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학적 표상을 활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mathematical represen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918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적 표상을 활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의 유아교육 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프로그램 개발은 선행연구 및 문헌분석을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적 표상을 활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의 유아교육 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프로그램 개발은 선행연구 및 문헌분석을 바탕으로 현장관찰과 교사 심층 면담을 통해 교육현장 실태 및 요구를 조사하여 1차 시안을 구성하였고, 교육현장에 시범 적용한 후 최종 전문가 협의 과정을 거쳐 수학적 표상을 활용한 유아 과학교육 프로그램을 최종 완성하였다. 수학적 표상을 활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체계는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로 구성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교육현장 적용타당성 검증을 위해 만 4세와 만 5세 학급의 유아 8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수학적 표상을 활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을, 비교집단은 ‘생활주제에 따른 실험 중심 과학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13주간의 실험처치를 실시한 후,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태도, 수학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태도, 수학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학적 표상을 활용한 유아 과학교육 프로그램이 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s. To develop the prog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s. To develop the program, based on the prior research analysis, the first draft proposal was formed by investigating the field conditions and teacher’s perceptions through field observations and teacher interviews. Afterwards, the first draft proposal was applied to education sites, and then the program was established with educational objectives and goals,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systems. In order to validate the application of this program to educational fields, 85 children from two classes for four-years-olds and five-years-olds were selected for an experimental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the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mathematical representation that was developed from this study, and the comparison group was provided with a large and small group discussion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mathematical representation. The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conducted for 13 week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field applications in this program. The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 scientific attitudes, mathematical ability were test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mathematical representation’ exerts positive effects to promote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 scientific attitudes, mathematical abilit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is program is applicable to the education fiel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미, "협동적 수 표상 활동이 유아의 수 연산 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 박선영, "협동적 문제해결에 기초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 안경숙, "학습주기와 놀이가 연계된 유아 수학?과학 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2) : 99-133, 2005

      4 양주승, "표상활동을 통해 본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의 과학적 개념 변화 과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 박은주, "표상 및 토의 중심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2

      6 정효은, "탐구-표상 중심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7 Schwab, K., "클라우스 슈밥의 제 4차 산업혁명" 새로운 현재 2016

      8 김순희, "자연물을 활용한 유아 수·과학통합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인천대학교대학원 2015

      9 오윤란, "자연물 관찰 및 표상활동이 만 5세 유아의 과학적 개념· 탐구능력·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0 김갑순, "일상적 경험에 기초한 유아 수교육 활동의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11 장웅, "유아의 수학·과학·미술 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0

      12 홍혜경, "유아의 수 표상능력 발달에 대한 분석과 교육적 활용" 19 (19): 95-118, 1999

      13 조형숙, "유아의 과학적 질문에 기초한 자연탐구활동이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213-236, 2009

      14 문연심, "유아수학교육" 양서원 2009

      15 장슬하, "유아를 위한 극 놀이 연계 과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대학원 2017

      16 황해익, "유아그림수학능력검사" 양서원 2007

      17 김형재, "유아교사의 내용교수지식(PCK)에 기초한 유아 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3

      18 조부경, "유아과학교육" 양서원 2012

      19 구혜현, "유아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이 측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19 (19): 111-128, 2010

      20 지성애, "유아 과학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태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45-75, 2011

      21 홍혜경, "유아 과학교육과 수학교육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153-169, 2005

      22 김남연, "예술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107-130, 2013

      23 김명정,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유아 과학음악극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24 이남희, "숲유치원에서 수·과학 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과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인천대학교 숲유치원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교육대학교 2011

      25 문병환, "수학적 표상을 활용한 유아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227-251, 2013

      26 문병환, "수학적 표상을 활용한 유아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27 이은영, "수학적 의사소통과 표상을 강조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99-119, 2011

      28 김정숙, "수학적 요소가 있는 일상자료 활용 수학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221-249, 2013

      29 이혜숙, "수학과학통합교육의 설계 및 실행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49 (49): 175-198, 2010

      30 박조령, "수학과 화학의 통합교육 사례 연구 : 중학교 1학년 함수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1 이은정, "수학과 과학의 통합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및 수학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2 윤은경, "수학과 과학의 통합활동이 유아의 수학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5

      33 구혜현,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34 홍영기, "수학․과학 교과의 주제중심 통합프로그램의 효과"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3 (3): 42-66, 2009

      35 오유미, "수학-과학 통합 프로그램 활용 수업이 수학적 의사소통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6 권영례, "수학, 과학 통합 활동이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12 (12): 121-136, 1997

      37 황혜진, "수학 탐구 경험을 통한 노래 개사 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수학적 태도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38 김용숙, "수․과학의 과정중심 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4462-4470, 2012

      39 마지순, "수·과학 통합활동이 유아의 수학 성취와 과학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1

      40 김숙자, "수·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수학과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8 (8): 173-203, 2001

      41 이경민, "상호작용적 교수법에 의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탐구능력·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42 고선아,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43 김남연, "미술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44 남기원,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45 김선아, "동화를 활용한 유아과학연극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46 권유선, "그림책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하기 및 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63-84, 2010

      47 남아름, "과학과 수학의 형식 논리 공통성과 표상 변환을 강조한 수업 방략의 개발과 그 효과 : 8학년 운동 단원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8 Waite-Stupiansky, D. S., "The fourth R : Recess and its link to learning" 66 (66): 16-25, 2001

      49 Berlin, D. F., "The Berlin-White Integrated Science and Mathematics Model" 94 (94): 2-4, 1994

      50 Martin, R., "Teaching science for all children: Inquiry methods for constructing understanding" Allyn and Bacon 2009

      51 Burns, A., "Teacher learning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4-177, 1996

      52 Mcginnis, E., "Skillstreaming in early childhood: Teaching prosocial skill to the preschool and kindergarten child" Research Press 1990

      53 Carson, S., "Shaping the future: Physics in mathematical mood" Institute of Physics 1999

      54 Harlan, J. D., "Science experiences for the early childhood years:An integrated affective approach" Pearson 2011

      55 Hurley, M., "Reviewing integrated science and mathematics : The search for evidence and defines from new perspectives" 101 (101): 259-268, 2001

      56 Ziman, J. M., "Reliable knowledge: An exploration of the grounds for belief in science (Canto original se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57 NCTM,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CTM 2000

      58 Kemani, H., "Preparing children for success : Integrating science, math and technology in early childhood classroom" 185 (185): 1504-1527, 2015

      59 Wispe, L. G., "Positive form of social behavior : An overview" 28 (28): 1-19, 1972

      60 NRC,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2001

      61 Copley, J. V., "Mathematics: The creative curriculum approach" Teaching Strategies, Inc 2011

      62 Berlin, D. F., "Making connections in math and science : Identifying student outcomes" 6 : 283-290, 1994

      63 Walsh, H. M., "Introducing the young child to the social world" Macmillan Pub. Co., Inc 1980

      64 Horton, M. R., "Integrating curricula : The SC studies model" 11 (11): 408-415, 2006

      65 Bull, A., "Inspired by science" New Zealand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2010

      66 Maccoby, E.,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4):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Wiley 1-101, 1983

      67 McGillicuddy-De Lisi, "Family as learning environment for child" Plenum press 261-300, 1982

      68 Lind, J., "Exploring science in early childhood: A developmental approach" Delmar Publishers 1996

      69 Farrant, B., "Empathy, perspective taking and prosocial behavior : The importance of parenting practices" 21 : 175-188, 2012

      70 Martin, D. J.,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Delmar 1997

      71 NCTM, "Early childhood mathematics: Promoting good beginnings(Joint position statement)" NAEYC and NCTM 2002

      72 Green, S. K., "Casual attribution of emotion and its relationship to role-taking and helping behavior" University of Chicago 1975

      73 Ginsburg, H. P., "Big math for little kids" Dale Seymour Publications, Pearson Learning Group 2003

      74 Lesh, R., "Applie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ERIC/SMEAC 1979

      75 권미경,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과학 관련 활동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0 (30): 155-178, 2013

      76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72 2.72 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4 2.67 3.087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