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영진, "해결중심 단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이초등학생 고립 아동의 교우관계와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 강진령, "학교상담 프로그램Ⅱ" 학지사. 2004
3 김세정, "초등학교 아동의 리듬운동 목적과 내용에 관한 연구" 14 (14): 43-53, 2000
4 박지수,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공감능력과 교우관계 및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 한유정, "초기 청소년의 공감과 친구관계에서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2 (22): 471-492, 2015
6 김형태, "청소년기 자아정체감의 발달 및 측정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1989
7 주희진,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기효능감, 교우관계향상을 위한 사회⋅정서적 기술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21 : 45-64, 2012
8 윤혜신, "중학생의 희망, 공감, 정서표현, 대인관계의 구조적 관계"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0
9 권정안,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공감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0 배영옥,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부천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중심으로"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1
1 김영진, "해결중심 단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이초등학생 고립 아동의 교우관계와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 강진령, "학교상담 프로그램Ⅱ" 학지사. 2004
3 김세정, "초등학교 아동의 리듬운동 목적과 내용에 관한 연구" 14 (14): 43-53, 2000
4 박지수,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공감능력과 교우관계 및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 한유정, "초기 청소년의 공감과 친구관계에서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2 (22): 471-492, 2015
6 김형태, "청소년기 자아정체감의 발달 및 측정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1989
7 주희진,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기효능감, 교우관계향상을 위한 사회⋅정서적 기술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21 : 45-64, 2012
8 윤혜신, "중학생의 희망, 공감, 정서표현, 대인관계의 구조적 관계"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0
9 권정안,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공감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0 배영옥,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부천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중심으로"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1
11 박혜진, "자기 공감이 선행된 공감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 능력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2 배성진, "음악극 창작활동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 자기표현력,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17 (17): 51-70, 2020
13 이현영, "운동심리학에 근거한 리듬운동의 학문적, 실천적 발전방안" 4 (4): 31-39, 2011
14 박동화, "아동의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에서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5 안주연, "아동의 감정공명 및 대인문제해결력과 또래집단수용도와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16 김제한, "발달심리학" 학문사. 1982
17 박경희, "리듬운동학의 현황 및 발전방안" 3 (3): 21-28, 2010
18 황향희, "리듬운동학의 학문성과 가치" 한국리듬운동학회 12 (12): 101-109, 2019
19 최진은, "라인댄스를 활용한 초등학교 아침체육활동 지도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20 마정순, "라인댄스(Line dance)-건강, 행복, 여가를 위한 생활건강댄스" 105 : 63-68, 2008
21 박혜원, "공감훈련이 여중생의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22 박선호, "공감훈련 프로그램적용이 초등학교 아동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3 강경아, "공감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아동의 또래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04
24 이은순, "공감훈련 프로그램" 17 : 19-43, 1999
25 정정분, "공감향상훈련이 집단따돌림 가해아동의 공감과 가해정도에 미치는 효과"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6 김신영, "공감대화카드 활용 교육이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7
27 박성희, "공감과 친사회적 행동" 문음사. 1997
28 박재룡, "공감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문제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 : 공격행동, 과잉행동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9 이경아, "공감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 능력, 교우관계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0 Hartup, W. W., "The peer system" 4 : 103-196, 1983
31 Kelly, M. L., "Psychiatric Disorders of Children Living With Drug-Abusing, Alcohol-Abusing, and Non-Substance-Abusing Fathers" 43 (43): 621-628, 2004
32 Bagwell, C. L., "Preadolescent friendship and peer rejection as predictors of adult adjustment" 69 (69): 140-153, 1998
33 Kohut, H, "Introspection, empathy, and the semi-circle of mental health" 63 : 395-407, 1982
34 Greenspan, Barenboim, "Empathy and Pseudo-Empathy: The Affective Judgments of First- and Third-Graders" 129 : 77-88, 1976
35 Rogers, C. R., "An unappreciated way of being" 5 (5): 2-10, 1975
36 Bryant, B. K., "An index of empath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413-425, 1982
37 Davis, M. H.,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10 (10): 85-, 1980
38 교육부, "2015 체육과 교육과정"
39 이태수, "2008 지역아동센터의 현주소" 공동체.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