-rate artists thus their works were hardly recognized as a find art. However, according to Miller's activity, she had a solid identity as an artist. Unlike other contemporary western artists, she considered her origin as Nihonga artist from Kano school and recognized it as her strength and advertised it. Although it was expressed in twisted ways such as a denial of influence from other western artists, it also served as a driving force for pursuing new techniques and methods. Furthermore, it is worth taking note that she effectively used her unique identity in advertising her works. Although Miller's woodblock prints were mainly produced for selling, they possess historical value as they contain combination of different styles. While Miller's works have a limitation that they mostly dealt with images of Korea in the Japanese and western view point, they have historical value since they contain lifestyle of Korea in modern period. Furthermore, study on Miller is a critical importance in Korean modern art history. Miller submitted two artworks, <朝鮮式亭> and <金剛山>, in 2nd Joseon Art Exhibition. It not only drew attention from painters for western female artist to submit in the Eastern painting exhibition(東洋畵部) but also awarded with <朝鮮式亭>. It implies possibility of Miller's influence on popularity of Japanese painting style in Joseon art trend. Significance of this paper lies in casting new light on overlooked Miller's activity and social relations and revealing historical values by examining works of Japanese paintings and woodblock prints of Korea.

      •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부모애착, 자아개념 및 진로성숙과의 관계

        김효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relations among parent attachment,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betwee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ose from general ones with a focus on the former's career maturity, which had not been systematically researched. The study set parent attachment and self-concept as the factors to affect career maturity and examined relations among parent attachment,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betwee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ose from general ones. That approach would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areer matur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a set of findings that would serve as basic data to future researches on how to enhance their career awareness. The investigator administered a parent attachment inventory, self-concept inventory, and career maturity inventory to 156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160 from general ones from fourth to sixth grade in Incheon. Employed in the study to measure parent attachment was Inventory of Parent Attachment(IPA) revised and validated by Yoo Sung-kyung, Park Seung-lee and Hwang Mae-hyang(2001). Children's self-concept was measured with the Self-Concept Inventory categorized and created by Yun Hee-jun(1985) and reorganized by Tae Myeong-hwa(1998). Their career maturity was examined Holland Course Development Test by Ahn Chang-gyu(2003).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structural equation.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tested differences in parent attachment,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betwee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ose from general ones. The result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 attachment and career maturity. The children from general families had a significantly higher communication level with parents both in paternal and maternal attachment than their counterpar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indicates that the government, social groups, and school need to provide them with supports and counseling programs so that they can form stable attachment. The career maturity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children from general families than those from multi-cultural ones, which raises a need to provide the latter with career education, counseling, and experiential activities to enhance career awareness. Second, the relations among the parent attachment,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 more parent attachment children from general families had, the more significantly greater career maturity they exhibited. However, self-concept had no mediating effects on the influence of parent attachment on career maturity.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o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career maturity as their parent attachment level rose.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was adopted for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The higher parent attachment level they were in including trust, communication, and alienation, the greater self-concept they had including physical, social, personality, and academic self-concept. The greater self-concept they had, the higher their career maturity became.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a self-concept approach is also needed to help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crease their career awareness. Fin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relations among parent attachment,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between elementary school kid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ose from general ones. Parent attachment had direct influences on career maturity among children from general families. Since they form parent attachment stably when young, their higher parent attachment level leads to their higher career awareness. On the other hand, self-concept played as a mediating factor in the influence of parent attachment on career maturity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us it can be interpreted that self-concept has important mediating effects on their design of career concept. The study find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about the career matur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has not been fully researched, by investigating the influences of parent attachment and self-concept as the variables to affect career maturity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ose from general ones. It was also a significant attempt to examine correlations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self-concept in the aspect of career maturity. The results will serve as basic data when developing a career education program or setting counseling strategie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본 연구는 아직까지 체계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진로성숙에 관한 연구이다. 초등학교 시기는 진로에 대한 인식이 시작되는 시기이며, 학교교육과 더불어 가정에서의 자녀에 대한 올바른 애착형성은 자녀들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로성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부모애착과 자아개념을 설정하였으며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부모애착, 자아개념, 진로성숙 수준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런 접근을 통해 얻어지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진로성숙에 관한 이해는 앞으로 이들의 진로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돕는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인천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4~6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아동 156명, 일반가정 아동 160명, 총 31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모애착 검사를 위해 유성경과 박승리, 황매향(2010)이 한국의 초·중·고등학생에게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수정하고 타당화하여 개발한 한국형 부모애착척도(IPA)를 사용하였으며, 자아개념 검사를 위해 윤희준(1985)이 범주화하여 제작한 자아개념 검사를 태명화(1998)가 다시 재구성한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진로성숙도 검사를 위해 안창규(2003)의 Holland 진로발달검사 중 1부 진로성숙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 아동의 부모와의 애착과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의 차이 검증에서는 부모와의 애착과 진로성숙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애착에서는 부애착, 모애착 모두 일반가정 아동이 다문화가정 아동보다 높았으며 일반가정 아동이 다문화가정 아동보다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아동이 부모와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부, 사회단체, 학교 차원의 지원과 상담프로그램 등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진로성숙 수준에 있어서 일반가정 아동이 다문화가정 아동보다 진로성숙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흥미를 갖고 찾아갈 수 있도록 진로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근거를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초등학생 아동의 부모와의 애착, 자아개념, 진로성숙 수준과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일반가정 아동의 경우 부모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유의하게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부모애착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아개념이 매개를 하는 않는다는 결과를 보였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경우 일반 아동과 마찬가지로 부모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자아개념의 매개 효과에서는 완전매개 모형이 채택되었다. 부모와의 신뢰, 의사소통, 소외와 같은 부모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신체적, 사회적, 인성적, 학업적 자아의 자아개념 수준이 높고 자아개념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 수준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진로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부모애착과 더불어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셋째, 초등학생 아동의 부모애착, 자아개념과 진로성숙 수준의 관계에서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아동 간에 차이가 있었다. 일반가정 아동은 부모애착이 진로의식 성숙 수준에 직접 영향을 주었다. 이는 일반가정 아동의 경우는 어려서부터 부모애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부모애착이 높을수록 진로의식도 성장한다고 볼 수 있다. 반면 다문화가정 아동의 경우는 부모애착이 진로성숙에 영향을 주는 데 있어서 자아개념이 매개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아동의 진로개념 설계에 있어서 자아개념이 중요한 매개를 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진로성숙 수준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서 부모애착과 자아개념의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아직까지 제대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진로성숙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진로성숙의 측면에서 부모애착, 자아개념이라는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 대상의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진로관련 프로그램 개발이나 상담전략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방과후학교 가야금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효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방과후학교 가야금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중학생의 창의성 발달에 적합한 가야금교육의 필요성과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부천시 소재의 N중학교 방과후학교 가야금 프로그램에 처음으로 참여하는 중학생 1,2,3학년 29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로 이경화(2014)의 ‘창의성 검사(K-ICT)’를 선정하여 방과후학교 가야금 프로그램이 시작되기 이전에 사전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총 10차시의 교육이 종료된 후에는 동일한 검사지와 연구자가 작성한 일반적 특성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사후검사를 진행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창의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수집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대응표본 t-test,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학교 가야금 프로그램의 실시 이전과 이후에 실시한 창의성 검사의 총점에는 변화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방과후학교 가야금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방과후학교 가야금 프로그램을 통한 중학생의 창의성 변화를 각 하위영역 별로 살펴본 결과로는 호기심, 과제 집착력, 독립심(모험심), 문제 해결적 리더십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처럼 창의성 하위영역의 구체적인 차이를 바탕으로 가야금 프로그램의 다양한 학습활동이 학생들의 전반적인 창의성 증진에 기인하였다고 분석된다. 셋째, 방과후학교 가야금 프로그램을 통한 중학생의 창의성 변화를 각 하위영역 별로 살펴본 결과 민감성과 유머는 수치상의 변화를 보였지만,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이는 가야금 프로그램의 활동이 주입식으로 이루어지거나 장시간으로 구성되어 있어 학생들의 음악적 발달에 미비한 영향을 주었다고 예측된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중학생의 사후 창의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로 부모요인, 환경요인, 동기요인으로 인한 창의성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연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교육적 환경 및 대상의 연령 등을 고려하였을 때,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기존에 창의성과 관련된 선행연구가 대부분 유아를 대상으로 하거나 타 교과 및 서양음악을 주제로 이루어져 왔지만, 본 연구는 국악 분야에서 대상의 연령을 확대하여 진행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통해 방과후학교 가야금 프로그램에서 기존과 다른 새로운 교육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힘쓰고, 그것을 실제 교육현장에 접목시켜 보다 발전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중학생의 창의성 향상에 적절한 가야금교육이 이루어지길 기대하는 바이다. 또한 국악교육 및 가야금교육의 내용은 반드시 교육과정 안에 일원화되어야 하며, 이와 같은 후속 연구가 다방면으로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Gayageum (a kind of Korean harp) program after school on the crea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necessity and implication of Gayageum education which is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ity. For this, an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and the research was aimed at middle school's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students. The number of them was 29 and they for the first time participated Gayageum program of N middle school in Bucheon City in Gyeonggi Province. As a research tool, 'Korean Integrated Creativity Test(K-ICT)' of Gyeong-hwa Lee (2014) was conducted primarily before the program started. After 10 times of Gayageum lesson finished, post-test was implemented using K-ICT and a questionnaire about general feature which a researcher had written. In order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of creativity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carrying out matching sample t-test, independent sample, and one way ANOVA(analysis of variance) according to research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re existed a difference in the total score of creativity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and it meant that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occurred. Therefore, it was discovered that Gayageum program after schoo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change of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ity through the program in terms of each sub-domain of creativity, there existed meaningful increase in curiosity, assignment obsession, problem-solving leadership, and independence. Based on this concrete differences of creativity's sub-domain, it was analyzed that various learning activities of Gayageum program contributed toward the enhancement of student's overall creativity. Third, among lots of sub-domain of creativity, numerical change of susceptibility and humor definitely existed, but it came to the front that the numerical value was not meaningful statistically. It is judged that the activities of Gayageum program must have been conducted by rote or for a long time, which impeded the musical development of students. Finally, in consequence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ity according to general features, creativity had no relevance to parent factor, environment factor, and motivation factor. Consider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age of subjects which can have an effect on this research, it was revealed that creativity had nothing to do with general features.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because it was implemented based on Korean classical music and expanded an age group of test subjects, whereas most of existing research related to creativity were conducted with the aim of preschoolers or based on other class subjects or Western music. Research results imply that with respect to Gayageum program, new instructional methods different to existing ones should be made, and they have to improve by being applied to the spot of education actually.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Gayageum education which is suitable for advancing the crea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s realized. Furthermore, the contents of Korean classical music and Gayageum education should be unified within a course of study, and a follow-up study like this have to be continued in various fie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