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동기’, ‘학습몰입’, ‘학습만족’,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 관계를 구조모형으로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389618
2021
-
373
KCI등재
학술저널
479-497(1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동기’, ‘학습몰입’, ‘학습만족’,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 관계를 구조모형으로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동기’, ‘학습몰입’, ‘학습만족’,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 관계를 구조모형으로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895명의 응답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동기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가장 크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성취동기는 학습몰입과 학습만족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취동기는 학습몰입 또는 학습만족을 매개하는 단순매개효과 및 학습몰입과 학습만족을 매개로 하는 이중매개효과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몰입은 학습만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고, 학습만족을 매개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습만족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관계를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learning immers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structural model. To this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learning immers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structural model. To this end, 895 fifth-grade and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Province responded. First,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hieve academic performance has the greatest static effect on their academic self-efficacy. Second,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direct static effect on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Third, both the simple parameter effect that mediates learning immersion or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dual parameter effect that mediates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have a significant impact. Fourth, learning immersion has a direct static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indirect static effect on academic self-efficacy by mediating learning satisfaction. Fifth, learning satisfac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static effect on academic self-efficac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that influen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based on this, suggested the implications for increas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도윤, "화교 청소년과 한국 청소년의 학업적 성취동기에 관한 비교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9
2 김아영, "한국 교육심리학계의 동기 연구와 과제"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5-21, 2004
3 조혜영, "학원 강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수업만족을매개로 수학교과의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4 이영훈,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2011
5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타당화 연구" 39 (39): 95-123, 2001
6 유효현, "학업성취에 대한 관련변인의 예측력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7 강명희, "학습자의 사전지식, 인지부하, 몰입,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규명" 교과교육연구소 13 (13): 369-391, 2009
8 황매향, "학습부진학생 유형화 탐색 : 학습동기와 자기통제성을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0 (60): 191-217, 2012
9 김진아, "학습몰입경험, 학습지속력, 학업성취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모형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27-152, 2014
1 김도윤, "화교 청소년과 한국 청소년의 학업적 성취동기에 관한 비교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9
2 김아영, "한국 교육심리학계의 동기 연구와 과제"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5-21, 2004
3 조혜영, "학원 강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수업만족을매개로 수학교과의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4 이영훈,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2011
5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타당화 연구" 39 (39): 95-123, 2001
6 유효현, "학업성취에 대한 관련변인의 예측력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7 강명희, "학습자의 사전지식, 인지부하, 몰입,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규명" 교과교육연구소 13 (13): 369-391, 2009
8 황매향, "학습부진학생 유형화 탐색 : 학습동기와 자기통제성을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0 (60): 191-217, 2012
9 김진아, "학습몰입경험, 학습지속력, 학업성취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모형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27-152, 2014
10 송은별, "학습몰입 및 방과 후 시간 활용과 학업성취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1 고유경, "학습동기가 높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른 의지조정 전략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376-384, 2006
12 하영자, "학습동기,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이러닝 환경의 학습자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7 (17): 197-217, 2011
13 임효진, "학습동기, 자기통제, 학습전략을 중심으로 한 초등학생의 잠재집단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27-54, 2012
14 주동식, "학생⋅교사의 목적지향과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15 박익규, "태권도 수련생의 참여 동기에 따른 성취 성향이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과분석"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1
16 김보경, "컴퓨터 게임을 통한 학습의 몰입 관련변인이학업성취수준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1 (11): 89-114, 2005
17 최정희, "치위생과 학생의 성취동기 및 자아개념이 임상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 15 (15): 287-293, 2015
18 민희수,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학습관여와 성취목표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9 임성경, "초등학생의 지적능력에 대한 신념과 학업적도움요청행동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20 추미애,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15 (15): 271-288, 2006
21 유경훈, "초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효능감 및 학업성취 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462-470, 2017
22 민윤희, "초등학생의 사회적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적응과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2 (22): 123-137, 2013
23 임효진, "초등학생의 끈기(Grit), 자기효능감, 성취목표, 학업적 자기조절의 구조적 관계" 교육과학연구소 47 (47): 43-65, 2016
24 김선영, "초등학생용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교육문제연구소 60 : 99-131, 2014
25 김수정,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기결정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진로인식도의 매개효과 검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26 권동택, "초등교육의 관점에서 본 기초교육의 의미" 한국초등교육학회 16 (16): 41-58, 2003
27 박하진, "초등 수학영재의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창의적 성향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8 박동수, "체육계열 재학생의 학습만족도,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교수학습지원센터 학습 공동체 활동 유무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551-571, 2019
29 임미향, "청소년의 행복과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2 : 159-179, 2006
30 문은식,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관련되는 사회·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2
31 황혜순,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고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학업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대진대학교 대학원 2006
32 주효정, "직업전문학교 미용전공생의 자기효능감에 따른 수업만족도와 진로결정효능감" 한국미용학회 19 (19): 1148-1160, 2013
33 배연희, "지역 종합복지관 여성노인학습자의 학습참여태도와 학습만족이 참여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34 계보경, "증강현실 기반 학습에서 매체특성, 현존감, 학습몰입,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한국교육공학회 24 (24): 193-223, 2008
35 이안수, "중학생들의 성취목표성향이 체육수업에 대한 내적동기, 수업태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8 (58): 289-311, 2010
36 맹파, "중국 관광관련학과 대학생의 인턴십 성취동기가 자기효능감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0
37 류관열, "중·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타인기대와 학업성취도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661-685, 2010
38 장휘숙, "자기효율성의 특성에 관한 관련 연구의 개관" 6 (6): 16-28, 1994
39 박병기, "이차원 학업적 의지통제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131-152, 2011
40 전성연, "의지조정 전략의 교수가 학업성취와사회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15 (15): 463-480, 2001
41 임혜숙, "음악실기교육에서 성취목표지향성과 그룹연습이 학습자의 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음악교육학회 46 (46): 129-151, 2017
42 김수용, "유아교사의 성취동기 향상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9 (9): 1435-1448, 2018
43 강명희, "웹 기반 과학실험 시뮬레이션의 학습성과에 대한 학습몰입과 인지적실재감의 예측력 규명"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7 (17): 39-61, 2011
44 박성익,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탐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4 (14): 93-115, 2006
45 이현옥, "어머니의 학습관여가 자녀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자녀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대구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46 박정례, "성인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참여동기 및 자아개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34 (34): 151-178, 2013
47 김진호, "성인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몰입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48 주영주, "사이버수업에서 학업스트레스, 성취동기, 학습환경, 학교몰입, 학습지속의향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 (14): 73-81, 2011
49 주영주,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온라인과제가치와 만족도 및 성취도간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4 (14): 115-135, 2008
50 주영주, "사이버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학업스트레스, 정신적 소모에 따른 과목 만족도 예측"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 (15): 61-69, 2012
51 탁수연, "보호관찰 청소년의 상담지도를 통한 사례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14 (14): 69-81, 2005
52 김혜련, "무용교수행동 유형에 따른 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자의 학습 몰입도 및 학습만족도"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3 임지향, "몰입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고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427-448, 2015
54 이은주, "몰입에 대한 학습동기와 인지전략의 관계" 15 (15): 199-216, 2001
55 김순옥, "모의환자를 활용한 정신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이 자기주도적 학습, 학습 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4 (14): 396-408, 2014
56 이경희,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7 (17): 33-57, 2014
57 임주영,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대학생활만족도 및 성취동기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352-352, 2013
58 김기홍,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핵심역량 간의 구조 관계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28 (28): 117-143, 2020
59 김이영,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평가염려완벽주의가 학업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불확실성에 대한인내력 부족의 조절된 매개효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8
60 방희원, "대학생의 성취동기, 학업적 정서조절,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9
61 송윤희, "대학 이러닝 학습자의 완벽주의, 자기효능감, 몰입,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와의 관계" 원격교육연구소 10 (10): 105-123, 2014
62 강대식, "대학 원격교육환경에서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학습실재감, 몰입감, 학습만족도간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7 (17): 133-152, 2011
63 전명순, "남자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이 남자중학생의 성취동기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64 박선용, "교육서비스 질, 학생만족, 행동의도의 영향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65 이정아, "교사의 변혁적 지도행동이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66 김희정, "교사-학생관계 및 학습동기와 학습몰입간의 구조적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67 우여름, "관광관련 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영어학습동기가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산업학회 43 (43): 161-183, 2018
68 김성식, "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 향상과 격차 변화에 대한 학교효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69 경기도 교육청, "경기혁신교육 10년 혁신학교에서 마을교육까지"
70 송주영, "거꾸로학습이 고등학교 수학학습에 미치는영향 : 자기주도적학습, 학습태도, 수업만족도 변화"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72 장은정, "e-learning 공동체에서 학습 전략과 몰입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18 (18): 27-54, 2002
73 Astin, A. W., "What matter in college; Four critical years revisited" Jossey-Bass 1993
74 Mega, C., "What makes a good student? How emotions, self-regulated learning, and motivation contribute to academic achievement" 106 (106): 121-131, 2014
75 Nicholls, J. G., "The competitive ethos and democratic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76 Swinton, O. H., "The Effect of Effort Grading on Learning" 29 (29): 1176-1182, 2010
77 Ames, C., "Systems of student and teacher motivation : Toward a qualitative definition" 76 (76): 535-556, 1984
78 Harvey, L., "Student satisfaction manual" Open University Press 2000
79 Wachtel, H. K., "Student evaluation of college teaching effectiveness : A brief review" 23 (23): 191-211, 1998
80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 Hall 1986
81 Schunk, D. H.,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26 (26): 207-231, 1991
82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215, 1977
83 Zimmerman, B. J., "Self-efficacy : An essential motive to learn" 25 : 82-91, 2000
84 유병민, "SNS 활용 대학수업의 학습효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모델" 교육과학연구소 44 (44): 133-159, 2013
85 박혜진, "SNS 활용 대학수업에서 학습실재감과 학습몰입, 학습만족도가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 관계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 (20): 649-674, 2014
86 Midgley, C., "Performanceapproach goals : Good for what, for whom, under what circumstances, and at what cost" 93 (93): 77-86, 2001
87 Elliot, A. J., "On the measurement of achievement goals : Critique, illustration, and application" 100 (100): 613-628, 2008
88 Pintrich, P. R.,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82 (82): 33-40, 1990
89 Novak, T. P., "Measuring the Customer Experience in online Environments : A structural modeling approach" 19 (19): 22-44, 2000
90 Singh, K., "Mathematics and science achievement. Effects of motivation, interest, and academic engagement" 95 (95): 323-332, 2002
91 Elliot, M. K., "Key factors influencing student satisfaction related to recruitment and retention" 10 (10): 1-11, 2001
92 이웅, "Jigsaw식 학업수행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93 Keller, J. M.,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83-434, 1993
94 Arbona, C.,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John Wiley and Sons 270-309, 2000
95 Elliot, E. S., "Goals : An approach to motivation and achievement" 54 (54): 5-12, 1988
96 Schunk, D. H., "Goal setting and self-efficacy during self-regulated learning" 25 (25): 71-86, 1990
97 Csikszentmihalyi, M., "Flow :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Harper & Row 1990
98 Wolman, B. B., "Dictionary of behavioral science" Academic Press 1989
99 석임복, "Csikszentmihalyi의 몰입 요소에 근거한 학습 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3 (23): 121-154, 2007
100 Takatalo, J., "Components of humans experience in virtual environments" 24 (24): 1-15, 2008
101 Ames, C., "Classroom : Goals, structure, and student motivation" 84 (84): 261-271, 1992
102 Csikszentmihalyi, M., "Beyond boredom and anxiety : The experience of play in work and games" Jossey-Bass 1975
103 노형진, "Amos로 배우는 구조방정식모형" 학현사 2011
104 Kuhl, J., "Action control and learning:From metacognition to metamotivation" 1988
105 Ames, C., "Achievement goals in the classroom :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nd motivation processes" 80 (80): 260-267, 1988
106 Bong, M., "Academic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 How different are they really?" 15 (15): 1-40, 2003
107 Pintrich, P. R., "A motivational science perspective on the role of student motivation in learning and teaching contexts" 95 (95): 667-686, 2003
108 Elliot, A. J., "A 2x2 achievement goal framework" 80 (80): 501-519, 2001
109 박병기, "2x2 성취목표지향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327-353, 2005
110 교육부, "2018년 초⋅중⋅고교육 이렇게 달라집니다(정책자료공표)"
생명과학Ⅰ 방어 작용 단원의 백워드 설계 수업 방법 모색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이혼 가정 청소년의 과도한 인터넷 및 스마트폰 이용 예측 요인 탐색
자기결정성 동기에 따른 학습역량과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EFL Learning and Making Meaning of Literacy in the Korean Context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