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택지개발사업지구내 입찰대상토지의 낙찰가율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경상북도개발공사의 공공택지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Influenced Factors on the Bidding Land in Public Land Development Project Areas-On Public Land Development Project by Gyeongsanbuk-do Development Corpo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179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factors to affect successful bids of land development project area when bidding and to seek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mong them, in order to secure minimum profits and continuity of the proj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124 units of lands for bidding in housing development lands of 6 project areas in Gyeongbuk region supplied by Gyeongsanbuk-do Development Corporation as the project operator for 8 years from 2005 to 2013, factors to decide land were width of bordering roads, number of roads bordering to the land and building-to-land ratio, and factor for access was minimum distance to parking lot and factor for complex was total number of housing in a complex and environmental factor were area population and land transaction area, respectively. As total number of housing units were more, area per land unit was bigger, width of road was broader and number of roads was higher, it was closer to park and main roads, population in the area under the local government was bigger and land transaction areas in the local government was bigger, successful bidding rate of lands in housing development area was higher.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factors to affect successful bids of land development project area when bidding and to seek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mong them, in order to secure minimum profits and continuity of the project. As a result of the anal...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factors to affect successful bids of land development project area when bidding and to seek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mong them, in order to secure minimum profits and continuity of the proj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124 units of lands for bidding in housing development lands of 6 project areas in Gyeongbuk region supplied by Gyeongsanbuk-do Development Corporation as the project operator for 8 years from 2005 to 2013, factors to decide land were width of bordering roads, number of roads bordering to the land and building-to-land ratio, and factor for access was minimum distance to parking lot and factor for complex was total number of housing in a complex and environmental factor were area population and land transaction area, respectively. As total number of housing units were more, area per land unit was bigger, width of road was broader and number of roads was higher, it was closer to park and main roads, population in the area under the local government was bigger and land transaction areas in the local government was bigger, successful bidding rate of lands in housing development area was high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택지개발사업지구내 입찰대상토지의 낙찰가율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05년부터 2013년까지 경상북도개발공사가 일반 실수요자들에게 공급한 124필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토지입찰당시 낙찰가율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찾기 위한 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으로 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획지요인에서는 접면도로폭, 필지와 접하는 도로수, 건폐율 변수가 접근요인에서는 주차장과의 최단거리 변수가, 단지요인에서는 단지내 총세대수 변수가, 환경요인에서는 지역인구 및 토지거래면적 변수가 영향을 미쳤다. 이들 요인이 입찰대상토지의 낙찰에 미친 영향력은 획지요인이 33.8%로 가장 크고, 단지요인이 29.2%, 환경요인이 26.3%, 마지막으로 접근요인이 10.7% 순이었다. 단지내 총세대수가 많을수록, 해당 지자체내 토지거래면적이 클수록, 필지와 접하는 도로수가 많을수록, 해당 지자체내 인구가 많을수록, 마지막으로 접면도로폭이 클수록 택지개발지구내 입찰대상토지 낙찰가율이 높았음을 알 수 있다. 신규 공공택지개발사업지구내 입찰대상토지의 공급가격 결정 및 감정평가시 본 연구의 결과를 반영한다면 유익한 평가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택지개발사업지구내 입찰대상토지의 낙찰가율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05년부터 2013년까지 경상북도개발공사가 일반 실수요자들에게 공...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택지개발사업지구내 입찰대상토지의 낙찰가율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05년부터 2013년까지 경상북도개발공사가 일반 실수요자들에게 공급한 124필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토지입찰당시 낙찰가율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찾기 위한 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으로 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획지요인에서는 접면도로폭, 필지와 접하는 도로수, 건폐율 변수가 접근요인에서는 주차장과의 최단거리 변수가, 단지요인에서는 단지내 총세대수 변수가, 환경요인에서는 지역인구 및 토지거래면적 변수가 영향을 미쳤다. 이들 요인이 입찰대상토지의 낙찰에 미친 영향력은 획지요인이 33.8%로 가장 크고, 단지요인이 29.2%, 환경요인이 26.3%, 마지막으로 접근요인이 10.7% 순이었다. 단지내 총세대수가 많을수록, 해당 지자체내 토지거래면적이 클수록, 필지와 접하는 도로수가 많을수록, 해당 지자체내 인구가 많을수록, 마지막으로 접면도로폭이 클수록 택지개발지구내 입찰대상토지 낙찰가율이 높았음을 알 수 있다. 신규 공공택지개발사업지구내 입찰대상토지의 공급가격 결정 및 감정평가시 본 연구의 결과를 반영한다면 유익한 평가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성근, "현대 부동산의 이해" 부연사 2012

      2 김정은, "표준지공시지가의 가격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13

      3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사이트"

      4 김보미, "택지개발사업지구내 단독주택용지의 가격형성요인 분석 : 일산신도시의 단독주택용지를 대상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5 정동선, "지방공기업 택지개발사업의 합리적 시행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2000

      6 권재웅, "중소도시 상업지역의 지가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7 경상북도개발공사, "신대⋅부적지구 도시개발사업제1종지구단위계획" 2005

      8 경상북도개발공사, "상주가장지구 도시개발사업 개발계획⋅지구단위계획" 2011

      9 권지숙, "산업용지의 지가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10 최현철, "사회통계방법론" 나남 2009

      1 이성근, "현대 부동산의 이해" 부연사 2012

      2 김정은, "표준지공시지가의 가격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13

      3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사이트"

      4 김보미, "택지개발사업지구내 단독주택용지의 가격형성요인 분석 : 일산신도시의 단독주택용지를 대상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5 정동선, "지방공기업 택지개발사업의 합리적 시행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2000

      6 권재웅, "중소도시 상업지역의 지가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7 경상북도개발공사, "신대⋅부적지구 도시개발사업제1종지구단위계획" 2005

      8 경상북도개발공사, "상주가장지구 도시개발사업 개발계획⋅지구단위계획" 2011

      9 권지숙, "산업용지의 지가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10 최현철, "사회통계방법론" 나남 2009

      11 양승철, "비주거용 부동산의 가격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연구원 2005

      12 박종선, "부동산 정책이 부동산가격형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대전지역 아파트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사회문화과학대학원 2004

      13 金英壽, "부동산 가격형성요인에 관한 분석고찰 : 일반적 및 개별적 요인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 1981

      14 양승철, "복합용도 부동산의 가격형성요인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부동산연구원 2006

      15 경상북도개발공사, "구미구평2지구 택지개발사업 제1종지구단위계획" 2006

      16 황동열, "공장용지의 가격형성요인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12

      17 현승석, "공영택지개발지구의 분양가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18 한국토지주택공사, "경북김천 혁신도시개발사업 지구단위계획" 2011

      19 오영선, "감정평가 가격형성요인의 기타요인에 관한 연구 : 감정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6-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감정평가연구 -> 부동산연구
      외국어명 : Korean Appraisal Review -> Korea Real Estate Review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6 1.1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