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달지체유아를 대상으로 한 집단실험연구의 효과크기에 대한 메타분석 = Meta-Analysis for Effect Size of Group Experimental Studies on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29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pers for the analysis were experimental studies o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rough the meta - analysis of the effect size from 2008 until recently. This is because the Special Education Law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others was enacted in 200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size and to search for further research direction. For this purpose, They analyzed the total effect size (ES) of the group experimental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and post - doctoral theses from 2008 to April 2018. The effect sizes of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and publishing types were also analyzed. The size of the control effect on heterogeneity was also analyzed. First, the total effect size of the 66 group experimental research with meta-analysis was high(ES = 1.35). Second, the effect size of independent variables was the highest at psychological exercise(ES = 2.18). The effect size by dependent variables was the highest in body(ES = 1.78), and it was found that social emotion, cognition, adaptive behavior, and communication all showed good effect sizes(ES > .8). Third, the effect size of the publication type showed a great effect in both the degree and the journal. We used Meta-Anova to explore the variables that can explain the heterogeneity of effect sizes. Variables that could be attributed to heterogeneity were independent variable R² = .23 and publication type R² = .03.
      In this study, we systematically analyzed the overall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by meta - analysis, objectively evaluated the effect size value of the studies, and suggested the research direction.
      번역하기

      The papers for the analysis were experimental studies o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rough the meta - analysis of the effect size from 2008 until recently. This is because the Special Education Law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others was ...

      The papers for the analysis were experimental studies o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rough the meta - analysis of the effect size from 2008 until recently. This is because the Special Education Law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others was enacted in 200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size and to search for further research direction. For this purpose, They analyzed the total effect size (ES) of the group experimental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and post - doctoral theses from 2008 to April 2018. The effect sizes of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and publishing types were also analyzed. The size of the control effect on heterogeneity was also analyzed. First, the total effect size of the 66 group experimental research with meta-analysis was high(ES = 1.35). Second, the effect size of independent variables was the highest at psychological exercise(ES = 2.18). The effect size by dependent variables was the highest in body(ES = 1.78), and it was found that social emotion, cognition, adaptive behavior, and communication all showed good effect sizes(ES > .8). Third, the effect size of the publication type showed a great effect in both the degree and the journal. We used Meta-Anova to explore the variables that can explain the heterogeneity of effect sizes. Variables that could be attributed to heterogeneity were independent variable R² = .23 and publication type R² = .03.
      In this study, we systematically analyzed the overall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by meta - analysis, objectively evaluated the effect size value of the studies, and suggested the research dire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8년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 후 발달지체유아를 대상으로 한 집단실험연구의 효과크기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하여 과학적으로 종합하고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여 향후 연구방향성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18년 6월까지 국내 석⋅박사 학위 논문 및 학술지에 게재된 집단실험연구 논문의 전체효과크기(ES),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효과크기, 출판편향의효과크기와 이질성에 대한 조절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발달지체유아의 집단실험연구전체 효과크기는 값(ES)이 1.35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독립변인의 효과크기는 심리운동이 2.18로가장 높았으며 교사 및 교수, 기억훈련, 놀이 및 운동, 교육 및 훈련 또한 .8 이상으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의 효과크기는 신체가 1.78로 가장 높았으며, 사회⋅정서, 인지, 적응행동, 의사소통 모두 .8이상으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출판편향의 효과크기는 학위, 학술지모두 .8이상으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선행된 집단실험연구의 결과를 통합 분석하여 개별 연구들의 효과크기(ES) 값을 객관화하였고 향후 발달지체유아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의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08년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 후 발달지체유아를 대상으로 한 집단실험연구의 효과크기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하여 과학적으로 종합하고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여 향...

      본 연구는 2008년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 후 발달지체유아를 대상으로 한 집단실험연구의 효과크기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하여 과학적으로 종합하고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여 향후 연구방향성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18년 6월까지 국내 석⋅박사 학위 논문 및 학술지에 게재된 집단실험연구 논문의 전체효과크기(ES),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효과크기, 출판편향의효과크기와 이질성에 대한 조절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발달지체유아의 집단실험연구전체 효과크기는 값(ES)이 1.35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독립변인의 효과크기는 심리운동이 2.18로가장 높았으며 교사 및 교수, 기억훈련, 놀이 및 운동, 교육 및 훈련 또한 .8 이상으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의 효과크기는 신체가 1.78로 가장 높았으며, 사회⋅정서, 인지, 적응행동, 의사소통 모두 .8이상으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출판편향의 효과크기는 학위, 학술지모두 .8이상으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선행된 집단실험연구의 결과를 통합 분석하여 개별 연구들의 효과크기(ES) 값을 객관화하였고 향후 발달지체유아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의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일수,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성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국립특수교육원 14 (14): 167-192, 2007

      2 정인숙,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수문사 2011

      3 신우종,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의 개요"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35 (35): 9-17, 2015

      4 남영인, "지적장애학생의 어휘력 및 읽기지도 단일대상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103-123, 2013

      5 장봉석, "중ㆍ고등학생에 대한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 효과의 메타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 (14): 187-210, 2011

      6 임해주, "정신지체아동의 읽기이해 연구 동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37-64, 2012

      7 박성덕, "전자미디어를 활용한 유아교육활동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8 김영표, "장애학생의 수학적 문장제 문제해결에 관한 교수방법의 중재 효과: 메타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413-437, 2008

      9 교육과학기술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령 해설자료" 교육과학기술부 198-, 2008

      10 조성은, "장애아동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415-429, 2004

      1 박일수,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성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국립특수교육원 14 (14): 167-192, 2007

      2 정인숙,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수문사 2011

      3 신우종,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의 개요"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35 (35): 9-17, 2015

      4 남영인, "지적장애학생의 어휘력 및 읽기지도 단일대상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103-123, 2013

      5 장봉석, "중ㆍ고등학생에 대한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 효과의 메타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 (14): 187-210, 2011

      6 임해주, "정신지체아동의 읽기이해 연구 동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37-64, 2012

      7 박성덕, "전자미디어를 활용한 유아교육활동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8 김영표, "장애학생의 수학적 문장제 문제해결에 관한 교수방법의 중재 효과: 메타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413-437, 2008

      9 교육과학기술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령 해설자료" 교육과학기술부 198-, 2008

      10 조성은, "장애아동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415-429, 2004

      11 구효진, "일상생활 속 구체물 조작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수개념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1 (11): 115-134, 2011

      12 장혜원, "음악활동이 어린이집에 통합된 발달지체유아의 운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국립특수교육원 20 (20): 287-308, 2013

      13 김은자, "유아특수교육관련 연구논문 동향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171-194, 2002

      14 박성덕, "유아교육 분야의 메타분석 논문에 대한 고찰"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393-412, 2014

      15 김은정,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263-284, 2012

      16 박정숙, "유리드믹스에 기반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운동 및 운동지각 능력에 미치는 효과"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3

      17 박은영, "우리나라 단일대상연구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고찰"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65-89, 2005

      18 이효신, "요리활동을 통한 발달지체 유아의 주의집중 및 변별력 변화"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4 (44): 137-159, 2005

      19 김설영, "요리 스크립트를 이용한 대화 주고받기 전략이 발달지체 유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3 (13): 121-144, 2013

      20 김유리, "오르프-슐베르크를 적용한 음악활동이 통합된 발달지체 유아의 의사소통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통합교육학회 6 (6): 163-184, 2011

      21 윤수미, "영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22 강이정, "언어발달지원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기능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3 황성동, "알기 쉬운 메타분석의 이해" 학지사 2014

      24 정혜빈, "심리운동 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5 이주현, "신체활동을 통한 수 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수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2

      26 전윤희, "수학학습장애 연구 동향 메타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27 김은윤, "수학동화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수학성취도,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28 강미영, "비디오 또래 모델링 중재가 발달지체 유아의 활동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9 김유리, "발달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 문헌의 연구 방법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357-383, 2011

      30 이혜숙, "미술놀이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공격성과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23-143, 2011

      31 오성삼,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2

      32 신인수, "메타분석의 실제와 적용" 2013

      33 서미옥, "메타분석 연구의 고찰과 연구방법론적인 제안" 한국교육학회 49 (49): 1-23, 2011

      34 최민영, "또래교수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3

      35 장혜원, "노래활동이 통합보육기관 발달지체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2 (12): 185-206, 2012

      36 김혜원, "기능평가를 통한 만화캐릭터 놀이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45-64, 2012

      37 고영숙, "근거 기반의 실제(Evidence-Based Practice)를 구축하기 위한 메타분석: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사회성과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3 (23): 1-27, 2007

      38 정광조, "국내 통합교육 효과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7 (17): 203-231, 2015

      39 장덕호, "교육학 연구방법으로서 메타분석(Meta-analysis)의 발전과정 고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 (14): 309-332, 2011

      40 조용태, "교사를 위한 특수교육입문 통합교육" 학지사 2009

      41 양명희, "개별 대상 연구" 학지사 2015

      42 고은주, "가정폭력 피해여성 대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5

      43 김상연,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의 인식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4 Kaufman, A., "z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K-ABC)"

      45 McCollum, J., "Training of infant specialists : A look to the future" 1 (1): 55-65, 1988

      46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47 Richards, S. B., "Single subject research: Applications in educational and clinical settings" Singular Publishing Group, Inc 1999

      48 Tawney, J. W., "Single subject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Charles E. Merrill Publishing Company 1984

      49 Odom. S. L.,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 Swcientfic methods and evidence-based practices" 71 : 137-148, 2005

      50 Glass, G. V., "Primary, secondary and meta-analysis of research" 5 (5): 3-8, 1976

      51 Boxill, E. H., "Music Therapy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1 (1): 17-23, 1981

      52 Hunter, J. E., "Methods of Meta-Analysis" Sage Publications 2004

      53 Cooper-Thomas, H., "Investigating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 A fresh look at newcomer adjustment stratergies" 41 (41): 44-55, 2011

      54 Borenstein, M.,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Wiley 2009

      55 최혜진, "ICT 기반 창의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7

      56 Scuggs, T. E., "Earl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conduct disorders : A quantitative synthesis of single-subject research" 11 : 260-271, 1986

      57 Higgins, J. P.,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58 Banda, D. R., "A teacher’s guide to meta-analysis" 41 (41): 66-71, 2008

      59 송미정, "A Study on the Experimental Research Tendencie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Focused on cas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from 2008 to 2015"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6 (16): 41-65, 2016

      60 교육부, "2018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Association for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26 2.26 2.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6 2.22 2.445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