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육인적자원부, "학교 교육력 제고를 위한 교원양성체계 개선방안" 2006
2 윤종건,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적 재해석과 학교경영에의 시사점" 14 (14): 280-297, 1996
3 여성희,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2007
4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교사헌장"
5 김은심, "유치원 교사의 동작교수 효능감 형성에 미치는 동작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8 (8): 295-314, 2003
6 박수진, "유치원 교사의 교직윤리의식과 역할수행정도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 조형숙, "유치원 교사가 경험한 윤리적 딜레마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73-101, 2009
8 남궁선혜, "유아예비교사를 위한 교과교육론 PBL 수업설계 적용 연구" 1 (1): 67-94, 2006
9 임진형, "유아교원양성과정에서 문제중심학습(PBL) 적용 실행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0 조경옥, "유아교사의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1 배소연, "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교사교육의 방향" 31 (31): 153-171, 1993
12 조형숙, "유아교사의 교직윤리관련 딜레마에 나타난 갈등요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243-276, 2009
13 임승렬, "유아교사의 교직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19 (19): 175-190, 2002
14 박은혜, "유아교사론" 창지사 2009
15 유승연, "유아 과학 교수방법의 질적 개선을 위한 포트폴리오 평가 활용이 예비교사의 역할 변화와 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20 : 221-242, 2000
16 강인애, "왜 구성주의인가? 정보화 시대와 학습 중심의 교육환경" 문음사 1997
17 김선구,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PBL 교수학습 모형 개발과 적용"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0
18 조형숙,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 인식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301-326, 2008
19 조형숙,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 인식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301-326, 2008
20 곽영우, "예비교원을 위한 교사론" 교육과학사 1997
21 조형숙, "예비교사를 위한 탐구중심 과학교육 수업의 효과 탐색" 12 (12): 227-245, 1999
22 강영순, "심폐소생술비실시(DNR)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암환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
23 박은혜, "수업사례 활동의 효과에 관한 예비유아교사의 평가" 22 (22): 105-124, 2002
24 권혜진, "상호작용 대상 및 과제유형에 따른 유아의 과제수행 비교" 12 : 265-290, 2007
25 김현주, "사립유치원 교사 문화의 특질 : 어느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이야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26 조필수, "보육교사의 교직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 교사교육 프로그램 및 윤리강령 제정을 위한 기초 :서울시 양천구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27 김은설, "보육 시설장 교사 윤리강령 개발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0
28 서혜정,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에서 피드백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 20 (20): 73-93, 2007
29 崔旺燮, "국민학교 교사의 교직윤리의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30 김은심,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동작교육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31-56, 2005
31 김정화, "구성주의 교사교육을 통한예비교사의 과학교육에 대한 신념의 형성 과정"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97-120, 2003
32 김정화, "구성주의 교사교육을 통한예비교사의 과학교육에 대한 신념의 형성 과정"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97-120, 2003
33 안부금, "구성주의 개념도 전략을 통한 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 증진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7 (7): 1-18, 2002
34 문용린, "교직윤리와 교사의 수업책무성" 96-98, 1993
35 이경원, "교직윤리에 대한 통합적 접근모형 탐색" 16 : 2004
36 김헌수, "교직윤리관 확립을 위한 프로그램과 그 효과" 한국교육학회 40 (40): 4-98, 2002
37 이복례, "교직윤리 확립을 위한 교사윤리의식 실태 분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8 정보주,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교직윤리 및 도덕성 함양 프로그램 개발" 교육인적자원부 2004
39 서정화, "교원의 권위와 교직윤리 확립 방안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연구소 75-81, 1994
40 변주현, "교원의 교직윤리 인식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41 최문기, "교사의 직업윤리" 12 (12): 93-108, 2007
42 진병춘, "교사 윤리로서 배려의 가치"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43 박현주,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5
44 Palmer, J. P, "가르칠 수 있는 용기" 한문화 2002
45 李東花, "齊白石 作品에 나타난 老境美 硏究" 曉星女子大學校 大學院 1989
46 金支坤, "敎員의 倫理觀에 대한 認知水準과 行動水準의 比較分析" 慶星大學校 敎育大學院 1990
47 韓文熙, "初等敎員의 敎職倫理意識에 관한 연구" 國民大學校 敎育大學院 1990
48 Clark, C., "Thoughtful teaching" Teachers College Press 1995
49 Socket, H., "The moral base for teacher professionalism" Teachers College Press 1993
50 Duit, R., "The constructivist view: A Fashionable and fruitful paradigm for science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In Constructivism in educa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71-285, 1995
51 Strike, K., "Teaching ethics to teachers: What the curriculum should be about" 6 (6): 47-53, 1990
52 Husu, J., "Teachers' Ethical Choices in Socio-moral Settings" 30 (30): 361-375, 2001
53 Katz, L., "Talks with teachers of young children: A Collection" Ablex 1995
54 Steinbrunner, R. K., "Professional ethics instruction in early childhood practitioner preparation programs in Virginia" George Mason University 2001
55 Feeney. S., "Professional eth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survey results" 42 (42): 15-21, 1986
56 Hmelo, C. E, "Problem-based learning: Effects on the early acquisition of cognitive skill in medicine" 7 : 173-208, 1998
57 최봉선, "PBL에서"교재, 교구 연구 및 지도법"수업 사례"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 23 (23): 33-55, 2007
58 NAEYC, "NAEYC code of ethical conduct revised. National association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1615 Duke Street, Alexandria, VA"
59 Oser, F., "Moral perspectives on teaching.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20 : 57-128, 1994
60 Fallona, C, "Manner in teaching : a study in observing and interpreting teachers` moral virtues" 16 (16): 681-695, 1999
61 Sherman, N., "Making necessity of virtue: Aristotle and Kant on virtu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62 Zimitat, C., "First year student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good teachingL Not all thing are equal" 29 : 386-392, 2006
63 Kaczmarek, P., "Experiental teaching strategies applied to an ethics and professional issues course" ERIC 2001
64 Coombe, K., "Ethics in early childhood field experiences" 1 : 1997
65 Colnerud, G., "Ethical conflicts in teaching" 13 (13): 627-635, 1997
66 Dochy, F.,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 a meta-analysis" 13 : 533-568, 2003
67 Castle, K., "Constructing knowledge of constructivism" 18 (18): 55-67, 1997
68 Bricker, D. C., "Classroom life as civic education : Individual achievement and student cooperation in schools" Teachers College Press 1993
69 Barrows, H. S., "A taxonomy of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20 : 481-486, 1986
70 Clyde, M., "A code of ethics for the early childhood field in Australia" Melbourne University School of Early Childhood Studies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