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웹을 기반으로 한 협동 작문 활동의 구조를 탐구하고 그것의 교육적 의의를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쓰기란 본질적으로 사회적 활동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은 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281717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01-125(25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웹을 기반으로 한 협동 작문 활동의 구조를 탐구하고 그것의 교육적 의의를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쓰기란 본질적으로 사회적 활동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은 협...
이 연구는 웹을 기반으로 한 협동 작문 활동의 구조를 탐구하고 그것의 교육적 의의를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쓰기란 본질적으로 사회적 활동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은 협동 작문 활동이다. 웹2.0은 참여, 공유, 개방, 상호작용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작문의 사회적 속성을 지닌 유용한 환경이다. 지금까지의 협동 작문은 같은 공간과 시간에서만 가능했다. 하지만 웹 기반 환경에서는 동일한 시공간뿐만 아니라 다른 시공간에서도 협동 작문이 가능하다. 웹 2.0 환경은 기존의 시공간의 경계를 허물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시공간의 통합으로 인한 웹 기반 협동 작문의 세 가지 특징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서로 실시간 의사소통이 가능해졌다. 둘째, 서로 떨어져 있더라도 여러 명의 필자가 동시에 접근하여 글을 쓸 수 있다. 셋째, 사고의 공유와 반추가 가능해졌다. 뿐만 아니라, 웹 기반 작문 프로그램을 통해 피드백, 작문평가, 전자 포트폴리오와 같이 다양한 교육적 상황에서도 활용 가능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structure and significance of collaborative writing activities based on the web. Writing is basically a social activity. The most obvious feature of this is collaborative writing. The Web 2.0 environment, which is charac...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structure and significance of collaborative writing activities based on the web. Writing is basically a social activity. The most obvious feature of this is collaborative writing. The Web 2.0 environment, which is characterized by participation, sharing, openness, and interaction, provides a useful environment for collaborative writing, while keeping in touch with the social attributes of writing. The existing collaborative writing was mainly done in the same time and space. On the other hand, in a web-based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write collaboratively in a collocated synchronous situation or even in an asynchronous remote situation. The Web 2.0 environment breaks the boundaries of existing time and space. Thus, in this study, three features of Web-based collaborative writing realized by integration of time and space are presented. First, real-time communication is possible even in an asynchronous environment. Second, it is possible for multiple writers to write at the same time and about the same document in a remote situation. Thirdly, it is possible to share and reflect the thinking process as a record of writing activities. In addition, a Web-based writing program can be used in a variety of educational contexts, such as when there is a need for feedback or evaluation of writing, or for the creation of cloud-based electronic portfolios.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혜경, "협동학습을 통한 작문지도 방법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 송재림, "협동작문의 효과성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 이수진, "협동작문의 유용성에 대한 초등학생 필자의 인식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2016
4 정문성, "협동 학습의 이해와 실천" 교육과학사 2006
5 성숙자, "협동 학습과 독창적 논증문 쓰기 지도 -고쳐쓰기 전략을 중심으로-" 국어교과교육학회 5 : 153-174, 2003
6 오택환, "협동 작문이 쓰기 능력과 쓰기 태도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7 성숙자, "협동 작문의 유형과 개선점" 우리말학회 13 : 161-182, 2003
8 오택환, "협동 작문의 단계와 절차 탐색" 국어교육학회 (29) : 229-254, 2007
9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정보통신용어사전"
1 문혜경, "협동학습을 통한 작문지도 방법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 송재림, "협동작문의 효과성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 이수진, "협동작문의 유용성에 대한 초등학생 필자의 인식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2016
4 정문성, "협동 학습의 이해와 실천" 교육과학사 2006
5 성숙자, "협동 학습과 독창적 논증문 쓰기 지도 -고쳐쓰기 전략을 중심으로-" 국어교과교육학회 5 : 153-174, 2003
6 오택환, "협동 작문이 쓰기 능력과 쓰기 태도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7 성숙자, "협동 작문의 유형과 개선점" 우리말학회 13 : 161-182, 2003
8 오택환, "협동 작문의 단계와 절차 탐색" 국어교육학회 (29) : 229-254, 2007
9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정보통신용어사전"
10 박태호, "장르중심 작문교육의 내용 체계와 교수·학습 원리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0
11 박은영, "웹기반 영작문교육에서의 동료수정 양상 연구"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10 (10): 107-126, 2004
12 이지현, "웹(Web) 3.0 시대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인력개발학회 16 (16): 143-168, 2014
13 임희정, "웹 기반 작문 수업에서 협동학습 사례연구"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3 (3): 175-197, 2001
14 강동훈, "쓰기 멈춤 현상과 쓰기 교육" 미래앤 2016
15 최건아, "쓰기 과정에서 드러나는 필자와 협조자의 상호작용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46) : 349-374, 2014
16 박영민, "스마트 교육 환경에 따른 쓰기 지도 방법의 전환" 국어교육학회 49 (49): 51-76, 2014
17 이재기, "소집단 협동적 작문활동에 관한 고찰" 청람어문학회 17 (17): 263-312, 1997
18 박태호, "사회구성주의 패러다임에 따른 작문 교육 이론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6
19 하성욱, "문법 진단 평가를 위한 구글 독스(Google Docs) 활용 방안 연구 —‘양식(forms)’ 기능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49 (49): 767-785, 2014
20 이재승, "글쓰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 교육과학사 2009
21 교육부,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대한교과서 2001
22 朴泳穆, "協商을 통한 意味 構成과 協同 作文" 한국어교육학회 (107) : 6-134, 2002
23 Haring-Smith, T., "Writing together: Collaborative learning in the writing classroom" HarperCollins College Publishers 1994
24 Thomas, D., "Writing and Response" NCTE 1989
25 Blau, I., "What type of collaboration helps? Psychological ownership, perceived learning and outcome quality of collaboration using Google Docs" 12 : 48-55, 2009
26 YANG, C. C. R., "Using Google Docs to facilitate collaborative writing in an English language" 14 (14): 1-8, 2010
27 Kittle, P., "Transforming the group paper with collaborative online writing" 9 (9): 525-538, 2009
28 Hayes, J. R., "The science of writing"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6
29 Gere, A. R., "The Acquistion of Written Language: Response and Revision"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1987
30 O'Reilly, T., "Onlin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A Reader" Routledge 2005
31 Skaf-Molli, H., "New work modes for collaborative writing" 176-182, 2007
32 Morales, C. R., "Google Suitefor higher education (ID No. DEC0703)"
33 Alexander, E., "Google Docs in the Classroom" 1-5, 2011
34 Zhou, W., "Google Docs in an Out-of-Class Collaborative Writing Activity" 24 (24): 359-375, 2012
35 Gralla, P., "Google Docs better; Ready to take on Office"
36 Sørensen, B. H., "Framework for Students’Online Collaborative Writing" 657-664, 2016
37 Prensky, M.,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part 1" 9 (9): 1-6, 2001
38 Brodahl, C., "Collaborative writing with Web 2.0 technologies: education students' perceptions" 10 : 73-104, 2011
39 Andreasen, L. B., "Collaborative Online Writing in Google Docs: Presenting a Research Design" 692-696, 2014
40 Harris, M., "Collaboration is not collaboration is not collaboration: Writing center tutorials vs. peer-response groups" 43 (43): 369-383, 1992
창의융합 인재 양성 역량 강화를 위한 예비교사 화법 교육 방안
건의문의 평가기준 연구 - 건의문의 공공성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10-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ln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 |
2017-05-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Association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7 | 1.07 | 1.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4 | 1.04 | 1.728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