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서울특별시 자치구청 소속 기록연구사의 직무특성 및 직무환경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Environment of Records Manager Affiliated Autonomous District in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96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environment of records managers who are in archives of autonomous districts, find out the problems with the management of duties for local records managers, and deduce the improvement methods that could help records managers more efficiently perform their dut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 of basic autonomous districts, the allocated summary and duties of records managers through with basic autonomous districts, and the present conditions and duties of the archives through autonomous Gu offices that were in study. Based on the theories of job characteristics and job environment factors, the study drew up a survey that encompasses the present demographic summary, job characteristics, job environment, and working condition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environment of records managers who are in archives of autonomous districts, find out the problems with the management of duties for local records managers, and deduce the improveme...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environment of records managers who are in archives of autonomous districts, find out the problems with the management of duties for local records managers, and deduce the improvement methods that could help records managers more efficiently perform their dut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 of basic autonomous districts, the allocated summary and duties of records managers through with basic autonomous districts, and the present conditions and duties of the archives through autonomous Gu offices that were in study. Based on the theories of job characteristics and job environment factors, the study drew up a survey that encompasses the present demographic summary, job characteristics, job environment, and working condi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록연구사들이 기록관리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직무가 조직화되고, 직무환경에서는 동기가 부여되며 근무여건은 실제의 업무와 관련된 시스템을 갖추도록 하여야 한다. 기초자치단체 기록관 소속 기록연구사의 직무특성 및 직무환경을 조사하여 지방기록연구사의 업무 운영에 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기록연구사들이 업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문헌조사를 통하여 기초자치단체의 개념, 기초자치단체 기록관 소속 기록연구사의 배치 현황 및 업무, 서울특별시 자치구청 소속 기록관의 현황과 업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기록연구사들을 대상으로 직무특성요인, 직무환경요인, 근무여건 등의 항목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도출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기관장 및 상사와 동료의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 개선, 교육에 대한 기관 차원의 지원, 기록관리업무를 담당할 인력충원 혹은 기록연구사가 담당하고 있는 업무분담의 필요성,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의 업무환경에 맞는 행정적 지원 등이 있다.
      번역하기

      기록연구사들이 기록관리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직무가 조직화되고, 직무환경에서는 동기가 부여되며 근무여건은 실제의 업무와 관련된 시스템을 갖추도록 하여야 한다. 기...

      기록연구사들이 기록관리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직무가 조직화되고, 직무환경에서는 동기가 부여되며 근무여건은 실제의 업무와 관련된 시스템을 갖추도록 하여야 한다. 기초자치단체 기록관 소속 기록연구사의 직무특성 및 직무환경을 조사하여 지방기록연구사의 업무 운영에 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기록연구사들이 업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문헌조사를 통하여 기초자치단체의 개념, 기초자치단체 기록관 소속 기록연구사의 배치 현황 및 업무, 서울특별시 자치구청 소속 기록관의 현황과 업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기록연구사들을 대상으로 직무특성요인, 직무환경요인, 근무여건 등의 항목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도출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기관장 및 상사와 동료의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 개선, 교육에 대한 기관 차원의 지원, 기록관리업무를 담당할 인력충원 혹은 기록연구사가 담당하고 있는 업무분담의 필요성,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의 업무환경에 맞는 행정적 지원 등이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규환, "한국지방행정학" 법문사 2006

      2 김택, "한국지방행정론" 한국학술정보 2010

      3 "지방자치법"

      4 양재경, "지방자치단체 자료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자료관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5 이성태, "중앙행정기관 기록연구사의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9

      6 한종희, "중앙부처 특채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5급 기술직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4 (24): 151-175, 2008

      7 박찬승, "외국의 지방기록관과 한국의 지방기록 자료관 설립방향" 1 : 107-135, 2000

      8 "서울특별시 중랑구청"

      9 "서울특별시 중구청"

      10 "서울특별시 종로구청"

      1 이규환, "한국지방행정학" 법문사 2006

      2 김택, "한국지방행정론" 한국학술정보 2010

      3 "지방자치법"

      4 양재경, "지방자치단체 자료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자료관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5 이성태, "중앙행정기관 기록연구사의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9

      6 한종희, "중앙부처 특채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5급 기술직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4 (24): 151-175, 2008

      7 박찬승, "외국의 지방기록관과 한국의 지방기록 자료관 설립방향" 1 : 107-135, 2000

      8 "서울특별시 중랑구청"

      9 "서울특별시 중구청"

      10 "서울특별시 종로구청"

      11 "서울특별시 은평구청"

      12 "서울특별시 용산구청"

      13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청"

      14 "서울특별시 양천구청"

      15 "서울특별시 송파구청"

      16 "서울특별시 성북구청"

      17 "서울특별시 성동구청"

      18 "서울특별시 서초구청"

      19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청"

      20 고종희, "서울특별시 산하 기초자치단체 기록물관리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21 "서울특별시 마포구청"

      22 "서울특별시 동작구청"

      23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청"

      24 "서울특별시 도봉구청"

      25 "서울특별시 노원구청"

      26 "서울특별시 금천구청"

      27 "서울특별시 구로구청"

      28 "서울특별시 광진구청"

      29 "서울특별시 관악구청"

      30 "서울특별시 강서구청"

      31 "서울특별시 강북구청"

      32 "서울특별시 강동구청"

      33 "서울특별시 강남구청"

      34 정하용, "새 지방자치론: 이론과 실제" 백산출판사 2006

      35 이규환, "도시행정론" 녹원출판사 1995

      36 김형석, "기초자치단체의 영구기록물관리기관 설치모형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8

      37 임미경, "기초자치단체 기록관리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0

      38 James M. O'Toole, "기록의 이해" 진리탐구 2004

      39 서혜란, "기록연구사의 근무실태 및 제도운영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8 (8): 235-256, 2008

      40 이영학,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운영 현황과 전망" 한국기록학회 (21) : 323-353, 2009

      41 국가기록원,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배치현황(2011. 9월 기준)"

      42 박미자, "기록관 유형별 업무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6 (6): 133-155, 2006

      43 윤대혁, "글로벌시대의 인적자원관리" 삼영사 2006

      44 김희정, "국외 기록관리 전문직 유형 및 역할 분석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7 (7): 129-143, 2007

      45 "국가법령정보센터"

      46 "공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

      47 "공공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

      48 "공공기관의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4-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KCI등재
      2017-04-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5-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e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6 1.607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