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Nomological Network를 통한 자기조절학습동기의 구인타당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7493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을 촉진시키는 동기적 측면의 개인차를 이해하기 위해 동기의 인지론적 관점을 기반으로 하여 자기조절학습동기 구인을 탐색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토대로 자기조절학습동기 구인을 탐색하여 기대×가치이론으로부터 체계화한 자기효능감, 학업가치, 목표지향성의 3가지 차원을 구성요인으로 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척도에 대한 내적 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외적타당성 검증을 위해 준거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뿐만 아니라 자기조절학습동기와 가정환경, 자기조절학습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구조모형을 분석함으로써 nomological network를 통한 구인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앞으로 개발된 자기조절학습동기 척도를 통해 자기조절학습을 비롯한 성공적인 학교생활적응을 촉진시키는 학습동기의 특성을 통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을 촉진시키는 동기적 측면의 개인차를 이해하기 위해 동기의 인지론적 관점을 기반으로 하여 자기조절학습동기 구인을 탐색하고 이를...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을 촉진시키는 동기적 측면의 개인차를 이해하기 위해 동기의 인지론적 관점을 기반으로 하여 자기조절학습동기 구인을 탐색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토대로 자기조절학습동기 구인을 탐색하여 기대×가치이론으로부터 체계화한 자기효능감, 학업가치, 목표지향성의 3가지 차원을 구성요인으로 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척도에 대한 내적 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외적타당성 검증을 위해 준거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뿐만 아니라 자기조절학습동기와 가정환경, 자기조절학습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구조모형을 분석함으로써 nomological network를 통한 구인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앞으로 개발된 자기조절학습동기 척도를 통해 자기조절학습을 비롯한 성공적인 학교생활적응을 촉진시키는 학습동기의 특성을 통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scale based on cognitive motivation theory and previous studies to understand individual variation of motivational aspects betwee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preliminary scale of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was investigated and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related to them. It included three dimensional constructs of self-efficacy, academic value and goal orientation based on expectancy×value theory. After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the test of internal validity,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criterion validity for the test of external validity. Also,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among home environment, self-regulation learning and school adjustment within nomological network for the validit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scale would measure student`s integrative learning motivation to improve successful school adjustment as well as self-regulation learn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scale based on cognitive motivation theory and previous studies to understand individual variation of motivational aspects betwee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scale based on cognitive motivation theory and previous studies to understand individual variation of motivational aspects betwee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preliminary scale of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was investigated and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related to them. It included three dimensional constructs of self-efficacy, academic value and goal orientation based on expectancy×value theory. After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the test of internal validity,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criterion validity for the test of external validity. Also,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among home environment, self-regulation learning and school adjustment within nomological network for the validit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scale would measure student`s integrative learning motivation to improve successful school adjustment as well as self-regulation learn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신, "한국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와 성취에 대한 종단연구 : 자기 효능감과 성취 동기를 중심으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0 (10): 37-59, 2004

      2 이영훈,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2011

      3 오희숙,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와 학업적 실패내성 척도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2

      4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39 (39): 95-123, 2001

      5 박병기, "학업수행 자기효능감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1219-1240, 2005

      6 김종백, "학업 성취 관련 요인과 자아개념을 매개로한 부모의 교육기대와 학업관여가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종단적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3 (23): 389-412, 2009

      7 소연희, "학습자 동기 특성 변인들이 고등학생들의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성취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1007-1028, 2007

      8 강인구, "학습동기에 대한 진화론적 고찰"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489-505, 2010

      9 정미경, "학년 및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의 차이 분석" 13 (13): 305-332, 1999

      10 김태은, "학교급별 학업능력에 대한 학습효능감, 학습동기화, 성취목표지향성의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185-207, 2007

      1 박영신, "한국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와 성취에 대한 종단연구 : 자기 효능감과 성취 동기를 중심으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0 (10): 37-59, 2004

      2 이영훈,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2011

      3 오희숙,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와 학업적 실패내성 척도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2

      4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39 (39): 95-123, 2001

      5 박병기, "학업수행 자기효능감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1219-1240, 2005

      6 김종백, "학업 성취 관련 요인과 자아개념을 매개로한 부모의 교육기대와 학업관여가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종단적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3 (23): 389-412, 2009

      7 소연희, "학습자 동기 특성 변인들이 고등학생들의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성취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1007-1028, 2007

      8 강인구, "학습동기에 대한 진화론적 고찰"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489-505, 2010

      9 정미경, "학년 및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의 차이 분석" 13 (13): 305-332, 1999

      10 김태은, "학교급별 학업능력에 대한 학습효능감, 학습동기화, 성취목표지향성의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185-207, 2007

      11 안도희, "초?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변인탐색: 유능감, 가정의 심리적 환경 및 학교환경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1199-1217, 2005

      12 박아청,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학습동기 수준에 따른 학교적응 차이"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989-1005, 2007

      13 박승호, "초등아동의 자기조절학습에 관여하는 인지 및 동기의 개인차 연구" 13 (13): 425-454, 1999

      14 김은영, "초․중․고등학생의 자기결정동기와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2007

      15 유은주, "청소년이 지각한 학급풍토, 가정의 도전과 지원,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습몰입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707-732, 2010

      16 김옥분, "청소년의 학문적 미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학교 및 가정환경 특성 탐색" 중앙대학교 2010

      17 문은식,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과 관련되는 사회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충남대학교 2002

      18 유옥순, "청소년의 또래관계와 스트레스 대처 행동이 학교 적응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2006

      19 한순미, "중다목표관점에서의 성취목표와 자기조절 학습전략 사용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291-312, 2003

      20 김아영, "자아효능감과 학습동기" 한국교육방법학회 16 (16): 1-38, 2004

      21 남지연, "자기효능감,목표지향성,자기조절학습전략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전남대학교 2006

      22 오미진, "자기효능감, 과제 선택범위 및 경쟁이 과제흥미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573-589, 2007

      23 김현심, "자기조절학습의 학년간 차이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목포대학교 2009

      24 박승호, "자기조절학습의 발달을 위한 동기적 요인의 역할"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55-70, 2003

      25 김명지,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적응, 자기조절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2009

      26 안재찬, "자기조절학습 동기적 변인들의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목포대학교 2005

      27 정미경, "자기조절학습 구조에 대한 발달적 경향 탐색" 한국영재교육학회 7 (7): 21-38, 2008

      28 고경희,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학업적 자기조절 동기유형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2003

      29 손승희, "인지적 동기변인의 탐색 및 학업성취에 대한 설명력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1993

      30 박현정, "우리나라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의 패턴과 학습자 유형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 : 387-403, 2006

      31 최현주, "아동이 지각한 심리적 가정환경과 정서지능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2005

      32 소연희, "성공·실패 피드백에 따른 자기효능감과과제선택권이 과제흥미와 귀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855-872, 2006

      33 문은식, "부모의 학습지원행동과 초·중학생의 학업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271-288, 2003

      34 송인섭, "목표지향성,자기조절학습,학업성취와의 관계 연구" 14 (14): 29-64, 2000

      35 조현철, "내외적 학습동기, 자기결정성, 목표지향, 자기지각,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전략 요인들의 학습태도, 학습행동 및 학업성취에 대한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33-60, 2011

      36 신명희, "가정환경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 교육연구소 11 (11): 113-134, 2010

      37 송인섭, "가정환경 구조모형의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1-19, 2006

      38 Weiner,B, "Theories of motivation: From mechanism to cognition" Rand Mcnally 1972

      39 McClelland,D.C, "The Achievement Motive" Appleton-Century-Crofts 1953

      40 Pintrich, P. R., "Student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 LISREL model" 1991

      41 McWhaw, K, "Student goal orientation and interest effects on students'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24 : 277-306, 2001

      42 Rotter,J.B, "Social learning and clinical psychology" Prentice Hall 1954

      43 Bentler, P. M.,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88 : 588-606, 1980

      44 Bandura,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of behavioral change" 84 : 194-215, 1977

      45 Kline,R.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ress 1998

      46 Grolnick, W. S., "Parent's involvement in children's schooling: A multidimensional conceptualization and motivational model" 65 : 237-252, 1994

      47 Atkinson,J.W, "Motives in fantasy, action, and society" Van Nostrand Co 1958

      48 Atkinson,J.W, "Motivational determinants of risk-taking behavior" 64 : 359-372, 1957

      49 Pintrich, P. R,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85 : 33-40, 1990

      50 Glynn, S. M., "Motivation to learn in college science, In Handbook of college science teaching"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Press 23-32, 2006

      51 Ginsburg, G., "Family factors related to children's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64 : 1461-1474, 1993

      52 Wigfield, A., "Expectancy-value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25 : 68-81, 2000

      53 Zimmerman,B.J, "Dimensions of academic self-regulation: A conceptual framework for education, In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Issues and educational application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21, 1994

      54 Hu, L,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 1-55, 1999

      55 Embretson,S, "Construct validity: Construct representation versus nomothetic span" 93 : 179-197, 1983

      56 Cronbach, L. J, "Construct validity in psychological tests" 52 : 281-302, 1955

      57 Kelly,H, "Attribution theory in social psychology" 15 : 192-238, 1967

      58 Weiner,B, "An attributional theory of motivation and emotion" Springer-Verlag 1986

      59 Brown, M. W,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Testing structural equation" SAGE Publications, Inc 136-162, 1993

      60 박병기, "2x2 성취목표지향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327-353, 2005

      61 양명희, "2*2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과의 관련성 검토"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745-764,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16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심리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9 2.39 2.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5 3.18 3.128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