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활용품으로 만든 악기의 음악활동 활용 및 음률영역 비치가 유아의 음악성 발달과 음률영역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생활용품으로 만든 30가지 악기의 음악활동 활용 및 음률영역 비치가 유아의 음악성 발달과 음률영역 참여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S유치원의 만 5세 유아 47명으로 실험집단 22명, 통제집단 25명으로 2집단을 편성하였다. 실험처치는 10주 동안, 매주 3회씩, 매회 20-30분씩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에게는 생활용품으로 만든 악기를 일반 악기와 함께 음악활동에 활용하고 음률영역에도 일반 악기와 함께 비치하였다. 반면에 통제집단은 일반 악기만을 음악활동에 활용하고 음률영역에도 일반 악기만을 비치하였다. 다만, 두 집단 모두 음악활동에 활용하고 음률영역에 비치한 일반 악기는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8.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집단 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생활용품으로 만든 악기를 음악활동에 활용하고 음률영역에도 비치한 실험집단이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음악성 발달의 리듬감, 음감 모두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특히 음악성 발달의 음감보다 리듬감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률영역 참여도에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훨씬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연구결과는 생활용품으로 만든 악기를 일반 악기와 함께 음악활동에 활용하고 음률영역에 비치하는 것이 일반 악기만을 음악활동에 활용하고 음률영역에 비치하는 것 보다 유아의 음악성 발달과 음률영역 참여도에서 훨씬 더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시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생활용품으로 만든 30가지 악기의 음악활동 활용 및 음률영역 비치가 유아의 음악성 발달과 음률영역 참여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S유치원의 ...

      본 연구는 생활용품으로 만든 30가지 악기의 음악활동 활용 및 음률영역 비치가 유아의 음악성 발달과 음률영역 참여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S유치원의 만 5세 유아 47명으로 실험집단 22명, 통제집단 25명으로 2집단을 편성하였다. 실험처치는 10주 동안, 매주 3회씩, 매회 20-30분씩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에게는 생활용품으로 만든 악기를 일반 악기와 함께 음악활동에 활용하고 음률영역에도 일반 악기와 함께 비치하였다. 반면에 통제집단은 일반 악기만을 음악활동에 활용하고 음률영역에도 일반 악기만을 비치하였다. 다만, 두 집단 모두 음악활동에 활용하고 음률영역에 비치한 일반 악기는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8.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집단 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생활용품으로 만든 악기를 음악활동에 활용하고 음률영역에도 비치한 실험집단이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음악성 발달의 리듬감, 음감 모두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특히 음악성 발달의 음감보다 리듬감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률영역 참여도에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훨씬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연구결과는 생활용품으로 만든 악기를 일반 악기와 함께 음악활동에 활용하고 음률영역에 비치하는 것이 일반 악기만을 음악활동에 활용하고 음률영역에 비치하는 것 보다 유아의 음악성 발달과 음률영역 참여도에서 훨씬 더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시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usical activity using 30 musical instruments made of the daily necessities and furnishing music and movement area on children’s development of music aptitude and participation level of music and movement area.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47 five-year old children attending S kindergarten and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22 and a control group or 25.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musical instruments made of the daily necessities and general musical instruments to be used for musical activity and music and movement area.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20-30 min. per session three times every week for total 10 weeks. The general musical instruments used for musical activity and furnished in the music and movement area was the same in both group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8.0 and a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in the two group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musical instruments made of the daily necessities for musical activity and equipped with it in music and movement area got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rhythmic audiation and tonal audiation of development of music aptitude than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it was shown that it had more influence on the rhythmic audiation than on the rhythmic audiation in development of music aptitude.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ly much higher scores in participation level of music and movement area tha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using musical instrument made of the daily necessities with general musical instruments and furnishing it on music and movement area will be able to better influence on children’s development of music aptitude and participation level of music and movement area than using general musical instruments only and furnishing it on music and movement area.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usical activity using 30 musical instruments made of the daily necessities and furnishing music and movement area on children’s development of music aptitude and participation level of music and movement area...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usical activity using 30 musical instruments made of the daily necessities and furnishing music and movement area on children’s development of music aptitude and participation level of music and movement area.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47 five-year old children attending S kindergarten and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22 and a control group or 25.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musical instruments made of the daily necessities and general musical instruments to be used for musical activity and music and movement area.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20-30 min. per session three times every week for total 10 weeks. The general musical instruments used for musical activity and furnished in the music and movement area was the same in both group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8.0 and a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in the two group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musical instruments made of the daily necessities for musical activity and equipped with it in music and movement area got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rhythmic audiation and tonal audiation of development of music aptitude than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it was shown that it had more influence on the rhythmic audiation than on the rhythmic audiation in development of music aptitude.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ly much higher scores in participation level of music and movement area tha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using musical instrument made of the daily necessities with general musical instruments and furnishing it on music and movement area will be able to better influence on children’s development of music aptitude and participation level of music and movement area than using general musical instruments only and furnishing it on music and movement a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및 해석
      • Ⅳ.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및 해석
      • Ⅳ.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석남, "학령전 어린이와 유치원 어린이들을 위한 음악" 중외출판사 1982

      2 정희영, "타악기를 활용한 음률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과 리듬감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 장빛나, "타악기 중심의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유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8

      4 송윤나, "체계적인 유아음악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5 손신혜, "창의적 음률활동이 유아의 음악성 발달과 사회․정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6 한명자, "장애아동의 놀이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7 한미영, "이야기 음악을 적용한 즉흥연주 지도방안 연구: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춘천교육대학교 대학원 2007

      8 김수지, "음악치료학 개론: 이론과 실제(An Introduction to music therapy: theory and practice)" 권혜경 음악치료센터 2002

      9 김혜림, "음률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10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지도서 1:총론" 두산동아 2009

      1 서석남, "학령전 어린이와 유치원 어린이들을 위한 음악" 중외출판사 1982

      2 정희영, "타악기를 활용한 음률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과 리듬감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 장빛나, "타악기 중심의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유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8

      4 송윤나, "체계적인 유아음악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5 손신혜, "창의적 음률활동이 유아의 음악성 발달과 사회․정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6 한명자, "장애아동의 놀이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7 한미영, "이야기 음악을 적용한 즉흥연주 지도방안 연구: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춘천교육대학교 대학원 2007

      8 김수지, "음악치료학 개론: 이론과 실제(An Introduction to music therapy: theory and practice)" 권혜경 음악치료센터 2002

      9 김혜림, "음률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10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지도서 1:총론" 두산동아 2009

      11 권현숙, "유치원 음악교육 교육 안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12 차미진, "유치원 놀이음악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6

      13 이관섭, "유치원 교사를 위한 음악활동의 이론과 실제" 융성출판 1993

      14 서은주, "유아의 리듬중심 기초음악경험과 음악성 발달간의 관계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1999

      15 임선영, "유아음악교육에서 리듬교육의 중요성 및 지도에 관한 연구-Carl Orff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1994

      16 김혜경, "유아음악교육" 창지사 2001

      17 이숙희, "유아음악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1997

      18 김경의, "유아음악교육" 양서원 2003

      19 안재신, "유아음악교육" 교육과학사 2004

      20 이은화, "유아를 위한 음악활동자료집" 교문사 1984

      21 김명순, "유아를 위한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다음세대 2002

      22 이민경, "유아를 위한 음악교육" 21세기사 2005

      23 이민경, "유아를 위한 악기 만들기" 교육과학사 2001

      24 김기원, "유아교육기관의 음악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27 : 217-239, 1999

      25 송여숙, "유아 음악활동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서원 1998

      26 오상희, "우리나라 유치원의 악기지도에 대한 실태분석 및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2

      27 김순미, "우리나라 유치원 음악교육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1998

      28 신기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삼성출판사 1987

      29 민중서림 편집국, "민중 에센스 국어사전" 민중서림 2001

      30 정경원, "리듬학습에서 타악기 활용에 관한 연구:초등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1

      31 송윤아, "리듬악기를 이용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1

      32 전미자, "단계별 음악극 만들기 활동을 통한 창의적인 표현력 지도방안:초등학교 2학년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3 박봉석, "관현악의 이론과 실제" 세광음악출판사 1998

      34 박미경, "‘새노래부르기’ 활동에서 다루고 있는 유아교사의 음악적 개념과 지도의 어려움" 한국아동학회 29 (29): 93-113, 2008

      35 Gembris, H, "The development of musical abilities, In The new handbook of research on music teaching and learning" Oxford University Press 487-508, 2002

      36 Alvin, J, "Music Therapy for the autistic child"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37 Wiseman, M. E, "Making musical things" charles Scribner's Sons 1979

      38 Scott, C. R, "How children grow musically" 28 (28): 165-184, 1989

      39 Gardner, H, "Farmes of mind a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Basic Books 1983

      40 Gordon, E. E, "A music learning theory for newborn and young children" GIA Publication 1997

      41 Gordon, E. E, "A music learing theary and young children" G. I. A. Publicarion, Inc 1990

      42 최지원,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교사용"유치원 지도서"의 유아음악 활동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