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하게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전문농업인을 체계적으로 육성해야하는 현 시점에서 농업인에게 실제적으로 요구되는 능력 및 역량을 표준화하고 농업인의 능력수준을 체계적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714154
2011
Korean
520.7
KCI등재
학술저널
55-77(23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급격하게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전문농업인을 체계적으로 육성해야하는 현 시점에서 농업인에게 실제적으로 요구되는 능력 및 역량을 표준화하고 농업인의 능력수준을 체계적으...
급격하게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전문농업인을 체계적으로 육성해야하는 현 시점에서 농업인에게 실제적으로 요구되는 능력 및 역량을 표준화하고 농업인의 능력수준을 체계적으로 파악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농업생산 역량 진단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 전문가 협의회, 전문가 자문, 설문조사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23개 품목별 농업인의 성장단계 및 성취기준을 설정하고, 농업생산 역량모델을 개발한 후 이를 토대로 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농업생산 역량모델은 직무분석 접근방법을 기반으로 하여 직무과제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에 따라 역량 및 행동지표를 개발하였다. 역량 진단도구는 자가진단 방식으로 현재수준을 측정하도록 하였으며, 전문가 패널을 통해 설정한 개발목표 및 중요도와 비교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인의 성장단계를 초보자, 준전문가, 전문가의 3단계로 규정하였다. 둘째, 농업인의 성장단계별 성취기준을 품목별로 설정하였다. 셋째, 23개 품목별 직무과제 분석을 통해 농업생산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넷째, 품목별 역량모델의 행동지표를 활용한 문항개발을 통해 농업생산 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are increasing needs to systematically foster professional farmers who can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et competency standards for farmers and to systematically measure levels of farmers competencie...
There are increasing needs to systematically foster professional farmers who can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et competency standards for farmers and to systematically measure levels of farmers competencies.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for farmers agriculture production competency. Through a literature review, council meetings, experts consultation and survey, we set developmental stage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farmers for 23 farming products, developed an agricultural production competency model, and finally developed an agricultural production competency assessment tool. A competency model for agricultural production was developed using job and task analysis, and competency behavioral indicator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job analysis result. A competency assessment tool was made to measure farmers’present state of competency level by a self-assessment method and was designed to be able to compare themselves with developmental objectives and level of importance set by the expert panel.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Developmental stages of farmers were determined as three levels: beginners, semi-professionals and professionals; 2)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developmental stage of farmers were set; 3) Agriculture production competency model was developed using job and task analysis for 23 farming products; 4) Assessment tool for agriculture production competency was developed by developing questionnaire items with competency behavioral indicators.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익준, "해군부사관의 리더십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적용" 경남대학교 2007
2 강대구, "창업농 지원사업 효율화 방안" 농림부 2003
3 김진모, "일반모델 덧씌우기 방식을 적용한 농촌지도공무원 역량모델 개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9 (39): 115-138, 2007
4 이동희, "역량모델링을 통한 직무역량개발에 관한 연구: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역량모델링과 활용" 경희대학교 2006
5 김형숙, "액션러닝코치의 역량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2010
6 나승일, "수요자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모델 개발 및 평가지표 개발" 농림부 2005
7 김진모, "등급분류제를 활용한 농업인 교육체계 구축" 한국농업교육학회 2008
8 임우섭, "대학 교수의 핵심 교수역량 모델 연구" 경상대학교 2007
9 오승영,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의 핵심역량에 관한 실증 연구:농촌전통테마마을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2009
1 손익준, "해군부사관의 리더십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적용" 경남대학교 2007
2 강대구, "창업농 지원사업 효율화 방안" 농림부 2003
3 김진모, "일반모델 덧씌우기 방식을 적용한 농촌지도공무원 역량모델 개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9 (39): 115-138, 2007
4 이동희, "역량모델링을 통한 직무역량개발에 관한 연구: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역량모델링과 활용" 경희대학교 2006
5 김형숙, "액션러닝코치의 역량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2010
6 나승일, "수요자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모델 개발 및 평가지표 개발" 농림부 2005
7 김진모, "등급분류제를 활용한 농업인 교육체계 구축" 한국농업교육학회 2008
8 임우섭, "대학 교수의 핵심 교수역량 모델 연구" 경상대학교 2007
9 오승영,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의 핵심역량에 관한 실증 연구:농촌전통테마마을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2009
10 박한식, "농촌관광마을 리더의 역량모델 개발" 한양대학교 2008
11 마상진, "농업인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8 (38): 1-26, 2006
12 강대구, "농업인력구조변화에 따른 정예농업인력 육성 방안 연구" 농림부 2004
13 마상진, "농업인 교육?훈련 담당자의 전문성과 교육요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9 (39): 117-136, 2007
14 김진모, "농업인 교육프로그램 분류등급 방안 수립 연구보고서" 농림부 2007
15 김진모, "농업인 교육과정 등급분류제 및 교육체계 수립 연구보고서" 농림수산식품부 2009
16 고순철, "농업마이스터 대학 개설 전공의 지역 적합성 연구 - 품목별 입지계수를 중심으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3 (43): 29-55, 2011
17 박성열, "농업기초기술I 및 조경과목의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 방법에 따른 학습효과성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2 (42): 31-52, 2010
18 농림부, "농업․농촌의 발전,교육이 시작이다"
1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가등록제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20 전영욱, "기업체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핵심직무역량모델 개발" 서울대학교 2005
21 정철영, "국외의 농업인력 교육 체제 및 현황 분석- 미국, 프랑스, 네덜란드, 덴마크, 일본, 중국을 중심으로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4 (34): 49-72, 2002
22 양은하, "교수역량 진단도구 개발:A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0
23 김옥기, "건설사업 발주자 조직 역량 평가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2008
24 Jacobs,R, "Using structured on-the-job training to inform new supervisors of the organization's core values"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 2002
25 Dreyfus,H.L., "Mind over machine:The power of human intuition and expertise in the era of the computer" The Free Press 1986
26 Zemke,R, "Job competencies: Can they help you design better training?" 19 (19): 28-31, 1982
27 Dubois,K.K,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A strategy for organizational change" HRD Press 1993
28 McLagan,P.A, "Competencies: The next generation" 51 (51): 40-47, 1997
농가경영성과에 따른 농업인 교육 분야별 필요도에 대한 분석
특성화고의 산학협력교육에 대한 산업체 산학협력담당자의 인식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12-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8-0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 -> 한국농·산업교육학회영문명 : 미등록 ->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10-2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 ![]() |
2005-03-2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8 | 1.08 | 1.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2 | 1.35 | 1.587 | 0.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