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Hill, C. E., "합의적 질적연구 - 사회과학현상 탐구의 실질적 접근-" 학지사 2016
2 송승훈,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당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3 이해응, "한국 이주경험을 통해 본 중국 조선족 기혼여성의 정체성 변화" 한국여성연구원 22 (22): 107-143, 2005
4 이영선, "학술논문분석을 통해 본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특수성" 평화문제연구소 23 (23): 147-194, 2011
5 강성록, "탈북자의 외상 척도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6 진미정, "탈북인의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자본" 학지사 2009
7 김현경, "탄력성(resilience) 관점에서 조명한 북한이탈여성의 생애 연구: 북한과 중국에서의 생활을 중심으로" 여성학연구소 4 (4): 7-36, 2011
8 Seidman, I., "질적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학지사 2009
9 이수림, "질적 분석을 통한 상담과정 중 내담자 지혜 발달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1 (21): 791-813, 2009
10 김희경, "지역사회 정착 전후 북한이탈주민의 성 및 연령별 심리 증상" 한국심리학회 29 (29): 707-724, 2010
11 이정호, "종교적 대처가 외상후성장에 미치는 영향 :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12 권석만,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학지사 2004
13 손정아, "자유를 선택한 북한이탈주민의 외상회복 과정에 대한 현상항적 연구" 경북외국어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2
14 김영은, "인민에서 국민으로(?) : 한 북한이주여성의 정체성 변화에 대한 서사적 설명"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2
15 김희정, "유방암 생존자의 외상후성장 관련 요인 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16 이양자, "외상후 성장에 대한 연구 개관 : 적응과의 관계 및 치료적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1-23, 2008
17 박혜원, "외상 후 증상, 영성성 및 성장적 숙고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18 한노을, "외상 후 성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아동기 성폭력을 경험한 여성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8
19 김지애, "외상 후 성장 집단의 판별요인 연구" 한국상담학회 13 (13): 1845-1859, 2012
20 최승미,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21 Gabbard, G. O., "역동정신의학" 학지사 2002
22 송현, "심리적 강인성과 정서지능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적극적 대처를 매개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23 박영자, "선군시대 북한여성의 섹슈얼러티(Sexuality) 연구(1995-2006): 군사주의 국가권력의 성(性) 정체성 구성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15 (15): 129-161, 2006
24 장명선, "서울시 북한이탈주민여성 실태조사 및 지원 정책 방안 연구" 서울특별시 여성가족재단 2009
25 박철옥, "새터민의 대인관계적 외상 경험, 용서, 경험회피와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간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10 (10): 1891-1905, 2009
26 이민영, "새터민 여성의 이주로 인한 상실의 극복 체험 - 남한 남성과 결혼한 여성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5) : 525-554, 2007
27 박승민, "상담학 분야의 질적연구 경향 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3 (13): 953-977, 2012
28 지승희, "상담 분야의 CQR 연구 동향 -2001~2010년 상담관련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4 (14): 2327-2349, 2013
29 신선영,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성장적 반추를 매개 변인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30 이금순, "북한주민인권의식 실태연구" 통일연구원 2010
31 통일부, "북한이탈주민정책 통계자료"
32 통일부, "북한이탈주민정책 통계자료"
33 조영아,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예측 요인: 3년 추적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467-484, 2005
34 홍창형, "북한이탈주민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대한 3년 추적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35 김태국,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과 의도적 반추에 따른 외상후성장과 문화적응"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36 이숙영,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과 남한 내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 북한, 탈북과정, 남한 적응과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7 윤여상,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693-718, 2007
38 김희경,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유형에 따른 복합 PTSD와 PTSD 증상의 차이" 한국심리학회 31 (31): 1003-1022, 2012
39 김현경,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경험 이후 심리적 성장"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9) : 29-56, 2008
40 김현경,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질이 외상 경험 이후 심리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363-396, 2009
41 이재민,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3) : 61-84, 2008
42 김현경, "북한이탈주민의 결혼행복감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38 (38): 1-31, 2012
43 김연희, "북한이탈주민 정신건강 문제 유병율과 영향요인: 2007년 입국자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19 (19): 141-174, 2010
44 이금순, "북한이탈주민 사회적응 프로그램 연구" 통일연구원 2005
45 이명순, "북한이탈여성의 외상경험과 우울 : 낙관성의 중재 효과" 11 : 1-29, 2011
46 김태현, "북한이탈여성들의 삶 이야기2: 생존전략을 중심으로한 중국생활체험" 대한가정학회 41 (41): 229-243, 2003
47 제성호, "북한여성 인권의 실태와 과제" 평화문제연구소 19 (19): 177-206, 2007
48 조영아, "남한에서 자녀와 재결합한 북한이탈여성의 경험"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197-222, 2012
49 정태연, "남한사회에서의 생활경험이 탈북자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0 (10): 61-82, 2004
50 김현경, "난민으로서의 새터민의 외상(trauma) 회복 경험에 대한 현상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51 윤여상, "‘식량난’서 ‘삶의 질’로 탈북 원인 변화" 41-45, 2004
52 Rosen, C. S., "VA practice patterns and practice guidelines for treat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17 (17): 213-222, 2004
53 Lashley, M., "The unrecognized social stressors of migration and reunification in Caribbean families" 37 : 203-217, 2000
54 Rousseau, C., "The complexity of trauma response : a 4-year follow-up of adolescent Cambodian refugees" 27 : 1277-1290, 2003
55 Tedeschi, R. G,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9 (9): 455-471, 1996
56 Armeli, S., "Stressor appraisals, coping, and post-event outcomes : The dimensionality and antecedents of stress-related growth" 20 : 366-395, 2001
57 Bonanno, G., "Resilience in the face of potential trauma" 14 : 135-138, 2005
58 Abraido-Lanza, A. F., "Psychological thriving among Latinas with chronic Illness" 54 : 405-424, 1998
59 Zollner, T., "Posttraumatic growth in clinical psychology-A critical review and introduction of a two component model" 26 : 626-653, 2006
60 Tedeschi, R. G., "Posttraumatic Growth :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ance" 15 : 1-18, 2004
61 Camille B. Wortman., "Posttraumaric Growth : Progress and Problems" 15 (15): 81-90, 2004
62 Seligman, M. E. P., "Positive Psychology : An introduction" 55 : 5-14, 2000
63 Andrykowski, M. A., "Positive Psychological adjustment in potential bone marrow transplant recipients : Cancer as a psychosocial transition" 2 : 261-276, 1993
64 Schaefer, J. A., "Personality coping: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Praeger 149-170, 1992
65 Brewin, C. R., "Meta-Analysis of risk factors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rauma-exposed adults" 68 : 748-766, 2000
66 Davis, C. G., "Making sense of loss and benefiting from the experience : Two construals of meaning" 75 : 561-574, 1998
67 강숙정, "MMPI검사결과를 통한 새터민의 심리상담적 접근: 가양동 새터민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0 (10): 235-250, 2009
68 Bonanno, G. A., "Loss, Trauma, and human resilience: Have we underestimated the human capacity to thrive after extremely aversive event?" 59 : 20-28, 2004
69 Park, C. L., "Introduction to the special section : Growth following highly stressful life events-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74 : 791-796, 2006
70 Waysman, M., "Hardiness : An examination of its relationship with positive and negative long term changes following trauma" 14 : 513-548, 2001
71 Calhoun, L. G.,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Erlbaum 2006
72 Calhoun, L. G., "Facilitating posttraumatic growth: A clinician's guid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9
73 Znoj, H. J., "European and American perspectives on posttraumatic growth: A model of personal growth: Life challenges and transformations following loss and physical handicap" 1999
74 Jeon W. T., "Correlation Between Traumatic Event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18 : 147-154, 2005
75 Hill, C. 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 An Update" 52 : 196-205, 2005
76 Ferren, P. M., "Comparing perceived self-efficacy among adolescent Bosnian and Croatian refugees with and withou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12 : 405-420, 1999
77 Arnold, E., "Caribbean families diversity among ethnic groups" Ablex Publishing Corp 243-258, 1991
78 Evers, A. W. M., "Beyond unfavourable thinking : The Illness Cognition Questionnaire for chronic diseases" 69 : 1026-1036, 2001
79 McMillen, J., "Better for it : How people benefit from adversity" 44 : 455-468, 1999
80 Hayes, S. C.,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 Model, process and outcomes" 44 : 1-25, 2006
81 김현경, "A Study on the Perceived Growth after Adversity among North Korean Women Refugees : Application of Grounded Theory Method"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7 (27): 33-66, 2012
82 Hill, C. E., "A Guide to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25 : 517-572, 1997
83 Shakespeare-Finch, J.,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Understanding Cultural Differences in Posttraumatic Growth" 11 : 355-371,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