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년기 평생교육 참여와 삶의 질 =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for older adults and quality of life in old 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879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들의 평생교육 참여와 삶의 질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7년 노인실태조사(정경희 외, 2017)’의 원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얻은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기 평생교육 참여실태를 분석한 결과, 지난 1년 동안 노년기 평생교육에 참여하지 않는 노인들이 참여 노인들보다 7배 정도 많았고, 건강관리 및 운동 교육영역에 가장 많이 참여하였다. 평생교육 참여시설은 복지시설, 공공기관, 경로당, 기타, 노인교실의 순이었고, 주 2~3회 정도 참여빈도가 가장 높았다. 둘째, 노년기 평생교육 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보다 우울은 낮고, 인지기능은 높으며, 건강상태, 경제상태, 사회/여가/문화활동, 친구/ 지역사회관계 등 모든 면에서 삶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 셋째, 노년기 평생교육 참여여부에 따라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노년기 평생교육 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보다 여성이 더 많고, 연령은 낮으며, 교육수준이 높았다. 넷째, 노년기 평생교육 참여 여부에 따라 노년기 삶의 질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비참여집단에 비해 참여집단이 인지기능은 높고 우울은 낮았다. 삶의 만족도에서도 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보다 건강상태, 경제상태, 사회/여가/문화활동, 친구/지역사회관계 등 삶의 만족도 하위요인 전체와 삶의 만족도 총점 모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노년기 평생교육 참여집단의 참여 시설에 따라 우울, 인지기능,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차이가 있었고, 참여 영역에 따라 인지기능, 삶의 만족도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참여빈도에 따라서는 인지기능에서만 차이가 있었다. 삶의 만족도 총점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가구형태, 주관적 건강상태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결과를 바탕으로 노년기 평생교육 정책 및 실천을 위한 제언을 몇 가지 덧붙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노인들의 평생교육 참여와 삶의 질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7년 노인실태조사(정경희 외, 2017)’의 원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본 연구는 노인들의 평생교육 참여와 삶의 질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7년 노인실태조사(정경희 외, 2017)’의 원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얻은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기 평생교육 참여실태를 분석한 결과, 지난 1년 동안 노년기 평생교육에 참여하지 않는 노인들이 참여 노인들보다 7배 정도 많았고, 건강관리 및 운동 교육영역에 가장 많이 참여하였다. 평생교육 참여시설은 복지시설, 공공기관, 경로당, 기타, 노인교실의 순이었고, 주 2~3회 정도 참여빈도가 가장 높았다. 둘째, 노년기 평생교육 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보다 우울은 낮고, 인지기능은 높으며, 건강상태, 경제상태, 사회/여가/문화활동, 친구/ 지역사회관계 등 모든 면에서 삶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 셋째, 노년기 평생교육 참여여부에 따라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노년기 평생교육 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보다 여성이 더 많고, 연령은 낮으며, 교육수준이 높았다. 넷째, 노년기 평생교육 참여 여부에 따라 노년기 삶의 질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비참여집단에 비해 참여집단이 인지기능은 높고 우울은 낮았다. 삶의 만족도에서도 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보다 건강상태, 경제상태, 사회/여가/문화활동, 친구/지역사회관계 등 삶의 만족도 하위요인 전체와 삶의 만족도 총점 모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노년기 평생교육 참여집단의 참여 시설에 따라 우울, 인지기능,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차이가 있었고, 참여 영역에 따라 인지기능, 삶의 만족도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참여빈도에 따라서는 인지기능에서만 차이가 있었다. 삶의 만족도 총점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가구형태, 주관적 건강상태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결과를 바탕으로 노년기 평생교육 정책 및 실천을 위한 제언을 몇 가지 덧붙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nd quality of lif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original data of the 2017 Senior Survey of KIHASA were analyzed. The main finding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 First,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who did not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during the past year was 7 times more than those who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and the most participated in health care and exercise education. The facilities used for lifelong education were in the order of welfare facilities, public institutions, senior citizen centers, others, and seniors classes, and the frequency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was the highest two to three times a week. Second, participants in lifelong education had lower depression, higher cognitive function, and higher life satisfaction such as health status, economic status, social/leisure/cultural activities, and friends/community relationships than non-participants. Third, participating group in lifelong education had more women, lower age, and higher education levels than non-participating group.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ng group had higher cognitive function and lower depression than non-participating group. Participants in lifelong education were higher than the non-participants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sub-factors and total scores.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facilities, in cognitive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education area. and in cognitive function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The total score of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 level, household typ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added some suggestions for lifelong education policy and practice in old ag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nd quality of lif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original data of the 2017 Senior Survey of KIHASA were analyzed. The main 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nd quality of lif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original data of the 2017 Senior Survey of KIHASA were analyzed. The main finding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 First,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who did not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during the past year was 7 times more than those who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and the most participated in health care and exercise education. The facilities used for lifelong education were in the order of welfare facilities, public institutions, senior citizen centers, others, and seniors classes, and the frequency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was the highest two to three times a week. Second, participants in lifelong education had lower depression, higher cognitive function, and higher life satisfaction such as health status, economic status, social/leisure/cultural activities, and friends/community relationships than non-participants. Third, participating group in lifelong education had more women, lower age, and higher education levels than non-participating group.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ng group had higher cognitive function and lower depression than non-participating group. Participants in lifelong education were higher than the non-participants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sub-factors and total scores.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facilities, in cognitive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education area. and in cognitive function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The total score of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 level, household typ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added some suggestions for lifelong education policy and practice in old 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원배,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활동이론과 자원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449-470, 2009

      2 조재형, "한국 노인교육의 문제점과 개선을 위한 탐색적 연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 은화연, "평생교육참여 노인의 심리사회적 안녕감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4 신의현,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노인의 학습동기가 성공적 노화 삶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9

      5 김도향, "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가 참여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울산광역시 노인복지관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6 함미경, "평생교육 참여특성 및 만족도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7 신현국, "중년여성을 위한 인터넷 교육 만족도와 개선방안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2

      8 임현민, "중년기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 동기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9 권오균, "장애노인의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9) : 7-32, 2008

      10 유영열,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 17 (17): 15-26, 2009

      1 김원배,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활동이론과 자원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449-470, 2009

      2 조재형, "한국 노인교육의 문제점과 개선을 위한 탐색적 연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 은화연, "평생교육참여 노인의 심리사회적 안녕감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4 신의현,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노인의 학습동기가 성공적 노화 삶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9

      5 김도향, "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가 참여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울산광역시 노인복지관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6 함미경, "평생교육 참여특성 및 만족도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7 신현국, "중년여성을 위한 인터넷 교육 만족도와 개선방안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2

      8 임현민, "중년기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 동기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9 권오균, "장애노인의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9) : 7-32, 2008

      10 유영열,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 17 (17): 15-26, 2009

      11 전미숙, "인지기능 통합프로그램이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72 (72): 209-232, 2017

      12 손용진, "은퇴 및 비은틔 집단에 있어서 주관적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0) : 75-98, 2005

      13 최윤진, "연령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09

      14 노경주, "어르신의 공공도서관 이용 요인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15 김능련, "실버인지건강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연구"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2016

      16 김영숙, "생활환경에 따른 한국 노인들의 생활만족과 우울 수준" 18 (18): 273-290, 2002

      17 김윤정, "사회적 지지 관점으로 본 가족부양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기능취약노인의 복지감과 우울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18 문수정, "동화구연 기법을 활용한 화법 수업이 노인화자의 언어 및 비언어적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19 채란희,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기능향상에 미치는 효과 : 인지, 우울, 대인관계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여성문화복지대학원 2008

      20 황인담, "독서요법이 경증치매노인의 인지력과 우울증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21 이기하, "도시형과 도농복합형의 노인복지관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동기 및 교육만족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22 윤현숙, "뇌졸중 노인 부양가족의 부양부담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연구" 20 (20): 137-153, 2000

      23 최은희, "노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인문학적 교양프로그램 참여동기 및 만족도가참여지속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교 사회문화교육대학원 2019

      24 이형주, "노인학습자를 위한 수리문해 프로그램 개발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7

      25 이선재, "노인평생교육참여와 삶의 질 간에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6

      26 김동배, "노인의 평생교육참여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과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 32 (32): 801-817, 2012

      27 서명환, "노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1

      28 민경진,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6) : 223-248, 2007

      29 유혜숙, "노인의 우울증 해소를 위한 독서요법 연구" 33 (33): 5-22, 1999

      30 이은창, "노인의 여가활동유형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분석"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0

      31 노권자, "노인의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32 남철현,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32 (32): 66-74, 2006

      33 이성호, "노인의 사회생활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배제대학교대학원 2017

      34 김현국, "노인의 대인 관계 정도 및 여가활동 참여가 노년기 우울과 노후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6 (36): 1-15, 2012

      35 천명업, "노인의 건강 체력과 우울, 삶의 질의 관계 : 인지기능을 매개변수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36 김보현, "노인여가 활동과 삶의 질에 관한 탐색적 연구" 15 (15): 141-160, 2008

      37 고선희, "노인교육프로그램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천광역시 노인문화센터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2013

      38 이상윤, "노인교육프로그램 수강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 수도권의 노인교육기관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학회 16 (16): 121-145, 2004

      39 김인자, "노인교육이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 대전지역 유성구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12

      40 한정란, "노인교육론" 학지사 2015

      41 김미영, "노인교육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42 이진희, "노인교육 참여가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8 (28): 887-905, 2008

      43 이부일, "노인 평생교육시설 프로그램 참여동기와 비참여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9

      44 조성숙,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07

      45 김미란, "노년기교육 참여 동기 및 만족도에 따른 생활만족도" 1 (1): 19-35, 2015

      46 손희성, "노년기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노인복지관 이용노인들의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47 성혜영, "노년기 생산적 활동과 심리적 안녕" 대한가정학회 44 (44): 35-45, 2006

      48 이가옥, "노년기 삶의 질의 척도와 평가" 6 (6): 26-65, 2001

      49 권중돈,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 (20): 61-76, 2000

      50 서근미,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과 우울감소에 미치는 효과" 평택대학교 상담대학원 2011

      51 김설향, "고령화 시대의 노인체조프로그램 개발-비건강노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체육학회 20 (20): 687-694, 2003

      52 김승열, "고령자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개발 효과" 한국스포츠학회 14 (14): 449-458, 2016

      53 이호선, "고령사회를 대비한 노인평생교육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54 주경복, "경증치매노인을 위한 뇌 활성화 중재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312-322, 2018

      55 장한별, "경증치매 노인의 문제 행동 유형별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56 조은희, "경로분석을 통한 만성질환 노인 환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모델 선정" 4 (4): 148-163, 2000

      57 지은주,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적용한 웃음요법병합 인지강화프로그램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58 신윤희, "걷기운동프로그램이 노인여성의 심폐기능, 유연성에 미치는효과" 25 (25): 372-386, 1996

      59 최정아, "社會的 支援網과 老人의 生活滿足度"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2

      60 Oswald, W. D., "The SIMA-project : Effects of 1 year cognitive and psychomotor training on cognitive abilities of the elderly" 78 (78): 67-72, 1996

      61 Jeong-Ju Sun,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Integrat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for Life in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Convergence Society for SMB 7 (7): 55-64, 2017

      62 Laurin, D., "Physical activity and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in elderly persons" 58 (58): 498-504, 2001

      63 Lautenschlager, N. T.,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n cogni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at risk for Alzheimer disease : a randomized trial" 300 : 1027-1037, 2008

      64 교육부, "2019 교육통계 분석자료집: 평생교육통계편"

      65 통계청, "2019 고령자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