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학교폭력 가해, 피해경험 간의 관계: 초기 부적응 도식을 매개로 = The relations between adolescents’ childhood abuse and school violence offense experi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712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childhood abuse and school violence offense and victimization experience. The participans were 502 9th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freshman in Gyeonggi-do, who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with child abuse scale, School violence experienced scale, Early maladaptive schemas - short form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there were a significant static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s' childhood abuse,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school violence offense/victimization experience. Second, the early maladaptive schema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buse and school violence experiences. In school violence offense, a enmeshment and abandonment schema partia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childhood abuse and school violence experience. I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 subjugation schema partia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childhood abuse and school violence. This research results can help ourselves to understand perpetrators/victims of school violence and it may suggest informative resources in school fields and counseling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For the last, based on the represented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as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childhood abuse and school violence offense and victimization experience. The participans were 502 9th grade middle s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childhood abuse and school violence offense and victimization experience. The participans were 502 9th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freshman in Gyeonggi-do, who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with child abuse scale, School violence experienced scale, Early maladaptive schemas - short form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there were a significant static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s' childhood abuse,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school violence offense/victimization experience. Second, the early maladaptive schema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buse and school violence experiences. In school violence offense, a enmeshment and abandonment schema partia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childhood abuse and school violence experience. I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 subjugation schema partia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childhood abuse and school violence. This research results can help ourselves to understand perpetrators/victims of school violence and it may suggest informative resources in school fields and counseling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For the last, based on the represented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as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 간의 관계에서 초기 부적응 도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의 중3, 고1 학생 502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학대경험 척도,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 척도, 초기 부적응도식 단축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대경험, 초기 부적응 도식,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아동기 학대경험과 학교폭력 경험 간의 관계에서 초기 부적응 도식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 가해의 경우, 융합, 유기도식이 아동기 학대경험과 학교폭력 가해경험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피해경험의 경우 복종도식이 아동기 학대경험과 학교폭력 피해경험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학교현장 및 상담장면에서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를 이해하고, 학교폭력예방과 상담개입에 대한 유익한 자료가 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 간의 관계에서 초기 부적응 도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 간의 관계에서 초기 부적응 도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의 중3, 고1 학생 502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학대경험 척도,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 척도, 초기 부적응도식 단축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대경험, 초기 부적응 도식,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아동기 학대경험과 학교폭력 경험 간의 관계에서 초기 부적응 도식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 가해의 경우, 융합, 유기도식이 아동기 학대경험과 학교폭력 가해경험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피해경험의 경우 복종도식이 아동기 학대경험과 학교폭력 피해경험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학교현장 및 상담장면에서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를 이해하고, 학교폭력예방과 상담개입에 대한 유익한 자료가 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성호, "한국판 도식질문지의 요인구조" 13 (13): 177-192, 2001

      2 박경숙, "학생의 왕따현상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98-119, 1998

      3 정익중, "피학대아동이 비행에 이르는 발달경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223-244, 2006

      4 박은영, "초기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에 대한 생태학적 변인의 영향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5 조성호, "초기 부적응 도식과 심리적 부적응"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775-788, 2002

      6 배준우,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0

      7 박은영,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와 가해경험에 대한 생태학적 변인의 영향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9 (19): 91-118, 2014

      8 박진아, "청소년의 아동기 외상경험이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14 : 65-80, 2015

      9 김재엽, "청소년들의 가정폭력노출경험이 학교폭력가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10 : 235-236, 2008

      10 이미열, "청소년기 애착과 우울증과의 관계 : 초기 부적응 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6

      1 조성호, "한국판 도식질문지의 요인구조" 13 (13): 177-192, 2001

      2 박경숙, "학생의 왕따현상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98-119, 1998

      3 정익중, "피학대아동이 비행에 이르는 발달경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223-244, 2006

      4 박은영, "초기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에 대한 생태학적 변인의 영향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5 조성호, "초기 부적응 도식과 심리적 부적응"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775-788, 2002

      6 배준우,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0

      7 박은영,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와 가해경험에 대한 생태학적 변인의 영향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9 (19): 91-118, 2014

      8 박진아, "청소년의 아동기 외상경험이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14 : 65-80, 2015

      9 김재엽, "청소년들의 가정폭력노출경험이 학교폭력가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10 : 235-236, 2008

      10 이미열, "청소년기 애착과 우울증과의 관계 : 초기 부적응 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6

      11 노충래, "중학생의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부부폭력 목격경험, 아동학대 피해경험, 내적 통제감 및 학교생활 인식을 중심으로" 1 (1): 1-35, 2003

      12 정향기, "중학생의 학교폭력 경험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특성" 한국상담학회 14 (14): 573-591, 2013

      13 한영주, "중·고등학교집단따돌림("왕따")가해자 및 피해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14 김영혜, "여고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14 (14): 649-664, 2009

      15 정익중, "아동학대 경험이 또래집단으로부터의 소외로 이어지는 발달경로" 한국아동학회 29 (29): 79-95, 2008

      16 노영천, "아동의 학대경험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초기부적응 도식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0 (20): 1-20, 2013

      17 최미정, "아동기 학대경험과 우울 및 불안의 관계 : 초기 부적응 도식의 매개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8 장량, "아동기 학대 경험이 청소년기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19 차미영, "아동기 외상과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 문제 간의 관계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20 정종진, "생태학적 측면에서 본 학교폭력의 유발 요인"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1 (11): 331-350, 2012

      21 이명진, "부모의 아동학대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조사연구소 8 (8): 9-42, 2007

      22 신혜영, "부모로부터의 학대경험과 공격성 및 대인불안간의 관계: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5 (15): 295-307, 2003

      23 김광혁, "방임이 아동발달에 미친 영향" 24 (24): 27-45, 2009

      24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7-177, 2000

      25 심선보, "가정환경변인, 심리사회적 특성과 집단따돌림 경험유형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0

      26 Young, J. E., "Young Schema Questionnaire Short Form" Cognitive Therapy Center 1998

      27 McGinn, L. K., "When and how to do longer term therapy, without feeling guilty?" 2 : 187-212, 1995

      28 Cecero, J. J., "Tools and tenets of schema therapy : Towar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early maladaptive schema questionnaire-research version(EMSQ-R)" 11 : 344-357, 2004

      29 Crawford, E., "The impact of childhood psychological maltreatment on interpersonal schemas and subsequent experiences of relationship aggression" 7 : 93-116, 2007

      30 Messman-Moore, T. L., "The impact of childhood psychological abuse on adult interpersonal conflict : The role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patterns of interpersonal behavior" 7 : 75-92, 2007

      31 Kendall-Tackett, K., "The health effects of childhood abuse : Four pathways by which abuse can influence health" 26 (26): 715-729, 2002

      32 Schwartz, "The emergence of chronic peer victimization in boys’play groups" 64 : 1755-1772, 1993

      33 Young, J. E., "Schema therapy: A practitioner's guide" Guilford Press 2003

      34 Kochenderfer-Ladd, B., "Peer victimization : The role of emotions in adaptive and maladaptive coping" 13 : 329-349, 2004

      35 Muris, P., "Maladaptive schemas in non-clinical adolescents : Relations to perceived parental rearing behaviors,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psychological symptoms" 13 : 405-413, 2006

      36 Baranoff, J., "Factor structure and internal consistency of the Young Schema Questionnaire(short form)in Korean and Australian samples" 93 : 133-140, 2006

      37 Atmaca, S., "Exploring revictimization process among Turkish women : The role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on the link between child abuse and partner violence" 52 : 85-93, 2016

      38 Carr, S. N., "Do early maladaptive schema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xperiences and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feature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in a non-clinical sample" 34 : 343-358, 2010

      39 Beck, A. T., "Cognitive therapy of personalities" Guilford Press 1990

      40 Young, J. E., "Cognitive therapy for personality disorders: A schema-focused approach" Professional Resource Press 1990

      41 Wright, M. O.,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and later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ng role of maladaptive schemas" 33 : 59-68, 2009

      42 Macklem, G. L., "Bullyng and teasing : Social power in children’s groups"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 2003

      43 Paul R. S., "Bullying in school : An overview of types, effects, family characteristic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27 (27): 101-110, 2005

      44 Stevens, J. P., "Applied multivariate statistics for the social scienc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2

      45 Tremblay, P. E., "Another perspective on trait aggressiveness : Overlap with early maladaptive schemas" 46 (46): 569-574, 2009

      46 Camodeca, M., "Aggression, social cognitions, anger and sadness in bullies and victims" 46 : 186-197, 2005

      47 교육부, "2016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48 한국교육개발원, "2014 학교폭력실태조사"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School ->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9 1.89 1.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6 2 2.4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