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아기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는 어머니들의 부모역할적응 실태 및 어려움 = A Study on Conditions and Difficulties in Parent Role Adjustment of Mothers with Infants in Daycare Cen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291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는 어머니들의 부모역할적응에 따른 실태와 그 과정에서 경험하는 역할 어려움에 대해 살펴보고, 어머니의 변인 및 영아의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는 어머니들의 부모역할적응에 따른 실태와 그 과정에서 경험하는 역할 어려움에 대해 살펴보고, 어머니의 변인 및 영아의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탐색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 부산시, 아산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을 이용 중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들의 부모역할적응 실태를 살펴보면, 70.5%의 어머니들은 영아기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면서 1달 이내에 부모로써 역할을 수행하는데 적응해 갔다고 하였다. 또한 아침에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면서 더 이상 불안감을 느끼지 않게 되었을 때 부모역할에 적응해 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는 어머니들의 응답이 가장 높았다. 부모로써의 역할적응이 자녀의 어린이집 생활에 영향을 미쳤다에 대해 과반수가 넘는 어머니들이 그렇다고 응답하였으며, 영아의 연령에 따라 어머니들의 응답은 차이를 보였다. 또한 부모역할적응이 교사와의 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에 대한 어머니들의 응답은 그렇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러한 응답은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다음으로 어머니들은 부모역할에 적응해 가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교사와 원장의 지원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취업을 한 어머니일수록 가족구성원의 지지가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부모역할적응이 되지 않아 교사와 갈등을 겪은 적이 없다는 어머니들이 있다는 어머니들보다 많았다. 둘째, 어머니들의 부모역할적응과 관련한 어려움을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에서 요구하는 부모역할과 관련한 모든 문항에서 보통이다 이하의 평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절차와 협력사항 및 자원봉사자로서의 부모참여는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보육활동 참관을 통한 부모참여에서는 어머니의 취업 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대소변 훈련 방법과 관련한 부모역할에 대해서는 영아의 연령에 따라 어머니의 응답이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후 부모역할적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사항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and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parents’ role for mothers sending their infants to daycare center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variables of mothers and infants. To fulfill the purpo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and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parents’ role for mothers sending their infants to daycare center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variables of mothers and infants. To fulfill the purpose, the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176 mothers who sent their infants to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Busan, and Asan citie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of the conditions of parent role adjustment indicated that 70.5% of mothers were adjusted to the parent role within a month and they noticed of adjusting to parent role when they did not felt the insecureness. Over half of mothers also responded that relationship between their young children and teachers influenced on parent role adjustment.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by the ages of infants and mothers. Results also found that the most number of mothers perceived the influence of the parent role adjustment on the relationship to the teachers and the responses showed differences by mothers’ ages. Moreover, the most number of mothers responded supports from teachers and directors as an helpful element for parent role adjustment. Mothers with jobs also showed more responses in supports from the family members as an helpful element than mothers without jobs. More mothers also responded that they did not experience the conflicts with teachers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o parent role. Second, results of the difficulties in parent role adjustment indicated that most of mothers perceived the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parent role as the below average level. Among
      mother’s variables, procedure for infants’ adjustment to daycare center and parent involvement as a volunteer showed differences in mothers’ ages. Parent involvement through activity observation showed differences in the presence of mother’s jobs. Regarding to the parent’s role for toilet training, mothers’ responses showed differences in infants’ ages.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provided in terms of developing the program for parent role adjust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 고 문 헌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 고 문 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현주, "학기 중 입학한 영아의 초기 적응 과정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533-558, 2012

      2 뉴시스, "첫 아이 출산 평균 연령 '31.2세'…넷 중 하나는 35세 이상 고령 산모"

      3 박시온, "전업주부의 만 3세 자녀 어린이집 선택과 경험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 전은경, "유아교육기관의 오리엔테이션과 초기적응 프로그램에 관한 운영실태 및 교사 인식"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1 (11): 131-167, 2012

      5 신현정, "유아교육기관의 가족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6 배지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교육 및 참여에 대한 부모들의 경험과 기대"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277-302, 2011

      7 강민정, "유아교육기관과 부모의 효율적인 협력관계를 위한 부모들의 인식" 대한가정학회 50 (50): 25-38, 2012

      8 황윤세, "유아교육기관 및 보육시설 운영관리" 공동체 2009

      9 이성세, "영아적응 부모협력프로그램이 영아-교사 애착과 적응 및 부모 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2

      10 김영숙, "영아의 어머니 및 교사에 대한 애착 안정성이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229-249, 2013

      1 전현주, "학기 중 입학한 영아의 초기 적응 과정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533-558, 2012

      2 뉴시스, "첫 아이 출산 평균 연령 '31.2세'…넷 중 하나는 35세 이상 고령 산모"

      3 박시온, "전업주부의 만 3세 자녀 어린이집 선택과 경험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 전은경, "유아교육기관의 오리엔테이션과 초기적응 프로그램에 관한 운영실태 및 교사 인식"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1 (11): 131-167, 2012

      5 신현정, "유아교육기관의 가족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6 배지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교육 및 참여에 대한 부모들의 경험과 기대"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277-302, 2011

      7 강민정, "유아교육기관과 부모의 효율적인 협력관계를 위한 부모들의 인식" 대한가정학회 50 (50): 25-38, 2012

      8 황윤세, "유아교육기관 및 보육시설 운영관리" 공동체 2009

      9 이성세, "영아적응 부모협력프로그램이 영아-교사 애착과 적응 및 부모 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2

      10 김영숙, "영아의 어머니 및 교사에 대한 애착 안정성이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229-249, 2013

      11 박정화,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을 위한 영아-어머니, 영아-교사 관계 탐색"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4

      12 구수연,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13 성영화,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8) : 67-82, 2011

      14 김현주,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223-231, 2015

      15 서소정, "영아의 보육기관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영아발달, 기질, 교사-영아간의 상호작용, 어머니의 양육 및 보육신념과 적응지원 전략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259-288, 2009

      16 이경님,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교사-영아 관계가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3 (13): 165-190, 2014

      17 장은미, "영아의 기질, 조기교육경험,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어린이집 초기적응에서의 문제행동" 3 (3): 33-50, 2008

      18 송애란, "영아의 기질, 교사의 민감성 및 어머니의 분리불안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애학회 5 (5): 37-53, 2015

      19 서소정, "영아를 둔 어머니의 어린이집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319-335, 2014

      20 권혜진, "영아기 첫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는어머니가 경험하는 정서" 한국보육학회 14 (14): 107-127, 2014

      21 박선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경험 및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 1 (1): 63-87, 2014

      22 김기미, "영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보육시설 이용 경험" 경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23 이정희, "영아·어머니·보육교사의 특성에 따른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33 (33): 63-81, 2012

      24 통계청, "연령별 보육아동 현황"

      25 신희남, "어머니의 적응지원전략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단기종단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8 (8): 29-55, 2012

      26 허영순, "어머니의 자기분화와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과의 관계 -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가정관리학회 28 (28): 183-194, 2010

      27 최항준, "어머니의 양육행동, 영아의 사회·정서행동,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구조방정식을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6) : 49-72, 2013

      28 김연진,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영아의 보육시설 적응에 관한 연구" 3 (3): 19-34, 2005

      29 한재영,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3

      30 양숙경, "어머니의 분리불안, 교사-영아관계가 만 1․2세반 아동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8 (28): 131-146, 2010

      31 유민아, "어머니의 격리불안 및 양육태도가 영아의 보육시설적응에 미치는 영향"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1) : 333-356, 2011

      32 김유환, "어머니-교사관계가 유아-교사관계 및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33 김혜금, "어린이집과 부모"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1-22, 2015

      34 베스트베이비, "어린이집 한 달,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35 보건복지부,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보육프로그램 운영의 이해"

      36 박소윤, "어린이집 초기적응과정에서 나타난 영아반 보육교사의 어려움"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331-354, 2015

      37 김정희, "어린이집 적응단계에 있는 영유아를 둔 어머니의 분리불안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북외국어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2

      38 김금옥,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와 영아 어머니의 역할 및 상호 관계에 대한 영아반 교사와 영아반 어머니의 인식" 열린부모교육학회 7 (7): 33-52, 2015

      39 정옥분, "부모교육" 학지사 2008

      40 베이비뉴스, "부모가 바뀌면 어린이집도 바뀌어요"

      41 박선미, "로봇을 활용한 영아 어린이집 적응 프로그램 개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3 (13): 79-111, 2014

      42 김현주, "가정어린이집 부모교육 및 참여 실태와 원장의 인식 조사연구"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3 Datler, W., "Toddlers’ transition to out-of-home day care : Settling into a new care environment" 35 : 439-451, 2012

      44 Kim, J., "Profiles of choice : Parents’ patterns of priority in child care decision-making" 24 (24): 77-91,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영문명 : The Korea Associan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 The Korea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72 1.6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