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시 공간의 재활성화를 위한 유심적 가치의 적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Application of Immaterial Value for Urban Space Revital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65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fter industrial revolution not only led to various cultures and lifestyles but it also gave humans urbanization, outer appearance of life. Overpopulation in specific areas brought physical richness with simultaneous rise but it was led to adverse effect such as psychological anxiety and cold hearted society. Such imbalance of materials and mind must be improved for sustainable civilization and pursuit of immaterial value in the field of urban space design may be a good alternative to solve aforementioned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ructure of mind of humans who is main agent of space usage and is to research whether it can be expanded in terms of social genetics. This study examined characteristics which relation between humans and cities in immaterial space has by analyzing area of human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space based on Palsikseol of Yusik thought. This study examined how elements of immaterial space value act for urban space revitalization through case study and suggested its direction. Value of place of urban culture forms when time, historical events and relation of people who use applicable space are stored and mixed. Technique of revitalizing cities which heavily depends on physical and fragmental manner limits use of space. Expanding relation between structure of mind that clearly senses recognition of place and method of urban space revitalization may help plan space which can improve local communication and psychological stabilization of people who use space.
      번역하기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fter industrial revolution not only led to various cultures and lifestyles but it also gave humans urbanization, outer appearance of life. Overpopulation in specific areas brought physical richness with simultan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fter industrial revolution not only led to various cultures and lifestyles but it also gave humans urbanization, outer appearance of life. Overpopulation in specific areas brought physical richness with simultaneous rise but it was led to adverse effect such as psychological anxiety and cold hearted society. Such imbalance of materials and mind must be improved for sustainable civilization and pursuit of immaterial value in the field of urban space design may be a good alternative to solve aforementioned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ructure of mind of humans who is main agent of space usage and is to research whether it can be expanded in terms of social genetics. This study examined characteristics which relation between humans and cities in immaterial space has by analyzing area of human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space based on Palsikseol of Yusik thought. This study examined how elements of immaterial space value act for urban space revitalization through case study and suggested its direction. Value of place of urban culture forms when time, historical events and relation of people who use applicable space are stored and mixed. Technique of revitalizing cities which heavily depends on physical and fragmental manner limits use of space. Expanding relation between structure of mind that clearly senses recognition of place and method of urban space revitalization may help plan space which can improve local communication and psychological stabilization of people who use spa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산업혁명 이후 과학 기술의 발달은 다양한 문명과 생활양식을 창조하였으며, 종합적으로는 인간에게 도시화라는 삶의외형을 부여하였다. 특정 지역의 이러한 과밀 현상은 다양한 관점의 동반 상승효과를 이루어내며 물리적 풍요로움을가져왔지만, 사람들에게 정서적 메마름이나 심리적 불안감 등의 부작용도 함께 증가시킨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물심(物心)의 불균형은 지속가능한 문명을 위하여, 추후 반드시 개선시켜야만 하는 과제이며, 도시 공간 디자인 분야에서의 유심적 가치 추구는 이를 위한 양질의 대안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공간 사용 주체인 인간의 근원적인 마음의구조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의 사회 유전학적인 확장 가능성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유식 사상의 팔식설(八識 說)을 근거로 문헌 연구를 진행하여 인간의 인식의 영역과 공간의 수용성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며, 유심적인 공간 안에서의 인간과 도시의 관계 맺음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아뢰야식의 소훈처가 될 수 있는 네 가지 조건을 전략적 방향으로 설정하고 이를 배경으로 도시 공간 재활성화를 위한 평가 항목을 도출하였다. 도시 공간 재활성화를 위해서 유심적 공간 가치의 요소들이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 사례 조사를 통하여 고찰하였으며, 이의 방향성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도시 문화의 장소 가치는 해당 공간 사용자의 시간, 역사적 사건, 관계 맺음 등이 저장되고 혼합되어 형성된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리적이고 단편적인 도시 재생 기법들은 공간 사용자에게 사용성만을 강요하고, 제안한다. 유식사상 안에서, 장소의 인식을 명확히 감지하는 마음의 구조와 도시 공간 재활성화 방법론의 연계를 확대시켜 나간다면, 지역 소통의 확장과 공간 이용자의 마음의 안정에 보다 더 나은 공간 구조를 계획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번역하기

      산업혁명 이후 과학 기술의 발달은 다양한 문명과 생활양식을 창조하였으며, 종합적으로는 인간에게 도시화라는 삶의외형을 부여하였다. 특정 지역의 이러한 과밀 현상은 다양한 관점의 동...

      산업혁명 이후 과학 기술의 발달은 다양한 문명과 생활양식을 창조하였으며, 종합적으로는 인간에게 도시화라는 삶의외형을 부여하였다. 특정 지역의 이러한 과밀 현상은 다양한 관점의 동반 상승효과를 이루어내며 물리적 풍요로움을가져왔지만, 사람들에게 정서적 메마름이나 심리적 불안감 등의 부작용도 함께 증가시킨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물심(物心)의 불균형은 지속가능한 문명을 위하여, 추후 반드시 개선시켜야만 하는 과제이며, 도시 공간 디자인 분야에서의 유심적 가치 추구는 이를 위한 양질의 대안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공간 사용 주체인 인간의 근원적인 마음의구조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의 사회 유전학적인 확장 가능성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유식 사상의 팔식설(八識 說)을 근거로 문헌 연구를 진행하여 인간의 인식의 영역과 공간의 수용성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며, 유심적인 공간 안에서의 인간과 도시의 관계 맺음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아뢰야식의 소훈처가 될 수 있는 네 가지 조건을 전략적 방향으로 설정하고 이를 배경으로 도시 공간 재활성화를 위한 평가 항목을 도출하였다. 도시 공간 재활성화를 위해서 유심적 공간 가치의 요소들이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 사례 조사를 통하여 고찰하였으며, 이의 방향성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도시 문화의 장소 가치는 해당 공간 사용자의 시간, 역사적 사건, 관계 맺음 등이 저장되고 혼합되어 형성된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리적이고 단편적인 도시 재생 기법들은 공간 사용자에게 사용성만을 강요하고, 제안한다. 유식사상 안에서, 장소의 인식을 명확히 감지하는 마음의 구조와 도시 공간 재활성화 방법론의 연계를 확대시켜 나간다면, 지역 소통의 확장과 공간 이용자의 마음의 안정에 보다 더 나은 공간 구조를 계획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문용, "현대 도시건축의 다중적 특성에 의한 건축공간의 경계변화에 대한 연구 -공간의 확률적 활용에 따른 공유공간 계획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7

      2 문대성, "한국 전통주거공간의 유심적 가치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3 소광희,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강의" 문예출판사 2011

      4 김정은,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의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5 (5): 95-106, 2010

      5 김기홍, "지방중소도시 도심쇠퇴현상분석과 도시재생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 진주시와 마산시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8

      6 김효선, "일시성을 통한 유동적 공간의 구현 : 잠정적 공간의 옴니버스"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0

      7 김명우, "유식삼십송과 유식불교" 예문서원 2009

      8 목경찬, "유식불교의 이해" 불광출판사 2012

      9 한자경, "유식 불교에서의 인식과 존재" 예문서원 2011

      10 제인 제이콥스,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 그린비 2010

      1 정문용, "현대 도시건축의 다중적 특성에 의한 건축공간의 경계변화에 대한 연구 -공간의 확률적 활용에 따른 공유공간 계획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7

      2 문대성, "한국 전통주거공간의 유심적 가치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3 소광희,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강의" 문예출판사 2011

      4 김정은,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의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5 (5): 95-106, 2010

      5 김기홍, "지방중소도시 도심쇠퇴현상분석과 도시재생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 진주시와 마산시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8

      6 김효선, "일시성을 통한 유동적 공간의 구현 : 잠정적 공간의 옴니버스"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0

      7 김명우, "유식삼십송과 유식불교" 예문서원 2009

      8 목경찬, "유식불교의 이해" 불광출판사 2012

      9 한자경, "유식 불교에서의 인식과 존재" 예문서원 2011

      10 제인 제이콥스,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 그린비 2010

      11 크리스티안 미쿤다, "마음을 훔치는 공간의 비밀" 21세기북스 2011

      12 하은경, "디지털 미디어에 의한 예술의 확장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7 (7): 9-18, 2012

      13 홍만영, "도시재생에 있어서 역사문화환경의 활용방안에 관한연구" 인하대학교 2009

      14 오윤균, "도시가치 창출을 위한 장소브랜딩 전략 방안 : 호반도시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

      15 성순택,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 리모델링의 내/외적 영향분석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 대학원 2009

      16 이설희, "공간구성을 위한 재료의 비(非)물질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7 (7): 127-137, 2012

      17 마츠무라 슈이치, "건축재생 리모델링 프로세스" 기문당 2009

      18 임민택, "Visual Merchandising Design 개선을 위한 Digital Signage 적용에 관한 연구 : 스포츠 브랜드 리테일 샵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