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의 목적은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특성과 그들이 학교에서 적응하지 못하고 방황하는 이유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의 하나로 생명존중과 공동체적 연대감을 강조하는 생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특성과 그들이 학교에서 적응하지 못하고 방황하는 이유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의 하나로 생명존중과 공동체적 연대감을 강조하는 생태...
이 논문의 목적은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특성과 그들이 학교에서 적응하지 못하고 방황하는 이유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의 하나로 생명존중과 공동체적 연대감을 강조하는 생태시를 활용하여 상담치유적 방법을 모색하는 데 있다. 대개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은 가정에서 부모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학교에서도 선생님들과 친구들의 인정을 받지 못하여 학업성적이 저조하며, 자존감이 낮고, 무엇 때문에 공부하는지에 대해 강한 회의적 경향성을 보인다. 또한 불안정한 가정환경으로 학업을 그만두고, 비행행동으로 폭력에 연루되어 학교를 그만두는 경우가 상당하다.
사람과 자연은 지구라는 공간에서 함께 살아가는 존재이다. 인간은 자연 속에서 성장하며 도움을 받는 존재지만 급속한 사회 변화에 의해 지식과 정보는 증가하는 반면 자연의 순리를 역행하고 인간과 생명, 환경에 대해 존중하는 상생의 정신은 메말라 가는 실정이다.
더욱이 입시경쟁에 내몰린 청소년들은 자연과 접하고 이치를 배우며 함께 어우러져 자연과 자신의 소중함을 깨달아 갈 시간이 거의 없다. 이러한 현실에서 생태시는 나와 우주간의 연기적 관계를 상기시키고 모든 존재에게 자연과 생명의 소중함을 자각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생태시는 자연에 의한 치유적 부분을 통해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자존감을 높이고 자신과 사회를 수용하도록 하는 연결성을 가지고 있다. 청소년들이 생태시를 접하여 자연 친화적인 교감을 갖게 함으로써 학업 스트레스를 풀고, 원만한 교우관계를 회복하며 자신을 성찰하여 스스로 동기부여를 한다면, 이는 그들의 학교 적응과 건전한 가치관을 형성하는 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즉 생태시는 현재의 삶에서 진정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일깨워주며 청소년들이 삶의 지침을 삼아야 할 이치를 은연중에 비유로써 알려준다. 아울러 생태시의 본질에 대한 자각을 하게 되어 청소년들의 상상력과 창조력, 절제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자신과 자연, 우주의 본질에 대한 탐구를 통해 생각ㆍ감정ㆍ감각을 정화해 가는 기능이 있으며 세상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자신을 바로 보게 한다. 이 점에서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위한 생태시의 상담치유적 접근은 자연과의 교감을 넓혀 줌으로써 자아존중감을 우러나게함은 물론 타인을 이해하게 하고, 나아가 그들이 보다 건전하고 전인적인 인격체로 성장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maladjusted youth, their school maladjustment and their reasons for wandering, and to find them out from the viewpoint of counseling healing by utilizing ecological poetry emphasizi...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maladjusted youth, their school maladjustment and their reasons for wandering, and to find them out from the viewpoint of counseling healing by utilizing ecological poetry emphasizing respect for life and community solidarity as an alternative of the solutions. Normally, maladjusted adolescents tend to be skeptical about what they are studying because they are not supported by their parents at home, have poor academic performance, low self-esteem, and are not recognized by teachers and friends at school. In addition, many of them have left their studies in difficult and unstable home environments, and it is also significant that they are involved in violence due to delinquent behavior and quit school. So this paper will explore the actual condition of maladjusted adolescents, will apply ecological poetry to them from a counseling healing point of view, will allow them to recognize and reflect on themselves, and will seek ways to design a bright future for themselves.
People and nature are living together in the space of the earth. Human beings grow and are helped in nature, but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increasing and personality is drying due to rapid social change. Moreover, young people have little time to come into contact with nature, to learn about nature, and to get together. In this reality, ecological poetry can remind me of the acting relationship between me and the universe and make all beings aware of the importance of nature and life. From this point of view, ecological poetry reconnects the healing part of the distant nature to the maladjusted students. If young people are exposed to ecological poetry and have nature-friendly sympathy, they will be able to relieve academic stress, to restore good friendship, to reflect on themselves and to motivate themselves, which will be of considerable help to their school adaptation.
Ecological poetry reminds us of what is really important in our current lives and tells us the reason why young people should follow the guidelines of life as a metaphor.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become aware of the nature of ecological poetry, to express the imagination, creativity, and tempered emotions of young people, and to see oneself organically connected with the world, with the ability to purify thoughts, emotions and senses through the exploration of oneself and essence. In this respect, the ecological healing approach for maladjusted youths will help them to establish self-esteem and to understand others, and to grow into a healthier and more holistic personality by broadening their awareness of sympathy with themselves and natur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 "한국불교전서 제6권" 동국대출판부
3 김덕근, "한국 현대선시의 맥락과 지평" 박이정 2005
4 정연정, "한국 현대 생태시 연구 - 생태맑스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34) : 205-232, 2011
5 정은주,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조사 Ⅵ: 청소년의 또래관계가학교생활적응에미치는종단적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6 손승영, "학업중퇴자 : 현실과 대안" 학지사 2003
7 정제영, "학업중단 예방 및 학교 밖 청소년 지원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학교폭력예방연구소 2013
8 이혜영, "학생의학교부적응진단과대책" 한국교육개발원 2013
9 이혜영, "학생의 학교 부적응 진단과 대책(Ⅱ)" 한국교육개발원 2013
10 김성식, "학교부적응실태조사및적응프로그램개발" 한국청소년교육연구회 2000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 "한국불교전서 제6권" 동국대출판부
3 김덕근, "한국 현대선시의 맥락과 지평" 박이정 2005
4 정연정, "한국 현대 생태시 연구 - 생태맑스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34) : 205-232, 2011
5 정은주,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조사 Ⅵ: 청소년의 또래관계가학교생활적응에미치는종단적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6 손승영, "학업중퇴자 : 현실과 대안" 학지사 2003
7 정제영, "학업중단 예방 및 학교 밖 청소년 지원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학교폭력예방연구소 2013
8 이혜영, "학생의학교부적응진단과대책" 한국교육개발원 2013
9 이혜영, "학생의 학교 부적응 진단과 대책(Ⅱ)" 한국교육개발원 2013
10 김성식, "학교부적응실태조사및적응프로그램개발" 한국청소년교육연구회 2000
11 최해룡, "학교부적응 학생의 대안학교 재적응 교육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12 주선미,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멘터링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멘티에게 미친 효과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3
13 최은진, "학교부적응 청소년 집단미술치료 매뉴얼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대학교 2016
14 김기택, "풀벌레들의 작은 귀를 생각함" 지식을만드는지식 2015
15 장성숙, "청소년의 문제행동 미술치료에 대한 국내 학위논문 분석"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9 (9): 395-418, 2013
16 성렬준, "청소년 문화론" 양서원 2011
17 이무석, "정신분석에로의 초대" 이유 2008
18 "인천광역시교육청"
19 김정휘, "위기에 처한 청소년지도의 이론과 실제" 민지사 2001
20 임종욱, "우리 고승들의 禪詩세계" 보고사 2006
21 이준관, "쑥쑥" 푸른책들 2010
22 안광민, "숲과 명상 기반의 시에 내재된 치유요소 연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6
23 김광섭, "성북동 비둘기" 시인생각 2013
24 데이비드 브레이저(David Brazier), "선치료 Zen Therapy" 학지사 2012
25 백원기, "선시의 이해와 마음치유" 동인 2014
26 향적, "선시, 우리를자유롭게한다 : 향적스님의선시해설" 조계종출판사 2014
27 권영한, "선시(禪詩)303수 : 깨달음의 노래" 전원문화사 2001
28 청허휴정, "선가귀감" 하얀연꽃 2013
29 김경복, "생태시와 넋의 언어" 새미 2003
30 정유민, "생태시 교육 방법 연구 : 중학교 검정 교과서 수록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1 이강미, "생태시 교육 방법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2 김성란, "생태시 교육 방법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9
33 김용민, "생태문학의정의와분류를위한하나의시도" 12 : 1999
34 천성문,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4
35 권경희, "불교와 심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와 심리연구원 2007
36 운허 용하, "불교사전" 불천 2012
37 백운경한, "백운화상어록(상. 하)" 동국대학교출판부 1990
38 김미정, "명상을 기반으로 하는 경전치유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2015
39 백원기, "명상은 언어를 내려놓는 일이다" 화남 2012
40 채형식, "마음치유에선시가미치는영향"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3
41 김종만, "마음의 밭에 달빛을 채우다 : 선시 읽기" 글앤북 2013
42 이규보, "동국이상국집 II 제13권" 민족문화추진회 1980
43 송용구, "독일과 한국의 생태시 비교 연구 - 생태학적 세계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카프카학회 (28) : 369-397, 2012
44 장석주, "대추 한 알" 이야기꽃 2015
45 양흥식, "다선일미의 융화 사상 연구 : 이규보와 초의선사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1
46 김용택, "나무처럼 사랑하라" 마음의숲 2007
47 나희덕, "그 말이 잎을 물들였다" 창작과비평사 1998
48 노안영, "게슈탈트 치료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13
49 이종찬, "韓國禪詩의 이론과 실제" 이화문화출판사 2001
50 박재금, "無衣子 慧諶의 詩 硏究"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51 Freud, A, "Normality and Pathology in Childhood"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1965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4-1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Buddhist Culture and Art Laboratory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