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유아의 리더십 향상에 미치는 글로벌리더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The effects of leadership program basis on the global leadership model on the young children's leadershi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934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에서는 유아동의 인지, 창의성, 리더십을 계발하기 위한 교육모형으로 제안된 ‘글로벌리더 모형(이경화, 2009a)’에 따라 개발된 글로벌리더 교육프로그램 중 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셀프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 향상에 효과적인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하여, 가설1은 리더십 프로그램은 유아의 셀프 리더십(자기관리, 건설적 사고)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 가설2는 리더십 프로그램은 유아의 서번트 리더십(타인존중, 공동체 배려)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를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4세 유아 40명이었으며, 실험은 총 9주(18회기) 동안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을 무선 선정한 후에 각 2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할당한 후, 사전검사로 리더십 검사를 하여 두 집단 간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글로벌리더 교육프로그램 중 리더십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에는 일반 유치원 프로그램인 사회성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 실시 후 사후검사로 리더십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두 집단간 차이검증(t-test)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리더십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와 통제집단 유아 간에는 셀프 리더십(자기관리, 건설적 사고)과 서번트 리더십(타인존중, 공동체 배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글로벌리더 교육프로그램은 유아의 리더십 향상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리더십 프로그램을 유아교육현장에서 적극 활용 한다면 유아의 셀프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을 증진시켜 글로벌리더로서 성장할 수 있는 교육적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유아동의 인지, 창의성, 리더십을 계발하기 위한 교육모형으로 제안된 ‘글로벌리더 모형(이경화, 2009a)’에 따라 개발된 글로벌리더 교육프로그램 중 리더십 프로그램이 유...

      본 연구에서는 유아동의 인지, 창의성, 리더십을 계발하기 위한 교육모형으로 제안된 ‘글로벌리더 모형(이경화, 2009a)’에 따라 개발된 글로벌리더 교육프로그램 중 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셀프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 향상에 효과적인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하여, 가설1은 리더십 프로그램은 유아의 셀프 리더십(자기관리, 건설적 사고)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 가설2는 리더십 프로그램은 유아의 서번트 리더십(타인존중, 공동체 배려)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를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4세 유아 40명이었으며, 실험은 총 9주(18회기) 동안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을 무선 선정한 후에 각 2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할당한 후, 사전검사로 리더십 검사를 하여 두 집단 간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글로벌리더 교육프로그램 중 리더십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에는 일반 유치원 프로그램인 사회성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 실시 후 사후검사로 리더십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두 집단간 차이검증(t-test)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리더십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와 통제집단 유아 간에는 셀프 리더십(자기관리, 건설적 사고)과 서번트 리더십(타인존중, 공동체 배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글로벌리더 교육프로그램은 유아의 리더십 향상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리더십 프로그램을 유아교육현장에서 적극 활용 한다면 유아의 셀프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을 증진시켜 글로벌리더로서 성장할 수 있는 교육적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leadership program basis on the global leader model on fostering the young children’s leadership.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0 young children who were four years old.
      Hypothesis 1(The leadership program will be effective on fostering the young children’s self leadership(self-management, constructive thinking) improvement.) and hypothesis 2(The leadership program will be effective on young children's servant leadership(respecting others, taking consideration of community) improvement.) were supposed and verified.
      The participants were allocated randomly in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qually. And this research was progressed from September 16, 2009 until November 12, 2009. The measuring tool, ‘young children's leadership test(Yun, 2009, Lee at al, 2009)’ was used as pre-post test and data were progressed using SPSS win 14.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young children of an experimental test group have shown the higher score in self-leadership(self-management, constructive thinking) compared with the young children of control group. In other words, it seems that a the leadership program was efficient for young children's self leadership improvement. Second, the young children of an experimental group who carried out a leadership program have shown a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ight of servant leadership(respecting others, taking consideration of community) rather than the young children of a control group who performed social programs. To put it another way, it has proved that the leadership program was efficient for young children’s servant leadership improve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leadership program was effective on improvement of the young children’s self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Accordingly, as long as a program verified in this study was affirmatively applied in the field of young children’s education according to global leader model, young children’s self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will greatly improve and provide them with cutting-edge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grow as global lead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leadership program basis on the global leader model on fostering the young children’s leadership.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0 young children who were four years old. Hypothesis 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leadership program basis on the global leader model on fostering the young children’s leadership.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0 young children who were four years old.
      Hypothesis 1(The leadership program will be effective on fostering the young children’s self leadership(self-management, constructive thinking) improvement.) and hypothesis 2(The leadership program will be effective on young children's servant leadership(respecting others, taking consideration of community) improvement.) were supposed and verified.
      The participants were allocated randomly in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qually. And this research was progressed from September 16, 2009 until November 12, 2009. The measuring tool, ‘young children's leadership test(Yun, 2009, Lee at al, 2009)’ was used as pre-post test and data were progressed using SPSS win 14.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young children of an experimental test group have shown the higher score in self-leadership(self-management, constructive thinking) compared with the young children of control group. In other words, it seems that a the leadership program was efficient for young children's self leadership improvement. Second, the young children of an experimental group who carried out a leadership program have shown a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ight of servant leadership(respecting others, taking consideration of community) rather than the young children of a control group who performed social programs. To put it another way, it has proved that the leadership program was efficient for young children’s servant leadership improve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leadership program was effective on improvement of the young children’s self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Accordingly, as long as a program verified in this study was affirmatively applied in the field of young children’s education according to global leader model, young children’s self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will greatly improve and provide them with cutting-edge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grow as global lead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Ⅴ. 논의 및 결론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은숙, "초등학교 저학년 리더의 유형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 이경화, "창의성 발달의 이론과 과제" 1 (1): 48-67, 2002

      3 이경화, "인지창의리더십 계발을 위한 글로벌리더 모형" 한국영재교육학회 8 (8): 23-41, 2009

      4 이경화, "인지ㆍ창의ㆍ리더십 계발을 위한 글로벌리더 프로그램"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09

      5 강현주,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연구"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6 서기남, "유아의 리더십과 관련된 변인 연구: 유아의 개인변인과 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7 김미선, "유아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8 정유정, "유아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명숙, "유아 셀프 리더십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0 최남례, "유아 서번트 리더십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 윤은숙, "초등학교 저학년 리더의 유형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 이경화, "창의성 발달의 이론과 과제" 1 (1): 48-67, 2002

      3 이경화, "인지창의리더십 계발을 위한 글로벌리더 모형" 한국영재교육학회 8 (8): 23-41, 2009

      4 이경화, "인지ㆍ창의ㆍ리더십 계발을 위한 글로벌리더 프로그램"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09

      5 강현주,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연구"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6 서기남, "유아의 리더십과 관련된 변인 연구: 유아의 개인변인과 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7 김미선, "유아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8 정유정, "유아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명숙, "유아 셀프 리더십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0 최남례, "유아 서번트 리더십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1 김미진, "유아 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 셀프 리더십과 개인지능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2 김성숙, "유아 리더십 유형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13 이은진, "유아 대인관계 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4 이경화, "영재교육(5판). in: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박학사 2005

      15 송인섭, "아동연구방법" 동문사 2008

      16 박현정, "만3세 유아를 위한 리더십 교육 효과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7 조경서, "또래집단의 리더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2

      18 김민선, "긍정적 유아 리더의 특성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9 이경화, "교사용 유아 리더십 측정도구 개발" 9 (9): 5-35, 2009

      20 김윤경, "교사용 유아 리더십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1 Plowman, P. D., "Training extraordinary leaders" 3 (3): 13-16, 1981

      22 이경화, "The Relations Between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of Preschoolers" 2002

      23 Schlichter, C. L., "Talents unlimited model in programs for gifted students. in: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Allyn & Bacon 318-327, 1997

      24 Schlichter, C. L., "Talents Unlimited: An inservice education model for teaching thinking skills" 30 : 119-123, 1986

      25 Mitchell. A, "Reflection on early childhood leadership development: Finding your own path. In leadership in early care and eduction" NAEYC 85-96, 1997

      26 Roberts, J. L., "Leadership is a “must” for Children who Are Gifted and Talented" 27 (27): 5-, 2004

      27 Sisk, D. A., "Leadership education for the gifted. in: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 Pergamon 491-505, 1993

      28 Parten, M. B., "Leadership among preschool children" 27 (27): 430-440, 1933

      29 Kagan, L. S., "Leadership : Rethinking it-making it happen" 59 (59): 50-54, 1994

      30 Davis, G. A., "Identifying creative students and measuring creativity. in: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Allyn and Bacon 1997

      31 박치정, "21세기 조직을 움직이는 지도자와 리더십" 삼경문화사 2000

      32 강현석, "(제3판) 최신 영재교육과정론" 시그마프레스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Creativity Education Association -> Korean Society for Creativity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5 1.65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64 2.057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