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이 지각한 누리과정과 초등교육과정의 연계경험 = The analysis on the continuity in experience of nuri curriculum and elementary curriculum perceived by 1st gra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155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irst graders' connected experiences between the Nuri and elementary curriculum, and take a new look at the two curriculums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
      Consequentl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implemented thrice on eight first graders who were primary participants; their parents, elementary school, and kindergarten homeroom teachers were assistant participants.
      In addition, the children's records (observation records, parent counseling records, kindergarten records, and journals), general guidelines, teacher's manual, guidebook and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preferred elementary curriculum classes that ended earlier than the Nuri curriculum classes. Second, children thought that they played more in elementary school than in kindergarten. Third, children learned what they did in the Nuri curriculum, so they felt it was easy. Finally, children had difficulty answering questions about their own “thinking” in the elementary curriculum.
      Based on the analysis, we have to review the Nuri curriculum again by simultaneously considering the curricular connections and children's connected experienc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irst graders' connected experiences between the Nuri and elementary curriculum, and take a new look at the two curriculums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 Consequentl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irst graders' connected experiences between the Nuri and elementary curriculum, and take a new look at the two curriculums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
      Consequentl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implemented thrice on eight first graders who were primary participants; their parents, elementary school, and kindergarten homeroom teachers were assistant participants.
      In addition, the children's records (observation records, parent counseling records, kindergarten records, and journals), general guidelines, teacher's manual, guidebook and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preferred elementary curriculum classes that ended earlier than the Nuri curriculum classes. Second, children thought that they played more in elementary school than in kindergarten. Third, children learned what they did in the Nuri curriculum, so they felt it was easy. Finally, children had difficulty answering questions about their own “thinking” in the elementary curriculum.
      Based on the analysis, we have to review the Nuri curriculum again by simultaneously considering the curricular connections and children's connected experien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누리과정과 초등교육과정에 대한 연계경험을 알아보고, 두 교육과정을 아동의 관점에서 새롭게 바라보는 것이다. 이를 위한 질적연구로써 초등학교 1학년 아동 8명을 주 참여자로, 부모와 초등담임교사, 취학 전 담임교사를 보조 참여자로 선정하여 총 3차에 걸친 면담을 실시하고 아동의 기록과 누리과정 총론·해설서·지도서, 초등학교 1학년 교과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첫째, 아동은 누리과정 보다 일찍 끝나는 초등교육과정을 더 선호하고 있었다. 둘째, 아동은 유치원보다 초등학교가 더 논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셋째, 아동은 누리과정에서 배운 것을 초등교육과정에서 다시 배우니 쉽다고 느끼고 있었다. 넷째, 초등교육과정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은 학습 중 자신의 ‘생각’을 요구하는 문제에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이 겪은 경험은 대부분 긍정적이었지만 이는 연계가 잘되고 있다는 뜻은 아니었다. 이에 교육과정의 연계성과 아동의 연계경험을 동시에 고려한 누리과정 재검토가 요구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누리과정과 초등교육과정에 대한 연계경험을 알아보고, 두 교육과정을 아동의 관점에서 새롭게 바라보는 것이다. 이를 위한 질적연구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누리과정과 초등교육과정에 대한 연계경험을 알아보고, 두 교육과정을 아동의 관점에서 새롭게 바라보는 것이다. 이를 위한 질적연구로써 초등학교 1학년 아동 8명을 주 참여자로, 부모와 초등담임교사, 취학 전 담임교사를 보조 참여자로 선정하여 총 3차에 걸친 면담을 실시하고 아동의 기록과 누리과정 총론·해설서·지도서, 초등학교 1학년 교과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첫째, 아동은 누리과정 보다 일찍 끝나는 초등교육과정을 더 선호하고 있었다. 둘째, 아동은 유치원보다 초등학교가 더 논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셋째, 아동은 누리과정에서 배운 것을 초등교육과정에서 다시 배우니 쉽다고 느끼고 있었다. 넷째, 초등교육과정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은 학습 중 자신의 ‘생각’을 요구하는 문제에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이 겪은 경험은 대부분 긍정적이었지만 이는 연계가 잘되고 있다는 뜻은 아니었다. 이에 교육과정의 연계성과 아동의 연계경험을 동시에 고려한 누리과정 재검토가 요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순경, "초등학교 입학초기 적응활동의 변천에 대한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193-212, 2013

      2 이평순, "초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모성 분리불안을 겪는 6세 유아의 사례연구" 7 (7): 67-99, 2011

      3 박효정,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에 대한 담임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4 김민진,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입학 초기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39 (39): 181-210, 2008

      5 Creswell, J. W., "질적연구방법론-다섯가지 접근" 학지사 2010

      6 정병호, "일본 교육개혁의 문화적 의미 : 보육원과 초등학교 교육의 접점 연구" 2 (2): 1-40, 1999

      7 장명림,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누리과정의 현황과 개선 과제" 80-98, 2015

      8 이윤미, "유치원에서 초등학교 1학년으로의 전이경험 연구에 대한 이론적 배경 고찰" 14 (14): 117-134, 2007

      9 권점례,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교육과정 연계성 관점에서 본 유치원 교육과정 수준 적합성 연구 -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2학년군을 중심으로 -" 한국수학교육학회 54 (54): 143-165, 2015

      10 지성애, "유아의 초등학교준비도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 및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27-249, 2006

      1 박순경, "초등학교 입학초기 적응활동의 변천에 대한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193-212, 2013

      2 이평순, "초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모성 분리불안을 겪는 6세 유아의 사례연구" 7 (7): 67-99, 2011

      3 박효정,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에 대한 담임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4 김민진,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입학 초기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39 (39): 181-210, 2008

      5 Creswell, J. W., "질적연구방법론-다섯가지 접근" 학지사 2010

      6 정병호, "일본 교육개혁의 문화적 의미 : 보육원과 초등학교 교육의 접점 연구" 2 (2): 1-40, 1999

      7 장명림,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누리과정의 현황과 개선 과제" 80-98, 2015

      8 이윤미, "유치원에서 초등학교 1학년으로의 전이경험 연구에 대한 이론적 배경 고찰" 14 (14): 117-134, 2007

      9 권점례,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교육과정 연계성 관점에서 본 유치원 교육과정 수준 적합성 연구 -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2학년군을 중심으로 -" 한국수학교육학회 54 (54): 143-165, 2015

      10 지성애, "유아의 초등학교준비도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 및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27-249, 2006

      11 정대현,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206-227, 2006

      12 충청일보, "유아발달 무시한 교육과정편성 4-5시간 행정예고 규탄"

      13 염미애, "유아기에서 초등학교로의 전이에 따른 학교적응 및 학업성취에 관한 종단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14 정대현, "유아교육기관에서 초등학교로 적응 : 유아의 특성과 사회적 관계를 중심으로" 이담북스 2008

      15 김윤희, "유아교사들의 '5세 누리과정' 이해와 실행"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16 정대현, "유아 의 또래 상호작용, 유아-교사관계, 다중지능과 초등학교 적응간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201-221, 2006

      17 박순경, "유·초연계를 위한 취한직전 유아 기초학습능력과 과제" 107-144, 2015

      18 인민지, "유·초 연계 강화를 위한 초등학교 1학년 국어과 주제중심 통합 교재 개발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19 신지연, "숲유치원 교육과 누리과정의 비교 및 연계성 탐색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2 (12): 151-180, 2013

      20 박영희, "선행학습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1 최옥희, "생태학적 변인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적응,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133-160, 2009

      22 양동인, "만 5세 누리과정과 2009 개정 초등 1학년 통합교육과정의 연계성 비교 분석-교사용지도서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23 이데일리뉴스, "누리교육 5시간 시행 한 달 “아이들이 졸아요”"

      24 한보라, "누리과정에 기초한 바깥놀이 실천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2 (12): 47-68, 2013

      25 곽노의, "누리과정과 2009 개정 초등교육과정에 기초한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의 연계교육" 창지사 2012

      26 금강일보, "누리과정 편성시간 연장 전교조 철회하라 반발"

      27 네이버뉴스, "누리과정 편성 4-5시간 확대는 반교육적 처사다"

      28 최은영, "누리과정 운영시간에 관한 쟁점 및 과제" 인문과학연구소 36 : 459-484, 2014

      29 교육과학기술부, "누리과정 고시문"

      30 Nachmanovitch, S., "놀이, 마르지 않는 창조의 샘" 에코의 서재 2008

      31 정선아,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의 개정 방향 -유치원의 고유성과 초등학교와의 연계 강화를 위한-"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289-307, 2011

      32 김은설, "「5세 누리과정」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2

      33 Connelly, F. M.,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Jossy-Bass Publishers 2000

      34 Johnson, J. M., "Handbook of interview research: Context & method" Sage 103-119, 2002

      35 Denzin, N. K., "Disciplining qualitative research" 19 (19): 769-782, 2006

      36 김남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5세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의 활동목표 분석: 자연탐구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3 (13): 299-320, 2014

      37 이기숙,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2학년군 교육과정 및 교사용 지도서 연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38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2012

      39 박인영, "5세 누리과정 수학적 탐구하기와 초등학교 1학년 수학교육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의연계성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40 배성옥, "5세 누리과정 교육내용과 교사용 지도서의 활동목표 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3

      41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4: 동식물과 자연" 교육과핛기술부 2012

      42 이지현, "3⋅4세 유치원교육과정, 5세 누리과정, 초등 1학년 교육과정 언어교육내용의 연계성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253-279, 2012

      43 최성진, "0-2세 표준보육과정, 3-5세 누리과정, 초등 통합교과과정 과학교육내용의 연계성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9 (19): 69-91, 2015

      44 조병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통합교과"에 수록된 ‘음악’ 활동의 연계성 분석"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KCI등재
      2017-1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2 2.02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3 2.22 2.524 0.4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